KR101120424B1 -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24B1
KR101120424B1 KR1020100040116A KR20100040116A KR101120424B1 KR 101120424 B1 KR101120424 B1 KR 101120424B1 KR 1020100040116 A KR1020100040116 A KR 1020100040116A KR 20100040116 A KR20100040116 A KR 20100040116A KR 101120424 B1 KR101120424 B1 KR 10112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ittent
plate
folding table
locking groov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629A (ko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riority to KR102010004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2003/082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table legs being individually collapsible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4Table leg assembly held in folded position by tension mean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접이식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으로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레버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단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속판은 일정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상판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걸림홈과, 상기 상판을 수직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직걸림홈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단속판의 수평걸림홈과 수직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이 가능한 걸림돌기가 일측부에 형성된 단속블럭과, 상기 단속블럭의 타측부 하면에 형성된 장착돌기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는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판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여서 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테이블{FOLDING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여서 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은 지지체의 상측에 상판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는 다리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다수의 테이블을 용이하게 적층하기 위해 상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의 일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특허 10-868341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110)과,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30)과, 단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회동수단(160)으로 결합되어진다.
상기 단속수단은 레버부(150)와, 단속판(1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부는 레버(150), 연결브라켓(153), 단속블럭(155), 탄성부재(1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속판(159)은 일정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상부에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걸림홈(159a)(159b)이 형성되어 상기 단속블럭(155)에 형성된 걸림돌기(156)가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59a)(159b)과 걸림돌기(156)의 형상은 복수개의 삼각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57)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단속블럭(155)의 측면부에 그 일측이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의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10)을 수평으로 유지시켜 상기 단속블럭(155)에 형성된 걸림돌기(156)가 단속판(159)의 수평걸림홈(159a)에 걸리게 하여 상판(110)이 움직이지 않게 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판을 접을 경우에는 도 2의 상태에서 레버(151)를 밀어 상기 단속블럭(155)의 걸림돌기(156)가 단속판(159)의 수평걸림홈(159a)에서 이탈되게 하고, 상판(110)을 회동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56)가 단속판(159)의 수직걸림홈(159b)에 걸리게 하여 상판(110)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다.
그런데, 종래 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상판(110)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단속블럭(155)의 걸림돌기(156)와, 단속판(159)의 걸림홈(159a)(159b)이 삼각뿔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확실치 못하며, 사용자가 사용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끼워졌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브라켓(153)과 단속블럭(155)의 힌지 간격이 짧아 레버(151)를 작동시키는 힘이 많이 들게 되어, 힘이 약한 사용자, 예를 들어, 여자들은 쉽게 상판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상판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어 사용자가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여서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회동수단으로 결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판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레버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단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속판은, 일정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상판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걸림홈과, 상기 상판을 수직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직걸림홈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단속판의 수평걸림홈과 수직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이 가능한 걸림돌기가 일측부에 형성된 단속블럭과, 상기 단속블럭의 타측부 하면에 형성된 장착돌기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는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
Figure 112010027877770-pat00001
'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진 걸림돌기는 수평걸림홈과 수직걸림홈과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림홈과 수직걸림홈은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레버축으로 이루어진 레버와, 상기 레버축이 결합된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장착돌기에 개재되어 상기 단속블록에 접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받침부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속블럭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는 결합구가 상기 단속블럭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속블럭의 타측부에는 연결브라켓의 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속블럭은, 상기 연결공과 결합구 사이의 간격이 상기 결합구와 상기 걸림돌기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공과 결합구 사이의 간격이 길어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여도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판을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요부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의 수직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요부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로서,
도 6은 상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
도 7은 핸들을 밀어 단속판과 단속블럭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
도 8은 핸들을 민 상태에서 상판을 수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
도 9는 핸들을 놓아 단속판과 단속블럭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수직상태를 이루는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210)과, 상부프레임(220)과, 하부프레임(230)과, 단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210)은 통상의 테이블용 상판으로서 일정두께의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220)은 상기 상판(21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2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하부프레임(230)은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회동수단(260)으로 결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수단(260)은 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230)의 상부는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면(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면은 상기 상판(210)이 수평방향에 위치할 때 상기 상판(210)의 하부면에 밀착 구비되어진다.
상기 단속수단은 레버부와, 단속판(2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부는 레버(250), 연결브라켓(253), 단속블럭(255), 탄성부재(2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250)는 핸들(251)과, 상기 핸들(251)의 일측에 구비된 레버축(252)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축(252)이 상기 상부프레임(2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레버축(252)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251)과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브라켓(253)은 일측부가 상기 레버축(252)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축(252)의 회전시 상기 레버축(252)을 중심으로 동회전하게 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라켓(253)의 일측부에 단면이 사각형태의 단속구(253a)가 형성되어 상기 사각기둥형상의 레버축(252)이 장착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53)의 타측부에는 단면이 타원형태의 연결구(253b)가 형성된다.
상기 단속블럭(255)은 상기 상부프레임(220)에 결합수단(261)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결합수단은(261)은 볼트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속블럭(255)의 하부에는 상기 단속블럭(255)을 관통하는 결합구(255b)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261)이 장착되어지게 된다.
상기 단속블럭(255)의 일측부에는 상기 단속판(259)과 결합되기 위한 걸림돌기(256)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56)는 도 4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25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4를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
Figure 112010027877770-pat00002
'의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속블럭(255)의 타측부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53)의 연결구(253b)에 별도의 볼트(미도시) 등으로 결합되는 연결공(255c)이 형성된다.
상기 단속블럭(255)의 연결공(255c)이 형성된 일측부 하면에는 장착돌기(255a)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돌기(255a)에는 상기 탄성부재(257)가 개재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57)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장착돌기(255a)에 개재되어 단속블록(255)의 하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내부에 형성된 받침부(미도시)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시한 상기 단속블럭(255)은, 상기 연결공(255c)과 결합구(255b) 사이의 간격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공(255c)과 결합구(255b) 사이의 간격이 상기 결합구(255b)와 상기 걸림돌기(256)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단속블럭(255)이 상기 결합구(256b)를 중심으로 연결공(255c)이 위치한 타측부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공(255c)과 결합구(255b) 사이의 간격이 길게 형성된 단속블럭(255)은,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결합구(255b)를 중심으로 단속블럭(255)이 회동할 때 적은 힘으로도 상기 걸림돌기(256)가 단속판(259)에서 이탈되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레버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단속판(259)은 일정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3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256)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은 수평걸림홈(259a)과 수직걸림홈(259b)으로 구성되어 상기 단속판(259)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걸림홈(259a)과, 수직걸림홈(259b)은 상기 걸림돌기(256)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수평걸림홈(259a)과, 수직걸림홈(259b) 역시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걸림홈(259a)과, 수직걸림홈(259b)도 걸림돌기(256)와 같이, '
Figure 112010027877770-pat00003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걸림홈들과 걸림돌기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며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수평걸림홈(259a)과, 수직걸림홈(259b)에 걸림돌기(256)를 결합시킬 때 '찰칵'하는 소리가 나게 되어 상기 걸림홈들과 걸림돌기의 결합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일측 상부프레임(220a)과 타측 상부프레임(220b) 사이의 공간에 상기 단속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축(252)의 일측이 상기 일측 상부프레임(220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251)이 상기 일측 상부프레임(220a)의 외측에서 상기 레버축(252)과 결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로서, 도 6은 상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핸들을 밀어 단속판과 단속블럭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핸들을 민 상태에서 상판을 수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핸들을 놓아 단속판과 단속블럭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수평으로 고정된 상판(210)의 위치를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레버(250)의 핸들(251)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레버(250)의 레버축(252)에 장착된 연결브라켓(253)이 상기 레버축(252)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브라켓(253)에 연결된 단속블럭(255)의 타측부가 하면에 구비된 탄성부재(257)를 압축하면서 결합구(255b)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단속블럭(255)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56)가 결합구(255b)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이에따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속판(259)의 수평걸림홈(259a)에 끼움결합되어 상판(210)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상기 걸림돌기(256)가 상방향쪽으로 이탈되면서 상기 수평걸림홈(259a)과 상기 걸림돌기(256)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판(210)을 회동수단(26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단속판(259)의 수직걸림홈(259b)에 상기 걸림돌기(256)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상판(210)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상판(210)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려면, 상기 레버(250)의 핸들(251)를 상방향으로 올려 상기 단속판(259)의 수직걸림홈(259b)에 결합된 상기 단속블럭(255)의 상기 걸림돌기(256)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상판(21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돌기(256)를 상기 수평걸림홈(259a)에 결합시켜 수평방향으로 상기 상판(210)을 고정하게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상부에 형성된 절단면이 상기 상판(210)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판(210)이 수평방향보다 더 아래로 회전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특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특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특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특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 상판 220 : 상부프레임
230 : 하부프레임 250 : 레버
251 : 핸들 252 : 레버축
253 : 연결브라켓 253a: 단속구
253b: 연결구 255 : 단속블럭
255a: 장착돌기 255b: 결합구
255c: 연결공 256 : 걸림돌기
257 : 탄성부재 259 : 단속판
259a: 수평걸림홈 259b: 수직걸림홈

Claims (7)

  1.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회동수단으로 결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판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레버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단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속판은, 일정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상판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걸림홈과, 상기 상판을 수직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직걸림홈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단속판의 수평걸림홈과 수직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이 가능한 걸림돌기가 일측부에 형성된 단속블럭과, 상기 단속블럭의 타측부 하면에 형성된 장착돌기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는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
    Figure 112010027877770-pat00004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림홈과 수직걸림홈은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레버축으로 이루어진 레버와, 상기 레버축이 결합된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장착돌기에 개재되어 상기 단속블록에 접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받침부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블럭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결합수단이 장착되는 결합구가 상기 단속블럭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속블럭의 타측부에는 연결브라켓의 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블럭은, 상기 연결공과 결합구 사이의 간격이 상기 결합구와 상기 걸림돌기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KR1020100040116A 2010-04-29 2010-04-29 접이식 테이블 KR10112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16A KR101120424B1 (ko) 2010-04-29 2010-04-29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16A KR101120424B1 (ko) 2010-04-29 2010-04-29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29A KR20110120629A (ko) 2011-11-04
KR101120424B1 true KR101120424B1 (ko) 2012-03-16

Family

ID=4539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116A KR101120424B1 (ko) 2010-04-29 2010-04-29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92B1 (ko) 2012-12-12 2014-08-01 이덕우 테이블 고정장치
KR101440035B1 (ko) 2013-12-23 2014-09-24 (주)캠퍼스라인 접이식 테이블
KR102348053B1 (ko) 2021-07-27 2022-01-10 (주) 투템디자인 접철식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06B1 (ko) * 2018-11-23 2019-04-29 (주)코아스 가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58Y1 (ko) 2001-06-15 2001-10-31 이경상 이동이 가능한 절첩식 테이블
KR100868341B1 (ko) 2008-03-19 2008-11-12 (주)캠퍼스라인 접이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58Y1 (ko) 2001-06-15 2001-10-31 이경상 이동이 가능한 절첩식 테이블
KR100868341B1 (ko) 2008-03-19 2008-11-12 (주)캠퍼스라인 접이식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92B1 (ko) 2012-12-12 2014-08-01 이덕우 테이블 고정장치
KR101440035B1 (ko) 2013-12-23 2014-09-24 (주)캠퍼스라인 접이식 테이블
KR102348053B1 (ko) 2021-07-27 2022-01-10 (주) 투템디자인 접철식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29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41B1 (ko) 접이식 테이블
KR101120424B1 (ko) 접이식 테이블
US7658354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5627293B2 (ja) テーブル
JP5264008B1 (ja) 仮設足場用の連結装置
JP2010005190A (ja) 回転式電気かみそり
JP5897599B2 (ja) 可動家具部のレール
JP2013141566A5 (ko)
JP6087734B2 (ja) 施錠装置および蓋体装置
WO2019140631A1 (zh) 摇杆机构和具有该摇杆机构的遥控器
CN204251095U (zh) 线体收纳盒
KR101685924B1 (ko) 안전 차단봉
JP3155260U (ja) 折畳み式テーブル
CN110520955A (zh) 电气操作面板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JP5123969B2 (ja) 綴じ具
CN203676889U (zh) 煎烤机
JP5802964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101140817B1 (ko) 접이식 테이블
JP4525546B2 (ja) 卓上・壁掛け兼用型電子機器
JP5281061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ユニット
JP2009092087A (ja) クランプ
JP3981891B1 (ja) 収納式ベッド
KR100921988B1 (ko) 폴딩 테이블의 폴딩 장치
CN106254996A (zh) 用于调节音响倾角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