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986B1 -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986B1
KR101119986B1 KR20100034790A KR20100034790A KR101119986B1 KR 101119986 B1 KR101119986 B1 KR 101119986B1 KR 20100034790 A KR20100034790 A KR 20100034790A KR 20100034790 A KR20100034790 A KR 20100034790A KR 101119986 B1 KR101119986 B1 KR 10111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tirring
rotary shaft
toner
stirr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339A (ko
Inventor
김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2010003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98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9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실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여 현상롤러 측으로 이송하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로서, 상기 교반실 내에 토너를 보급해주는 토너 보급부; 상기 교반실 내에 신규 현상제를 보급해주는 신규 현상제 보급부; 상기 교반실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상의 교반익이 형성된 제1회전축; 및 상기 교반실 내부에 상기 제1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교반익과는 반대방향으로 나선 형상의 교반익이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패들이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크류의 양단에 현상제가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토너, 캐리어,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Apparatus for stirring developer in two component developing device}
본 발명은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의 양단에 현상제가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토너, 캐리어,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장치, 현상장치, 정착장치 및 배지장치를 포함한다. 급지장치가 인쇄용지를 현상장치로 공급하면 현상장치는 인쇄용지에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도포하여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고, 정착장치는 도포된 현상제를 인쇄용지에 정착하며, 배지장치는 정착장치로부터 현상제가 정착된 인쇄용지를 수령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현상장치는 감광체와 현상롤러와 전사롤러를 포함하여 감광체에 잠상이 형성되면 현상롤러가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하며, 전사롤러가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을 인쇄용지로 전사한다.
이러한 현상장치에는 토너만을 사용하는 1성분 현상장치와 토너와 캐리어를 함께 사용하는 2성분 현상장치가 있다. 2성분 현상장치는 1성분 현상장치에 비해 고속 현상이 가능하고, 계조 현상의 재현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는 토너와 캐리어를 한 쌍의 스크류(10)를 통해 교반하여 현상롤러(20) 측으로 보내게 된다. 현상롤러(20)에 보내진 현상제는 순환경로(30)를 통해 다시 스크류(10)가 설치된 교반실(40)로 보내어진 후, 현상롤러(20) 측으로 재공급된다.
이러한 현상제의 순환공급 과정이 반복되다보면, 새로운 토너가 공급되지 않는 이상 현상제에 포함된 토너의 양이 점점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토너를 교반실(40)로 공급한 후, 한 쌍의 스크류(10)를 통해 공급된 토너와 남아있던 현상제를 교반하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스크류(10)는 서로 대칭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이들 스크류(10) 사이에는 격벽(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한쪽의 스크류(1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나머지 한쪽의 스크류(10)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현상제를 교반 이송함으로써, 현상제를 교반하여 현상롤러(20)에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한 쌍의 스크류(10)를 통해 현상제를 교반하게 되면, 단순히 스크류(10) 자체의 축방향 교반, 즉 국소 부위의 교반이 용이하지만, 교반실(40) 전체의 교반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10)의 양단에 현상제가 쏠리게 되어 현상제의 순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스크류의 양단에 현상제가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토너, 캐리어,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교반실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여 현상롤러 측으로 이송하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로서, 상기 교반실 내에 토너를 보급해주는 토너 보급부; 상기 교반실 내에 신규 현상제를 보급해주는 신규 현상제 보급부; 상기 교반실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상의 교반익이 형성된 제1회전축; 및 상기 교반실 내부에 상기 제1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교반익과는 반대방향으로 나선 형상의 교반익이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패들이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더 큰 직경을 갖으며, 상기 제2회전축의 교반익은 상기 제1회전축의 교반익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너 보급부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축방향으로 토너를 보급하며, 상기 신규 현상제 보급부는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 방향으로 신규 현상제를 보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는 스크류의 양단에 현상제가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토너, 캐리어,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는 교반실(100)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여 이를 현상롤러(110) 측으로 이송하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로서, 토너 보급부(120), 신규 현상제 보급부(130), 교반실(100) 내부에 설치되는 제1회전축(140) 및 제2회전축(150)을 포함한다.
토너 보급부(120)는 교반실(100) 외부에서 교반실(100) 내부로 소모품인 토너를 보급해주는 역할을 하며, 펌프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교반실(100) 내부로 토너가 공급되도록 한다.
신규 현상제 보급부(130)는 현상 드럼에 토너를 부착시키기 위한 보조제인 현상제를 교반실(100) 내부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며, 현상제의 보급은 교반실(100) 내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현상제를 교반실(100) 내부로 낙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전축(140)은 교반실(100)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회전축(14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상의 교반익(141)이 형성된다. 즉, 제1회전축(140)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1회전축(140)은 토너, 현상제 및 캐리어를 교반함과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 횡방향으로 교반된 토너, 현상제 및 캐리어의 혼합물이 이송되도록 한다.
제2회전축(150)은 교반실(100) 내부에 제1회전축(140)과 인접하여 제1회전축(140)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제2회전축(150)의 외주면에는 제1회전축(140)의 교반익(141)과는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상의 교반익(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회전축(15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패들(1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회전축(140)과 제2회전축(150) 사이에는 별도의 격벽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제1회전축(140)과 제2회전축(150) 사이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는 제1회전축(140)의 교반익(141)을 이용하여 토너, 현상제 및 캐리어를 횡방향으로 교반한다. 그리고, 제1회전축(140)을 통해 교반된 혼합물은 제2회전축(150) 방향으로 이송되어 패들(152)에 의해 제2회전축(150)의 반경방향으로 교반됨과 동시에 교반익(151)을 통해 제2회전축(150)의 축방향으로 교반되어 이송된다.
여기서, 제1회전축(140)의 교반익(141)과 제2회전축(150)의 교반익(151)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한 혼합물의 이송방향과 제2회전축(150)의 회전에 의한 혼합물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이 된다.
따라서, 토너, 현상제 및 캐리어의 혼합물은 1차적으로 제1회전축(140)의 교반익(141)을 통해 축방향으로 교반된 후, 2차적으로 제2회전축(150)의 패들(152)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교반되고, 최종적으로 제2회전축(150)의 교반익(151)에 의해 다시 축방향으로 교반된다.
이에 따라, 교반실(100) 내부의 토너, 현상제 및 캐리어가 교반실(100)의 내부 공간 전체를 순환하면서 교반되어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일측단에 현상제가 쏠리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회전축(150)은 제1회전축(14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회전축(150)의 교반익(151)은 제1회전축(140)의 교반익(141)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교반된 토너, 현상제 및 캐리어의 혼합물은 제2회전축(150)을 통해 현상 롤러(110) 측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제1회전축(140)의 교반 능력이 제2회전축(150)의 교반 능력보다 뛰어날 경우, 혼합물이 현상 롤러(110) 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회전축(150)의 교반 능력을 제1회전축(140)의 교반 능력보다 더 크게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현상 롤러(110) 측으로 이송되어 인쇄에 사용되고 남은 혼합물은 순환 통로(160)를 통해 다시 교반실(100) 내부로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교반실(100) 내부로 재순환된 혼합물에는 토너 및 현상제가 부족하게 되므로, 추가적으로 토너 및 신규 현상제를 보급해야 한다.
이에 따라, 토너 보급부(120) 및 신규 현상제 보급부(130)에서는 재순환된 혼합물에 추가적으로 토너 및 현상제를 보급하게 된다.
여기서, 토너 보급부(120)는 제1회전축(140) 및 제2회전축(150)의 축방향으로 즉, 교반실(100)의 일측단부에서 교반실(100) 내부로 토너를 공급하며, 신규 현상제 보급부(130)는 상기 토너 보급부(120)의 토너 보급 방향과는 거의 수직방향으로 즉, 제1회전축(140)으로부터 제2회전축(150)이 위치한 방향으로 신규 현상제를보급한다.
이러한 토너 및 현상제 보급 방향에 의해, 토너와 현상제가 서로 다른방향에서 진입하여 교차함으로써, 이들의 교반 효율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반실 110: 현상 롤러
120: 토너 보급부 130: 신규 현상제 보급부
140: 제1회전축 141: 교반익
150: 제2회전축 151: 교반익
152: 패들

Claims (3)

  1. 교반실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여 현상롤러 측으로 이송하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로서,
    상기 교반실 내에 토너를 보급해주는 토너 보급부;
    상기 교반실 내에 신규 현상제를 보급해주는 신규 현상제 보급부;
    상기 교반실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상의 교반익이 형성된 제1회전축; 및
    상기 교반실 내부에 상기 제1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교반익과는 반대방향으로 나선 형상의 교반익이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패들이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더 큰 직경을 갖으며, 상기 제2회전축의 교반익은 상기 제1회전축의 교반익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부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축방향으로 토너를 보급하며, 상기 신규 현상제 보급부는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 방향으로 신규 현상제를 보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KR20100034790A 2010-04-15 2010-04-15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KR10111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4790A KR101119986B1 (ko) 2010-04-15 2010-04-15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4790A KR101119986B1 (ko) 2010-04-15 2010-04-15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339A KR20110115339A (ko) 2011-10-21
KR101119986B1 true KR101119986B1 (ko) 2012-03-16

Family

ID=4503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4790A KR101119986B1 (ko) 2010-04-15 2010-04-15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9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2626A (ja) * 1998-01-14 1999-07-30 Minolta Co Ltd 現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2626A (ja) * 1998-01-14 1999-07-30 Minolta Co Ltd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339A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071B2 (ja) 現像装置
KR101908666B1 (ko) 현상 장치
JP2008299107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299196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93765B2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308964A (ja) 現像装置
JPH0876596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1143192A (ja) 現像装置
JPH11202626A (ja) 現像装置
JP6204286B2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119986B1 (ko) 2성분 현상장치의 현상제 교반장치
JPH0535091A (ja) 現像装置
JP2004233597A (ja) 現像装置
JP2008287112A (ja) 攪拌部材、攪拌装置、および現像装置
JP2008158438A (ja) 画像形成装置
JPS5921396Y2 (ja) 現像剤撹拌装置
JP5793970B2 (ja) 現像装置
JP2005215483A (ja) 現像装置
JP3070414U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2001188408A (ja) 二成分系現像剤用現像装置
JP3522661B2 (ja) 現像装置
JPH11174800A (ja) 現像装置
JP2009139445A (ja) 現像装置
JP4415677B2 (ja) 現像装置
JP2007155869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