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819B1 -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819B1
KR101119819B1 KR1020100068188A KR20100068188A KR101119819B1 KR 101119819 B1 KR101119819 B1 KR 101119819B1 KR 1020100068188 A KR1020100068188 A KR 1020100068188A KR 20100068188 A KR20100068188 A KR 20100068188A KR 101119819 B1 KR101119819 B1 KR 10111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r
conveyor
blower
agricultural produc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576A (ko
Inventor
장근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6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8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송풍기의 바람을 와류를 일으켜 과일의 표면뿐만 아니라 측면이나 하측에도 마찰시키게 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얻을 수 있는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는 함체 형상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입출구에 형성된 컨베이어를 따라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바람을 불고, 송풍기의 하측에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면서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유도판이 서로 오므라들었다 벌어졌다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농산물의 상,하,좌,우측 표면에 뭍어있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유도판은 다수의 축에 장착되고, 축들의 어느 일측 단부에는 상하로 세워진 링크바가 장착되고, 링크바들에는 상,하가 서로 엇갈리도록 연결되는 링크바연결대가 결합되며, 링크바중에서 어느 일측의 구동링크바에는 편심된 캠이 장착된 선회모터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된 농산물을 컨베이어위에서 이동시키면서 바람을 불어주어 물기를 제거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특히 과일 등은 수확한 후에 고품질로 출하하기 위해 세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한 후에는 과일에 묻어 있는 물기로 인해 2차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세척과 함께 바로 물기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물기 제거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된 과일이 올려져 이동되는 컨베이어(120)와, 이 컨베이어(120)의 상측에서 과일의 표면에 바람을 불어 물기를 제거해주는 송풍기(130)로 구성된다.
그러나 송풍기의 바람이 직하하기 때문에 과일의 상측만이 바람과 마찰되어 물기가 제거될 뿐 과일의 측면이나 아래부분은 물기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과일의 물기는 일정구간동안 지속적으로 바람이 불어주어야 제거가 되나, 송풍기의 특성상 아주 짧은 특정 구간에만 불어주어 송풍기의 대수를 늘려주거나 또는,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느리게 하여 작업의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송풍기의 바람을 와류를 일으켜 과일의 표면뿐만 아니라 측면이나 하측에도 마찰시키게 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얻을 수 있는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함체 형상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입출구에 형성된 컨베이어를 따라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바람을 불어 농산물의 표면에 뭍은 물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풍기의 하측에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면서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유도판이 서로 오므라들었다 벌어졌다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유도판은 다수의 축에 장착되고, 축들의 어느 일측 단부에는 상하로 세워진 링크바가 장착되고, 링크바들에는 상,하가 서로 엇갈리도록 연결되는 링크바연결대가 결합되며, 링크바중에서 어느 일측의 구동링크바에는 편심된 캠이 장착된 선회모터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는 물기 제거용 바람이 와류를 일으켜 요동치게 되므로, 농산물의 상하좌우에 묻어 있는 물기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도판에 의해 바람의 진행방향에 부하가 발생되어 넓게 퍼지게 되므로 하나의 송풍기에 의해 넓은 구간의 농산물에 골고루 바람을 공급해주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동력전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a) 및 측면도(b)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력전달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100)는 함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110)을 기본으로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일측 및 타측에 농산물이 입출되는 입구(111) 및 출구(112)가 형성되고, 이 입구(111)와 출구(112)의 사이에는 하우징(110)의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무한회전되는 컨베이어(120)가 설치된다. 컨베이어(120)는 다수의 롤러(121)들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이 롤러(121)들에 밸트(122)가 걸쳐지고, 어느 일측의 롤러(121)를 구동시켜 밸트(122)가 회전되도록 하는 컨베어모터(123)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상부면상에는 컨베이어(120)측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기(130)가 설치되고, 이 송풍기(130)의 아래측에는 송풍기(130)의 바람을 컨베이어(120)측으로 유도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유도판(140)이 설치된다.
유도판(14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 유도판(140)의 사이와 바깥으로 송풍기(130)의 바람이 들어와 아래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유도판(140)은 유도판(140)의 하단부들이 서로 오므라들었다 벌어졌다 할 수 있도록 선회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즉, 유도판(140)이 오므라들어다 벌어졌다를 반복하면서 송풍기(130)의 바람이 직하하지 않고 서로 부딪히면서 소용돌이쳐 와류를 발생시키고, 이 와류가 농산물의 표면 상,하,좌,우를 골고루 부딪혀 효율적인 물기제거를 이루도록 된다.
따라서 유도판(140)은 송풍기(130)의 아래쪽에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축(141)상에 장착되고, 이 축(141)들은 축(141)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선회모터(150) 및 동력전달부(160)에 의해 일정각도만큼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에서는 축(141)의 개수를 네 개로 도시하였으나, 최소한의 개수는 두 개이고, 하우징(110)의 크기에 따라 더 많이 설치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141)들의 하부면상에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유도판(140)이 장착되고, 축(141)의 어느 일측에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선회모터(150)와, 이 선회모터(150)의 회전을 축(141)들에 전달하면서 축(141)들이 일정각도만큼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160)가 설치된다.
동력전달부(16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축(141) 단부에 축중심과 직교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장착되는 링크바(161)와, 각 링크바(161)를 연결하는 링크바연결대(163)로 구성되고, 어느 일측의 링크바(161)에는 선회모터(150)가 결합된다.
선회모터(150)에는 편심축으로 된 캠(151)이 형성되고, 선회모터(150)와 결합되는 어느 링크바(이하, '구동링크바(161a)'라고 함)의 단부에는 캠(151)이 삽입되도록 장공형태의 관통공(1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캠(151)이 삽입된 구동링크바(161a)의 반대쪽 단부에는 링크바연결대(163)가 결합되어 인접한 다른 링크바(161)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링크바연결대(163)들은 각각의 링크바(161)들의 상부와 하부를 번갈아가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링크바연결대(163)가 대각선 방향을 갖도록 결합된다.
이렇게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된 링크바연결대(163)에 의해 각각의 축(141)들은 인접한 다른 축(141)들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작동에 의해 축(141)들에 부착되어 있던 유도판(140)들은 서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세한 작동을 위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회모터(150)가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도 5의 (a)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편심된 캠(151)에 의해 구동링크바(161a)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 작동에 의해 구동링크바(161a)가 장착된 첫 번째 축 및 유도판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리고 두 번째 축은 링크바연결대가 당겨주기 때문에 이 링크바연결대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던 두 번째 축 및 유도판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유도판은 서로 벌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작용에 의해 두 번째와 세 번째의 유도판은 서로 오므라들게 되고, 세 번째와 네 번째의 유도판은 서로 벌어지게된다.
또한, 선회모터(150)가 계속해서 회전을 하게 되면, 도 5의 (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캠(151)에 의해 구동링크바(161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 전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유도판은 서로 오므라들게 되고, 두 번째와 세 번째의 유도판은 서로 벌어지게 되며, 세 번째와 네 번째의 유도판은 서로 오므라들게 된다.
이렇게 여러 유도판(140)들이 서로 오므라들었다 벌어졌다를 반복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던 송풍기(130)의 바람들은 서로 오므라들은 좁은 통로를 빠져나올때는 바람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서로 벌어진 넓은 통로를 빠져나올때는 바람의 속도가 느려져 서로 충돌을 일으키면서 요동을 치게 되고, 유도판(140)들의 하측에서는 와류가 발생되어 컨베이어(120)를 따라 통과하던 농산물들의 전,후,좌,우 전 표면에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유도판(140)들이 하우징(110)의 내에서 컨베이어(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도판(140)에 의해 부하가 걸리는 송풍기(130)의 바람이 유도판(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퍼지기 때문에 송풍기(130)가 도면에서와 같이 하우징(110) 상부면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바람이 퍼져 컨베이어(120)의 전구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
110 : 하우징 111 : 입구
112 : 출구 120 : 컨베이어
140 : 유도판 141 : 축
150 : 선회모터 151 : 캠
160 : 동력전달부 161 : 링크바
163 : 링크바연결대

Claims (2)

  1. 함체 형상 하우징(11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입출구(111,112)에 형성된 컨베이어(120)를 따라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130)에 의해 바람을 불어 상기 농산물의 표면에 뭍은 물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30)의 하측에는 상기 컨베이어(120)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면서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유도판(140)이 서로 오므라들었다 벌어졌다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140)은 다수의 축(141)에 장착되고, 상기 축(141)들의 어느 일측 단부에는 상하로 세워진 링크바(161)가 장착되고, 상기 링크바(141)들에는 상,하가 서로 엇갈리도록 연결되는 링크바연결대(163)가 결합되며, 상기 링크바(161)중에서 어느 일측의 구동링크바(161a)에는 편심된 캠(151)이 장착된 선회모터(15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물기 제거장치.
KR1020100068188A 2010-07-15 2010-07-15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 KR10111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188A KR101119819B1 (ko) 2010-07-15 2010-07-15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188A KR101119819B1 (ko) 2010-07-15 2010-07-15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76A KR20120007576A (ko) 2012-01-25
KR101119819B1 true KR101119819B1 (ko) 2012-02-28

Family

ID=4561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188A KR101119819B1 (ko) 2010-07-15 2010-07-15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947B1 (ko) * 2013-11-26 2015-07-01 주식회사 기장사람들 해조류 물기 제거기
CN104351927A (zh) * 2014-10-11 2015-02-18 天津市食新食异食品有限公司 一种蔬果干燥设备
CN106983167A (zh) * 2017-03-25 2017-07-28 天津市食新食异食品有限公司 果蔬沥干机
CN107836736A (zh) * 2017-12-15 2018-03-27 广西农潮果业有限公司 火龙果片烘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863U (ko) 1975-08-25 1977-03-02
KR200198478Y1 (ko) 2000-03-08 2000-10-02 주식회사기린유통 과일 세척장치
KR200223158Y1 (ko) 2000-12-13 2001-05-15 해륙기계공업주식회사 요동 분사식 농산물세척장치
KR20080000220U (ko) * 2008-01-31 2008-02-20 신영식 야채용 세척 및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863U (ko) 1975-08-25 1977-03-02
KR200198478Y1 (ko) 2000-03-08 2000-10-02 주식회사기린유통 과일 세척장치
KR200223158Y1 (ko) 2000-12-13 2001-05-15 해륙기계공업주식회사 요동 분사식 농산물세척장치
KR20080000220U (ko) * 2008-01-31 2008-02-20 신영식 야채용 세척 및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76A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819B1 (ko) 농산물의 물기 제거장치
CN211012359U (zh) 一种高效节能玻璃清洗干燥机
ITBO20010772A1 (it) Dispositivo di trasporto a cinghia a formato registrabile
JP6258517B2 (ja) 搬送式乾燥装置
CN210036055U (zh) 一种纺织成品烘干装置
CN205337521U (zh) 气浮式洗菜装置
CN216448560U (zh) 一种用于清洗后金银花的高效烘干装置
CN103658104A (zh) 导轨式超声波清洗机
CN104472651B (zh) 一种鱼类的清洗布送机
JP2003227684A (ja) 乾燥装置
CN210952220U (zh) 一种抽屉滑轨风干装置
CN206925042U (zh) 一种高效板料清洗机
CN215405037U (zh) 一种纺织印染开幅机的开幅导辊机构
CN104654767A (zh) 一种热风干燥烘房的移动式气流引导送风架
CN211120546U (zh) 一种网带式干燥机
CN107751340A (zh) 牛肉清洗沥水架
CN216174500U (zh) 自清洗式输送机
KR102255759B1 (ko) 송풍 건조기
CN207444216U (zh) 一种双排式高效脱盐机
CN219328289U (zh) 一种竹片烘干机
CN216470242U (zh) 一种方解石输送装置
CN205383863U (zh) 一种洗白线脱水节能装置
DE102007033912A1 (de) Verfahren zum Glätten von Bekleidungsstücken und Tunnelfinisher
CN218443013U (zh) 一种包装袋加工用烘干装置
CN215455280U (zh) 一种用于梅菜加工的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