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811B1 - 화이트보드 - Google Patents

화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811B1
KR101119811B1 KR1020100101105A KR20100101105A KR101119811B1 KR 101119811 B1 KR101119811 B1 KR 101119811B1 KR 1020100101105 A KR1020100101105 A KR 1020100101105A KR 20100101105 A KR20100101105 A KR 20100101105A KR 101119811 B1 KR101119811 B1 KR 10111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late
source plate
surface ligh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명국
선경표
허정욱
조용욱
홍정현
조주웅
김종일
이영준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엘이디라이텍(주)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이디라이텍(주),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10010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4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with illuminating devices
    • B43L1/006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with illuminating devices with luminescent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10Writing surface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이 개선되면서도 조명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화이트보드를 위하여,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갖는 투광성 기재플레이트와, 상기 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2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면광원플레이트와,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차단층을 구비하는 화이트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이트보드{Whiteboard with luminescence function}
본 발명은 화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시인성이 개선되면서도 조명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화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이트보드는 수성펜 등과 같은 필기구로 쓰고 지울 수 있는 보드로서, 종래의 칠판(블랙보드)과 달리 필기구로 쓰고 지울 시 분진 등이 발생하지 않아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이트보드의 경우, 어두운 환경 하에서는 화이트보드에 필기구로 쓰고 지우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인성이 개선되면서도 조명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화이트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갖는 투광성 기재플레이트와, 상기 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2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면광원플레이트와,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차단층을 구비하는 화이트보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차단층은 탈착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차단층은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이트보드의 일측에 배치된 차단층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단층은, 적어도 일부가 말린 형태로 상기 차단층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거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층하우징 외측으로 펼쳐져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재플레이트는 상기 면광원플레이트 상의 코팅층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차단층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을 덮을 시 상기 차단층의 상기 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하게 되는 면은 반사면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면의 적어도 일부는 광반사 또는 광확산을 위한 패턴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은 패턴이 존재하지 않아 매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차단층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을 덮을 시, 상기 차단층은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광을 적어도 일부 투과시키되, 상기 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1면에 씌여진 사항이 상기 차단층을 통해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갖는 투광성 제1기재플레이트와,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2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1면광원플레이트와,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2면광원플레이트와,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와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화이트보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판의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한 면과 상기 반사판의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한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반사 또는 광확산을 위한 패턴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는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 상의 코팅층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반사판 반대측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이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면인 제2기재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이트보드에 따르면, 시인성이 개선되면서도 조명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화이트보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이트보드의 일 이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이트보드의 이용에 따른 일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화이트보드의 일 이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일 이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는 투광성 기재플레이트(11), 면광원플레이트(21) 및 차단층(30)을 구비한다.
투광성 기재플레이트(11)는 제1면(11a)과 이에 대향하는 제2면(11b)을 갖는데, 제1면(11a)은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면일 수 있다. 이러한 투광성 기재플레이트(11)는 아크릴 등과 같은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면광원플레이트(21)는 기재플레이트(11)의 제2면(11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데, 광을 양방향, 즉 기재플레이트(11) 방향(+x 방향)과 그 반대방향(-x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면광원플레이트(21)는 가장자리를 따라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들이 배치되고 이 발광다이오드들로부터의 광이 도광판을 거쳐 기재플레이트(11) 방향(+x 방향)과 그 반대방향(-x 방향)으로 방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예컨대 면광원플레이트(21)는 기재플레이트(11)와 유사한 형태의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도광판 내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광판은 예컨대 아크릴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가 구비하는 면광원플레이트(21)가 종래의 백라이트모듈과 상이한 점은, 종래의 백라이트모듈이 일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만 광을 방출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가 구비하는 면광원플레이트(21)는 그 반대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도 광을 방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차단층(30)은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다. 이 차단층(30)은 탈착가능한 것일 수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층(30)은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전부 덮을 수도 있고, 일부만 덮을 수도 있으며, 전부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이 차단층(30)은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시, 덮인 부분에서는 광이 차단층(30) 외측으로(-x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모두 덮게 되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광은 차단층(30) 외측으로(-x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을 시 차단층(30)의 면광원플레이트(21)를 향하게 되는 면(30a)은 반사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을 시 차단층(30)의 면광원플레이트(21)를 향하게 되는 면(30a)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광반사물질층이 형성된 면이거나 그러한 물질로 코팅된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일 이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에 내장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서는 화이트보드가 벽에 수용되되, 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이 벽 속에 위치하지 않고 +x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되며, 차단층(30) 역시 벽 속에 위치하지 않고 -x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은 건물 내부일 수 있고 -x 방향은 건물 외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는 기재플레이트(11)에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고, 기재플레이트(11)에 쓰기 및 지우기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을 건물 내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노출시킬 시에는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 역시 건물 외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면광원플레이트(21)가 광을 방출하지 않으며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노출시킬 경우에는 이러한 화이트보드는 외부의 광을 건물 내로 통과시킬 수 있기에, 건물 내부에서 외부가 보이도록 하는 창문과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물론 -x 방향에 화이트보드에 인접하여 별도의 유리창문이 더 있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기재플레이트(11)에 필기구로 쓰기를 할 시에는, 외부에서도 해당 기재사항이 보일 수도 있으므로,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음으로써 외부에서 해당 기재를 볼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회의실 내에서 실내 조명을 낮춘 상태에서 프로젝터 등으로 프리젠테이션 등을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프리젠테이션 중 종래의 화이트보드에 쓰기 등을 할 시 실내 조명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화이트보드에 기재된 내용을 인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경우 면광원플레이트(21)가 기재플레이트(11)를 통과하여 +x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실내 조명이 낮은 상태라 하더라도 화이트보드에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을 시 차단층(30)의 면광원플레이트(21)를 향하게 되는 면(30a)이 반사면이도록 할 경우에는,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도록 할 시, 기재플레이트(11)를 통과하여 +x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도 있다.
물론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을 시, 이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광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즉, 차단층(30)은 면광원플레이트(21)의 광을 적어도 일부 투과시키되, 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에 씌여진 사항이 차단층(30)을 통해 -x 방향의 공간에서 명확하게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층(30)은 반투명 물질이라면 어떤 물질로든 형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이용예에서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은 건물 내부이고 -x 방향은 건물 외부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도 건물 내부이고 -x 방향도 건물 내부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의 공간과 -x 방향의 공간은 상호 분리된 방들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기재플레이트(11)에 쓰기 및 지우기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을 +x 방향의 방 내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노출시킬 시에는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 역시 -x 방향의 방 내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화이트보드의 이용에 따른 일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층(30)은 착탈가능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차단층(30)은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방향 면(21b)을 덮을 시, +z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재플레이트(11), 면광원플레이트(21) 및 차단층(30)을 양측에서 감싸는 제1프레임(41)과 제2프레임(42)을 더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제1프레임(41)과 제2프레임(42)이 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하여 차단층(30)이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이트보드가 벽 속에 수용될 경우, 차단층(30)이 +z 방향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하여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방향 면을 -x 방향의 공간에 노출시킬 시, 차단층(30)이 화이트보드를 중심으로 +z 방향에 위치하는 벽 속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x 방향의 공간에서는 차단층(30)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가 도 4에 도시된 화이트보드와 상이한 점은,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을 시 차단층(30)의 면광원플레이트(21)를 향하게 되는 면(30a)이 반사면이 되도록 하는 것 외에, 이 반사면(30a)의 적어도 일부는 광반사 또는 광확산을 위한 패턴(30a')을 갖는다는 점이다. 도 5에서는 해당 패턴(30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그 간격은 가변할 수도 있으며 패턴(30a')의 형상이 다른 것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패턴(30a')을 통해,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을 덮을 시, 기재플레이트(11)를 통과하여 +x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한편,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a)은 패턴이 존재하지 않아 매끈한 면이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시에는, 화이트보드를 기준으로 -x 방향에 위치한 사람들이 화이트보드를 바라볼 시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a)을 직접 보게 되므로 이 경우의 미관 등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화이트보드와 달리 화이트보드의 일측에 배치된 차단층하우징(42')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차단층(30)은, 적어도 일부가 말린 형태로 차단층하우징(42') 내에 수용되어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거나, 적어도 일부가 차단층하우징(42') 외측으로 펼쳐져 면광원플레이트(21)의 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차단층(30)이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한 경우를 설명하였는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경우 그와 달리 차단층(30)이 차단층하우징(42') 내에서 +z 축을 중심으로 말리는 방식으로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딩방식의 경우 차단층(30)이 면광원플레이트(21)를 노출시킬 시 차단층(30)이 위치할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만 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경우 그와 같은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기재플레이트(11)와 면광원플레이트(21)가 상호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는바, 이와 달리 기재플레이트(11)는 면광원플레이트(21) 상의 코팅층일 수도 있다. 물론 기재플레이트(11)와 면광원플레이트(21)가 일체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기재플레이트(11)와 면광원플레이트(21)가 일체일 경우, 면광원플레이트(21)가 구비하는 도광판의 +x 방향의 면이 바로 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화이트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는, 투광성 제1기재플레이트(11), 제1면광원플레이트(21), 제2면광원플레이트(22) 및 반사판(31)을 구비한다.
제1기재플레이트(11)는 제1면(11a)과 이에 대향하는 제2면(11b)을 갖는데, 제1면(11a)은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면일 수 있다. 이러한 투광성 제1기재플레이트(11)는 아크릴 등과 같은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면광원플레이트(21)는 제1기재플레이트(11)의 제2면(11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데, 광을 양방향, 즉 제1기재플레이트(11) 방향(+x 방향)과 그 반대방향(-x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면광원플레이트(21)의 제1기재플레이트(11) 반대 방향(-x 방향)에는 반사판(31)이 배치되므로, 결과적으로 제1면광원플레이트(21)에서 방출되는 광은 제1기재플레이트(11) 방향(+x 방향)으로만 방출된다. 이러한 제1면광원플레이트(21)는 제1기재플레이트(11)와 유사한 형태의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도광판 내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광판은 예컨대 아크릴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면광원플레이트(22) 역시 제1면광원플레이트(21)와 동일/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면광원플레이트(22)의 제1기재플레이트(11) 방향(+x 방향)에는 반사판(31)이 배치되므로, 결과적으로 제2면광원플레이트(22)에서 방출되는 광은 제1기재플레이트(11) 반대방향(-x 방향)으로만 방출된다.
반사판(31)은 제1면광원플레이트(21)와 제2면광원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며, 제1면광원플레이트(21)로부터 방출된 광을 제1면광원플레이트(21)로 반사시키고 제2면광원플레이트(22)로부터 방출된 광을 제2면광원플레이트(22)로 반사시킨다. 이러한 반사판(31)은 알루미늄과 같은 반사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사성 물질이 양면(31a, 31b)에 코팅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일 이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에 내장될 수도 있다. 즉, 도 9에서는 화이트보드가 벽에 수용되되, 제1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이 벽 속에 위치하지 않고 +x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되며, 제2면광원플레이트(22)의 반사판(31) 반대방향 면 역시 벽 속에 위치하지 않고 -x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은 건물 내부일 수 있고 -x 방향은 건물 외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는 제1기재플레이트(11)에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고, 제1기재플레이트(11)에 쓰기 및 지우기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을 건물 내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면광원플레이트(22)의 반사판(31) 반대측 면 역시 건물 외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x 방향에 화이트보드에 인접하여 별도의 유리창문이 더 있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회의실 내에서 실내 조명을 낮춘 상태에서 프로젝터 등으로 프리젠테이션 등을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프리젠테이션 중 종래의 화이트보드에 쓰기 등을 할 시 실내 조명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화이트보드에 기재된 내용을 인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경우 제1면광원플레이트(21)가 제1기재플레이트(11)를 통과하여 +x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실내 조명이 낮은 상태라 하더라도 화이트보드에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31)이 제1면광원플레이트(21)와 제2면광원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제1기재플레이트(11)를 통과하여 +x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도 9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이용예에서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은 건물 내부이고 -x 방향은 건물 외부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도 건물 내부이고 -x 방향도 건물 내부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의 공간과 -x 방향의 공간은 상호 분리된 방들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기재플레이트(11)에 쓰기 및 지우기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을 +x 방향의 방 내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면광원플레이트(22)의 제1기재플레이트(11) 반대측 면(21b) 역시 -x 방향의 방 내부 조명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31)이 제1면광원플레이트(21)와 제2면광원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제1면광원플레이트(21)로부터 방출된 광을 제1면광원플레이트(21)로 반사시키고 제2면광원플레이트(22)로부터 방출된 광을 제2면광원플레이트(22)로 반사시키는 바, 화이트보드와 벽을 기준으로 +x 방향과 -x 방향에서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반사판(31)의 제1면광원플레이트(21)를 향한 면과 반사판(31)의 제2면광원플레이트(22)를 향한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반사 또는 광확산을 위한 패턴(미도시)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양면 모두가 그러한 패턴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1면광원플레이트(21)와 제2면광원플레이트(22) 각각의 도광판은 광반사 또는 광확산을 위한 패턴을 갖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1기재플레이트(11)와 제1면광원플레이트(21)가 상호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는바, 이와 달리 제1기재플레이트(11)는 제1면광원플레이트(21) 상의 코팅층일 수도 있다. 물론 제1기재플레이트(11)와 제1면광원플레이트(21)가 일체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기재플레이트(11)와 제1면광원플레이트(21)가 일체일 경우, 제1면광원플레이트(21)가 구비하는 도광판의 +x 방향의 면이 바로 제1기재플레이트(11)의 제1면(11a)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의 일 이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가 도 7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화이트보드와 상이한 점은, 제2면광원플레이트(22)의 반사판(31) 반대측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2면광원플레이트(22)를 향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이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면인 제2기재플레이트(12)를 더 구비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를 인접한 두 방들이 공유하는 벽 속에 내장시킬 경우, 각 방에서 기재플레이트의 외부 노출면을 조명용으로 사용하거나 필기구로 쓰거나 지울 수 있는 등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재플레이트(11)는 제1면광원플레이트(21) 상의 코팅층일 수도 있고 제1기재플레이트(11)와 제1면광원플레이트(21)가 일체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바, 제2기재플레이트(12)도 제2면광원플레이트(22) 상의 코팅층일 수도 있고 제2기재플레이트(12)와 제2면광원플레이트(22)가 일체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2기재플레이트(12)와 제2면광원플레이트(22)가 일체일 경우, 제2면광원플레이트(22)가 구비하는 도광판의 -x 방향의 면이 바로 제2기재플레이트(12)의 외측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기재플레이트 21: 면광원플레이트
30: 차단층 31: 반사판
41: 제1프레임 42: 제2프레임

Claims (13)

  1.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투광성인, 기재플레이트;
    상기 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2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면광원플레이트 및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덮이는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차단층
    을 구비하는 화이트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한, 화이트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보드의 일측에 배치된 차단층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단층은, 적어도 일부가 말린 형태로 상기 차단층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거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층하우징 외측으로 펼쳐져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화이트보드.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플레이트는 상기 면광원플레이트 상의 코팅층인, 화이트보드.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을 덮을 시 상기 차단층의 상기 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하게 되는 면은 반사면인, 화이트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적어도 일부는 광반사 또는 광확산을 위한 패턴을 갖는, 화이트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은 패턴이 존재하지 않아 매끈한, 화이트보드.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이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을 덮을 시, 상기 차단층은 상기 면광원플레이트의 광을 적어도 일부 투과시키되, 상기 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1면에 씌여진 사항이 상기 차단층을 통해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화이트보드.
  10.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갖는 투광성 제1기재플레이트;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2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1면광원플레이트;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2면광원플레이트 및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와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을 구비하는 화이트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한 면과 상기 반사판의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한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반사 또는 광확산을 위한 패턴을 갖는, 화이트보드.
  12. 상기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는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 상의 코팅층인, 화이트보드.
  13.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갖는 투광성 제1기재플레이트;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의 상기 제2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1면광원플레이트;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제1기재플레이트 반대측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양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2면광원플레이트;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와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1면광원플레이트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의 상기 반사판 반대측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면광원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이 필기구로 쓰기 및 지우기를 할 수 있는 면인 제2기재플레이트;
    를 구비하는, 화이트보드.
KR1020100101105A 2010-10-15 2010-10-15 화이트보드 KR10111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05A KR101119811B1 (ko) 2010-10-15 2010-10-15 화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05A KR101119811B1 (ko) 2010-10-15 2010-10-15 화이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811B1 true KR101119811B1 (ko) 2012-02-28

Family

ID=4584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05A KR101119811B1 (ko) 2010-10-15 2010-10-15 화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086A (ko) 2016-05-10 2017-11-21 태산하이텍주식회사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776A (ko) * 2009-04-10 2010-10-20 (주)넥손 라이팅 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776A (ko) * 2009-04-10 2010-10-20 (주)넥손 라이팅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086A (ko) 2016-05-10 2017-11-21 태산하이텍주식회사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1717B (zh) 遮罩、背光模組以及發光鍵盤
CN107102509B (zh) 投影屏幕
KR20150092651A (ko) 입체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조명장치
CN107532789B (zh) 采光板条以及采光装置
CN110300950A (zh) 触摸感测系统中的光学耦合
KR101424737B1 (ko) 도광판 기반 면발광장치
WO2011152446A1 (ja) 導光板及び照明装置
KR101119811B1 (ko) 화이트보드
JP2017126586A (ja) 照明装置
KR101558421B1 (ko) Led 채널간판
TWI587340B (zh) Anti - side leakage structure of keyboard backlight module
JP6879052B2 (ja) 車両用灯具
JP6490136B2 (ja) 面状照明装置
JP5390973B2 (ja) 照明装置、照明方法、及び、照明装置を備えた外部記憶装置
TW201344107A (zh) 照明裝置與應用此照明裝置之隱蔽式照明模組
JP2021144071A (ja) 空中表示装置
JP2014107081A (ja) 発光装置
JP6114575B2 (ja) 照明器具
CN201652194U (zh) 遮罩、背光模块以及发光键盘
JP2009180926A (ja) 表示ユニット
JP6965618B2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壁部材
EP1784688B1 (en) Rear projection screen
JP6138644B2 (ja) 照明装置
JP6296531B2 (ja) 照明装置及び可視光通信装置
CN202647391U (zh) 照明装置与应用此照明装置的隐蔽式照明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