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509B1 -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509B1
KR101119509B1 KR1020090093681A KR20090093681A KR101119509B1 KR 101119509 B1 KR101119509 B1 KR 101119509B1 KR 1020090093681 A KR1020090093681 A KR 1020090093681A KR 20090093681 A KR20090093681 A KR 20090093681A KR 101119509 B1 KR101119509 B1 KR 10111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ealing
synthetic resin
edg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119A (ko
Inventor
이상민
민경호
신광훈
김무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원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원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원림
Publication of KR2010012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합성수지의 연신사로 직조한 포대의 가장자리를 실링 처리하기 위하여, 프레임 상부측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복수개의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를 배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포대 이송부; 상기 프레임 상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포대 이송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의 두께에 따라 자동적으로 높낮이 조절되고, 내장된 진동자를 통해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실링 처리하며,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와 상호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면서 실링 처리되는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착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포대 실링부; 및 상기 포대 이송부의 공급에 연동하여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와 접촉하면서 상기 포대를 정렬시켜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포대 실링부에 의하여 실링 처리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불필요한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직조, 필름, 이송부, 실링부, 초음파, 포대

Description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SEALING APPARATUS FOR WEAVING OR FILM BAG OF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와 연동회전하는 포대 이송부와 포대 실링부에 의하여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포대의 가장자리를 상부측에서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실링 처리하며 이송 보조부로 비틀림없이 정렬하여 일방향 이송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불필요한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계 포대는 크게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필름형태로 성형한 필름 포대와 합성수지를 연신사로 제작하여 직조한 직조 포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계 직조 포대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성형한 다음 가장자리를 히터로써 실링 처리(이하 '히트 실링')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히트 실링은 대상물의 표면이 용융되면서 실링하고자 하는 부분이 상호 융착된 다음, 융착된 부분의 확산 및 혼합 상태를 거쳐 냉각되면 고화 및 재결정화를 통하여 봉합이 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필름 포대를 히트 실링할 때 실링 상태는 설정된 온도에 민감하고 실링시키는 속도에 따라 실링 상태가 불균일하게 되며 작업 진행 중에 필름의 두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실링 접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온도, 속도,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차, 필름 두께)들이 많이 존재하므로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실링 품질이 결정되므로 실링 개시 초기에 적합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손실(Loss)가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히터의 에너지 소모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압출 필름의 형태가 아닌 합성수지를 연신사로 제작하여 직조한 형태의 포대는 가장자리를 열을 가하여 가압하는 히트 실링을 할 경우 도 1과 같이 실링 처리된 부분에 구멍(h)이 뚫리거나 뒤틀리는(t)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직조된 포대 전체에 걸쳐 히트 실링에 의한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직조된 포대 전체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즉 직조된 부분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여 열이 직접적으로 가해질 경우 포대 표면이 뒤틀리고 열이 심하게 가해지는 부분은 구멍이 뚫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 직조 포대의 경우 우수한 봉합물을 얻기 위한 균일성, 특히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계 직조 포대는 도 2와 같이 가장자리를 접은 다음 봉제사(s)로 바느질 처리하여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 또한 합성수지계 직조 포대 외에 봉제사 등의 부수적인 재료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가장자리를 절첩하고 바느질 처리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계 직조 포대의 마감 처리 방법은 포대를 제작하는 외에 추가적으로 가장자리를 절첩하고 바느질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므로 노동력 및 제작 시간의 추가 발생에 따른 비용 상승과 함께 제품의 대량 생산에 한계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불필요한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하부측에 장착되어 일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호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복수개의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를 배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프레임 상부측에 장착되는 포대 이송부; 상기 프레임 상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포대 이송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의 두께에 따라 자동적으로 높낮이 조절되고, 내장된 진동자를 통해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실링 처리하며,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와 상호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면서 실링 처리되는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착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포대 실링부; 및 상기 포대 이송부의 공급에 연동하여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와 접촉하면서 상기 포대를 정렬시켜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포대 실링부에 의하여 실링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대 이송부는 프레임 상부측에 상기 포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호 벨트로 연결되어 일체 회전하는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와, 상기 입구 이 송롤러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상호 벨트 연결되는 이송풀리와, 상기 포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출구 이송롤러의 회전축 단부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 사이에 상기 포대 실링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출구 이송롤러측에 장착되고, 상기 출구 이송롤러의 회전축 단부를 상기 포대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일을 구비한 브라켓과, 상기 출구 이송롤러의 회전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 상을 왕복이동하는 장력 조절편 및 상기 장력 조절편과 결합되고, 나사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마감구를 단부에 구비한 장력 조절봉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대 실링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 사이에 상기 포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구비된 실링풀리가 상기 구동모터와 상호 벨트 결합되어 상기 이송풀리와 연동회전하는 실링 회전봉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부측에서 승강하며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 처리하는 상부 실링 유닛 및 상기 실링 회전봉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풀리와 연동 회전하면서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착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하부 실링 보조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실링 유닛은 상기 프레임 상부측에 장착된 거치대 상을 승강하며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를 구비한 실링 몸체와, 상기 실링 몸체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로부터 초음파 진동을 상기 포대 가장 자리로 전달하며 상기 실링 회전봉에 장착되는 하부 실링 보조 유닛과 상호 대향하는 실링 혼 및 상기 실링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실링 혼과 연결되어 근접하는 상기 포대의 두께에 따라 길이 가변되면서 상기 실링 혼의 단부가 포대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완충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 실링 보조 유닛은 상기 실링 회전봉에 장착되어 일체 회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결착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실링 혼과 상호 대향하는 결착홈 형성 슬리브 및 상기 결착홈 형성 슬리브 전, 후방에 상기 포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포대의 가장자리를 받침 지지하는 가이드 팔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 보조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포대의 이송 방향과 직교를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대 실링부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포대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압착 이송롤러와,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압착 이송롤러와 평행하게 장착되어 실링 처리된 포대와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포대를 일방향 이송시키는 이송 보조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착홈을 형성하면서 초음파 진동에 의한 실링 처리를 하면서 공 급되는 포대의 비틀림없이 일방향 이송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의 가장자리 마감 처리 방법에 비하여 불필요한 공정 및 노동력을 극소화하여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컨베이어 벨트(600) 상의 포대(700)를 일방향 이송시키는 포대 이송부(100),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실링 처리하는 포대 실링부(200) 및 실링 처리되는 상기 포대(700)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이송 보조하는 이송 보조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대 이송부(100) 상에 배치되어 일방향 이송되는 포대(700)는 가장자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포대 실링부(700)에 의하여 실링 처리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이송부(100)는 프레임(400) 하부측에 장착되어 일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500)와 상호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600) 상에 합성수지 연신사로 직조하거나 압출하여 필름형태로 성형한 복수개의 포대(700)를 배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400) 상부측에 장착되며 크게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 이송풀리(130) 및 장력조절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는 프레임(400) 상부측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체인벨트(cb)로 상호 연결되어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500)와 상호 벨트(b)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상기 포대(70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의 일방향 이동에 따라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풀리(130)는 상기 입구 이송롤러(110)가 장착되는 이송축(110')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500)의 구동풀리(510)와 상호 벨트(b)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500)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의 이동을 위하여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수단(140)은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출구 이송롤러(120)의 회전축 단부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의 장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크게 브라켓(142), 장력 조절편(144) 및 장력 조절봉(14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42)은 도 5와 같이 상기 프레임(400)의 출구 이송롤러(120)측에 장착되고, 상기 출구 이송롤러(120)의 회전축 단부를 상기 포대(700)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일(141)을 구비한 것으로, 후술할 장력 조절편(144)의 이동 및 장력 조절봉(146) 단부의 고정을 지지하는 역할 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력 조절편(144)은 상기 출구 이송롤러(120)의 회전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141) 상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장력 조절봉(146)은 상기 장력 조절편(144)과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42)을 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마감구(145)를 단부에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수단(140)은 출구 이송롤러(120)를 상기 프레임(400)의 포대(700)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입구 이송롤러(110)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 상호간을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적정한 정도로 조절한 다음 상기 장력 조절봉(146) 단부의 마감구(145)를 상기 브라켓(142)에 고정시킴으로써 장력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수단(140)은 장시간 사용시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 상호간의 벨트 장력이 느슨해지면 마감구(145)를 해제하고 다시 상기와 같은 절차를 반복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실링부(2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실링부(200)는 프레임 상부측, 더욱 상세히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에 장착되어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실링 처리하고, 하부측에서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를 따라 결착홈(710, 이하 도 9 참고)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크게 실링 회전봉(210), 상부 실 링 유닛(220) 및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 회전봉(210)은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 사이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링 회전봉(210) 단부에 구비된 실링풀리(211)가 상기 구동모터(500)의 구동풀리(510)에 상벨트(b) 결합되어 상기 이송풀리(130)와 연동회전하는 것으로, 후술할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실링 유닛(22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 상부측에서 승강하며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 처리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상기 포대(700)의 두께에 따라 자동적으로 높낮이 조절되며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실링 처리하게 되며, 크게 실링 몸체(222), 실링 혼(224) 및 완충기(2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링 몸체(222)는 도 6과 같이 상기 상기 프레임(400) 상부측에 장착된 거치대(221) 상을 승강하며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222')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진동자(222')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 전원 및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 범위의 주파수를 발산하게 된다.
상기 실링 몸체(222)의 승강은 상기 거치대(22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되며, 상기 거치대(221)와 실링 몸체(222)는 미세한 승강 길이 조정을 위하여 직선 운동 베어링인 LM 가이드와 같은 것을 채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자(222')에는 실링에 적합한 압력을 부여하고자 상기 진동자(222')로부터 발생하는 일정 범위의 발생 주파수 진동을 증폭하는 부스터(222") 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 혼(224)은 상기 실링 몸체(222)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222')로부터 초음파 진동을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로 전달하면서 실링 처리를 하게 되며, 상기 실링 회전봉(210)에 장착되는 후술할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과 상호 대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링 혼(224)에 의한 초음파 융착은 외부 전원에서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특정 주파수 범위의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 다음 상기 진동자(222')에 의하여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바꾸고, 다시 부스터(222")로써 실링 처리에 적합한 진동 에너지 범위로 증폭하여 상기 실링 혼(224)이 1초에 무수히 많은 진동을 반복하여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에 마찰열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실링 혼(224)에 의한 마찰열은 포대(700) 가장자리에 순간적으로 상기 포대(70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상호 간의 강력한 분자적 결합을 유도하면서 실링이 마감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기(226)는 도 7과 같이 상기 실링 몸체(222)에 내장되고 상기 실링 혼(224)과 연결되어 근접하는 상기 포대(700)의 두께에 따라 길이 가변되면서 상기 실링 혼(224)의 단부가 포대(700)에 가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완충기(226)는 실링 처리하고자 하는 포대의 종류에 따라서 양측 단부가 '<' 형상으로 2겹이 되는 포대의 경우는 관계 없으나, 양측 단부가 'Σ' 형 상과 같이 4겹이며 나머지 부분은 '='형상으로 2겹을 이루는 포대의 경우 상기 포대(700)가 일방향 공급됨에 따라서 상기 실링 혼(224)을 거치게 될 때 두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기(226)는 이러한 포대(700)의 일방향 공급에 따른 두께 변화에 따라 미세하게 길이를 가변하면서 상기 실링 혼(224) 단부가 포대(700)에 일정하게 진동 에너지를 통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부 실링 유닛(220)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단위 cm당 0 내지 2초간 1.5 내지 6 kg/㎠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에 실링 처리를 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단위 cm당 0.015 내지 0.02초간 3 내지 6 kg/㎠의 압력을 가하는 조건에서 실링 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은 상기 실링 회전봉(210)에 장착되어 상기 실링 회전봉(210)과 일체 회전 하면서, 더욱 상세히는 상기 이송풀리(130)와 연동 회전하면서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착홈(710, 이하 도 9 참고)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의 보다 공고한 실링을 도모하는 것으로, 크게 몸체(232),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 및 가이드 팔레트(236)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32)는 상기 실링 회전봉(210)에 장착되어 일체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것으로, 후술할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는 상기 몸체(23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결착돌기(233)를 구비하여 상기 실링 혼(224)과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팔레트(236)는 상기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 전, 후방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400)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받침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은 상부층의 상부 실링 유닛(220)에 의한 연속적인 실링 처리가 이루어지는 포대(700) 가장자리의 바로 밑에 접촉 회전하면서 포대(700) 가장자리에 실링 처리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결착돌기(233)로써 결착홈(710)을 연속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부(300)는 상기 포대(700) 이송부의 공급에 연동하여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700)와 접촉하면서 상기 포대(700)를 정렬시켜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크게 압착 이송롤러(310)와, 이송 보조롤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 이송롤러(310)는 상기 프레임(400) 상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과 직교를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대 실링부(200), 더욱 상세히는 상부 실링 유닛(220)의 실링 몸체(222)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 상의 포대(700)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압착 이송롤러(310)는 상기 실링 혼(224)과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에 의한 실링 처리시 이송되는 상기 포대(700)가 일방향으로 비틀려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 몸체(222)의 완충기(226)와 연동하도록 상기 실링 몸체(222)와 결합되어 일체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 보조롤러(320)는 도 8과 같이 상기 프레임(400) 상에 상기 압착 이송롤러(310)와 평행하게 장착되어 실링 처리된 포대(700)와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포대(700)를 일방향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측의 지지 브라켓(322)에 연결된 완충 실린더(324)와 연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겹으로 겹쳐진 포대의 이송시에 발생하는 두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 보조롤러(32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 하부측에 더 구비된 가이드 롤러(330)와 접촉 회전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 상에서 일방향으로 상기 포대(700)의 이송을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술한 도면을 참고로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작업자는 컨베이어 벨트(600) 상에 포대(700)를 배치하되, 실링 처리하고자 하는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에서 노출시켜 배치한 후 전원을 켜 구동모터(500)를 가동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가 이동하면서 상기 포대(70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는 컨트롤러(이하 미도시) 조작으로 상기 포대(700)와 접촉하도록 프레임(400) 일측의 거치대(221)에 장착된 실링 몸체(222) 및 상기 실링 몸체(222)와 결합된 압착 이송롤러(310)를 하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컨트롤러 조작으로 설정 주파수 대역,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kHz의 초음파를 상기 실링 몸체(222)의 진동자(222')를 통하여 진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면 실링 혼(224)을 통하여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 처리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프레임(400) 하부측에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와 함께 연결된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의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도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실링 혼(224)에 의한 실링 처리가 진행되는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측에서 연속적으로 결착홈(71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 몸체(222)와 결합된 압착 이송롤러(310)는 상기 포대(700)를 압착 회전하면서 일방향으로 밀어 내게 되며, 상기 압착 이송롤러(310)와 평행하게 장착된 이송 보조롤러(320) 또한 실링 처리가 완료된 포대(700)를 비틀림없이 정렬된 상태로 일방향 공급되도록 접촉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불필요한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합성수지의 연신사로 직조한 포대 원단에 크래프트 페이퍼(kraft paper)를 합지시킨 원단으로 만든 포대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실링 처리를 할 수 있게 되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히트 실링에 의한 합성수지계 직조 포대의 가장자리를 실링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기존의 방법에 의하여 합성수지계 직조 포대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의 평면 및 측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포대 이송부의 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포대 실링부의 상부 실링 유닛 및 하부 실링 보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포대 실링부의 상부 실링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이송 보조부의 이송 보조롤러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실링처리한 포대 가장자리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포대 이송부 110, 120...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
130...이송풀리 140...장력조절수단
141...레일 142...브라켓
144...장력 조절편 145...마감구
146...장력 조절봉 200...포대 실링부
210...실링 회전봉 211...실링풀리
220...상부 실링 유닛 221...거치대
222...실링 몸체 222'...진동자
222"...부스터 224...실링 혼
226...완충기 230...하부 실링 보조 유닛
232...몸체 233...결착돌기
234...결착홈 형성 슬리브 236...가이드 팔레트
300...이송 보조부 310...압착 이송롤러
320...이송 보조롤러 400...프레임
500...구동모터 600...컨베이어 벨트
700...포대 710...결착홈

Claims (7)

  1. 프레임(400) 하부측에 장착되어 일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500)와 상호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600) 상에 복수개의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700)를 배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프레임(400) 상부측에 장착되는 포대 이송부(100);
    상기 프레임(400) 상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포대 이송부(100)의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700)의 두께에 따라 자동적으로 높낮이 조절되고, 내장된 진동자(222')를 통해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실링 처리하며,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500)와 상호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면서 실링 처리되는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착홈(710)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포대 실링부(200); 및
    상기 포대(700) 이송부의 공급에 연동하여 상부측에서 상기 포대(700)와 접촉하면서 상기 포대(700)를 정렬시켜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보조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포대 실링부(200)에 의하여 실링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이송부(100)는,
    프레임(400) 상부측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호 벨트로 연결되어 일체 회전하는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와,
    상기 입구 이송롤러(110)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500)와 상호 벨트 연결되는 이송풀리(130)와,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출구 이송롤러(120)의 회전축 단부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수단(1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 사이에 상기 포대 실링부(20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140)은,
    상기 프레임(400)의 출구 이송롤러(120)측에 장착되고, 상기 출구 이송롤러(120)의 회전축 단부를 상기 포대(700)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일(141)을 구비한 브라켓(142)과,
    상기 출구 이송롤러(120)의 회전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141) 상을 왕복이동하는 장력 조절편(144) 및
    상기 장력 조절편(144)과 결합되고, 나사결합되어 상기 브라켓(142)에 고정되는 마감구(145)를 단부에 구비한 장력 조절봉(1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실링부(200)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이송롤러(110, 120) 사이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구비된 실링풀리(211)가 상기 구동모터(500)와 상호 벨트 결합되어 상기 이송풀리(130)와 연동회전하는 실링 회전봉(210)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 상부측에서 승강하며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 처리하는 상부 실링 유닛(220) 및
    상기 실링 회전봉(210)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풀리(130)와 연동 회전하면서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착홈(710)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링 유닛(220)은,
    상기 프레임(400) 상부측에 장착된 거치대(221) 상을 승강하며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222')를 구비한 실링 몸체(222)와,
    상기 실링 몸체(222)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222')로부터 초음파 진동을 상기 포대(700) 가장자리로 전달하며 상기 실링 회전봉(210)에 장착되는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과 상호 대향하는 실링 혼(224) 및
    상기 실링 몸체(222)에 내장되고 상기 실링 혼(224)과 연결되어 근접하는 상기 포대(700)의 두께에 따라 길이 가변되면서 상기 실링 혼(224)의 단부가 포대(700)에 가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완충기(2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실링 보조 유닛(230)은,
    상기 실링 회전봉(210)에 장착되어 일체 회전하는 몸체(232)와,
    상기 몸체(23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결착돌기(233)를 구비하여 상기 실링 혼(224)과 상호 대향하는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 및
    상기 결착홈 형성 슬리브(234) 전, 후방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400)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포대(700)의 가장자리를 받침 지지하는 가이드 팔레트(2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보조부(300)는,
    상기 프레임(400) 상에 상기 포대(700)의 이송 방향과 직교를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대 실링부(200)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600) 상의 포대(700)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압착 이송롤러(310)와,
    상기 프레임(400) 상에 상기 압착 이송롤러(310)와 평행하게 장착되어 실링 처리된 포대(700)와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포대(700)를 일방향 이송시키는 이송 보조롤러(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KR1020090093681A 2009-05-29 2009-10-01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KR101119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266 2009-05-29
KR20090047266 2009-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19A KR20100129119A (ko) 2010-12-08
KR101119509B1 true KR101119509B1 (ko) 2012-02-28

Family

ID=4350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681A KR101119509B1 (ko) 2009-05-29 2009-10-01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34B1 (ko) * 2013-07-02 2014-06-20 이룸산업(주) 알루미늄 lldpe 합지 중포용 포대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34B1 (ko) * 2018-05-26 2019-03-27 (주)울티모팩 합성수지계 포대용 초음파 실링장치
KR102449676B1 (ko) * 2021-06-15 2022-09-30 (주)휴민텍 이차전지의 사이드 프레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42U (ko) * 1998-05-04 1999-12-06 김성희 튜블러 필름 커팅장치
KR200298936Y1 (ko) 2002-09-19 2002-12-31 유호준 농산물 자동포장기
KR100460571B1 (ko) 2002-07-04 2004-12-08 이광천 비닐백 제대기
KR200408746Y1 (ko) 2005-11-22 2006-02-16 대신기계 주식회사 포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42U (ko) * 1998-05-04 1999-12-06 김성희 튜블러 필름 커팅장치
KR100460571B1 (ko) 2002-07-04 2004-12-08 이광천 비닐백 제대기
KR200298936Y1 (ko) 2002-09-19 2002-12-31 유호준 농산물 자동포장기
KR200408746Y1 (ko) 2005-11-22 2006-02-16 대신기계 주식회사 포대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34B1 (ko) * 2013-07-02 2014-06-20 이룸산업(주) 알루미늄 lldpe 합지 중포용 포대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19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7905B2 (ja) 平らな物体を包装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257631B2 (ja) 抽出バッグ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機械
TWI520877B (zh) Three - way sealed film packaging machine
KR101119509B1 (ko) 합성수지계 직조 또는 필름 포대용 실링장치
US68902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valve bags
CA1183439A (en) Walking-beam band sealer
JPH10181705A (ja) 製袋包装機
US6368437B1 (en) Rotary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US3988184A (en) Method for applying closure strips to plastic film
JP5999608B2 (ja) 自動帆布被覆機
CN207345148U (zh) 纸板上胶机
US4834830A (en) Oscillating sealing wire assembly for wrapping machines
KR101579166B1 (ko) 화장합판 제조장치
CN106617441B (zh) 一种布料粘合机
CN216736823U (zh) 一种可防止膜褶皱的高速产式复合机
CN109718988A (zh) 纸板上胶机
CN208085202U (zh) 珍珠棉复合装置
WO2011061859A1 (ja) 抽出バッグ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機械
KR101311845B1 (ko) 봉제장치
KR200285390Y1 (ko) 비닐백 제조장치
KR100978801B1 (ko) 농산물 포장용 라벨포대 제조장치
KR20210029626A (ko) 농산물 포대 라벨 제조장치
KR20020046268A (ko) 비닐백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3059547A (en) Side seam sealing mechanism for bag making machines
CN215551720U (zh) 一种布料复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