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117B1 -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117B1
KR101119117B1 KR1020090063025A KR20090063025A KR101119117B1 KR 101119117 B1 KR101119117 B1 KR 101119117B1 KR 1020090063025 A KR1020090063025 A KR 1020090063025A KR 20090063025 A KR20090063025 A KR 20090063025A KR 101119117 B1 KR101119117 B1 KR 10111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map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457A (ko
Inventor
공재영
김응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17B1/ko
Priority to US12/691,665 priority patent/US8311560B2/en
Priority to EP10002247.4A priority patent/EP2273468B1/en
Publication of KR2011000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들의 위치와, 차량과의 거리와, 차량의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 호출을 요청할 수 있는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METHOD FOR CALLING A VIHICLE AND METHOD FOR DISPATCHING A VIHICLE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을 호출할 수 있는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차량 호출 센터와 직접 통화를 하거나, 상기 차량 호출 센터에서 제공하는 홈 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차량 호출을 예약하는 방법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차량 호출 센터는 다수의 차량 기사들을 회원으로 하고, 차량 호출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차량을 배차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차량 호출 센터는 사용자가 배차 장소로 요청한 위치 정보, 연락처 및 필요한 시간 등을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위치와 가장 근접해 있는 차량 기사 회원과 연결을 시도하여 상기 배차 장소로 차량을 이동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배차 요청을 받은 기사 회원은 사용자와 통화하여 상기 배차 장소로 차량이 이동하고 있으며, 도착 시에도 사용자와 통화를 하여 상기 배 차 장소로 차량이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방법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 호출 서비스는 사용자가 상기 차량호출 센터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성이나 노약자 및 음주자 등의 고객을 상대로 심야 시간대에 차량 기사들의 범죄가 크게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고객들이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 시에 불안감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들의 위치와, 차량과의 거리와, 차량의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 호출을 요청할 수 있는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정보를 차량 호출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차량 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맵으로부터 특정 차량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배차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을 위한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파악을 위한 위치 파악부와; 차량 호출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위치 파악부를 통해 파악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 안에 위치하는 차량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 호출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차량 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맵에서 특정 차량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배차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방법은, 차량 호출 서버가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차량들의 정보 요청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등록된 차량들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등록된 차량들의 위치 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차량들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차량들 중 특정 차량의 배차가 요청되면, 상기 배차 요청된 차량으로 현재 배차 상태를 문의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배차 상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배차 상태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차 방법은, 차량 내의 차량용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배차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와; 화면 상에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표기된 맵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의 배차 상태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의 위치와, 차량간의 거리와,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가장 빠르고 적합한 차량을 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와, 차량 호출 서버 및 차량용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 및 차량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시스템은, 차량 호출을 위한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에 부착되고 이동 단말기(100)로 차량 이동을 위한 차량용 단말기(300), 및 이동 단말기(100)의 차량 호출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에 부착된 차량용 단말기(300)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차량용 단말기(300)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로 차량 이동을 명령하는 차량 호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 호출 서버(200) 및 차량용 단말기(3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 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위치 파악부(120), 입력부(130), 메모리(140), 인터페이스부(150), 음향 출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 호출 서버(200)가 위치한 통신망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용 단말기(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인터넷 모듈(1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에서 기지국과, 차량 호출 서버(200) 및 차량용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차량 호출을 위한 화상/음성 호 신호와,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SMS/MMS) 등이 포함된 신호가 될 수 있다.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차량 호출 서버(200) 및 차량용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차량 호출을 위한 이메일이 포함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모듈(112)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에서 차량 호출 서버(200) 및 차량용 단말기(3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파악부(12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부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파악부(120)는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위치 파악부(120)는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파악부(120)는 GPS 이외에도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 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140)는 맵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상기 맵 데이터에서 위치 파악부(120)를 통해 파악된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한 지역에 해당하는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표기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 포트, 유선 인터넷 연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B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6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모드이면, 화면 상에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탑승 가능한 차량의 정보가 표기된 맵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 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7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 재생, 데이터 통신, 동영상 재생 및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버(200)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호출 서버(200)는 무선 통신부(210), 위치 파악부(220), 데이터 베이스(230)(DB), 시간/거리 계산부(240), 차량 호출 서버 제어 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차량 호출 서버(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 호출 서버(200)가 위치한 통신망 사이 또는 차량 호출 서버(200)와 차량용 단말기(300)가 위치한 통신망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211), 인터넷 모듈(2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3)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1)은 이동 통신망에서 기지국,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용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인터넷 모듈(2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용 단말기(3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인터넷 모듈(212)은 차량 호출 서버(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3)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용 단말기(3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파악부(220)는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기지국 또는 차량용 단말기(300)와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용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한다.
데이터 베이스(230)는 차량 호출 서버(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베이스(230)는 맵 저장부(231)와, 서비스 가입 이동 단말기 목록 저장부(232) 및 서비스 가입 차량 목록 저장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맵 저장부(231)는 기지국들이 위치하는 각종 지역을 나타내는 맵 데이터가 저장되고,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상기 맵 데이터에서 위치 파악부(220)를 통해 파악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를 포함한 지역에 해당하는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을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상기 맵 데이터에서 위치 파악부(220)를 통해 파악된 차량용 단말기(300)와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를 포함한 지역에 해당하는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을 차량용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 이동 단말기 목록 저장부(232)는 이하의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100)의 인증 정보들이 저장된 다.
이동 단말기
장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
성명
서비스 가입자
연락처 정보
서비스 사용
허가 기간
1. Tx1115 1. SAM 1. 010-111-xxxx 1. 2009. 01. 01 ~ 2009. 03. 01
2. At1133 2. TOM 2. 010-222-xxxx 2. 2009. 01. 01 ~ 2009. 02. 01
3. Xr1122 3. KIM 3. 010-333-xxxx 3. 2009. 01. 01 ~ 2009. 05. 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가입 이동 단말기 목록 저장부(23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100)의 인증 정보인 장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의 개인 정보(성명, 전화번호 등등), 서비스 사용 허가 기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가입 차량 단말기 목록 저장부(233)는 이하의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용 단말기(300)의 인증 정보들이 저장된다.
차량용 단말기
장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
성명
서비스 가입자
연락처 정보
서비스 사용
허가 기간
1. aaa1115 1. KOO 1. 010-123-xxxx 1. 2009. 01. 01 ~ 2009. 03. 01
2. bbb2133 2. NICK 2. 010-234-xxxx 2. 2009. 01. 01 ~ 2009. 02. 01
3. xxx1122 3. ALICE 3. 010-345-xxxx 3. 2009. 01. 01 ~ 2009. 05. 01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가입 차량용 단말기 목록 저장부(23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용 단말기(300)의 인증 정보인 장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의 개인 정보(성명, 전화번호 등등), 서비스 사용 허가 기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시간/거리 계산부(2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탑승 가능한 차량들에 부착된 차량용 단말기들(300)의 위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용 단말기들(300) 간의 최단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최단 거리에 따른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
이때,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시간/거리 계산부(240)에서 계산된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용 단말기들(300) 간의 최단 거리 및 상기 최단 거리에 따른 예상 도착 시간을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용 단말기(300)로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차량 호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의 세부적인 동작 과정은 후술한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 단말기(3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위치 파악부(320), 입력부(330), 메모리(340), 인터페이스부(350), 음향 출력부(360), 디스플레이부(370) 및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차량용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310)는 차량용 단말기(300)와 차량 호출 서버(200)가 위치한 통신망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이동통신 모듈(311), 인터넷 모듈(3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313)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1)은 이동 통신망에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 호출 서버(200) 중 어느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인터넷 모듈(3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 호출 서버(200) 중 어느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인터넷 모듈(312)은 차량용 단말기(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3)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차량 호출 서버(200) 중 어느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파악부(32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부로써,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파악부(320)는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위치 파악부(320)는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파악부(320)는 GPS 이외에도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차량용 단말기(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위치 안내 프로그램,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340)는 맵 데이터가 저장되고,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상기 맵 데이터에서 위치 파악부(320)를 통해 파악된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한 지역에 해당하는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에 상기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표기하여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3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50)는 차량용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단말기(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차량용 단말기(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 포트, 유선 인터넷 연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B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6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위치 안내 음성 또는 각종 경고음,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70)는 차량용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단말기(300)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모드이면,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차량용 단말기(300)의 위치가 표기된 맵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7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7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37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37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차량용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의 세부적인 동작 과정은 후술한다.
이상,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호출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 호출 서버(200) 및 차량용 단말기(3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차량 호출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처리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이 입력된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차량 호출 서버(200)에 등록한다[S51].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회원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회원 ID, 패스워드, 요금 결재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목록은 차량의 검색 반경 및 차량의 검색 갯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호출 서버의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서비스 가입 이동 단말기 목록 저장부(232)에 저장한다[S52].
그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호출 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 기능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하고, 사용자로부터 차량 호출 서비스 인증을 위한 회원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회원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한다[S53].
차량 호출 서버의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회원 ID 및 패스워드 정보와 서비스 가입 이동 단말기 목록 저장부(232)에 기 저장된 ID 및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서비스 인증을 과정을 마친다[S5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차량 호출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메뉴 기능 중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등록"(11)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호출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창(12)을 디스플레이부(170)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도 6의 (b)에 도시된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창(1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이 입력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차량 호출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인증을 마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차량 배차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처리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차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하고, 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이 입력된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차량 호출 서버(200)에 등록한다[S61].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회원 정보는 차량용 단말기(300) 사용자의 회원 ID, 패스워드, 요금 결재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목록은 배차 가능 반경 및 배차 가능 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호출 서버의 제어부(250)는 차량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회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서비스 가입 차량용 단말기 목록 저장부(233)에 저장한다[S62].
그 다음으로,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배차 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 기능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하고, 사용자로부터 차량 배차 서비스 인증을 위한 회원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회원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한다[S63].
차량 호출 서버의 제어부(250)는 차량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회원 ID 및 패스워드 정보와 서비스 가입 차량용 단말기 목록 저장부(232)에 기 저장된 ID 및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서비스 인증을 과정을 마친다[S64].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신호 처리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호출 서비스 접속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한다[S101].
이때,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에 구비된 키들 중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접속 기능이 할당된 키의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고, 메뉴 기능 상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 접속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어도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의 위치 검색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한다[S102].
이때,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위치 파악부(12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를 상기 요청 신호 내에 포함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버(200)는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나, 만약에 통신 오류로 인해 상기 기지국과 통신 연결이 차단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때문에 이를 대비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한편,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호출 서비스 접속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한다[S103].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차량 호출 서버(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현재 지역에서 배차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검색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에서 배차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한다[S104].
이때,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위치 파악부(320)를 제어하여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를 상기 요청 신호 내에 포함하여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버(200)는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나, 만약에 통신 오류로 인해 상기 기지국과 통신 연결이 차단된 경우 차량용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때문에 이를 대비하여 차량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한편,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S102 단계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 가입 차량 목록 저장부(233)에 서비스 등록된 차량들의 위치를 파악한다[S105].
이때,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위치 파악부(220)를 제어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차량 목록 저장부(233)에 서비스 등록된 차량들이 접속된 기지국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차량 목록 저장부(233)에 서비스 등록된 차량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S105 단계에서 파악된 차량들의 위치 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근접하여 탑승 가능한 차량을 검색한다[S106].
이때,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위치 파악부(22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S102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 내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도 6의 (b)에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설정된 차량 검색 반경을 참조하여 S106 단계의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근접하여 공석이 있는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의 (b)에서 상기 차량 검색 반경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서 5km로 설정되어 있으면,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상기 S105 단계에서 파악된 차량들의 위치 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5km 반경 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들을 검색하는 것이다.
이어서,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시간/거리 계산부(240)를 통해 S106 단계에서 검색된 차량들과 이동 단말기(100)간의 최단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검색된 차량들의 위치와, 차량들의 차량 번호와, 차량 소유자들의 연락처와, 상기 계산된 최단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을 포함한 차량 정보들을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07].
이때,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맵 저장부(231)에서 상기 검색된 차량들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을 나타낸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표기 및 상기 검색된 차량들의 위치에 차량 정보들을 표기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차량 정보들이 표기된 맵을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S107 단계에서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탑승 가능한 차량들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정보들을 참조하여 현재 지역에서 탑승 가능한 차량들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어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맵 데이터 중 현재 지역에 해당하는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에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표기 및 상기 파악된 차량들의 위치에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들을 표기하여 디스플레이부(170) 화면 상에 표시한다[S108].
이때,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맵 데이터 중에서 상기 수신된 차량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차량 정보들이 표기된 맵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들의 최단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을 분석하고, 상기 차량 정보들을 상기 맵에 표기 시에, 상기 분석된 최단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 순위별로 상기 차량 정보들을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상기 맵에 표기된 차량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109],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호출을 요청하는 신호를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한다[S110].
이때,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70)을 통해 상기 맵에 표기된 차량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되면, 상기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된 차량 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70)을 통해 상기 맵에 표기된 차량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롱 클릭(클릭된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된 것을 뜻함) 또는 롱 터치(터치된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된 것을 뜻함)되면, 상기 롱 클릭 또는 롱 터치된 차량 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70)을 통해 상기 맵에 표기된 차량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로 이동(Drag & Drop)되거나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차량 정보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차량 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S110 단계의 요청 신호 내에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함으로써, 차량 호출 서버(200)가 상기 호출을 요청한 차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S110 단계의 요청 신호 내에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 내의 차량 번호, 차량 소유자 연락처 등을 포함하여 송신함으로써, 차량 호출 서버(200)가 상기 호출을 요청한 차량을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S110 단계에서 상기 맵에 표기된 차량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에 따른 차량의 호출을 차량 호출 서버(200)로 송신하지 않고, 차량용 단말기(300)로 바로 송신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 내에는 차량 소유자의 연락처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차량 정보 내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화상 호 신호와, SMS/MMS 및 이메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차량용 단말기(300)에 차량 호출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호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호출 요청 신호 내에 포함된 차량 정보를 분석하고, 서비스 가입 차량 목록 저장부(233)에서 상기 분석된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들을 검색한다.
이어서,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상기 검색된 차량들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배차 가능 문의 신호를 송신한다[S111].
이때,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맵 저장부(231)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와 상기 검색된 차량들의 위치를 나타낸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표기 및 상기 검색된 차량들의 위치에 차량 정보들을 표기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차량 정보들이 표기된 맵을 차량용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 차량용 단말기(300)로 이동 단말기(100)와의 최단 거리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S111 단계에서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배차 가능 문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340)에 저장된 맵 데이터 중 현재 지역에 해당하는 맵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맵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표기 및 상기 차량용 단말기(300)의 위치를 표기하여 디스플레이부(370) 화면 상에 표시한다[S112].
이때,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맵 데이터 중에서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표기된 맵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입력부(33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37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맵에 표기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선택되면[S113], 상기 차량 호출 서버(200)로 상기 배차 가능 문의에 대한 배차 가능을 통보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로 차량을 이동하도록 알린다[S114].
이때,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입력부(330) 또는 터치 스크린(370)을 통해 상기 맵에 표기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터치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입력부(330) 또는 터치 스크린(370)을 통해 상기 맵에 표기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롱 클릭(클릭된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된 것을 뜻함) 또는 롱 터치(터치된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된 것을 뜻함)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입력부(330) 또는 터치 스크린(370)을 통해 상기 맵에 표기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차량용 단말기(300)의 위치로 이동(Drag & Drop)되거나 또는 차량용 단말기(3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S114 단계에서 차량용 단말기(300)로부터 배차 가능을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0)로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성공을 통보하는 신호를 송신한다[S115].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성공을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108 단계에서 표시된 맵 상에 상기 배차 성공을 알리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성공을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맵 상에서 상기 배차 성공한 차량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를 타 차량 정보들과 식별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성공을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음향 출력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배차 성공을 알리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S113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선택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로 배차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차량 호출 서버(200)로 배차 불가능을 통보하는 신호를 송신한다[S116].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는 S116 단계에서 차량용 단말기(300)로부터 배차 불가능을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0)로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실패를 통보하는 신호를 송신한다[S117].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실패를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108 단계에서 표시된 맵 상에 상기 배차 실패를 알리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실패를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맵 상에서 상기 배차 실패된 차량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호출한 차량에 대한 배차 실패를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음향 출력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배차 실패를 알리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먼저, 도 9의 (a)는 도 8의 S108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들을 각각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UI 오브젝트(300A, 300B, 300C)를 상기 맵(20) 상에서 상기 차량들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표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제4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100)를 상기 맵(20)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표기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b)는 상기 맵(20) 상에서 제1 내지 제3 UI 오브젝트(300A, 300B, 300C)에 해당하는 차량들 각각의 제1 내지 제3 차량 정보(21A, 21B, 21C)가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70)을 통해 각각의 제1 내지 제3 UI 오브젝트(300A, 300B, 300C)가 선택되면,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1 내지 제3 차량 정보(21A, 21B, 21C)를 상기 맵(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c)는 제1 내지 제3 차량 정보(21A, 21B, 21C) 중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제1 UI 오브젝트(100)와의 최단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 순위별로 서로 식별되게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도 9의 (c)에 도시된 맵(20)을 보고,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거리가 가깝고, 가장 도착 시간이 빠른 차량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9의 (c)는 제1 내지 제3 차량들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의 최단 거리가 가깝고, 가장 도착 시간이 빠른 순서별로 표시 굵기를 달리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굵기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3 차량들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UI 오브젝트(300A, 300B, 300C)의 색상 또는 크기를 달리하여 이동 단말기(100)와의 최단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 순위별로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의 (a)는 도 8의 S108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공석이 있는 차량들을 각각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UI 오브젝트(300A, 300B, 300C)를 상기 맵(20) 상에서 상기 차량들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표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제4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100)를 상기 맵(20)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표기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3 UI 오브젝트(300C)가 제4 UI 오브젝트(100)의 위치로 드래그 앤 드랍되거나, 또는 제4 UI 오브젝트(100)가 제3 UI 오브젝트(300C)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차량 호출 서버(200)로 제3 차량(300C)의 호출을 요청한다.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를 통해 제3 UI 오브젝트(300C)에 해당하는 제3 차량으로부터 배차 성공을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차 성공 및 상기 배차 성공된 제3 차량의 차량 정보(21C)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상기 호출한 제3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마다 수신되면,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된 제3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상기 맵(20) 상에 표시하여, 현재 제3 차량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까지 얼만큼 이동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차량 호출 서버(200)를 통해 제3 차량으로부터 배차 실패를 통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차 실패를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상기 맵(20) 상에서 배차 실패된 제3 차량에 해당하는 제3 UI 오브젝트(300C)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도 8의 S112 단계에서 차량용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에서 배차 가능한 제1 내지 제3 이동 단말기들을 각각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UI 오브젝트(100A, 100B, 100C)를 상기 맵(30)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표기하고, 상기 차량용 단말기(300)를 나타내는 제4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300)를 상기 맵(30) 상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300)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표기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UI 오브젝트(100A)가 제4 UI 오브젝트(300)의 위치로 드래그 앤 드랍되거나, 또는 제4 UI 오브젝트(300)가 제1 UI 오브젝트(100A)의 위치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차량 호출 서버(20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로 배차 가능을 통보한다.
이때, 차량 호출 서버(200)는 차량용 단말기(300)와 제1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에서 최적의 최단 경로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고, 차량용 단말기(30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호출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최단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 차량 호출 서버 제어부(250) 및 차량용 단말기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차량 호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버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차량 호출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처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차량 호출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차량 배차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처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신호 처리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Claims (21)

  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정보를 차량 호출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차량 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맵으로부터 특정 차량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배차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호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요청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탑승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위치 검색을 위한 명령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맵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타입과, 차량의 위치와, 차량 운전자의 전화번호와, 챠량의 연락처 정보와, 차량 운전자의 정보와,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최단 거리와, 차량의 예상 도착 시간과, 차량의 번호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맵 표시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복수 이상의 차량들 각각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들을 표시하고,
    상기 차량 정보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최단 거리 또는 예상 도착 시간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맵 표시 단계는,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부분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제1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차량 정보의 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부분에 상기 차량을 나타내는 제2 UI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호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차 요청 단계는,
    제1 UI 오브젝트가 제2 UI 오브젝트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되거나, 또는 제2 UI 오브젝트가 제1 UI 오브젝트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상기 차량의 배차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차 요청 단계는,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가 포함된 차량 배차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차 요청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배차가 가능한 차량과의 연락을 위한 음성/화상 호 신호와,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한 차량에 대한 배차 성공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배차 성공 결과 정보를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호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요청한 차량의 배차가 성공되면, 상기 배차 성공된 차량의 정보를 타 차량의 정보와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한 차량의 배차가 실패되면, 상기 맵에서 상기 배차 실패된 차량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호출 방법.
  13. 이동 단말기의 위치 파악을 위한 위치 파악부;
    차량 호출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위치 파악부를 통해 파악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 안에 위치하는 차량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 호출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차량 정보를 나타내는 맵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맵에서 특정 차량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 호출 서버로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배차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호출을 위한 이동 단말기.
  14. 차량 호출 서버가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차량들의 정보 요청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등록된 차량들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미리 등록된 차량들의 위치 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차량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표기된 맵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차량들 중 특정 차량의 배차가 요청되면, 상기 배차 요청된 차량으로 현재 배차 상태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배차 상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배차 상태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호출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상태 알림 단계는,
    상기 배차 요청된 차량의 배차 성공 및 배차 실패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타입과, 차량의 위치와, 차량 운전자의 전화번호와, 챠량의 연락처 정보와, 차량 운전자의 정보와,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최단 거리와, 차량의 예상 도착 시간과, 차량의 번호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방법.
  17. 차량 내의 차량용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배차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
    화면 상에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표기된 맵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의 배차 상태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배차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상태 알림 단계는,
    상기 차량의 배차 성공 상태 및 배차 실패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차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맵 표시 단계는,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부분에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제1 UI(User Interface; 이하 'UI')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부분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제2 UI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배차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상태 알림 단계는,
    제1 UI 오브젝트가 제2 UI 오브젝트로 드래그 앤 드랍되거나, 또는 제2 UI 오브젝트가 제1 UI 오브젝트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상기 차량의 배차 성공 상태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차 방법.
  21. 삭제
KR1020090063025A 2009-07-10 2009-07-10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11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25A KR101119117B1 (ko) 2009-07-10 2009-07-10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12/691,665 US8311560B2 (en) 2009-07-10 2010-01-21 Method of calling a vehicle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EP10002247.4A EP2273468B1 (en) 2009-07-10 2010-03-04 Method of calling a vehicle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25A KR101119117B1 (ko) 2009-07-10 2009-07-10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57A KR20110005457A (ko) 2011-01-18
KR101119117B1 true KR101119117B1 (ko) 2012-03-16

Family

ID=4275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025A KR101119117B1 (ko) 2009-07-10 2009-07-10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11560B2 (ko)
EP (1) EP2273468B1 (ko)
KR (1) KR101119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30B1 (ko) * 2009-06-08 2020-03-30 집카, 인크 차량과 통신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GB201106555D0 (en) 2011-04-19 2011-06-01 Tomtom Int Bv Taxi dispatching system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86647B2 (en) * 2012-01-17 2017-06-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obile WiFi network
KR101984217B1 (ko) 2012-01-26 2019-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들 간 통신 시 기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246207A1 (en) 2012-03-19 2013-09-19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rices for services
US9066206B2 (en) 2012-07-03 2015-06-23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supply positioning for on-demand services
KR102047493B1 (ko) * 2012-08-24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의 교통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교통 서비스 관리 서버의 교통 서비스 관리 방법, 및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의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268699A (zh) * 2013-05-15 2013-08-28 江苏奇异点网络有限公司 一种手机打车系统
US9232350B2 (en) 2013-07-02 2016-01-05 Fortis Riders Acquisition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 using facilitating dedicated communication between specific users
CN103400497A (zh) * 2013-08-06 2013-11-20 河南星智发明电子科技有限公司 出租车智能化叫车系统
EP2843598A1 (en) * 2013-08-30 2015-03-04 GT Gettax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a transportation vehicle
US20150161564A1 (en) * 2013-12-11 2015-06-11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election of drivers for transport requests
WO2015089221A1 (en) * 2013-12-11 2015-06-18 Uber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queuing for user selection in providing on-demand services
US9965783B2 (en) 2014-02-07 2018-05-08 Uber Technologies, Inc. User controlled media for use with on-demand transport services
US10198700B2 (en) 2014-03-13 2019-02-05 Uber Technologies, Inc. Configurable push notifications for a transport service
US9960986B2 (en) 2014-03-19 2018-05-01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notifications to devices based on real-time conditions related to an on-demand service
US9888087B2 (en) 2014-03-31 2018-02-06 Uber Technologies, Inc. Adjusting attributes for an on-demand service system based on real-time information
GB2539852B (en) 2014-04-24 2021-02-17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 Dev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upply of service
US9536271B2 (en) 2014-05-16 2017-01-03 Uber Technologies, Inc. User-configurable indication device for use with an on-demand transport service
US9892637B2 (en) 2014-05-29 2018-02-13 Rideshare Displays, Inc.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US10467896B2 (en) 2014-05-29 2019-11-05 Rideshare Displays, Inc.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A2956631C (en) 2014-07-30 2022-04-12 Uber Technologies, Inc. Arranging a transport service for multiple users
US11010693B2 (en) 2014-08-04 2021-05-18 Uber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nd providing predetermined location data points to service providers
CN104282141B (zh) * 2014-09-26 2017-01-11 王勇 司机手持移动通讯终端与电召平台独立通信的出租车电召系统
WO2016113602A1 (en) * 2015-01-12 2016-07-21 Yogesh Chunilal Rathod Real-time presenting on-demand service providers and users or customers and facilitating them
WO2016127109A1 (en) 2015-02-05 2016-08-11 Uber Technologies, Inc. Programmatically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 transport service
JP2016161989A (ja) * 2015-02-26 2016-09-05 Line株式会社 計算サーバ、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のプログラム
US10067988B2 (en) 2015-07-21 2018-09-04 Uber Technologies, Inc. User-based content filtering and ranking to facilitate on-demand services
US9939279B2 (en) 2015-11-16 2018-04-10 Ube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ed transport
US9613386B1 (en) 2015-12-01 2017-04-04 Google Inc. Pickup and drop off zones for autonomous vehicles
US10762591B2 (en) 2015-12-08 2020-09-01 Gt Gettaxi Limited Engagement-based routing in geographic routing systems
KR101843538B1 (ko) * 2015-12-16 2018-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CN106900078B (zh) * 2015-12-18 2021-01-2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多台车辆组网方法和智能车辆
CN108475466B (zh) * 2016-01-27 2022-07-12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匹配和显示服务请求和可用车辆的系统和方法
CN105976565A (zh) * 2016-07-19 2016-09-28 深圳市华元天地科技有限公司 途加定位器及定位系统
US10460411B2 (en) * 2016-08-30 2019-10-29 Uber Technologies, Inc. Real-time resource management for on-demand services
US9813510B1 (en) 2016-09-26 2017-11-07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system to compute and transmit data based on predictive information
US10325442B2 (en) 2016-10-12 2019-06-18 Uber Technologies, Inc. Facilitating direct rider driver pairing for mass egress areas
US10355788B2 (en) 2017-01-06 2019-07-16 Ube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nic proximity service
US9898791B1 (en) 2017-02-14 2018-02-20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system to filter requests by destination and deadline
US10419878B1 (en) * 2017-07-24 2019-09-17 BlueOwl, LLC Technology for capturing and analyzing sensor data to facilitate alternative transportation
WO2019061129A1 (en) * 2017-09-28 2019-04-04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OGRAMMING STRATEGY ASSOCIATED WITH DESIGNATED DRIVING SERVICES
US10567520B2 (en) 2017-10-10 2020-02-18 Uber Technologies, Inc. Multi-user requests for service and optimizations thereof
WO2019113426A1 (en) * 2017-12-08 2019-06-13 Uber Technologies, Inc. Coordinating transport through a common rendezvous location
CN109068319A (zh) * 2018-07-13 2018-1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话方法、第一终端及第二终端
US10498727B1 (en) * 2018-08-29 2019-12-0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authentication using vehicle data
JP7218557B2 (ja) * 2018-12-11 2023-0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車載装置、プログラム、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車両
JP6907262B2 (ja) * 2019-04-22 2021-07-21 矢崎総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車両ユニット、及び、シートユニット
CN110751532B (zh) * 2019-05-09 2021-01-05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的方法及装置
WO2020236228A1 (en) * 2019-05-17 2020-11-26 Chase Arnold Direct vehicle engagement system
US11570276B2 (en) 2020-01-17 2023-01-31 Uber Technologies, Inc. Forecasting requests based on context data for a network-based service
CN112069171A (zh) * 2020-08-14 2020-1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车辆行驶轨迹的绘制方法、车辆调度方法及装置
US20210112393A1 (en) * 2020-12-22 2021-04-15 Fabian Oboril Transmission limited beacon for transportation device sel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077A (ko) * 1998-12-09 2001-08-25 아끼구사 나오유끼 탑재형 차량 유도 장치, 통신 서버 시스템 및 대체 차량유도 시스템
KR20020073650A (ko) * 2001-03-15 2002-09-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핸드폰을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시스템 및 호출 서비스방법
KR20080041921A (ko) * 2006-11-08 2008-05-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을 이용한 택시호출시스템
KR20090073742A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케이티로지스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화기기 호출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23420A0 (en) 1998-02-24 1998-09-24 Jaffe Shai Request dispatch system
US20010026276A1 (en) * 2000-03-17 2001-10-04 Kiyomi Sakamoto Map display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WO2001086492A1 (en) 2000-05-05 2001-11-15 Abm Industries Pty. Ltd. End user to mobile service provider message exchange system based on proximity
WO2002006994A2 (en) 2000-07-14 2002-01-24 Sunil Pau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transportation route
US20020034292A1 (en) 2000-08-22 2002-03-21 Tuoriniemi Veijo M. System and a method to match demand and supply based on geographical location derived from a positioning system
KR100430897B1 (ko) 2001-01-19 2004-05-10 팅크웨어(주) 이동단말 위치확인 기법에 의한 호출 서비스 제공장치 및방법
JP2004157698A (ja) 2002-11-06 2004-06-03 Nec Corp タクシー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タクシーサービス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GB0302886D0 (en) * 2003-02-07 2003-03-12 Faith Jonathan D Transportation ordering system
US20070103294A1 (en) * 2005-10-28 2007-05-10 Jona Bonecutter Critical incident respon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077A (ko) * 1998-12-09 2001-08-25 아끼구사 나오유끼 탑재형 차량 유도 장치, 통신 서버 시스템 및 대체 차량유도 시스템
KR20020073650A (ko) * 2001-03-15 2002-09-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핸드폰을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시스템 및 호출 서비스방법
KR20080041921A (ko) * 2006-11-08 2008-05-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을 이용한 택시호출시스템
KR20090073742A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케이티로지스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화기기 호출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57A (ko) 2011-01-18
US8311560B2 (en) 2012-11-13
EP2273468B1 (en) 2019-09-25
US20110009098A1 (en) 2011-01-13
EP2273468A1 (en)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117B1 (ko) 차량 호출 방법 및 차량 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JP6857230B2 (ja) 所定の位置データ点の決定およびサービス提供者への供給
US90662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obile communications restriction
US10264421B2 (en) Multi-device architecture for tracking device access
KR101418640B1 (ko) 모바일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들의 식별 및 위치찾기
CN103222319B (zh) 一种用于移动计算设备的方法及移动计算设备
US75295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and emergency service hailing in wireless network
CN102006550B (zh) 用于移动计算装置的节能系统和方法
US10794714B2 (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CN104871576A (zh) 包含近场通信的移动设备情境
WO2018071419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virtual fencing
CN102264028A (zh) 一种定位及监控方法
US20160029157A1 (en) Assistance techniques
KR20090046099A (ko) 지하철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1082819B2 (en) Mobility service supporting device, mobility system, mobility service suppor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upporting mobility service
US88054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ring setting reminders to mobile device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JP2021028589A (ja) プログラム、制御装置、システム、機器、及び車両
US20150099544A1 (en)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routing to a person for pick-up retrieval
WO2016130079A1 (en) Vehicle boo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335198B2 (en)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KR20010091381A (ko)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6666510B1 (ja) 配車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車両提示方法
JP2019012301A (ja) マッチング装置、ユーザ端末、ドライバー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43180B2 (ja) 通信端末、その制御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方法
US20160128107A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