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920B1 -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920B1
KR101117920B1 KR1020090083386A KR20090083386A KR101117920B1 KR 101117920 B1 KR101117920 B1 KR 101117920B1 KR 1020090083386 A KR1020090083386 A KR 1020090083386A KR 20090083386 A KR20090083386 A KR 20090083386A KR 101117920 B1 KR101117920 B1 KR 101117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container
outlet
ca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358A (ko
Inventor
김명중
Original Assignee
김명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중 filed Critical 김명중
Priority to KR102009008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9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용기에 수용되어진 수용물을 유출한 후에 수용물이 액체용기의 유출구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량만 유출하여 사용하는 약액 등의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액체용기는 대부분 액체용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서 수용물을 유출토록 한 후 사용 후에 다시 뚜껑을 닫아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액체용기의 구조는 대부분 일정넓이의 약액 등의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액체용기는 수용되어진 액체를 유출하기 위해 어느정도 기울여 액체를 유출한 다음 일정량이 유출되어 액체용기를 세웠을 때 유출되어진 액체의 일부가 액체용기의 유출구 외부로 흘러나와 뚜껑을 닫을 때 흘러진 액체를 닦고 닫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액체용기의 유출구 외부로 일부 흘러지는 액체로 인해 내용물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내용물이 흘러지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캡을 결합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한 것이다.
액체의 고여짐, 흘림방지, 캡, 유출구, 액체용기

Description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A cap for prevention dropping at and entrance of liquid courage}
본 발명은 약액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용기를 기울여 수용되어진 액체를 유출한 후에 액체가 액체용기의 유출구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캡을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설치함으로써 뚜껑의 개폐를 용이토록 하면서 액체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용량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액 등의 액체의 일정량만을 유출하여 사용하는 액체용기는 액체의 일정한 양을 유출하기 위하여 대부분 액체용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 원하는 만큼의 액체의 일정량이 유출되어지면 액체용기를 다시 세워서 뚜껑을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약액 등의 액체가 수용되어지는 약액용기(100)의 구조는 대부분 일정넓이의 유출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10)를 개폐하는 뚜껑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용기(100)에서 뚜껑을 개봉한 후에 수용되어진 액체의 유출 하고자하는 일정량을 숟가락이나 컵에 소정량으로 덜은 후에 다시 액체용기100)의 유출구(110)에 뚜껑을 닫아 보관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액체용기(100)를 기울인 상태에서 액체의 일정량을 숟가락이나 컵에 유출하고 난 후 액체용기(100)를 세웠을 때 액체의 일부가 액체용기(100)의 유출구(110) 외부로 흘러나와 뚜껑을 닫을 때에는 반드시 흘러진 내용물을 닦고 뚜껑을 닫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체용기(100)의 유출구(110)가 일정한 넓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를 유출하기 위해서 액체용기(100)를 기울였을 때 액체가 유출구(110)의 넓이만큼 유출되어 원하고자 하는 정확한 액체를 유출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액체용기(100)의 유출구(110) 외부로 흘러지는 액체로 인해 액체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용기에 형성된 유출구의 외부로 액체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캡을 결합하여 액체가 액체용기로부터 깨끗이 유출됨과 동시에 손실을 방지하고 정확한 양을 유출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액체용기의 유출구의 상단에 외벽으로 이루어져 중앙이 통공된 캡을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캡의 외벽 상단 외측에는 액체용기의 유출구 상단에 얹 혀지도록 받침턱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일정한 각도로 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와 직교되게 평면으로 된 고임부를 형성하여 액체용기에서 일정량의 액체를 유출한 후에 세웠을 때 액체가 경사부와 고임부에 의해 방울모양으로 고여지면서 끊어지게 되어 유출구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를 일정량씩 유출할 때 액체가 액체용기의 외부로 흘러지지 않게 함으로써 액체의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뚜껑을 개폐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끼워지는 캡의 외관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결합되는 캡(10)은 외벽(11)으로 이루어져 중앙이 통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벽(11) 상단 외측으로는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끼워지면서 상단에 얹혀지도록 받침턱(14)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일정한 각도의 경사부(12)와 상기 경사부(12)와 직교되게 평면으로 된 고임부(13)를 형성하여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 상단에 결합한 다음 뚜껑(20)을 결합토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결합된 캡(10)은 액체용기(30)를 기울여 액체를 유출한 다음 액체용기(30)를 다시 원위치로 세웠을 때 액체가 캡(10)의 경사부(12)와 고임부(13)에 액체가 물방울형태로 모아지면서 경사부(12) 끝단에서 액체가 끊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액체용기(30)와 뚜껑(20)의 결합은 통상적으로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의 외측부와 뚜껑(20)의 내측부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식으로 회전결합토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캡(10)의 고임부(13)가 형성된 하방으로는 단턱부(15)를 형성하여 액체용기(30)를 세웠을 때 수용되어진 액체가 단턱부(15)의 면을 따라 퍼지게 되면서 액체의 양을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캡(10)의 경사부(12)와 고임부(13)에 2차적으로 유출되는 액체의 양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10)의 중앙이 통공된 부분에는 액체용기(30)에 수용되어진 액체가 한번에 많은 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1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고정편(17)으로 연결된 관형태의 통관(16)을 일체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0)을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뚜껑(20)의 내측 바닥면에는 캡(10)의 단턱부(15)와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슬리브(21)를 형성하여 뚜껑(20)을 닫았을 경우에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중앙에는 캡(10)의 중앙에 형성된 통관(16)과 맞물려지게 끼워지도록 돌기관(22)을 형성하여 뚜껑(20)의 내측에 캡(10)을 결합한 상태에서 뚜껑(20)을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회전가압으로 결합하면 캡(10)이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강제로 끼워지게 결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캡(10)을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빠지지 않도록 강제 결합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의 연질로 형성하고 캡(10)의 외측에 형성된 받침턱(14)의 하방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가압부(18)를 형성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뚜껑(20)의 내측에 상기 캡(10)이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20)을 약간의 가압으로 회전결합하면 캡(10)에 형성된 가압부(18)가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 내측으로 강제로 가압되면서 끼워져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고 뚜껑(20)은 캡(10)이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간단하게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10)은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에 결합되어 액체용기(30)를 기울여 액체를 유출한 다음 세웠을 때 액체가 캡(1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부(12)와 고임부(13)에 물방울형태로 고여지면서 액체가 액체용기(30)의 외부로 흘러내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결합되는 캡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캡을 결합되는 단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캡을 결합하는 단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캡의 경사부와 고임부에 액체가 고여지는 상태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캡의 경사부와 고임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액체용기의 유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캡 11: 외벽
12: 경사부 13: 고임부
14: 받침턱 15: 단턱부
16: 통관 17: 고정편
18: 가압부
20: 뚜껑 21a,21b: 슬리부
22: 돌기관
30: 액체용기 31: 유출구

Claims (5)

  1.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나사식으로 개폐되어지는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의 유출구에 장착되는 캡(10)이
    중앙이 통공된 부분에 액체용기(30)의 수용된 액체가 한번에 많은 양이 유출되지 않도록 캡(1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의 고정편(17)으로 연결된 관형태의 통관(16)이 형성되는 외벽(11)과
    상기 외벽(11) 상단 외측으로 액체용기(30)의 유출구(31) 상단에 얹혀지도록 된 받침턱(14)과
    상기 받침턱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각도의 경사부(12)와
    상기 경사부(12)의 후단이 절곡되어 평면을 형성하는 고임부(13)와
    상기 고임부(13)의 후단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하방으로 액체의 내용물의 양을 분산시키는 단턱부(15)와
    상기 뚜껑(20)의 내측 바닥면에 캡(10)의 외벽(11)에 형성된 단턱부(15)와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토록 되게 끼워지는 슬리브(21)를 형성하고 캡(10)의 중앙에 형성된 통관(16)과 맞물려지게 끼워지는 돌기관(22)이 중앙에 형성되는 액체용기의 흘림 방지를 위한 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83386A 2009-09-04 2009-09-04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 KR101117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386A KR101117920B1 (ko) 2009-09-04 2009-09-04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386A KR101117920B1 (ko) 2009-09-04 2009-09-04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358A KR20110025358A (ko) 2011-03-10
KR101117920B1 true KR101117920B1 (ko) 2012-02-24

Family

ID=4393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386A KR101117920B1 (ko) 2009-09-04 2009-09-04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06A (ko) 2018-03-15 2019-09-25 이명희 배출액 조절 및 흘림방지용 캡
KR101964020B1 (ko) * 2018-11-06 2019-04-01 중석메디플 주식회사 정량배출 구조가 확보된 의약품 용기의 용기마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3973A (en) 1967-11-06 1970-12-01 Guild Molders Drop dispenser and closure assembly
JP2001322664A (ja) 2000-05-17 2001-11-20 Earth Chem Corp Ltd 薬液容器
JP2004026230A (ja) 2002-06-26 2004-01-29 Sekisui Seikei Ltd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3973A (en) 1967-11-06 1970-12-01 Guild Molders Drop dispenser and closure assembly
JP2001322664A (ja) 2000-05-17 2001-11-20 Earth Chem Corp Ltd 薬液容器
JP2004026230A (ja) 2002-06-26 2004-01-29 Sekisui Seikei Ltd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358A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783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JP2009120221A (ja) 飲料サーバー
RU243307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JP5052883B2 (ja) 内容液注出容器
US7513392B2 (en) Fluid capture apparatus
KR101117920B1 (ko) 액체용기의 입구에 흘림 방지를 위한 캡
JP2008290745A (ja) ポンプ式液体吐出容器
JP2008137657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546945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JP2007176589A (ja) 液体計量キャップ
JP6463315B2 (ja) 袋容器ホルダー
US20050087568A1 (en) Spray bottle
TWI487647B (zh) The nozzle of a liquid container
GB2456230A (en) A liquid spray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 pouring/filling
JP5546944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JP5321896B2 (ja) 詰め替え容器
JP5600429B2 (ja) 注出容器
JP2019031331A (ja) 液体注出用の部材並びに容器
JP5564374B2 (ja) 飲料サーバー
KR101259184B1 (ko) 내용물 절약형 용기
KR20190108706A (ko) 배출액 조절 및 흘림방지용 캡
KR20100092114A (ko)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JP4390156B1 (ja) 液体注出容器
JP3139066U (ja) 飲料サーバー
WO2006079344A1 (en) Drip-proof pouring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