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420B1 -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20B1
KR101117420B1 KR1020100010003A KR20100010003A KR101117420B1 KR 101117420 B1 KR101117420 B1 KR 101117420B1 KR 1020100010003 A KR1020100010003 A KR 1020100010003A KR 20100010003 A KR20100010003 A KR 20100010003A KR 101117420 B1 KR101117420 B1 KR 10111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lm
panel
electrode
conductive paste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488A (ko
Inventor
젠이치로 하라
사토루 기리도시
스구루 나가에
다카노리 오쿠무라
요시유키 스에히로
노부오 데라자키
마사아키 히라키
준 스가하라
료타 오키
다케시 요시다
유타카 사이토
유지 사이토
도시나오 유키
히로유키 사토
요시노리 후쿠다
요스케 사토
마사미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79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과제> 전극의 인출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표시소자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면(前面)패널(1)과, 이것에 대향하는 이면(裏面)패널(2)과, 전면패널(1) 및 이면패널(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전면패널(1)과 이면패널(2)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며, 금속막배선(5)을 통하여 전극을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화상표시소자에 있어서, 전극단자(4)가 노출하도록 분할됨과 동시에, 이 분할부분에 단면 V자형의 홈부(3)가 형성되어 있고, 금속막배선(5)은 이면패널(2)의 상부(2a)의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단자(4)와 금속막배선(5)은 홈부(3)를 구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도포된 도전(導電) 페이스트(paste)(1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IMAGE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일렉트로루미네센트(electroluminescent)(EL)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다수 배열하여 구성되는 대형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이 장치를 구성하는 화상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화상 표시장치(대형 디스플레이이라고도 칭함)는 저가격으로 고성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화상표시소자(또는, 표시 유니트)로서의 평면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LCD패널, PDP, EL 디스플레이 패널 등)를 매트릭스 모양으로 복수 개 배열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종래의 화상표시소자의 일례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은 화상표시소자의 배열의 일부(2개 배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3의 (a)는 정면도, 도 13의 (b)는 측면도이다.
화상표시소자(30)는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前面)패널(31)과 이면(裏面)패널(32)을 가진다. 전면패널(31)과 이면패널(3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시키며, 그 사이에, 복수의 화소(33)와, 그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미도시)을 배치하여 발광층(또는 액정층)을 형성하며, 주위를 씰링(sealing)폭(g1)을 가지는 씰링부(34)로 씰링하고 있다.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인출선을 화상표시소자(30)의 주위, 즉 인접하는 화상표시소자(30)의 이음매부(35)로부터 인출하는 경우는 인출마진(lead-out margin)이 필요하다. 이음매부(35)에서의 인접하는 화상표시소자(30)의 화소(33)의 간격(Ga)이 동일한 화상표시소자 내에서의 화소의 간격(Gb)보다 크게 되면, 이음매부(35)가 눈에 띄어 버린다.
그래서, 도 13의 (b)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패널(32)을 2분할하여 중앙부에 갭부(36)를 형성하고, 그 갭부(간단히, 갭이라고도 칭함)(36)에 전극에 대응시킨 단자(37)를 구비하며, 이 단자(37)에 전극핀 혹은 도면과 같은 인출선(38)을 접속하여 이면패널의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종래의 화상표시소자에서는 이면패널(32)에 형성한 갭부(36)로부터 전극의 인출선(38)을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화상표시소자(30)의 이음매부(35)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구조로서는 유효하지만, 좁은 갭부(36)의 사이에 존재하는 다수의 단자(37)에 인출선(38)을 접속하여 배선층과 접속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37)와의 접속이 번잡하게 되며, 또, 인출방법이 복잡하고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종래의 화상표시소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도 14는 특허문헌 2에 나타낸 화상표시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종래의 화상표시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이 화상표시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다수 배열되어, 대화면의 평면 디스플레이가 구성된다.
화상표시소자의 표시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LCD패널, PDP, EL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다. 또한, 도면은 화상표시소자를 배면으로부터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표시소자는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패널(21)과, 동일하게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져 전면패널(21)에 대향하는 이면패널(22)과, 양패널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미도시)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미도시)을 가지고, 양패널(21, 22)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면패널(22)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열(列)의 사이에서 분할되어 그 분할부에 틈새(갭)(23)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알기 쉽게 틈새(23)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틈새(23)는, 예를 들면, 폭 0.30㎜정도의 미소 틈새이다.
또, 화소는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화소 사이를 말할 때, 가로방향의 화소 행간(行間)과 세로방향의 화소 열간(列間)이 존재하지만, 양쪽 모두를 포함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열」이라고 한다.
또한, 이면패널(22)은 중앙부에서 2분할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분할수와 분할위치는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면패널(22)을 3분할 이상으로 해도 되고, 분할하는 위치도 인접하는 화소의 사이에 있으면 다른 위치라도 된다.
틈새(23)에 위치하는 전면패널(21) 측에는 전극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단자(24)가 배치되어 있다. 전극단자(24)는, 예를 들면, 전극과 같은 재료로 동시에 형성된 것이며, 틈새로부터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면패널(22)의 이면(22a)(전면패널과의 대향면의 뒤쪽을 이면으로 칭함)과 틈새(갭)(23)의 단부(端部)인 단면(端面)(22b)에는 금속막배선(25)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막배선(25)은, 예를 들면, 후막(厚膜)인쇄 등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면(22a) 측의 금속막배선(25)의 단부에 커넥터(26)를 접속하고 있다. 이 커넥터(26)를 통하여 외부의 구동회로에 접속된다.
배선부의 상세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면과 같이, 이면패널(22)을 전면패널(21)에 접합시킨 상태로 이면패널(22)의 단부(22b)의 금속막배선(25)이 전면패널(21) 측의 전극단자(24)에 수직으로 맞닿도록 전극단자(24)와 금속막배선(25)의 위치를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패널(21, 22)을 접합시킨 상태로 맞닿음부분에 납땜(27)을 도포하고,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납땜(27)을 녹여 접합한다.
또, 도 16은 전면패널(21)의 외주 단부로부터 전극단자(24)를 인출한 경우의 전극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면패널(22)을 전면패널(21)보다 조금 작게 하고, 양패널을 겹쳤을 때에 단부에 단차부(21a)를 형성하도록 하며, 이 단차부(21a)에 전극단자(24)를 노출시키고, 전극단자(24)와 이면패널(22)의 단부(22b)에 형성한 금속막배선(25)을 맞닿음시키며, 납땜에 의해서 접합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화상표시소자는 전면패널(21)과, 전면패널(21)에 대향하는 이면패널(22)과, 양패널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미도시)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양패널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는 화상표시소자에 있어서, 이면패널(22)의 이면과 단면(단부(22b)의 면)에 금속막배선(25)이 형성되고, 이면패널(22)의 단면에 형성된 금속막배선(25)에 대응하여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단자(24)가 전면패널(21) 측에 배치되며, 단면(22b)에 형성된 금속막배선(25)과 전극단자(24)가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화상표시소자에 비해, 전극의 인출선을 이용하지 않고, 좁은 스페이스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전극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어, 화상표시소자 사이의 이음폭이 넓어지는 것이 해소되어, 화상표시소자를 배열하여 대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이음 축소에 의해 화질이 개선된다. 또, 전극배선의 인출이 간소화되어 코스트가 삭감된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종래의 화상표시소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단자(24)와 금속막배선(25)을 직접 납땜하여 접속하므로, 이면패널(22)에 형성한 갭(틈새/홈부)(23)으로부터 전극의 인출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화상표시소자의 이음매부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구조로서는 유효하지만, 역시 이면패널(22)의 두께에 대응해 생기는 단자부 부근의 홈부(갭부)에서는, 가공용 공구(납땜을 위한 공구의 헤드나 니들 등)가 갭(홈부/틈새)(23)의 안쪽에 있는 납땜부(즉, 전극단자(24)와 금속막배선(25)의 맞닿음부)에 닿기 어렵게 된다.
특히, 표시장치가 고해상도화함에 따라, 화소 피치가 단축되고, 화소 피치의 단축에 대응하여 전극의 인출을 행하는 갭부의 폭도 좁게 할 필요가 있어, 전극의 인출가공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납땜에 의한 전극단자(24)와 금속막배선(25)의 접속 신뢰성이 문제가 된다.
또, 전극단자(24)와 금속막배선(25)을 접속하는 납땜(27)이 미소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므로, 인접하는 전극단자 사이, 금속막배선 사이 혹은 납땜 사이에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이 발생하기 쉬워 전극인출부의 절연성이 문제가 된다.
또, 도 16에 나타낸 종래의 화상표시소자에서는 패널의 외주 단부로부터 용이하게 전극을 인출할 수 있지만, 전극의 인출선을 설치하는 단자부 부근의 패널형상에 문제가 있어 전극의 인출가공이 어려워진다.
가공방법은, 예를 들면, 납땜, 와이어 본딩, 도전(導電) 페이스트(paste) 등에 의한 접속 등이 있지만, 이면패널(22)의 두께에 대응하여 생기는 단자부 부근의 단차부에서는 가공용 공구(헤드 등) 등이 단차부의 안쪽에 있는 접속부에 닿기 어렵다.
또, 종래의 화상표시소자에서는, 이면패널(22)은 갭부(23)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면 강도가 약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1-251571호공보 [특허문헌2]일본국특개2008-191502호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표시소자의 단자부 부근의 패널형상을 전극의 인출가공에 필요한 공구(즉, 납땜인두(soldering iron)의 헤드나 도전 페이스트 주입용 니들 등)의 사용에 적절한 구조로 함으로써, 전극의 인출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전극인출부(전극단자와 금속막배선의 접속부)에서의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표시소자 및 화상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소자는 전면패널과, 이 전면패널에 대향하는 이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 및 이면패널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이면패널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며, 금속막배선을 통하여 상기 전극을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화상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이면패널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 열의 사이에서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단자가 노출하도록 분할됨과 동시에, 이 분할부분에 상기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의 뒤쪽에 있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막배선은 상기 이면패널의 상기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의 뒤쪽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금속막배선은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도포된 도전 페이스트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전면패널과, 이 전면패널에 대향하는 이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 및 이면패널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이면패널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며, 금속막배선을 통하여 상기 전극을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면패널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 열의 사이에서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단자가 노출하도록 분할함과 동시에, 이 분할부분에 상기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의 뒤쪽에 있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금속막배선을 상기 이면패널의 상기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의 뒤쪽 면에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금속막배선을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도포된 도전 페이스트에 의해 접속하는 제3 공정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의 인출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인출부(전극단자와 금속막배선의 접속부)에서의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홈부의 폭이 공구의 폭치수보다도 작은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홈부를 V자 형상으로 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전극의 중앙취출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전극의 단부(端部)취출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3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5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6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종래의 화상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종래의 화상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특허문헌 2에 나타낸 화상표시소자에서 전면패널의 외주 단부로부터 전극단자를 인출한 경우의 전극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 화상표시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다수 배치되어 대형의 평면 디스플레이가 구성된다.
화상표시소자의 표시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LCD패널, PDP, EL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표시소자는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패널(1)과, 동일하게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패널(1)에 대향하는 이면패널(2)과, 전면패널(1)과 이면패널(2)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미도시)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미도시)을 가지고, 전면패널(1)과 이면패널(2)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면패널(2)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 열의 사이에서 다이싱 블레이드(dicing blade)를 이용한 절삭가공(다이싱 가공) 등에 의해 V자 형상을 가지는 홈부(3)를 형성하여 분할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알기 쉽게 홈부(3)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있지만, 실제는 홈부(3)는 미소한 틈새이다.
또, 화소는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화소 사이」를 말할 때에는 가로방향의 화소 행간과 세로방향의 화소 열간이 존재하지만, 양쪽 모두를 포함하여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열」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홈부(3)에 위치하는 전면패널(1) 측에는 전극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단자(4)가 배치되어 있다. 전극단자(4)는, 예를 들면, 전극과 같은 재료로 동시에 형성된 것이며, 홈부(3)에서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면패널(2)의 이면(2a)(전면패널(1)과 대향하는 면의 뒤쪽)을 「이면」이라고 칭한다.(이하 동일)
홈부(3)를 구성하는 이면패널(2)의 단부의 단면(경사면)(2b)에는 금속(예를 들면, Ag 등)막배선(5)이 형성되어 있다. 이면(2a) 측의 금속막배선(5)의 단부에 커넥터(6)를 접속하고 있다.
이 커넥터(6)를 통하여 금속막배선(5)이 외부의 구동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금속막배선(5)의 재료는 Ag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배선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또, 금속막배선(5)의 배선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금속막배선(5)과 커넥터(6)의 사이에 FPC 등의 다른 배선구조가 포함되어도 된다.
배선부의 상세(詳細)를 도 2에 나타낸다. 도면과 같이, 이면패널(2)을 전면패널(1)에 접합시킨 상태로 이면패널(2)의 단부 경사면(2b)의 금속막배선(5)이 전면패널(1) 측의 전극단자(4)에 접촉하도록 전극단자(4)와 금속막배선(5)의 위치를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단자(4)의 홈부(3)에서 노출한 부분은 금속막배선(5)으로 덮혀져 있고, 이것에 의해 전극단자(4)에 금속막배선(5)이 확실히 접촉하고 있다.
또, 도 1에서도 각 전극단자(4)의 홈부(3)에서 노출한 부분은 금속막배선(5)으로 전체 면이 덮혀져 있다.
도 1에서는 전극단자(4)의 홈부(3)에서 노출한 부분이 금속막배선(5)으로 덮혀져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금속막배선(5)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면패널(2)은 일반적으로 유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막배선(5)은, 예를 들면 은(Ag)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후막인쇄 등에 의해서 도포된 후, 소성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후막인쇄 등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니들이나 헤드 등의 가공용의 공구를 이면패널(2)의 단면(2b)에 근접하여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패널(2)의 단면이 패널면에 수직이며, 예를 들면, 홈부(3)의 폭이 0.30㎜, 공구(7)의 폭치수가 0.36㎜인 경우와 같이, 홈부(3)의 폭이 공구(7)의 폭치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후막인쇄를 적절히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서는 이면패널(2)의 분할부분에 전면패널(1)의 반대 측이 되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V자 형상을 가지는 홈부(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막인쇄 등에 필요한 공구(7)를 이면패널(2)의 단면(2b)에 근접시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속막배선(5)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g1"은 홈부(3)의 상부의 폭, "g2"는 바닥부의 폭, "θ"는 이면패널(2)의 단부(단면)(2b)의 경사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널(1)과, 이 전면패널(1)에 대향하는 이면패널(2)과, 양패널(즉, 전면패널(1) 및 이면패널(2))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와, 이 화소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양패널이 상기 화소 및 상기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는 화상표시소자에 있어서, 이면패널(2)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 열의 사이에서 전면패널(1)의 반대 측이 되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는 홈부를 형성하도록 분할되고, 홈부(3)에 위치하는 단면(경사면(2b))을 따라서 전극을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금속막배선(5)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패널의 좁은 영역에서 전극을 취출할 수 있게 되어, 화상표시소자를 매트릭스 모양으로 복수 매 표시했을 때에, 이음매부의 폭을 좁게 하여 이음매가 눈에 띄지 않는 고해상도의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금속막배선 그 자체의 신뢰성 향상이나 인접하는 금속막배선 사이 혹은 전극단자 사이에서의 마이그레이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신뢰도가 높은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기본적인 구성과 그 효과를 설명한 것이지만, 이하에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전극단자(4)와 금속막배선(5)을 도전 페이스트(예를 들면, Ag 페이스트)(10)를 도포하여 접속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커넥터(6)를 통하여 전극단자(4)를 외부의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금속막배선(5)은 전극단자(4)의 단부와 직접 접속되도록 V형의 홈부(즉, 전면패널(1)의 반대 측이 되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는 홈부)(3)를 구성하는 경사면인 「이면패널(2)의 단부(2b)」의 영역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금속막배선(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Ag 페이스트를 후막(厚膜)에 도포한 후에 소성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 전극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5에서는 V형의 홈부(3)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전극단자(4)와 이면패널(2)의 이면(2a)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막배선(5)과의 사이를 도전 페이스트(예를 들면, Ag 페이스트)(10)를 도포하여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전 페이스트(10)는 각 전극단자(4)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지만, 이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 5에서는 도전 페이스트(10)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후 설명하는 도 8, 도 9, 도 11, 도 12에서 동일한 이유에 의해, 도전 페이스트(10)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에서는 금속막배선(5)의 단부와 도전 페이스트(10)의 단부가 맞닿아 접속되어 있도록 묘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금속막배선(5)의 단부 위까지 도전 페이스트(10)가 도포되어 있다. 이것은, 이후 설명하는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전 페이스트(10)에 의한 배선에서는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도전 페이스트(10)의 두께의 조정도 용이하다.
따라서, 전극단자(4)와 금속막배선(5)의 접속부의 성능(예를 들면, 접속저항의 균일화)이나 접속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배선인 도전 페이스트(10)를 커버 유리인 이면패널(2)의 이면(2a) 및 단부(경사면)(2b)에 밀착시키므로, 내진성(耐震性)이나 팽창?수축에 대한 강도가 개선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표시소자는 전면패널(1)과, 이 전면패널(1)에 대향하는 이면패널(2)과, 전면패널(1) 및 이면패널(2)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전면패널(1)과 이면패널(2)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며, 금속막배선(5)을 통하여 전극을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화상표시소자에 있어서,
이면패널(2)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 열의 사이에서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단자(4)가 노출하도록 분할됨과 동시에, 이 분할부분에 전면패널(1)과의 대향면의 뒤쪽에 있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는 홈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막배선(5)은 이면패널(2)의 상부의 면(즉, 전면패널(1)과의 대향면의 뒤쪽 면(2a))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단자(4)와 금속막배선(5)은 홈부(3)를 구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도포된 도전 페이스트(1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패널의 좁은 영역에서 전극을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띄지 않는 고해상도의 화상표시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전극단자와 금속막배선과의 접속부의 성능, 신뢰성, 강도가 개선된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이면패널(2)은 중앙부에서 2분할된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분할수와 분할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면패널(2)을 3분할 이상으로 분할해도 되고, 분할하는 위치도 화소의 사이에 있으면 다른 위치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패널(2)을 '十'자 모양의 홈부(3)에 의해 4분할하고, 화상표시소자의 중앙으로부터 전극을 취출하는 중앙취출방식의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전면패널의 외주의 단부로부터 전극단자(4)를 취출하는 경우나, 도 7에 나타내는 화상표시소자의 수평, 수직 양단부로부터 전극을 취출하는 단부취출방식의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각 실시형태의 화상표시소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2.
도 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도 5의 구성에 있어서, 또한, 이면패널(2)의 단부(경사면)(2b)의 표면을 거칠게 한(조면(粗面)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부(2b)의 표면은 거칠어져 있으면 되고, 또, 표면을 거칠게 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표면연삭이나 샌드 블레스트(sand blast) 등의 방법이 있다. 또, 표면의 거칠기는, 예를 들면, 숫돌(grinding stone)의 입도(粒度)로 규정되는 #2000 ~ #100 정도이다.
이것에 의해, 배선인 도전 페이스트(10)의 이면패널(2)의 단부(경사면)(2b)로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면패널(2)의 단부(경사면)(2b)의 표면을 거칠게 하였으므로, 이면패널(2)의 단부(경사면)(2b)에서의 배선(즉, 도전 페이스트(10)) 사이의 연면(沿面)거리가 길어져,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고, 마이그레이션 발생에 의한 단락(短絡) 고장이 경감되어 신뢰성이 개선된다.
실시형태 3.
도 9는 실시형태 3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서의 도 5의 구성에서, 인접하는 도전 페이스트(10)의 사이에 디스팬서로 수지재를 도포하여 격벽(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배선인 도전 페이스트(10) 사이의 연면거리가 길어져, 마이그레이션 등에 의하는 단락 고장이 경감되어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인접하는 전극단자의 사이에도 수지재를 도포하고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은 더욱 경감된다.
실시형태 4.
도 10은 실시형태 4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도 5의 구성에서 도전 페이스트(10)를 복수 개의 도전 페이스트(예를 들면, 도전 페이스트(10a, 10b, 10c)의 3개의 도전 페이스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전 페이스트(10)를 복수의 도전 페이스트로 구성함으로써, 도전 페이스트의 도포 폭 혹은 두께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3개의 도전 페이스트(10a, 10b, 10c)는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은 밀착시켜 형성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전 페이스트(10)의 전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단자와 금속막배선과의 접속부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실시형태 5.
도 11은 실시형태 5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단자(4)와 금속막배선(5)을 접속하는 도전 페이스트(10)는 홈부(3)를 구성하는 2개의 단부(경사면)(2b, 2b')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전극단자(4)는 홈부(3)의 바닥부에서 단부(경사면)(2b 및 2b')에 대응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즉, 이면패널(2)의 단부(경사면)(2b)에서 인접하는 도전 페이스트(10)의 간격은 도 5의 경우와 비교하면 약 2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도전 페이스트(10)의 간격이 커져, 도전 페이스트(10)의 폭을 넓게 하여, 배선부인 도전 페이스트(10)의 전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인접하는 도전 페이스트(10) 사이의 연면거리가 길어져,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배선 사이의 절연신뢰성이 개선된다.
실시형태 6.
도 12는 실시형태 6에 따른 화상표시소자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페이스트(10), 이 도전 페이스트(10)에 접속하는 전극단자(4) 및 금속막배선(5)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코팅을 실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12는 보호코팅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먼지 등의 부착이나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접속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실시형태 7.
상술의 실시형태 6에서는 도전 페이스트(10), 이 도전 페이스트(10)에 접속하는 전극단자(4) 및 금속막배선(5)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코팅을 실시했지만, 이 보호코팅으로서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홈부(3)를 경화형 접착제로 매립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먼지 등의 부착이나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됨과 동시에, 홈부(3)의 부분에 대한 스트레스의 집중이 완화되므로, 패널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8.
본 발명의 대형 디스플레이의 화상표시소자(1)에서의 전극단자(4)와 화소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화상표시소자의 일례로서 EL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케이스를 이용하여 이하에 기재한다. 도 1의 화상표시소자를 EL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하는 예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표시소자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액정패널, PDP 등에도 응용 가능하다.
전면패널(1)상에 화소(p)인 유기EL소자를 복수 배열하고, 화소의 발광/비발광을 제어한다(도 6의 화소(p)가 하나의 유기EL소자임). 통상의 유기EL소자는 ITO 등의 투명전극과, 정공(正孔) 수송재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층과, 반사전극(예를 들면 Al 등)이 순차 형성되어,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투명전극을 투과하여 전면패널(1) 측으로부터 출사하고 있다.
전극단자(4)와 투명전극 및 반사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전극단자(4)를 홈부(3)까지 인출하고 있다.
금속막배선(5)을 통하여(투명전극 및 반사전극을) 커넥터(6)와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외부의 구동제어회로로부터 유기EL소자의 발광/비발광의 제어신호가 보내진다.
전극단자는 투명전극과 동일한 ITO로 형성해도 되고,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 Al, Cr, Ag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형성해도 되며, 이들을 적층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면패널(2)은 전면패널(1)과 마찬가지로 유리로 형성하고, 이면패널(2)의 유기EL소자와 대향 측에 에칭이나 샌드 블레스트 등으로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면패널(2)의 오목부의 형성면과 전면패널(1)의 유기EL소자 형성면을 대향하도록 접합시킨다. UV경화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양기판을 씰링 접합하고, 상기 오목부에 의한 씰링공간에는 수분 등의 유기EL소자의 열화인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건조제를 설치한다.
전극의 인출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인출부에서의 마이그레이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표시소자의 실현에 유용하다.
1 전면패널 2 이면패널
2a 이면패널의 이면(상부) 2b 단면(경사면)
3 홈부 4 전극단자
5 금속막배선 7 공구
10 도전 페이스트 11 격벽
12 보호코팅

Claims (20)

  1. 전면(前面)패널과, 이 전면패널에 대향하는 이면(裏面)패널과, 상기 전면패널 및 이면패널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이면패널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며, 금속막배선을 통하여 상기 전극을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화상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이면패널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 열(列)의 사이에서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단자가 노출하도록 분할됨과 동시에, 이 분할부분에 상기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의 뒤쪽에 있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막배선은 상기 이면패널의 상부의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금속막배선은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도포된 도전(導電) 페이스트(paste)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가 도포되는 상기 홈부의 경사면의 표면은 거칠게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사이에 수지재를 도포하여 격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각각은 복수 개의 도전 페이스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각각은 복수 개의 도전 페이스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각각은 복수 개의 도전 페이스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는 홈부를 구성하는 2개의 경사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 이 도전 페이스트에 접속하는 전극단자 및 금속막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보호코팅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 이 도전 페이스트에 접속하는 전극단자 및 금속막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보호코팅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 이 도전 페이스트에 접속하는 전극단자 및 금속막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보호코팅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은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홈부는 경화형 접착제로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은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홈부는 경화형 접착제로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은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홈부는 경화형 접착제로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
  14. 전면패널과, 이 전면패널에 대향하는 이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 및 이면패널 사이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상태가 선택되는 복수의 화소와, 이 화소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이면패널이 화소 및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되며, 금속막배선을 통하여 상기 전극을 구동회로에 접속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면패널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 열의 사이에서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단자가 노출하도록 분할함과 동시에, 이 분할부분에 상기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의 뒤쪽에 있는 상부가 바닥부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금속막배선을 상기 이면패널의 상부의 면에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금속막배선을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도포된 도전 페이스트에 의해 접속하는 제3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가 도포되는 상기 홈부의 경사면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사이에 수지재를 도포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각각을 복수 개의 도전 페이스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를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2개의 경사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전 페이스트, 이 도전 페이스트에 접속하는 전극단자 및 금속막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보호코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19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은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홈부를 경화형 접착제로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00010003A 2009-06-26 2010-02-03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2432 2009-06-26
JP2009152432A JP5271170B2 (ja) 2009-06-26 2009-06-26 画像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88A KR20110000488A (ko) 2011-01-03
KR101117420B1 true KR101117420B1 (ko) 2012-03-13

Family

ID=4273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003A KR101117420B1 (ko) 2009-06-26 2010-02-03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2362B2 (ko)
EP (1) EP2267517B1 (ko)
JP (1) JP5271170B2 (ko)
KR (1) KR101117420B1 (ko)
CN (1) CN101930721A (ko)
TW (1) TWI416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188A (ko) * 2013-11-12 2015-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28863A (ja) * 2014-01-08 2015-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配線基板、液滴吐出ヘッド、印刷装置、電子機器およ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11129469B2 (en) 2018-03-19 2021-09-28 Dongguan Shichang Metals Factory Ltd. Collapsible brace member for a furniture support structure
CN109920762B (zh) * 2019-03-28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的制作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11653200B (zh) * 2020-06-29 2022-05-1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571A (ja) 2000-03-07 2001-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191502A (ja) 2007-02-06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8337B2 (ja) * 1996-11-14 2005-05-18 株式会社東芝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0183470A (ja) * 1998-12-16 2000-06-30 Sony Corp マイグレーションの防止された配線およびその防止方法
US6567138B1 (en) 1999-02-15 2003-05-20 Rainbow Displays, Inc. Method for assembling a tiled, flat-panel microdisplay array having imperceptible seams
JP4345153B2 (ja) * 1999-09-27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5134637A (ja) * 2003-10-30 2005-05-26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4614652B2 (ja) * 2003-11-27 2011-01-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薄膜トランジスタの作製方法、及び表示装置の作製方法
JP2005183106A (ja) * 2003-12-18 2005-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Pm型有機elパネル
JP5023488B2 (ja) * 2005-03-09 2012-09-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実装構造とデバイス実装方法、液滴吐出ヘッド及び駆動ユニット並びに半導体装置
JP5089266B2 (ja) * 2007-06-26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09109770A (ja) * 2007-10-30 2009-05-21 Fujitsu Ltd 表示装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571A (ja) 2000-03-07 2001-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191502A (ja) 2007-02-06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2362B2 (en) 2013-01-29
TW201101262A (en) 2011-01-01
EP2267517A1 (en) 2010-12-29
US20100326708A1 (en) 2010-12-30
JP5271170B2 (ja) 2013-08-21
EP2267517B1 (en) 2015-07-01
JP2011008092A (ja) 2011-01-13
TWI416443B (zh) 2013-11-21
CN101930721A (zh) 2010-12-29
KR20110000488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294B1 (ko)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420B1 (ko)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939964B2 (ja) 画像表示素子
US866854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element
KR101121296B1 (ko)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549B1 (ko) 화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4402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