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315B1 -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315B1
KR101117315B1 KR1020090038387A KR20090038387A KR101117315B1 KR 101117315 B1 KR101117315 B1 KR 101117315B1 KR 1020090038387 A KR1020090038387 A KR 1020090038387A KR 20090038387 A KR20090038387 A KR 20090038387A KR 101117315 B1 KR101117315 B1 KR 10111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ode
module
setting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324A (ko
Inventor
배명남
이병복
최병철
이인환
전종암
류승기
남상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3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31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서 모듈과 노드 모듈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노드 모듈이 센서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의 형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설정 시그널을 신호를 노드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노드 모듈이 형상 설정 정보를 토대로 소프트웨어 자원을 설정하여 소프트웨어 자원의 설정에 따른 제어 시그널을 센서 모듈로 전송한다. 또한, 노드 모듈이 센서 모듈로부터 제어 시그널에 대응하는 완료 시그널을 수신한 경우, 형상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고, 장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장치 드라이버를 활성화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환경 요건과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센서노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다양성을 보장하고, 센서노드 소프트웨어 계층의 단순화를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센서 노드, 센서 모듈, 노드 모듈, 센서 구성 독립성, 센서

Description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Sensor node and Method for composing sensor node}
본 발명은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운영체제는 특수화된 하드웨어의 가변성을 해소하여, 소프트웨어 처리구조에 대해 일반성과 보편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센서 노드의 운영체제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 밖에 없다.
첫째, 센서 노드는 소형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하드웨어적으로 마이크로 제어부(micro control unit, MCU)나 RF(Radio-Frequency) 트랜시버와 같은 기본 부품의 처리/전력 성능 개선 요구로 인한 광범위한 다양성이 존재한다.
둘째, 활용 분야의 고유한 목적 때문에 소량의 특성화된 자체 제작된 프로세서가 널리 활용되고 있어, 범용성을 추구하는 운영체제가 이들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셋째, 지속적인 경제적 혹은 유지관리 요구에 따라 고정밀의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요구하는 센서를 적용하여야 하는 반면에, 범용의 MCU는 이에 대한 보편적인 IO(Input/Output)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필요한 센싱 데이터의 인식과 보정, 그리고 처리과정 등을 운영체제에 기반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만으로는 단순화하기 어렵다. 즉,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방식에서는 물리적인 하드웨어인 센서 각각에 대한 인식 및 처리가 고정되며, 새로운 센서의 부가 혹은 센서의 탈부착에 대해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센서 네트워크 분야는 지속적인 경제적 혹은 유지관리 요구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대한 측정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들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센싱 데이터의 인식과 처리과정은 매우 큰 가변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파생되는 소프트웨어 복잡성 및 동적 바인딩 등은 센서 노드의 순환 주기(duty cycle) 대비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비율을 높이는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센서노드에서 단일/다중 센서 구성, 센서 착탈에 따른 구성 변경, 센서 별 물리적인 측정치에 대한 보정, 센서 노드 입출력과의 연계 등의 하드웨어에 대한 의존성은 센서 노드의 구성과 관리에 여러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센서 구성에 대한 독립성을 갖고 소프트웨어 계층의 단순화를 통해 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센서 모듈과 노드 모듈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상기 노드 모듈이 상기 센서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의 형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설정 시그널 신호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드 모듈이 상기 형상 설정 정보를 토대로 소프트웨어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자원의 설정에 따른 제어 시그널을 상기 센서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시그널에 대응하는 완료 시그널을 수신한 경우, 상기 형상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고,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장치 드라이버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센서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센서의 형상 설정 정보의 설정 또는 변경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센서 모듈,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형상 설정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형상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장치 드라이버를 활성화하는 노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노드에서 센서의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변경에 대한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는 노드 모듈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변경이 없으며, 다양한 타입을 갖는 센서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새로운 비표준의 센서 인터페이스를 갖는 센서의 적용과 확장에도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센서 노드는 노드 모듈(Node module)(10), 센서 모듈(Sensor module)(20), 센서(Sensor)(30, 40) 및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50)를 포함한다.
노드 모듈(10)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100)로 예를 들면 마이크로 제어부(micro control unit, MCU)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범용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며, 노드 소프트웨어(Node Software)(110),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120) 및 하드웨어 추상화부(Hardware abstraction)(130)를 포함한다.
노드 소프트웨어(110) 또는 장치 드라이버(120)는 하드웨어 추상화부(130)를 통해 센서 모듈(20)과 RF 트랜시버(50)의 변경이나 재구성과 같은 하드웨어적 변경에 대해 의존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장치 드라이버(120)는 시그널과 타이밍의 관점으로 하드웨어 추상화부(130)를 이용한다.
하드웨어 추상화부(130)는 노드 소프트웨어(110)가 적재된 이후, 센서 모듈(20)의 구성이나 변경에 대한 추상화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센서 모듈(20)의 구성 변경에 대한 제어 정보는 노드 모듈(10)과 센서 모듈(20)간의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제공된다. 또한, 하드웨어 추상화부(130)는 매크로에 기반한 일련의 제어부 입출력 제어 및 설정 등을 포함하며, 변환 및 매핑 체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센서 모듈(20)은 다양한 형태로 센서(30, 4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되는 센서의 구성 방식이나 인터페이스 체계는 노드 모듈(10)과 센서 모듈(20)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MCU(100)에 제공된다. 이때, MCU(100)의 하드웨어 추상화부(130)는 센서의 구성 방식이나 인터페이스 체계에 대한 해석 및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센서 모듈(20)은 외장형 센서(30) 또는 내장형 센서(40)에 대한 구분없이 구성되며, 각 센서(30, 40)와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한 보정이나 변환을 자체적으로 수행한다.
센서(30, 40)는 외장형 센서(30) 및/또는 내장형 센서(40)를 포함하며, RF 트랜시버(5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다음, 센서 모듈(20)에서 센서(30, 40)의 구성 방식과, 노드 모듈(10)과 센서 모듈(20)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에서 센서의 구성과, 노드 모듈과 센서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고하면, 센서 모듈(20)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 구성이 가능하며, 제어부(100)에서 인식할 수 없는 신호인 경우, 이에 해당하는 신호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변환 과정을 통해 생성된 시그널은 노드 모듈(10)과 센서 모듈(20)간의 인터페이스(도 1의 15)인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제공된다. 또한, 현재 센서 모듈(20)의 센서 구성에 대한 형상 설정 정보는 인터페이스(15)의 제어 시그널을 통해 제공된다.
센서 모듈(20)은 보드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드 수준에서 역할이나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0)은 외장형 센서(30)에 연결되는 타입(도 2a), 외부 신호 변환부(60)를 요구하는 외장형 센서(30)에 연결되는 타입(도 2b), 내장형 센서(40)에 연결, 즉 내장형 센서(40)를 포함하는 타입(도 2c) 및 외장형 센서(30)에 연결되며 신호 변환부(70)를 포함하는 타입(도 2d)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20)은 공통적으로 센서 모듈(20)내에서 센서(30, 40)와 보정/신호 변환에 대한 세부적인 부분을 자체적으로 추상화한다. 또한, 추상화한 결과들은 형상 설정 정보 형태로 도 2e와 같이, 노드 모듈(10)내 MCU(100)의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15)는 ADC(analogue to digital conversion),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EINT(External interrupt),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및 TWI(Two-wire Serial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노드 모듈(10)과 센서 모듈(20)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모듈과 센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3을 참고하면, 센서 모듈(20)은 신호 변환부(201), 센서 설정부(202) 및 센서 제어부(203)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20)은 외장형 센서(30) 및/또는 내장형 센서(40)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d에 도시한 타입 외에는 신호 변환부(20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센서 설정부(202)는 센서(30, 40)의 구성 형상에 대한 정보 즉, 형상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센서 설정부(202)는 기억장치(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구체화 될 수 있다. 이때, 센서 제어부(203)는 지정된 형상 설정 정보를 노드 모듈(10)과 센서 모듈(20)간의 인터페이스(15)를 통해 노드 모듈(10)로 제공된다.
형상 설정 정보를 노드 모듈(10)로 제공한 후, 센서 제어부(203)는 기억 장치에 노드 모듈(10)의 센서 설정 결과를 저장하며, 센서 설정 결과에 따라 센서를 포함하는 요소들을 초기화한다. 또한, 센서 제어부(203)는 다양한 센서(30, 40)로부터의 전달받은 입력을 다중화기(204)를 통해 선택하여서, 센서 모듈(20)의 데이터 버스와 제어 시그널에 대한 동기화 및 충돌회피를 제어한다.
노드 모듈(10)은 MCU(100)를 포함하며, MCU(100)는 노드 소프트웨어(110), 장치 드라이버(120) 및 하드웨어 추상화부(130)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추상화부(130)는 노드 제어부(131) 및 장치 관리부(132)를 포함한다.
노드 제어부(131)는 형상 설정 정보를 센서 모듈(20)로부터 전달받는다.
장치 관리부(132)는 전달받은 형상 설정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토대로 장치 드라이버(120)의 활성화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형상 설정 정보에 대한 센서 설정 결과를 센서 모듈(20)로 전달한다.
노드 제어부(131)는 노드 모듈(10)과 센서 모듈(20)간의 인터페이스(15)를 통해 데이터 버스와 제어 시그널을 센서 모듈(20) 또는 RF 트랜시버(50)로부터 수신하고, 노드 모듈(10) 내 데이터 버스와 제어 시그널에 대한 동기화 및 충돌을 해결한다.
장치 관리부(132)는 형상 설정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토대로 장치 드라이버(120)를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장치 드라이버(120)는 장치 인터페이스(센서 인터페이스, RF 트랜시버 인터페이스)(121, 122)에 따라 프로그램화된다.
예를 들면, 장치 관리부(132)가 센서 모듈(20)로부터 형성 설정 정보를 받으면, 센서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센서 장치 드라이버를 활성화하고, RF 트랜시버(50)로부터 설정 정보를 받으면, RF 트랜시버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RF 트랜시버 장치 드라이버를 활성화한다.
노드 모듈(10)은 장치 인터페이스(121, 122)의 호출에 의해 센서 모듈(20)과 데이터 버스와 제어 시그널을 교환한다.
센서 인터페이스(121)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EINT EINT_CTRL, EINT_ENABLE,
EINT_DISABLE, EINT_STATUS
SPI SPI_ENABLE, SPI_DISABLE, SPI_SET_MODE,
SPI_OSCFREQ, SPI_ACTIVATE, SPI_INACTIVATE
ADC ADC_ENABLE, ADC_DISABLE, ADC_WAIT,
ADC_SMPL_SINGLE, ADC_GET_SMPL_10,
ADC_SET_PRESCAL, ADC_SET_TRGS,
ADC_SET_VTGR, ADC_SET_CHANNEL
USART USART_SET_BAUDRATE, USART_SET_DBLSPD,
USART_SET_MODE, USART_SET_FRMFT,
USART_TX_BYTE, USART_TX_2BYTE,
USART_TX_READY, USART_TX_COMPLETE,
USART_RX_BYTE, USART_RX_2BYTE,
USART_RX_READY, USART_RX_TO_DUMMY
TWI(I2C) TWI_START(), TWI_WAIT(), TWI_COND_IS(cond),
TWI_TX_BYTE(x), TWI_RX_BYTE(x),
TWI_STOP(), TWI_SR_OWNADDR(own_addr),
TWI_SR_GCADDR()
RF 트랜시버 인터페이스(122)는 RF 트랜시버(50)를 추상화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표 2와 같이 기본 연산을 제공한다.
상태 및 제어 관련 RFT_ENABLE(), RFT_DISABLE(), RFT_WAIT(),
RFT_STATUS(status), RFT_SFD_STATUS,
RFT_FIFO_STATUS, RFT_FIFOP_STATUS,
RFT_CCA_STATUS
인터럽트
관련
RFT_ENABLE_FIFOP_INT, RFT_DISABLE_FIFOP_INT,
RFT_CLEAR_FIFOP_INT, RFT_ENABLE_SFD_INT,
RFT_DISABLE_SFD_INT, RFT_CLEAR_SFD_INT,
void TIMER1_CAOT_vect(void), void INT0_vect(void)
레지스터
관련
RFT_STROBE, RFT_SETREG, RFT_GETREG,
RFT_TX_ADDR, RFT_RX_ADDR, RFT_TX, RFT_RX,
halWriteTxFifo(BYTE*, UINT8),
halReadTxFifo(BYTE*, UINT8),
보안 관련 setKey(BYTE*), setData(BYTE*), getData(BYTE*),
runAESEncryption(BYTE*,BYTE*,BYTE*,BYTE*),
메모리 관련 uhalWriteMemory(UINT16, BYTE*, UINT8),
uhalReadMemory(UINT16, BYTE*, UINT8)
RF 트랜시버 인터페이스(122)에 따라 구체화된 장치 드라이버(120)는 장치 관리부(132)에 의해 활성화된다.
장치 드라이버(120)가 활성화 된 후, 노드 소프트웨어(110)가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111)은 장치 드라이버(120)의 함수 호출을 통해 센서 모듈(20)과 데이터 버스/제어 시그널을 교환한다.
다음, 장치 인터페이스(121, 122)의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장치 인터페이스(400)는 노드 모듈(10)에서 인식되어야 하는 장치 별로 정의되어 있으며, 센서의 경우 센서 인터페이스(121)로 RF 트랜시버(50)의 경우 RF 트랜시버 인터페이스(122)로 구체화 된다.
각각의 장치 인터페이스(400)는 장치 드라이버(120)에 제공되어야 하는 함수들(function), 노드 제어부(131)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제어 시그널로의 변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은 함수들과 데이터/제어 시그널로의 변환을 수행한다.
다음, 센서 모듈(10)과 노드 모듈(20)간의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에서의 센서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센서 모듈(1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S501). 전원을 인가 받은 후, 센서 모듈(10)은 연결되어 있는 센서(30, 40), 예를 들면 내장형 센서(40)를 제어한다(S502). 구체적으로, 센서 모듈(10)은 센서(40)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또한, 센서(40) 측정 시 수신한 센서(40)의 신호 변환을 수행하며, 정기적 또는 폴링(polling)에 의해 수행 결과를 노드 모듈(20)로 전달한다.
센서 모듈(10)은 센서(40)의 구성에 대한 변경을 모니터링하고, 모듈 내 센서(40)의 구성에 대한 형상 설정 정보에 설정 또는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503). 여기서, 형상 설정 정보는 내장형 센서(40)의 구성 형상에 대한 정보이다.
형상 설정 정보가 변경된 경우, 센서 모듈(10)은 발생된 형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설정 시그널을 노드 모듈(20)로 전송한다(S504).
다음, 센서 설정 시그널을 수신한 노드 모듈(20)에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과정이 수행되고, 수행 결과로 제어 시그널을 센서 모듈(10)로 전송한다.
센서 모듈(10)은 노드 모듈로부터 센서 설정 시그널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을 수신하고(S505), 수신한 제어 시그널을 토대로 내장형 센서(40)를 설정한다(S506).
센서 모듈(10)은 설정된 내장형 센서(40)를 활성화하고(S507), 활성화를 완료한 후에 완료 시그널을 노드 모듈(20)로 전송한다(S508). 다음, 센서 모듈(10)은 제어 시그널에 따라, 상기 내장형 센서(40)를 계속해서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모듈에서의 센서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노드 모듈(20)은 센서 모듈(10)이 송신한 센싱 정보의 수신 과정을 포함하며, 수신된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노드 소프트웨어(110)의 처리에 활용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노드 모듈(20)은 센서(40)의 구성 변경으로 인하여 센서 모듈(10)로부터 센서 설정 시그널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601).
센서 설정 시그널이 수신된 경우, 노드 모듈(20)은 센서 설정 시그널이 포함하는 형상 설정 정보를 추출한다(S602).
노드 모듈(20)은 추출한 형상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인터럽트 핸들러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보정 함수 등의 소프트웨어 자원을 설정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수행한다(S603).
다음, 노드 모듈(20)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의 수행에 따른 제어 시그널을 센서 모듈(10)로 전송한다(S604). 노드 모듈(20)은 전송한 제어 시그널에 대응하는 완료 시그널을 수신하도록 대기한다.
노드 모듈(20)은 완료 시그널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S605), 완료 시그널을 수신한 경우 상기 형상 설정 정보로부터 필요한 장치 인터페이스(121, 122)의 기본 연산의 수행을 통해 센서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초기화한다(S606).
노드 모듈(20)은 장치 인터페이스(121, 122)를 사용하는 장치 드라이버(120)를 활성화 하고(S607), 활성화된 장치 드라이버(120)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형태로 어플리케이션(111)으로 전달한다(S608). 그러면, 어플리케이션(111)은 장치 드라이버(120)의 함수 호출을 통해 센서 모듈(20)과 데이터 버스/제어 시그널을 교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은 센서노드에서 센서의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변경에 대한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는 센서 모듈과 노드 모듈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센서모듈은 센서의 구성에 대한 하드웨어적 의존성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부가의 블록들과 제어 체계를 갖도록 구성되었다. 아울러, 노드 모듈에서는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센서모듈의 변경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장치 드라이버를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에서 센서의 구성과, 노드 모듈과 센서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모듈과 센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에서의 센서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모듈에서의 센서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8)

  1. 센서 모듈과 노드 모듈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 모듈이 상기 센서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의 형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설정 시그널 신호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드 모듈이 상기 형상 설정 정보를 토대로 소프트웨어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자원의 설정에 따른 제어 시그널을 상기 센서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제어 시그널을 토대로 상기 센서를 설정하고 상기 센서의 활성화를 완료한 후에 생성한 완료 시그널을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형상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고,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장치 드라이버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에 따라 상기 센서의 상기 형상 설정 정보의 설정 또는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센서 설정 시그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한 상기 장치 드라이버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센서 모듈과 제어 시그널을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5.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센서의 형상 설정 정보의 설정 또는 변경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센서 모듈,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형상 설정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형상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고,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장치 드라이버를 활성화하는 노드 모듈
    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형상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센서 설정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선택하는 센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외장형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타입,
    상기 센서 모듈 외부의 신호 변환부를 요구하는 외장형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타입,
    내장형 센서를 포함하는 제3 타입, 그리고
    외장형 센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4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모듈은
    상기 형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설정 시그널 신호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소프트웨어 자원의 설정에 따른 제어 시그널을 전송하는 노드 제어부,
    상기 형상 설정 정보를 토대로 소프트웨어 자원을 설정하는 장치 관리부,
    상기 장치 관리부에 의해 활성화 되는 장치 드라이버, 그리고
    활성화한 상기 장치 드라이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 모듈과 제어 시그널을 교환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KR1020090038387A 2009-04-30 2009-04-30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KR10111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387A KR101117315B1 (ko) 2009-04-30 2009-04-30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387A KR101117315B1 (ko) 2009-04-30 2009-04-30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24A KR20100119324A (ko) 2010-11-09
KR101117315B1 true KR101117315B1 (ko) 2012-03-20

Family

ID=4340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387A KR101117315B1 (ko) 2009-04-30 2009-04-30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4373B2 (en) * 2017-07-31 2020-05-26 Lg Chem, Ltd. Self-diagnosing microcontroller for reading correct channels of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165A (ko)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 동적 재구성을 위한무선 송/수신 방법
KR20080092483A (ko) * 2006-12-18 2008-10-16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센서 노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및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165A (ko)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 동적 재구성을 위한무선 송/수신 방법
KR20080092483A (ko) * 2006-12-18 2008-10-16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센서 노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및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24A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725B2 (en) Camera control interface extension with in-band interrupt
US20110276738A1 (en) Sensor node including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and plug and play function, sensor board including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and sensor device driver,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and operation method of sensor node, sensor board, and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US10120827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serial port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device type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and method thereof
WO2001069802A2 (en) Integrated radio frequency interface
CN108647180B (zh) 一种运算系统及相应的电子设备
CN101089838A (zh) 一种实现i2c读写时序的方法
EP2972925B1 (en) Two-wire serial interface and protocol
US11288223B2 (en) Bridge chip with function of expanding external devices and associated expansion method
KR101117315B1 (ko)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의 구성 방법
CN113641610A (zh) 处理器接口电路及处理器接口分时复用方法、电子设备
CN111212000B (zh) 一种基于PXIe总线的交换背板
US11907155B2 (en) Bus system connecting slave devices with single-wire data access communication
WO2005083577A2 (en) Integrated circuit with two different bus control units
WO2018006777A1 (zh) 一种通讯连接装置及方法、通讯单板
CN110471881B (zh) 一种实现多个从设备与spi主设备快速通讯方法
CN113900985A (zh) Io和spi复用芯片、复用辅助芯片和数据交互方法
CN112069103A (zh) 一种多模块与主机通信的方法及系统
CN112783071A (zh) 一种sdio控制器、fpga板卡和sdio测试系统
CN111782574A (zh) 一种串行外设接口控制方法和串行外设接口控制器
CN112817893A (zh) 具备扩充外部装置功能的桥接芯片以及扩充方法
CN220254495U (zh) Io接口置换电路及其接口电路
CN211702241U (zh) 一种图像数据传输设备、胶囊式内窥镜及其系统
CN117056268B (zh) 一种用于测量仪器的spi接口电路和spi通讯方法
US20220131682A1 (en)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 link hub
KR100608652B1 (ko) Ril을 이용한 듀얼 cpu의 gpio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