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183B1 - 차량용 휠 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183B1
KR101116183B1 KR1020090088176A KR20090088176A KR101116183B1 KR 101116183 B1 KR101116183 B1 KR 101116183B1 KR 1020090088176 A KR1020090088176 A KR 1020090088176A KR 20090088176 A KR20090088176 A KR 20090088176A KR 101116183 B1 KR101116183 B1 KR 10111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main body
stopper pin
groove
sub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168A (ko
Inventor
정광배
Original Assignee
정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배 filed Critical 정광배
Priority to KR102009008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1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2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having an element mounted for rotation independently of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2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 B60B7/0033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whe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5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supported by th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60Surface treatment; After treatment
    • B60B2310/64Effect of treatments
    • B60B2310/658For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으로 주행할 때는 휠 커버가 회전하고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는 휠 커버가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효과를 증가시키는 차량용 휠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휠 커버는 차량용 휠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메인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되고, 메인바디의 반대편에 광고판이 구비된 서브바디와;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서브바디의 회전중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토퍼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바디의 저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은 상기 서브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바디의 고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에서 이탈하여 상기 메인바디가 상기 서브바디와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차량, 휠, 커버

Description

차량용 휠 커버 { Wheel Cover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휠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바퀴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광고판이 구비된 차량용 휠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커버(Wheel Cover)는 휠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을 미관상 화려하게 하기 위해 휠의 외측면을 덮는 덮개로써,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상기 휠커버에 브랜드 마크를 새겨 광고의 효과를 노리는 경우도 있다.
종래 휠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W)의 외측에 설치하기 위해 휠커버(10)를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하고, 상기 휠커버(10)의 타측면 외주에는 휠(W)의 외주면에 삽탈되는 탄성의 테두리 돌기(11)가 형성되고, 상기 휠커버(10)의 일측면 중앙에는 제조업체의 브랜드 마크가 새겨진 로고부(2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휠커버(10)는 바퀴의 구동과 함께 회전되므로 주행중 상기 휠커버(10)에 표식된 마크나 상호 등의 식별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시 휠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휠커버(10)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시 광고 문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하였 다.
그러나 회전하지 않는 상기 휠커버(10)는 외관이 단순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어 광고효과를 확장시키기 위한 새로운 표현 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
본 발명은 저속으로 주행할 때는 휠 커버가 회전하고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는 휠 커버가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효과를 증가시키는 차량용 휠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휠 커버는 차량용 휠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메인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되고, 메인바디의 반대편에 광고판이 구비된 서브바디와;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서브바디의 회전중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토퍼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바디의 저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은 상기 서브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바디의 고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에서 이탈하여 상기 메인바디가 상기 서브바디와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메인바디는, 차량용 휠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서브바디의 회전중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는 회전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 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 구비되는 무게추;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이물방지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이물방지부재가 삽입 배치되며 내주면 지름이 상기 회전부재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경사진 이물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방지부재의 외주면 지름은 상기 회전부재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단이 차량용 휠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결합부를 감싸는 가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가림부의 내측면과 인접한 차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는 내주면 지름이 상기 차단돌기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차단돌기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 또는 상기 서브바디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되는 코일과; 상기 메인바디 또는 상기 서브바디 중 나머지 한 곳에 장착되는 자석과; 상기 메인바디 또는 상기 서브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고속회전시 발광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휠 커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스토퍼핀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의 저속회전시 상기 메인바디와 함께 회전하고, 고속회전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서브바디와 독립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서브바디에 구비된 상기 광고판의 회전패턴 변화에 의해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어 상기 광고판의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을 간소화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가이드홈에 미리 삽입한 후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축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홈에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이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함께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 상기 무게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의 정지시 상기 회전부재가 일정한 위치에서 항상 정지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는 광고판의 표식이 항상 정방향으로 놓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걸림홈 방향 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고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저속회전으로 변경될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이 상기 걸림홈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삽입 되도록 한다.
상기 이물방지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이물방지홈의 내주면을 상기 회전부재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물방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이물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부에 상기 가림부의 내측면과 인접한 차단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가림부의 내주면 지름을 상기 차단돌기에서 상기 고정부재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차단돌기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가림부 사이의 틈새를 굴곡지게 하여 이물의 침범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인바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로 상기 조명수단을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메인바디의 회전시 별도의 전원 없이도 상기 조명수단을 발광시켜 에너지의 활용성을 확대시키고, 어두울 때 상기 광고판을 잘 보이게 하여 광고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의 구조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가 차량용 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휠 커버는 메인바디(100), 서브바디(200), 스토퍼핀(300), 스프링(400), 이물방지부재(500), 코일(600), 자석(700) 및 조명수단(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차량용 휠에 고정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휠과 함께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바디(100)는 고정부재(110)와 가이드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원통형 형상으로 차량용 휠의 회전중심과 동심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상기 서브바디(200) 방향, 즉 차량용 휠의 반대방향으로 장착홈(111)이 개방된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11)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중심과 동심선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장착홈(11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200)의 회 전축(240)이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이물방지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방지홈(112)은 상기 서브바디(200)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장착홈(111)보다 상기 서브바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장착홈(111)과 연통되고, 내경이 상기 장착홈(111)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상기 이물방지홈(112)의 내주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200)의 회전부재(210)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110)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경사진다.
즉 상기 이물방지홈(112)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상기 장착홈(111)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일단이 차량용 휠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1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3)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 즉 차량용 휠 방향의 끝단에는 차량용 휠의 내주면에 후크결합되는 다수개의 후크돌기(114)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돌기(1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휠(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51)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110)를 차량용 휠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3)에는 차단돌기(11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차단돌기(115)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작다.
이러한 상기 차단돌기(1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200)의 상기 회전부재(210)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110) 사이에 유입되는 이물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20)가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6)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측에서 상기 서브바디(200)의 회전중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11)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6)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16)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서브바디(200)의 회전중심 방향의 일단 지름이 반대방향의 타단 지름보다 작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6)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삽입홈(116)과 마찬가지로 상기 서브바디(200)의 회전중심 방향의 일단 지름이 반대방향의 타단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장착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타단이 상기 삽입홈(116)의 타단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단에는 상기 스토퍼핀(3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1)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서브바디(200)의 회전중심과 직 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핀(3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상기 스토퍼핀(3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2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10)의 형상을 간소화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스토퍼핀(300)을 상기 가이드홈(121)에 미리 삽입한 후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상기 고정부재(110)에 삽입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게 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20)가 상기 고정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1)이 상기 고정부재(110)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에 상기 메인바디(1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바디(200)는 회전부재(210), 광고판(220), 무게추(230) 및 회전축(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10)를 기준으로 차량용 휠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10)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기 결합부(113)를 감싸는 가림부(2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림부(211)는 원형 형상으로 지름이 상기 결합부(113)의 지름보다 크다.
또한 상기 가림부(211)는 내주면 지름이 상기 차단돌기(115)에서 상기 결합 부(113)의 일단방향, 즉 상기 차단돌기(115)에서부터 차량용 휠 방향으로 점점 상기 차단돌기(115)의 지름보다 작아진다.
즉 상기 가림부(211)는 상기 차단돌기(115)를 감싸는 끝단이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중심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113)에 상기 가림부(211)의 내주면과 인접한 차단돌기(115)를 형성하고, 상기 가림부(211)의 내주면 지름을 상기 차단돌기(115)에서 상기 결합부(113)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차단돌기(115)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부(113)와 상기 가림부(211) 사이의 틈새를 굴곡지게 하여 이물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림부(211)의 하단에는 배출구(21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12)는 상기 회전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110) 사이에 유입된 이물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이물에 의한 고장발생을 최소화한다.
상기 광고판(220)은 상기 회전부재(210)에서 상기 고정부재(110)의 반대편에 장착되며, 차량 제조사의 로고나 광고 등의 디자인이 도시된다.
또한 상기 광고판(220)은 상기 회전부재(210)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여러 디자인의 광고판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상기 광고판(220)은 상기 회전부재(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광고판(220)은 디자인에 의해 차량용 휠의 외관을 돋보이게 하거나, 광고 문구를 외부로 노출시켜 제조사나 차량의 광고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10)의 하단에는 상기 무게추(230)가 장착된다.
상기 무게추(230)는 상기 회전부재(210)보다 비중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무거우며,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210)와 함께 제작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무게추(230)는 상기 회전부재(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230)는 살두께를 상기 회전부재(210)의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무게를 크게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230)는 상기 광고판(220)이 정방향으로 놓여 있을 때 상기 회전부재(210)의 하단에 배치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210)의 정지시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무게추(230)가 받는 중력에 의해 상기 광고판(220)에 도시된 디자인이 정방향으로 배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10)의 하단에 상기 무게추(2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210)의 정지시 상기 회전부재(210)가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게 하여 상기 회전부재(210)에 장착되는 광고판(220)의 표식이 항상 정방향으로 놓이게 한다.
도 5(a)는 상기 회전축(240)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a)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기 회전축(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중심과 동심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40)의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210)의 중심부에 팬너트로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40)의 타단은 상기 장착홈(111)에 삽입 배치되며, 베어링(90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0)와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된다.
즉 상기 회전축(240)의 타단은 베어링(900)의 내륜부에 고정되고, 베어링(900)의 외륜부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기 장착홈(111)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40)이 상기 고정부재(110)에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240)의 타단에는 스토퍼핀(300)의 일단이 삽입되는 걸림홈(24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41)은 원형 형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핀(300)의 지름과 근접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241)은 상기 회전축(24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홈(241)에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핀(300)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240)에 상기 가이드홈(121)과 연통되며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핀(300)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홈(24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홈(241)에 상기 스토퍼핀(300)의 일단이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핀(3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210)가 함께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0)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121)의 내 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400)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121)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측면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핀(300)과 접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스토퍼핀(300)을 상기 걸림홈(241)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가이드홈(121)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핀(300)을 상기 걸림홈(241)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10)의 고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30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저속회전으로 변경될 때 상기 스프링(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핀(300)의 일단이 상기 걸림홈(241)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이물방지부재(50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지름이 상기 장착홈(11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이물방지홈(112)에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물방지부재(500)의 외주면 지름은 상기 이물방지홈(112)의 내주면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부재(210)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110)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이물방지부재(500)를 상기 이물방지홈(112)에 장착할 때 상기 이물방지부재(500)의 외주면이 약간 휘어지거나 마모되면서 상기 이물방지홈(112)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물방지부재(500)의 외주면과 상기 이물방지홈(112)의 내주면을 상기 회전부재(210)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110) 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경 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물방지부재(50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부에 이물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상기 코일(600)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서브바디(200)의 상기 회전축(240)에는 상기 자석(700)이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600)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기 장착홈(111)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장착홈(111)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자석(700)은 상기 장착홈(111)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축(24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장착홈(111)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60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자석(700)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고속회전시 상기 코일(600)의 주변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코일(600)에는 상기 자석(700)의 자기장이 이동함에 따라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류가 발생한다.
상기 조명수단(800)은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 장착되며, 발광하는 부분이 상기 회전부재(210)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수단(800)이 장착되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부에는 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의 실리콘 등으로 방수처리 한다.
이러한 상기 조명수단(800)은 상기 코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110)의 고속회전시 상기 코일(600)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10)와 상기 광고판(22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수단(800)의 불빛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코일(600)을 상기 회전축(240)에 장착하고, 상기 자석(700)을 상기 고정부재(110)에 장착하며, 상기 조명수단(800)을 상기 회전부재(21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코일(600)에서 발생하는 전기로 상기 조명수단(800)을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시 별도의 전원 없이도 상기 조명수단(800)을 발광시켜 에너지의 활용성을 확대시키고, 어두울 때 상기 광고판(220)을 잘 보이게 하여 광고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가 차량용 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 은 도 3의 C-C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휠 커버는 차량용 휠(50)의 중심부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기 후크돌기(114)가 차량용 휠(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51)과 후크결합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시 차량용 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10)도 함 께 회전한다.
차량이 정지해 있을 때나 저속으로 주행할 때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핀(300)이 상기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240)의 상기 걸림홈(24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110)와 함께 상기 회전축(240)도 회전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40)과 연결된 상기 회전부재(210)도 상기 광고판(220)과 함께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1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핀(300)에 원심력이 발생하여 상기 스프링(400)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저속이기 때문에 그 힘의 세기가 스프링(400)의 탄성력보다 작아 상기 스토퍼핀(300)은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면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핀(300)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받는 원심력의 세기가 상기 스프링(400)의 탄성력보다 커져 상기 스프링(4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핀(300)이 상기 스프링(400)을 압축하면서 상기 스프링(400)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핀(300)의 일단이 상기 걸림홈(241)에서 이탈한다.
상기 스토퍼핀(30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상기 회전축(240)은 상기 스토퍼핀(300)이 상기 걸림홈(241)에서 이탈하면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40)이 정지하면 상기 회전부재(210)도 상기 광고판(220)과 함께 정지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무게추(230)에 의해 상기 무게추(230)가 장착된 부분이 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차량이 속도를 낮추어 상기 스토퍼핀(300)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크기가 스프링(400)의 탄성복원력 보다 작아지면 상기 스프링(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핀(300)은 상기 걸림홈(24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핀(300)의 일단이 상기 걸림홈(241)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광고판(220)과 함께 다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핀(300)에 의해 상기 회전축(240)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저속회전시 상기 고정부재(110)와 함께 회전하고, 고속회전시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회전축(240)과 독립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40)과 연결된 상기 광고판(220)의 회전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상기 광고판(220)의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차량용 휠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의 구조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가 차량용 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 은 도 3의 C-C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바디, 110 : 고정부재, 120 : 가이드부재, 200 : 서브바디, 210 : 회전부재, 220 : 광고판, 230 : 무게추, 240 : 회전축, 300 : 스토퍼핀, 400 : 스프링, 500 : 이물방지부재, 600 : 코일, 700 : 자석, 800 : 조명수단,

Claims (7)

  1. 차량용 휠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메인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되고, 메인바디의 반대편에 광고판이 구비된 서브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서브바디의 회전중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토퍼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는, 차량용 휠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서브바디 방향으로 장착홈이 개방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서브바디의 회전중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장착홈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 구비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삽입 배치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저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은 상기 서브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바디의 고속회전시 상기 스토퍼핀의 일단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에서 이탈하여 상기 메인바디가 상기 서브바디와 독립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는 이물방지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서브바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장착홈과 연통되고 상기 장착홈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이물방지부재가 장착되는 이물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방지부재의 외주면 지름은 상기 회전부재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물방지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이물방지홈은 내주면 지름이 상기 회전부재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단이 차량용 휠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 형상으로 차단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부 및 차단돌기를 감싸는 가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는 상기 차단돌기를 감싸는 끝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중심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장착홈과 연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서브바디의 회전중심 방향의 일단 지름이 반대방향의 타단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서브바디의 회전중심 방향의 일단 지름이 반대방향의 타단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삽입홈에 장착할 때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은 상기 삽입홈의 타단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가이드홈에 미리 삽입한 후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여 장착하며,
    상기 배출구 및 무게추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상기 배출구는 항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88176A 2009-09-17 2009-09-17 차량용 휠 커버 KR10111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76A KR101116183B1 (ko) 2009-09-17 2009-09-17 차량용 휠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76A KR101116183B1 (ko) 2009-09-17 2009-09-17 차량용 휠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68A KR20110030168A (ko) 2011-03-23
KR101116183B1 true KR101116183B1 (ko) 2012-03-06

Family

ID=4393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176A KR101116183B1 (ko) 2009-09-17 2009-09-17 차량용 휠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38B1 (ko) * 2017-07-17 2018-05-11 한슬기 바퀴의 속도 제어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18B1 (ko) * 2012-11-20 2014-04-24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자가발전 조명장치
KR101966458B1 (ko) * 2013-11-21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엠블렘 비회전형 휠 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602A (ja) * 2001-10-23 2003-05-08 Mitsumi Electric Co Ltd ホイールキャップ
KR100546249B1 (ko) * 2003-12-15 2006-01-26 김헌규 차량의 휠커버
JP2006248495A (ja) * 2005-03-14 2006-09-21 Kawakami Kanko Kaihatsu Kk 車両用静止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602A (ja) * 2001-10-23 2003-05-08 Mitsumi Electric Co Ltd ホイールキャップ
KR100546249B1 (ko) * 2003-12-15 2006-01-26 김헌규 차량의 휠커버
JP2006248495A (ja) * 2005-03-14 2006-09-21 Kawakami Kanko Kaihatsu Kk 車両用静止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38B1 (ko) * 2017-07-17 2018-05-11 한슬기 바퀴의 속도 제어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68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183B1 (ko) 차량용 휠 커버
TWI681129B (zh) 吊扇
KR101101890B1 (ko) 차량용 휠 커버 조립체
EP3527474A1 (en) Light emitting pedal for bicycle
CN105644421B (zh) 一种车灯光型变换用可动遮光板机构
TW200718867A (en) Fan wheel structure
KR100546249B1 (ko) 차량의 휠커버
KR20170071708A (ko) 위상유지수단이 구비된 휠캡
KR200280227Y1 (ko) 발광 스키
CN213383804U (zh) 香薰装置
CN201779583U (zh) 炫动led灯
CN204372726U (zh) 无死角转动的天花灯
CN220914093U (zh) 一种自带磁性开关的旋钮
US8123380B2 (en) Waterproof light-emitting-diode lamp holding structure
CN205759464U (zh) 自启动腕力球
KR200238213Y1 (ko) 발광신발
CN204986672U (zh) 一种壁灯
KR20110079115A (ko) 차량용 휠 커버 조립체
KR200298561Y1 (ko) 자전거용 발전기
JP2005521494A (ja) 発光スノーボード
CN117198792A (zh) 一种自带磁性开关的旋钮
KR200219158Y1 (ko) 휠의 발광장치
KR200286247Y1 (ko) 허리벨트용 버클
CN210831835U (zh) 防水灯框
CN210363360U (zh) 一种轮毂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