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401B1 - 벽지용 직물 - Google Patents

벽지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401B1
KR101115401B1 KR1020100022403A KR20100022403A KR101115401B1 KR 101115401 B1 KR101115401 B1 KR 101115401B1 KR 1020100022403 A KR1020100022403 A KR 1020100022403A KR 20100022403 A KR20100022403 A KR 20100022403A KR 101115401 B1 KR101115401 B1 KR 101115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wallpaper
polyes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191A (ko
Inventor
이화영
Original Assignee
이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영 filed Critical 이화영
Priority to KR102010002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4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3Heat-resistant, fireproof or flame-retard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난연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구성하여서, 형태안정성, 접착성과 시공성, 난연성 모두가 뛰어나다.

Description

벽지용 직물{FABRICS FOR WALL PAPER}
본 발명은 벽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물벽지로 사용되면서도 형태안정성과 접착성 등의 시공성이 뛰어나며 미생물 서식도 방지되도록 개선된 벽지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벽, 천장, 바닥의 장식 및 보호를 위하여 바르는 벽지는 그 소재에 따라 종이벽지, 직물벽지, 비닐벽지, 목질계벽지 및 무기질벽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배 벽지를 선정할 때에는 그 소재에 따라 각기 다른 재질적 성능과 기능성을 갖으므로 그에 따른 고려를 하여야 한다. 즉, 내구성, 내후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의 재질적 성능과 장식성, 내오염성 등의 기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벽지들 중 종이벽지는 그라비아벽지, 엠보싱벽지, 지사벽지 등이 있다. 종이벽지는 벽지용도에 맞는 종이에 프린팅(Printing), 엠보싱(Embossing) 등의 방법으로 무늬나 색상을 표현하고, 코팅(Coating) 등의 방법으로 내구성이나 질감 등을 보완하여 제조한 벽지제품이다. 이러한 종이벽지는 가격이 저가이고 시공성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 수분에 변형이 쉽고, 곰팡이 등 미생물 서식과 번식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약하고 통기성은 부족하며 또 화재에는 취약하여 화재 시 전파나 확산에 결정적 작용을 하며, 외력에 의한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 벽지들 중 직물벽지는 프린터직물벽지, 평 직물벽지, 파일조 직물벽지, 갈포벽지, 부직포 벽지 등이 있으며, 용도에 맞게 직조된 직물원단에 접착제 성분이 있는 종이를 배접한 것이며,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팅처리까지 하여서 제조한 것도 있다. 이러한 직물벽지는 직물의 포근함과 같은 심미적 장식성이 있음과 아울러 외관이 미려하고 수분에 대체로 안정적인 장점이 있으나, 형태가 불안정하고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넓은 면적 시공에는 한계가 있다. 또 직물벽지는 비싸고 오염에 약하고 곰팡이 등 미생물 서식과 번식이 용이하며 인체유해성과 환경 비친화적인 단점이 있다.
만일 위 직물벽지에서 언급된 단점들이 상당히 해소될 수 있는 직물벽지가 구현된다면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직물벽지에서 단점이 되었던 형태안정성과 시공성이 매우 좋으며 곰팡이 등 미생물의 서식과 번식이 어려우며 인체 친화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하게 해주는 벽지용 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태안정성, 시공성과 접착성, 난연성이 우수하고 통기성, 인체친화성, 친환경성, 상품성도 좋은 벽지용 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난연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난연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3~7%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난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일반 폴리에스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5~205℃에서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일반 폴리에스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5℃에서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아크릴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아크릴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70~190℃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메탈릭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메탈사의 비율이 25~35중량% : 55~65중량% : 5~1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200℃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이다.
본 발명은 저온융착 가능한 LM사를 이용해 벽지용 직물을 구현하여서 기존 직물벽지에서 단점을 해소하고 장점은 그대로 유지되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은 형태안정성과 시공성, 난연성과 통기성이 매우 좋거나 좋게 해주며 곰팡이 등 미생물의 서식과 번식이 어려우며 인체 친화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 직물벽지가 가지고 있는 장점적 특성으로서 심미적 장식성, 미려한 외관, 수분에 대체로 안정적인 것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벽지용 직물을 구성하는 일 원사로 사용되는 시드/코어(sheath/core)구조의 LM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벽지용 직물의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사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벽지용으로 적합한 직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형태 안정성, 접착성 및 시공성을 필수적으로 만족하여야 하고 또 난연성(필요 요건)도 바람직하게 만족하게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벽지용 직물을 구성하는 일 원사로 사용되는 시드/코어(sheath/core)구조의 LM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LM사(2)에서, 심부에 위치한 코어(core)부(4)는 약 255℃ 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이고, 외곽에 위치한 시드(Sheath)부(6)는 120~200℃ 융점을 갖는 특수 저융점(Low Melting Point) 폴리에스터재질이다.
이러한 LM사(2)는 시드부(6)와 코어부(4)에 의해서 특수 저융점부분과 일반 융점부분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다수가닥 LM사(2)들을 타 소재 섬유사들과 혼용하되 바람직하게는 경위사 제직을 통해 직조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구성하고, 더 나아가 벽지의 필수 요건을 만족하면서도 기존 직물벽지로서의 단점은 최소화시키고 장점은 최대화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벽지용 직물의 일 원사로 LM사(2)를 사용한 것은, LM사(2)가 열처리에 의해 시드부(6)에 용융이 일어난 후 냉각과정을 통하여 경화되면서 주변의 동일 소재 또는 타 소재와의 강력한 접착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는 완성된 벽지용 직물에 대한 코팅이나 본딩과 같은 특별한 후가공을 해주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LM사(2)의 시드부(6)가 용융 후 경화되었지만 속의 코어부(4)는 일반 폴리에스터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은 표면 경직성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는 유연성과 탄성을 보유하게 된다. 이는 벽지에서 필요로 하는 형태 안정성을 부여해주며 내구성이 우수하게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기존 직물벽지가 형태 안정성이 없어서 종이로 된 배지를 덧붙여주는 것이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에서는 필요없고 기존에는 배지를 사용하므로 인해 직물벽지의 통기성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준다.
본 발명에서의 벽지용 직물을 구성하기 위해 이러한 특징으로 갖는 LM사(2)와 함께 혼용되는 타소재 섬유사가 있는데, 그 타소재 섬유사로는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가 있다.
LM사(2)와 타소재 섬유사와의 혼용에는 원사조성과 직물 원단조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 원사 조성에는 LM사(2)와 일반 폴리에스터사를 합사 또는 연사하거나 LM사(2)와 일반 폴리에스터사를 혼방적하여서 얻을 수 있다.
두번째, 직물 조성에는 벽지의 배면이 가져야 하는 벽과의 접착성을 좋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경위사에 의한 제직으로 벽지용 직물원단을 조성한다. 더욱 바람직한 예로는 평직이나 평직 응용의 제직방법을 사용한다. 경위사에 의한 제직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원단은 배면에 요철이 형성되어서 풀과 같은 접착제를 칠할 때 접착제가 골고루 잘 안착되게 하여서 벽과의 접착성을 좋게 하며 이는 벽지의 시공성을 높혀준다. 더욱이 평직은 그 요철이 더욱 고른 관계로 접착성이 더욱 우수하게 해준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직된 벽지용 직물의 두께(최소치와 최대치의 평균두께)는 0.5~3mm가 바람직하며, 방음성을 고려할 때 5mm(최대치두께)까지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최대치 두께가 5mm를 초과하면 벽과의 접착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또 직물의 두께가 0.5mm 미만이면 벽지로서의 형태 유지성이 소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은 벽지용 직물의 접착제가 전표면으로 배어 나오지 않을 정도로 조밀하게 되는 밀도계수[K]로 제직된다. 시공시 풀과 같은 직물의 접착제가 벽지 표면으로 배어나오면 벽지가 오염되고 얼룩 등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지용 직물의 밀도계수 K의 값은 8.0~20.0 범위가 바람직하다. 밀도계수 K는 단위 간격 당 실의 직경이 배열되어 있는 조밀도를 절대값으로 나타내는 가장 간단한 표기방법 중 하나로서,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공식에 근거한다.
Figure 112010015930722-pat00001
여기서, D : 직물의 밀도, Nm : 실의 굵기(Meter식 번수)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밀도계수 K의 값이 작으면 조밀도가 낮아지고 반대로 크면 조밀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벽지용 직물의 제직원단은 벽지외관을 조성하기 위해서 일반조직, 도비(dobby)조직, 자카드(jacquard)조직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포지염색(piece dyeing), 날염(printing), 엠보싱(embos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벽지용 제직원단을 제직한 후에는 직물원단이 표면 경직성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는 유연성과 탄성을 보유하도록 제직원단에 대해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열처리기로는 텐터(tenter), 넷 드라이어(net dryer), 가열롤러(heat roller)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지 또는 연속적 상태에서 열처리하여서 융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열처리시의 온도조건은 140~220℃, 시간은 5초 내지 5분으로 수많은 반복실험들을 행하였으며, 유의(有意)적인 대표적인 실험 예들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와 함께 벽지의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후가공처리시 난연제 처리도 함께 병행하는 시험도 하였다. 난연제 처리는 텐터 등을 이용한 열처리시 제직원단에 원단중량 대비 1~30%를 도포처리하여 난연성이 발현되도록 실험하였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벽지용 직물원단의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사진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열처리에 의해서 최종 완성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은 원사 간에 쉽게 융착되어 특별한 후가공 없이도 코팅 또는 본딩(bonding)효과가 발현됨으로 형태가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부여되며, 그 표면은 경직성을 가지고 내부는 유연성과 탄성을 갖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벽지용 직물은 입체적이며 자연스러운 천연 소재의 질감이 나타나고 타 소재와 혼용이 용이하여 심미감을 부여한다.
이제 수많은 다양한 실험들중 본 발명에서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실험들을 설명한다.
<실험 예 1>
벽지용도에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LM원사와 비 LM사를 10:90의 비율이 되게 조성하고, 비 LM부분은 일반 폴리에스터(Regular Polyester)사로만 사용하여 제직한 원단을 온도 200℃내외에서 100초간 열처리하여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2>
LM원사와 비 LM사를 30:70의 비율이 되게 조성하고, 비 LM부분은 일반 폴리에스터(Regular Polyester)사로만 사용하여 제직한 외에는 실험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3>
LM원사와 비 LM사를 50:50의 비율이 되게 조성하고, 비 LM부분은 일반 폴리에스터(Regular Polyester)사로만 사용하여 제직한 외에는 실험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4>
LM원사와 비 LM사를 실험 예 2와 같이 조성하고, 비 LM사 부분을 다시 일반 폴리에스터(Regular Polyester)사와 난연 폴리에스터(Polyester)사를 혼용하여 최종적으로 각각 30:30:40의 비율이 되게 조성하여 제직한 원단을 온도 190℃내외에서 100초간 열처리하여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5>
LM원사와 비 LM사를 실험 예 2와 같이 조성하고, 비 LM사 부분을 전량 난연 폴리에스터(Polyester)사로 조성하는 외에는 실험 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6>
사용원사의 조성과 열처리 조건은 실험 예 4와 같고, 열처리 시 인(P)계 난연제를 원단 중량의 5%내외가 되게 도포하는 후가공으로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7>
사용원사의 조성은 실험 예 2와 같고, 열처리 조건은 실험 예 4와 동일하며, 열처리 시 인(P)계 난연제를 원단 중량의 10%내외가 되게 도포하는 후가공으로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8>
LM원사와 비 LM사를 실험 예 3과 같이 조성하고 비 LM사 부분을 전량 난연 폴리에스터(Polyester)사로 조성하여 제직한 원단을 온도 170℃내외에서 100초간 열처리하며 인(P)계 난연제를 실험 예6과 같이 도포하는 후가공으로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9>
LM원사와 비 LM사를 실험 예 2와 같이 조성하고, 비 LM사 부분을 다시 일반 폴리에스터(Regular Poly ester)사와 폴리 아크릴(Poly Acrylic)사를 혼용하여 최종적으로 각각 30:30:40의 비율이 되게 조성하여 제직한 원단을 온도 180℃에서 100초간 열처리하며 인(P)계 난연제를 실험 예7과 같이 도포하는 후가공으로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실험 예 10>
LM원사와 비 LM사를 실험 예 2와 같이 조성하고, 비 LM사 부분을 다시 일반 폴리에스터(Regular Poly ester)사와 메탈릭사(Metallic yarn)를 혼용하여 최종적으로 각각 30:60:10의 비율이 되게 조성하여 제직한 원단을 실험예 7과 같은 열처리 조건과 인(P)계 난연제를 도포하는 후가공으로 벽지용 직물을 만들었다.
위 실험예들의 조건으로 벽지용 직물을 만들고 각각을 벽지용 직물에 요구되는 형태안정성, 접착성(시공성), 난연성 항목을 테스트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을 얻을 수 있었다.
Figure 112010015930722-pat00002
실험시 난연성 시험은 방염성능기준(KOFEIS 1001)의 얇은 포에 대한 시험법 중 45도법에 준하여 시험한 것이다.
상기의 실험 예들에 의해 완성된 벽지용 직물에 대해서 벽지로서의 기본적 요건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형태 안정성, 접착성 및 시공성에 대해 육안 및 촉감, 간이시공 등을 통해 평가하였고, 더불어 주요 기능성인 난연성에 대해서도 표준시험법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서 <표 1>과 같이 실험 예1은 벽지로는 형태안정성과 접착성(시공성)면에서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며 난연성도 미흡하였으며, 실험 예 2,3,4는 난연성이 미흡 또는 보통이며, 실험 예7,8은 접착성(시공성)에서 우수 또는 보통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그중 실험 예5,6은 형태안정성과 접착성(시공성),난연성이 매우 우수하여 벽지용으로 최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기본 요건들에 '우수(○)'수준이나 '보통(△)'수준이라고 판단된 실험 예들도 직물의 특성이나 용도에 의해 변수가 있는 것이므로, 접착성 부분에서 "○"로 표시된 '우수'한 것도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실험 예7), 벽지로서 형태안정성과 접착성(시공성)이 필수적이고 난연성은 필수조건보다 필요조건이 될 수 있으므로 형태안정성과 접착성(시공성)이 아주 좋은 것(실험예2,4)을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예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실험 예 9,10에서와 같이 난연사를 대신하여 폴리아크릴(Poly Acrylic), 메탈릭사(Metallic yarn)를 폴리에스터(Poly ester)사와 함께 추가 혼용하여서도 형태안정성과 접착성(시공성)이 아주 좋은 벽지용 직물을 만들 수 있다. 실험 예10과 같이 난연사를 대신하여 메탈릭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한 경우에는 난연성이 매우 우수하지는 않지만 '우수'하고, 실험 예9와 같이 난연사를 대신하여 아크릴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한 경우에는 난연성이 '우수'하지는 않지만 '보통'은 되므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실험 예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상기 아크릴사나 메탈릭사의 경우와 같이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되어서 벽지용 직물로 구현될 수 있는 기타 소재로는 실크(Silk), 마(Linen), 면(Cotton) 등이 있다.
전술한 실험들을 통해서 얻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첫번째로는, 실험 예4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실시 예로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난연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바람직하게는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얻는 것으로, 형태안정성, 접착성과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 하지만 난연성은 '보통' 수준이다.
두번째로는, 실험 예6에 대응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실시 예로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난연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바람직하게는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3~7%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얻는 것으로, 형태안정성, 접착성과 시공성, 난연성 모두가 매우 뛰어나다.
세번째로는, 실험 예5에 대응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실시 예로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난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바람직하게는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얻는 것으로, 형태안정성, 접착성과 시공성, 난연성 모두가 뛰어나다.
네번째로는, 실험 예2에 대응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실시 예로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일반 폴리에스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5~205℃에서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얻는 것으로, 형태안정성, 접착성과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 하지만 난연성은 '미흡' 수준이다.
다섯번째로는, 실험 예7에 대응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실시 예로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일반 폴리에스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5℃에서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얻는 것으로, 형태안정성, 난연성은 매우 뛰어나며, 접착성과 시공성은 '우수'수준이다.
여섯번째로는, 실험 예9에 대응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실시 예로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아크릴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아크릴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70~190℃에서 60~150초간 바람직하게는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얻는 것으로, 형태안정성, 접착성과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며, 난연성은 '보통'수준이다.
일곱번째로는, 실험 예10에 대응한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의 실시 예로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메탈릭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메탈사의 비율이 25~35중량% : 55~65중량% : 5~1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200℃에서 60~150초간 바람직하게는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벽지용 직물을 얻는 것으로, 형태안정성, 접착성과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며, 난연성은 '우수' 수준이다.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의 부가 이외에도 아래와 같은 추가 기능성을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방오(Soil Resistant), 발수(Water Repellent), 방수(Water Proof), 흡습속건(Rapid Absorption and Evaporation of Sweat), 항균방취(Anti-Microbial and Deodorizing), 향기(Perfume), 공기정화(Air Purification), 화학물질정화(Chemical Purification), 흡음(Sound absorption), 방음(Sound Proofing), 대전방지(Anti-Static)가공 등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은 일반벽지나 배지된 기존 원단벽지와는 달리 통기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도배 벽면이 평평하게 보이는 벽지 띄움시공(벽지의 가장자리나 중간부를 띄엄 띄엄 벽에 붙이는 시공)시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와 습기배출이 양호하게 된다.
또 난연사를 원단 자체에 혼용하므로 화재시 초기 진화나 확산력이 최대로 억제된다.
또 기존 일반벽지와 원단벽지가 곰팡이 등의 미생물 서식과 번식이 용이하지만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은 LM사가 소수성을 띄므로 항균성이 발현되어 미생물 서식과 번식이 어려운 장점이 있다. 또 기존에 수행했던 코팅제 및 후방염제의 처리가 없으므로 유해성 염려가 없으며, 다양한 인체 전화적 기능성부여가 가능하고 연소시 소량의 연기만 발생하므로 인체 친화적이다.
또 흡음력이 뛰어나고 빛의 산란이 최소화되며 변색, 퇴색에 안정하고, 외력에 저항력이 매우 우수하다. 또 필요에 따라 인체 친화적인 다양한 복합 기능성 부여가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벽지용 직물은 원사 특성을 이용한 열처리로 형태 안정되며, 종이벽지보다도 시공이 용이하며, 직물조직의 표면요철을 이용하여 벽과의 접착성이 매우 좋다.
또한 LM사 등이 소수성을 띄므로 수분 등에 안정성이 있으며, 반영구적인 내구성이 있으며, 시공시 접착상태가 양호하고 형태안정성이 뛰어나서 세월이 흘러도 초기 접착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벽지용 직물로서 벽을 도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 LM사 (4)-- 코어부
(6)-- 시드부

Claims (7)

  1.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난연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
  2.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난연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난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9℃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3~7%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
  3. 삭제
  4.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일반 폴리에스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5~205℃에서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
  5.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를 일반 폴리에스터사와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일반 폴리에스터사의 비율이 25~35중량% : 75~6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195℃에서 9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
  6.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아크릴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아크릴사의 비율이 25~35중량% : 25~35중량% : 35~4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70~190℃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
  7. 벽지용 직물에 있어서,
    120~200℃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터재질 시드부와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재질 코어부로 된 LM사와 함께 일반 폴리에스터사, 메탈릭사를 혼용하여 제직하되 LM사와 폴리에스터사와 메탈사의 비율이 25~35중량% : 55~65중량% : 5~15중량%, 두께가 0.5~3mm, 밀도계수[K]가 8.0~20.0로 되게 하며, 180~200℃에서 60~150초간 제직원단을 열처리와 동시에 원단 중량의 5~15%를 방염제 처리를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직물.
KR1020100022403A 2010-03-12 2010-03-12 벽지용 직물 KR101115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03A KR101115401B1 (ko) 2010-03-12 2010-03-12 벽지용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03A KR101115401B1 (ko) 2010-03-12 2010-03-12 벽지용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91A KR20110103191A (ko) 2011-09-20
KR101115401B1 true KR101115401B1 (ko) 2012-02-16

Family

ID=4495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403A KR101115401B1 (ko) 2010-03-12 2010-03-12 벽지용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36B1 (ko) * 2013-04-23 2014-12-31 주식회사 케이론난연 복합기능성 친환경 벽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681A (ko) * 1989-03-15 1990-10-24 제임스 이. 핸드릭스 코아스판야안(corespun yarn)으로 만든 주름 및 수축에 내성인 방염성 직물
KR100736925B1 (ko) 2006-09-22 2007-07-10 주식회사 새 한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7653A (ko) * 2007-07-06 2009-01-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1270A (ko) * 2008-07-24 2010-02-03 이신희 난연성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681A (ko) * 1989-03-15 1990-10-24 제임스 이. 핸드릭스 코아스판야안(corespun yarn)으로 만든 주름 및 수축에 내성인 방염성 직물
KR100736925B1 (ko) 2006-09-22 2007-07-10 주식회사 새 한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7653A (ko) * 2007-07-06 2009-01-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1270A (ko) * 2008-07-24 2010-02-03 이신희 난연성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91A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633A (en) Flocked fabric with water resistant film
US5756180A (en) Flocked fabric suitable as outerwear
JP6479673B2 (ja) 高視認性繊維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視認性衣服ならびに高視認性繊維布帛の製造方法
ES2287501T3 (es) Un tejido de colchon y un procedimiento para fabricar el mismo, ademas de un colchon.
CN204749409U (zh) 一种阻燃软膜
US20210071324A1 (en) Blackout Material
JP4976148B2 (ja) 保温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KR20220000175U (ko) 암막 광고 천의 코팅 구조
JP6257902B2 (ja) 立体プリント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66009B1 (ko) 통기성,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이중직 직물타입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KR20140076318A (ko) 방염성, 발수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차양막 및 천막지와 그의 제조방법
KR101115401B1 (ko) 벽지용 직물
KR100894280B1 (ko) 직물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200930A (ja) 透湿性防水シート
JP4910213B2 (ja) 絣調織編布帛
KR20090104531A (ko)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JP2009007688A (ja) 紙製織編布帛
JP2009006546A (ja) 紙製装飾地
KR101557830B1 (ko) 복합 섬유 소재를 이용한 선박 내장재용 직물 벽지
JP4563773B2 (ja) 蓄熱保温性衣料
KR200405677Y1 (ko) 직물 벽지
JP7234472B2 (ja) カーテン地
KR101365232B1 (ko) 준불연성 인테리어 장식물
Hendy et al. Indoor Air Quality Between Textiles’ Treatment And Human Health
WO2021201204A1 (ja) 着色樹脂シート及び皮革様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