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55B1 - 유압조절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조절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55B1
KR101115355B1 KR1020110119028A KR20110119028A KR101115355B1 KR 101115355 B1 KR101115355 B1 KR 101115355B1 KR 1020110119028 A KR1020110119028 A KR 1020110119028A KR 20110119028 A KR20110119028 A KR 20110119028A KR 101115355 B1 KR101115355 B1 KR 10111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heck valve
space
fluid
pop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순
유승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to KR102011011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5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conical shaped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체크밸브의 개폐동작에 따른 체크밸브의 요동을 방지하여 체크밸브에 채운 오링이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고, 아울러, 체크밸브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할 시에도 오링이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체크밸브를 나사체결로 고정하고, 체크밸브를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에서 회전시키게 하며, 체크밸브의 회전시에 오링의 파손을 방지하는 테프론 링을 오링에 겹쳐 장착한다.

Description

유압조절 밸브장치{PRESSURE CONTROL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체크밸브의 개폐동작에 따른 체크밸브의 요동을 방지하여 체크밸브에 채운 오링이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고, 아울러, 체크밸브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할 시에도 오링이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범위의 유압을 갖는 유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프는, 유압펌프를 가동하는 원동기의 회전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유압펌프에서 펌핑되는 유체의 유압이 일정하지 아니하므로, 유압펌프에 의한 유체의 유압이 상기한 일정한 범위를 벗어날 때에 유체의 공급을 제한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일명 차아징 써큇(charging circuit)으로 불려지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유압펌프(1)로부터 공급받는 유입포트(31), 유체를 압력기(2)에게 보내는 토출포트(32) 및 유체를 토출포트(32)로 보내지 않을 시에 배출하는 벤트포트(33)를 구비하는 하우징(30)과, 하우징(10)에 장착되는 제1 체크밸브체(10) 및 제2 체크밸브체(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체크밸브(10)는 유입포트(31)를 통해 공급받는 유체의 유압이 상기한 일정한 범위의 최저 유압보다 작으면 토출포트(32)을 통한 유체의 공급을 제한하고 최저 유압 이상일 경우에는 토출포트(32)를 통해 유체를 공급한다. 또한, 제2 체크밸브(20)는 유입포트(31)를 통해 공급받는 유체의 유압이 상기한 일정한 범위의 최고 유압보다 크면 유입포트(31)로 공급받는 유체를 벤트포트(33)를 통해 배출하는 한편 제1 체크밸브(10)를 닫힘동작되게 하여 토출포트(32)를 통한 유체의 공급을 멈추게 한다.
한편, 토출포트(32)에 배관 연결되는 압력기(2)는 예를 들면 가압된 유체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일 수 있고, 벤트포트(33)는 리저버 탱크(3)에 배관연결되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함으로써 유압펌프(1)에서 재사용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제1 체크밸브(10)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공간부(34)와 제2 체크밸브(20)를 삽입하기 위한 제2 공간부(35)를 하우징(30)에 형성하는 데, 이때, 제1 체크밸브(10)는 제1 공간부(34)에 깊숙이 삽입한 후에 제1 공간부(34)의 제1 공간부(34)의 개구부를 마감볼트(36)로 나사체결하여 막고, 제2 체크밸브(20)는 그 크기 또는 외부에서의 셋팅조작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일부분만을 제2 공간부(35)에 삽입 고정한다.
하지만, 상기 같이 장착되는 제1 체크밸브(10)는 제1 공간부(34)의 내부에 수용할 때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아니하여서, 밸브의 연속적인 개폐 동작시에 제1 공간부(34) 내에서 요동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1 체크밸브(10)에 구비되는 오링(11)이 제1 공간부(34)를 이루는 내면과의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기 쉬웠으며, 결국, 오링(11)을 필요 이상으로 자주 교체하여야만 했다. 비록, 제1 체크밸브(10)를 제1 공간부(34)에 맞게 정밀하게 제작하려 하고, 마감볼트(36)로 제1 체크밸브(10)의 힘있게 눌러주게 제작한다 해도, 제작상의 오차에 의해서 제1 체크밸브(10)의 요동치는 현상을 막지 못하였다. 더욱이, 제1 체크밸브(10)를 제1 공간부(34)에 설치할 때에 발생하는 작은 유격에 의해서 소음도 유발하였다.
따라서, 제1 체크밸브(10)를 제1 공간부(34)에서 요동 없이 개폐동작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아울러, 제1 체크밸브(10)를 제1 공간부(34)에 견고하게 고정함에 있어서, 오링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오링의 파손도 방지하는 구조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체크밸브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체크밸브의 요동에 의한 오링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크밸브를 하우징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과정에서 체크밸브에 체결되는 오링을 파손하지 않는 유압조절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홈 형상으로 이루는 제1,2 공간부(310, 320)와 제1,2 공간부(310, 32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330)가 형성되고, 제1 공간부(310)의 개구부를 막기 위한 마감볼트(350)를 구비하는 한편, 제1 공간부(310)에 연통되는 토출포트(311), 제2 공간부(320)에 연통되는 벤트포트(321) 및 연결통로(330)에 연통되는 유입포트(331)를 구비하고, 제1 공간부(310)와 제2 공간부(320)를 연결하는 우회통로(340)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1 공간부(310)에 수용되고 상기 마감볼트(350)를 상기 제1 공간부(310)의 개구부를 막아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유입포트(331)로 주입되는 유체를 단속하며 토출포트(311) 및 우회통로(340)로 흘러가게 하는 역류방지용 포핏(120)를 구비하는 제1 체크밸브체(100); 상기 제2 공간부(320)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우회통로(340)를 통해 가해지는 유체의 유압이 미리 셋팅된 범위의 유압을 초과하면 상기 유입포트(331)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벤트포트(321)로 흘러가게 하는 제2 체크밸브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330)를 향해 개구된 밸브시트와 측면에 관통형성된 측면관통구를 구비하여 밸브시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측면관통구를 통해 토출포트(311) 및 우회통로(340)로 흘러가게 하며, 수나사(114)가 외주면에 조성되고 렌치(wrench)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는 렌치 삽입부(113)가 밸브시트에 반대되는 방향의 개구부 내주면에 조성된 밸브몸체(110); 상기 밸브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내장되고, 상기 밸브시트를 향해 탄지시킨 포핏헤드를 구비하되, 상기 포핏헤드의 관경은 상기 밸브시트의 개구를 향하며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포핏(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310)를 이루는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의 밸브몸체(110)에 조성된 수나사(114)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암나사(312)가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11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 중에 상기 연결통로(330)를 향하는 단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단턱(115)이 형성되고, 단턱(115)에는 먼저 끼워지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테프론 링(117)와 나중에 끼워지는 오링(11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치 삽입부(113)는, 육각렌치를 끼울 수 있는 육각형 관통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핏헤드는, 끝단이 평탄한 테이퍼 모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하우징(300)의 제1 공간부(310)에 수용되는 제1 체크밸브체(100)를 나사결합으로 하우징(300)의 제1 공간부(310)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밸브의 개폐동작시에 요동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렌치에 의해 쉽게 나사체결하게 구성되어서 조립작업의 어려움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체크밸브(100)를 제1 공간부(310)에 나사체결로 고정하기 위해 회전시키더라도, 테프론 링(117)으로 오링(116)의 파손을 방지하므로 오링(116)의 밀폐성능을 유지한다.
도 1은 종래 유압조절 밸브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종래 유압조절 밸브장치의 분리 사시도로서, 하우징만 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의 분리 사시도로서, 하우징만 투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에서 제1 체크밸브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에서 제1 체크밸브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의 결합 사시도로서, 제1,2체크밸브체를 투시도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3은 유압조절 밸브장치의 분리 사시도로서 하우징만 투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체크밸브체의 분리 사시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체크밸브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유압조절 밸브장치의 결합 사시도로서 제1,2체크밸브체를 투시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은 하우징에 의해 외부로 보여지지 아니하는 제1 체크밸브체와 제2 체크밸브체의 삽입부분도 실선으로 도시하였고, 도면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제1 공간부, 제2 공간부 및 우회통로를 도시하지 아니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유압펌프(1)에 의해 압송되는 유체를 압력기(2)에 공급하되, 압송되는 유체의 유압이 미리 셋팅된 범위 내에 속할 때에만 유체를 압력기(2)로 공급하고 미리 셋팅된 범위를 초과한 유압의 유체가 압송되면 유체를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3)로 보내게 구성된다.
이를 위한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제1 체크밸브체(100), 제2 체크밸브체(200) 및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에서,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 제2 체크밸브체(200) 및 하우징(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먼저 종래기술에 의해 알려진 기술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300)은, 유압펌프(1)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포트(331), 압력기(2)에 배관 연결되는 토출포트(311) 및 리저버 탱크(3)에 배관 연결되는 벤트포트(321)를 배관 연결 가능하게 전면에 구비하고, 양 측면에는 각각 하나씩 원통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310, 320)가 형성되어서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공간부(310)에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를 수용하고, 타 측면에 형성된 제2 공간부(310)에 상기 제2 체크밸브체(200)를 삽입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00)을 투시도로 보면, 상기 제1 공간부(310)와 제2 공간부(320)를 서로 연통되게 하는 연결통로(330)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공간부(310), 연결통로(330) 및 제2 공간부(320)가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공간부(310)는 상기 토출포트(311)에 연통되고, 상기 제2 공간부(310)는 상기 벤트포트(321)에 연통되고, 상기 연결통로(330)는 상기 유입포트(331)에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통로(330)에서 상기 유입포트(331)에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제2 공간부(320)와 연결되는 부위에 치우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공간부(310)의 개구부에는 상기 제1 공간부(310)에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를 내삽한 후에 밀폐 마감하는 마감볼트(350)가 나사체결되어서,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가 외부로 빠지지 아니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공간부(310)와 상기 제2 공간부(320)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인 우회통로(340)가 형성되어서 유체를 상기 제1 공간부(310)에서 상기 제2 공간부(320)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우회통로(340)는 저면에서 상기 제1 공간부(310)를 향해 상방으로 타공하고 저면에서 상기 제2 공간부(310)를 향해 상방으로 타공한 후에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향해 타공하여 앞서 상방으로 타공한 통로들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타공시에 형성되는 저면 및 측면의 개구부는 마개(미도시)로 막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를 실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우회통로(340)에 유체가 채워져서 상기 토출포트(311)를 통해 압력기(2)로 보내지는 유체의 유압을 전달한다.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는, 밸브몸체(110) 및 포핏(1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공간부(310)에 수용되고, 상기 유입포트(331)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의 유압이 미리 셋팅된 최저유압보다 클 경우에만 유체를 상기 토출포트(311)에 공급하며, 아울러 토출포트(311)에 배관 연결되는 압력기(2)로부터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부(310)는 우회통로(340)에도 연통되므로, 토출포트(311)를 통해 압력기에 보내지는 유체의 유압이 상기 우회통로(340)를 통해 제2 체크밸브체(100)에 전달된다.
상기 밸브몸체(11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330)를 향하는 개구부에는 포핏(120)에 의해 통로가 단속되는 밸브시트(111)를 구비하고,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측면관통구(1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유체를 밸브시트(111)의 통로, 내부 공간 및 측면관통구(112)에 순차적으로 경유시켜 상기 토출포트(311) 및 우회통로(340)로 흘러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시트(111)의 통로는 상기 연결통로(330)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몸체(110)는 상기 밸브시트(111)와는 반대측의 개구부를 내향 절곡하여서 포핏(120)를 지지한다.
상기 포핏(120)는, 상기 밸브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내장되고, 상기 밸브시트(111)의 통로를 향하며 점차 관경을 작아지게 한 포핏헤드(121)를 상기 밸브시트(111)를 향해 탄지시키게 구성되어서, 밸브시트(111)의 통로를 통해 유압이 미리 셋팅된 최저유압 미만이면 밸브시트(111)를 포핏헤드(111)로 막고 미리 셋팅된 최저유압 이상이 가해지면 포핏헤드(111)가 밀려나 밸브시트(111)의 통로를 연다. 이를 위해서, 상기 포핏헤드(111)는 상기 밸브몸체(110)의 내부에 지지되는 가이드부(122)와 사이에 압축스프링(123)을 개재하여 탄지되고, 이때 적절한 탄성특성을 갖는 압축스프링(123)을 선정하여 상기한 최저유압 값을 맞춘다.
아울러, 제1 체크밸브체(100)는 상기 밸브시트(111)의 통로 외에는 유체가 통과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각각 단턱(115, 115')이 형성되고, 형성된 단턱(115, 115')에 오링(116, 116')이 끼워진다.
상기 제2 체크밸브체(200)는, 상기 하우징(300)의 제2 공간부(320)에 삽입 고정되며, 우회통로(340)를 통해 가해지는 유압이 미리 셋팅된 최고유압을 초과하면 동작하는 체크밸브의 포핏(210)을 구비하여서, 최고유압을 초과하는 유압이 가해지면 유입포트(331)로 주입받는 유체를 벤트포트(321)로 흘러가게 하고, 유체가 벤트포트(321)로 흘러감에 따라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의 포핏(120)에 가해지는 유압이 낮아져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의 포핏(120)를 담힘 동작되게 하며, 아울러, 유압이 상기한 최고유압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유입포트(331)를 상기 벤트포트(321)로 직접 연통시키는 통로를 차단하여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의 포핏(120)을 열림동작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2 체크밸브체(200)는 종래기술에 의해 알려진 기술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체크밸브체(100), 제2 체크밸브체(200) 및 하우징(300)으로 구성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유입포트(331)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압이 미리 셋팅된 최저유압과 최고유압 범위 내에 있을 때에만 상기 토출포트(311)를 통해 유체를 압력기(2)에게 보내고, 최고유압을 초과하는 유체가 주입되면 토출포트(311)를 통한 유체의 공급을 중단하고 벤트포트(321)를 통해 리저버 탱크(3)로 보내므로, 유압펌프(1)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유압이 가변적으로 변하더라도 압력기(2)의 유체 유압을 이미 셋팅된 범위 내로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유압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유체의 유압이 심하게 변동되는 경우에 설치되어서 유압펌프의 가동이 가변적이라도 일정한 범위 내의 유압으로 유체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00)의 제1 공간부(310)에 수용할 때에 고정되지 않는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는 개폐동작의 반복에 의해 요동친다. 비록,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를 제1 공간부(310)의 지름에 맞는 직경을 갖도록 제작하고, 마감볼트(350)로 제1 공간부(310)의 개구부를 막음에 따라 전후로 진동하기 아니하게 하는 길이 값을 갖게 제작한다 해도, 제작상의 오차에 의해서 요동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이러한 제1 체크밸브체(100)의 요동은 양단에 채워진 오링(116, 116')의 파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의 특징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의 밸브몸체(110) 외주면에 조성되는 수나사(114)와, 상기 하우징(300)에서 상기 제1 공간부(310)를 이루는 내주면에 조성되어 수나사(114)에 나사체결되는 암나사(312)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공간부(310)에 깊숙이 삽입되는 제1 체크밸브체(100)를 나사체결하기 위해 회전시켜야 하므로, 밸브몸체(110)에서 밸브시트(111)에 반대되는 방향의 개구부(제1 체크밸브체를 제1 공간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 공간부의 개구부를 막는 마감볼트를 향하는 개구부)의 내주면에 렌치 삽입부(113)가 조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치 삽입부(113)는 렌치(wrench)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육각 렌치를 사용하므로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관통구를 이루게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체크밸브체(100)를 회전할 시에 연결통로(330)를 향하는 단부의 단턱(115)에 끼워지는 오링(116)이 제1 체크밸브체(100)와 같이 회전하여서 흠집이 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오링(116)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턱(115)과 오링(116)의 사이에 테프론 링(117)를 개재한다. 즉, 제1 체크밸브체(100)에서 연결통로(330)를 향하는 단부의 외주면에 단턱(115)을 조성하기 위해 절삭한 면에 먼저 테프론 링(117)를 외삽하고 다음으로 상기한 오링(116)를 외삽하는 것이다. 여기서, 테프론 링(117)는 상기한 오링(116)처럼 링의 형태를 갖추고 경도가 높고 마찰계수도 적은 테프론(Teflon) 재질로 이루어진 띠이며, 실제품으로 제작할 시에는 테프론 코팅으로 코팅된 띠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오링(116) 및 테프론 링(117)을 장착한 제1 체크밸브체(100)를 제1 공간부(310)에 삽입하여 나사체결할 때의 상황을 살펴보면, 제1 공간부(3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연결통로(330)를 형성하여서 제1 공간부(310)와 연결통로(330) 사이의 연결점에 단턱이 형성되므로, 제1 체크밸브체(100)가 제1 공간부(310)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나사체결됨에 따라 단턱을 향해 전진하게 되는, 이때 단턱에 오링(116)이 눌리게 된다. 그러면, 오링(116)은 처음에는 제1 체크밸브체(100)와 같이 회전하다가 단턱에 눌리면서 회전량이 점차 적어지고 대신에 상기 테프론 링(117)만 제1 체크밸브체(100)와 같이 회전한다. 이는 테프론 링(117)이 마찰계수가 적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오링(116)의 흠집을 최소화하여서 제1 체크밸브체(100)를 회전시켜 장착하더라도 오링의 밀폐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 밸브장치에서 제1 체크밸브체(100)의 포핏헤드(121)는 끝단을 반지름방향으로 절삭하여 평탄하게 형성하여서, 끝단 부분을 원뿔대 모양(테이퍼, taper)을 갖추게 한다. 이에 따라, 포핏헤드(121)는 밸브시트(111)의 통로를 막았을 때에 연결통로(330)를 향해 돌출되지 아니하게 함은 물론이고 유입포트(331) 및 연결통로(330)를 경유하여 압송되는 유체를 포핏헤드(121)의 평탄한 끝단면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받으면서 눌려진다. 다시 말해서, 연결통로(330)에서 유입포트(331)에 연결되는 통공과 제1 공간부(310)에서 토출포트(311)에 연결되는 통공이 치우쳐 있어서 꺾인 경로를 형성하는 데, 종래 유압조절 밸브장치는 포핏헤드의 끝단을 연결통로(330)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갖춤에 따라 꺾인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받은 압력이 만곡된 페이퍼부의 끝단면에 불균일하게 가해졌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압을 받는 포핏헤드(121)의 끝단을 평탄하게 형성하여서 받는 압력을 끝단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키며,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123)에 의해 탄지되는 포핏헤드(121)의 전후 이동도 치우침 없이 원활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유압펌프 2 : 압력기 3 : 리저버 탱크
10 : 제1 체크밸브 11 : 오링 20 : 제2 체크밸브
30 : 하우징 31 : 유입포트 32 : 토출포트
33 : 벤트포트 34 : 제1 공간부 35 : 제2 공간부
36 : 마감볼트
100 : 제1 체크밸브체 110 : 밸브몸체 111 : 밸브시트
112 : 측면관통구 113 : 렌치 삽입부 114 : 수나사
115, 115' : 단턱 116, 116' : 오링 117 : 테프론 링
120 : 포핏 121 : 포핏헤드 122 : 가이드부
123 : 압축스프링
200 : 제2 체크밸브체 210 : 포핏
300 : 하우징 310 : 제1 공간부 311 : 토출포트
312 : 암나사 320 : 제2 공간부 321 : 벤트포트
330 : 연결통로 331 : 유입포트 340 : 우회통로
350 : 마감볼트

Claims (4)

  1. 원통형의 홈 형상으로 이루는 제1,2 공간부(310, 320)와 제1,2 공간부(310, 32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330)가 형성되고, 제1 공간부(310)의 개구부를 막기 위한 마감볼트(350)를 구비하는 한편, 제1 공간부(310)에 연통되는 토출포트(311), 제2 공간부(320)에 연통되는 벤트포트(321) 및 연결통로(330)에 연통되는 유입포트(331)를 구비하고, 제1 공간부(310)와 제2 공간부(320)를 연결하는 우회통로(340)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1 공간부(310)에 수용되고 상기 마감볼트(350)를 상기 제1 공간부(310)의 개구부를 막아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유입포트(331)로 주입되는 유체를 단속하며 토출포트(311) 및 우회통로(340)로 흘러가게 하는 역류방지용 포핏(120)를 구비하는 제1 체크밸브체(100);
    상기 제2 공간부(320)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우회통로(340)를 통해 가해지는 유체의 유압이 미리 셋팅된 범위의 유압을 초과하면 상기 유입포트(331)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벤트포트(321)로 흘러가게 하는 제2 체크밸브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330)를 향해 개구된 밸브시트와 측면에 관통형성된 측면관통구를 구비하여 밸브시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측면관통구를 통해 토출포트(311) 및 우회통로(340)로 흘러가게 하며, 수나사(114)가 외주면에 조성되고 렌치(wrench)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는 렌치 삽입부(113)가 밸브시트에 반대되는 방향의 개구부 내주면에 조성된 밸브몸체(110);
    상기 밸브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내장되고, 상기 밸브시트를 향해 탄지시킨 포핏헤드를 구비하되, 상기 포핏헤드의 관경은 상기 밸브시트의 개구를 향하며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포핏(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310)를 이루는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체크밸브체(100)의 밸브몸체(110)에 조성된 수나사(114)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암나사(312)가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11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 중에 상기 연결통로(330)를 향하는 단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단턱(115)이 형성되고, 단턱(115)에는 먼저 끼워지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테프론 링(117)와 나중에 끼워지는 오링(11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삽입부(113)는,
    육각렌치를 끼울 수 있는 육각형 관통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핏헤드는,
    끝단이 평탄한 테이퍼 모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조절 밸브장치.
KR1020110119028A 2011-11-15 2011-11-15 유압조절 밸브장치 KR10111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28A KR101115355B1 (ko) 2011-11-15 2011-11-15 유압조절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28A KR101115355B1 (ko) 2011-11-15 2011-11-15 유압조절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355B1 true KR101115355B1 (ko) 2012-03-06

Family

ID=4614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028A KR101115355B1 (ko) 2011-11-15 2011-11-15 유압조절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566U (ja) 1984-05-10 1985-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制御弁
JP2002531793A (ja) 1998-12-09 2002-09-24 マンネマン レクスロ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油圧式方向制御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566U (ja) 1984-05-10 1985-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制御弁
JP2002531793A (ja) 1998-12-09 2002-09-24 マンネマン レクスロ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油圧式方向制御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546B1 (ko) 재료 공급 장치
WO2009128176A1 (ja) 燃料供給装置
CN105960531B (zh) 可变排量润滑剂泵
JP5049390B2 (ja) 安全弁及び安全弁を有する高圧ポンプ
CN103016427B (zh) 液压蓄能器
JP5282195B2 (ja) 流体圧機器
JP2016003007A (ja) 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のスリップ制御装置のための液圧ユニット
HU192333B (en) Check valve controllable hydraulically for the working cylinders of frame sets
EP1407177B1 (en) Reciprocating piston pump adjustable inlet ball travel
KR101115355B1 (ko) 유압조절 밸브장치
JP2005140324A (ja) 複式逆止め逃がし弁
KR200412969Y1 (ko) 릴리프밸브장치
JP5598706B2 (ja) リリーフバルブ
KR20070050524A (ko) 선형제어가 가능한 수격방지용 체크밸브
DE602006015631D1 (ko)
US20110062702A1 (en) Hose manifold with integrated filtration and shut-off check valves
JP2007146669A (ja) 燃料供給圧力調整装置
US20080149204A1 (en) Piston valve
JP2009008183A (ja) 調圧弁
JP6655928B2 (ja) リリーフ弁
CN111706739A (zh) 一种分频组合压力脉动衰减装置及方法
KR101238758B1 (ko) 외장형 연료 펌프에 장착되는 연료 이송용 밸브
JPH1130351A (ja) 水圧リリーフ弁
KR200276992Y1 (ko) 수충격 완화장치
KR20180073142A (ko) 차량 유압시스템의 축압기 피크 압력 저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유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