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065B1 -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065B1
KR101115065B1 KR1020090082155A KR20090082155A KR101115065B1 KR 101115065 B1 KR101115065 B1 KR 101115065B1 KR 1020090082155 A KR1020090082155 A KR 1020090082155A KR 20090082155 A KR20090082155 A KR 20090082155A KR 101115065 B1 KR101115065 B1 KR 10111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oring
wedge
fixing mean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247A (ko
Inventor
김순호
Original Assignee
김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9321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1506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호 filed Critical 김순호
Priority to KR102009008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0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 E04F2015/0206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장이나 강당, 무대와 같은 마루 바닥 시공 시 이용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나 스프링 작용, 볼의 반탄율이 우수한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는 바닥층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플로어링층을 갖는 플로어링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링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바닥층 전면에 바닥층 상측으로의 방습을 위해 형성된 방습층; 방습층 상에 플로어링층의 높이 조절이나 바닥층의 불균일을 해결하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쐐기수단; 각각의 쐐기수단 상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수단; 고정수단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고정수단에 안치되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수단과 결합되는 쿠션 및 접착수단; 쿠션 및 접착수단 상에 접착되어 형성되며, 일정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외줄장선층; 외줄장선층을 포함한 플로어링 전면상에 형성되는 합판층; 및, 합판층 전면에 형성되는 플로어링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속도가 빠른 경기나 에어로빅, 체조 등 다목적 홀에 적합한 플로어링을 제공할 제공할 수 있다.
플로어링, 외줄장선, 반탄율

Description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structure for flooring single line underfloor support bea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본 발명은 실내 경기장이나 강당, 무대와 같은 마루 바닥 시공 시 이용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나 스프링 작용, 볼의 반탄율(Ball reflection)이 우수한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경기장이나 다목적 강당 등의 플로어링 시스템에는 원목이나 일반 합판 또는 가공합판이 주로 사용된다.
목재의 장점은 적절한 환경 조건만 되면 썩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재는 습기가 닿지 않도록 보존하게 되면 부패가 일어나지 않아 사실상 무한정 보존될 수 있는 재료이다. 팔만대장경의 보존상태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플로어링으로 사용되는 원목이나 합판은 바닥에 바로 설치한다. 하지만, 실내 경기장의 플로어링은 그 하부의 콘크리트층이 완전 건조가 이루어지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한 상태에서 시공된다. 따라서, 습기가 올라오게 되면 플로어링층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자재가 썩는 문제가 발 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대비하여 콘크리트층상에 다양한 종류의 방습층을 형성하여 시공하고 있다.
특히, 실내운동장의 플로어링층은 충격흡수나 스프링 작용, 볼의 반탄율(Ball reflection)이 우수하여야 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 및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플로어링 구조나 시공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 중이다.
본 발명은 속도가 빠른 경기나 에어로빅, 체조 등 다목적 홀에 적합한 플로어링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와 스프링 작용 및 볼의 반탄율이 우수한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층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플로어링층을 갖는 플로어링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링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바닥층 전면에 바닥층 상측으로의 방습을 위해 형성된 방습층; 방습층 상에 플로어링층의 높이 조절이나 바닥층의 불균일을 해결하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쐐기수단; 각각의 쐐기수단 상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수단; 고정수단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고정수단에 안치되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수단과 결합되는 쿠션 및 접착수단; 쿠션 및 접착수단 상에 접착되어 형성되며, 일정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외줄장선층; 외줄장선층을 포함한 플로어링 전면상에 형성되는 합판층; 및, 합판층 전면에 형성되는 플로어링층;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쐐기수단은 길이가 긴 두 변에 나머지 한 변 방향으로 향하는 톱니 치형 들이 형성된 이등변삼각형이나, 직삼각형 형태의 쐐기 수단이 좌우가 대향되 어 설치되는 하부 쐐기부재와 상부 쐐기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쐐기수단은 평면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어 외줄장선 수단이 설치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수단은 하부의 쐐기수단과 태커(tacker)에 의해 직접적인 시침식으로 고정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수단은 하부 양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더 구성되거나, 고정수단의 내주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기울기를 갖는 다수의 유도부재와, 하부 양측으로 결합편이 더 구성되거나, 고정수단의 내주면 사방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편을 갖도록 구성된 것 중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쐐기수단과 고정 수단은 합성수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쿠션 및 접착 수단은 고정수단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결합층과, 쿠션이 있는 탄성층과, 접착성분이 있는 접착층이 차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층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탄성층은 고무나 합성수지에 의한 스펀지이거나, 에틸렌 혼성 중합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줄장선층은 5 내지 11 겹의 전나무로 20T 내지 24T 두께로 구성되고, 합판층은 10T 내지 14T 두께로 구성되며, 플로어링층은 18T 내지 26T 두께의 압축건조된 너도밤나무 목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로어링층은 일측면에 결합돌기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이중맞춤 홈이 구성된 제 1 플로어링 부재와, 제 1 플로어링 부재의 이중맞춤 홈에 결합되는 이중맞춤 돌기와 제 1 플로어링 부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성된 제 2 플로어링 부재가 교번되어 외줄장선층과 교차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층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플로어링층을 갖는 플로어링 시공 방법에 있어서, 플로어링층을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층 전면에 바닥층에서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층을 설치하는 단계; 방습층 상에 플로어링층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바닥층의 불균일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쐐기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쐐기수단 각각의 상층부 소정영역에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고장돌기를 갖는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고정수단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고정수단에 고정수단의 최상층부보다 높은 높이의 쿠션 및 접착 수단을 안치하는 단계; 쿠션 및 접착 수단상에 일방향으로 일 정간격을 갖는 외줄장선층을 접착 설치하는 단계; 외줄장선층상측을 포함한 플로어링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전면에 합판층을 설치하는 단계; 및, 합판층 전면에 플로어링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쐐기수단을 설치하는 단계는, 길이가 긴 두 변에 나머지 한 변 방향으로 향하는 톱니 치형 들이 형성된 이등변삼각형이나, 직삼각형 형태의 쐐기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쐐기부재 중 하나를 방습층상에 하부 쐐기부재로 설치하는 단계와. 하부 쐐기부재와 좌우가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쐐기부재를 하부 쐐기부재상에 상부 쐐기부재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쐐기수단과 고정수단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태커(tacker)에 의해 직접적인 시침식으로 고정되어 설치하고, 외줄장선층과 합판층은 피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합판층과 플로어링층은 태커(tacker)에 의한 시침식으로 고정되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쿠션 및 접착 수단상에 외줄장선층을 접착 설치하는 단계는, 고정수단에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 형상의 결합층, 탄성을 갖는 탄성층, 접착성분을 갖는 접착층 및 이형지로 구성된 쿠션 및 접착 수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고정수단의 개방된 상부에 쿠션 및 접착 수단을 안치하고, 고정수단의 고정돌기에 결합층을 결합 시키는 단계와, 이형지를 제거하여 접착층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노출된 접착층상에 외줄장선층을 접착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로어링층은 일측면에 결합돌기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이중맞춤 홈이 구성된 제 1 플로어링 부재와, 일측면에 제 1 플로어링 부재의 이중맞춤 홈에 결합되는 이중맞춤 돌기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제 1 플로어링 부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성된 제 2 플로어링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 1, 제 2 플로어링 부재를 합판층상에 교번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농구와 같이 속도가 빠른 경기나 에어로빅, 체조 등 다목적 홀에 적합한 플로어링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별도의 쿠션재와 쿠션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층을 이용함으로써 충격흡수나 스프링 작용, 볼의 반탄율을 향상할 수 있다.
셋째, 쿠션 및 접착 수단을 탄성층, 접착층 및 이형지로 구성하여 쿠션 및 접착 수단상에 외줄장선층을 설치할 때 접착층 상부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외줄장선층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부착 방법이 단순하여 플로어링 공사를 간단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B-B'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C-C'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외주장선 플로어링의 D-D' 선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에서 사용되는 쐐기수단의 제 1 내지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에서 사용되는 고정수단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에서 사용되는 쿠션 및 접착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은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콘크리트층과 같은 바닥층(10) 전면에 바닥층(10)에서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층(20)이 형성된다. 이때, 방습층(20)은 폴리에틸렌(P.E) 필름, ASP, 펠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 방습층(20) 상에 플로어링층(80)의 높이 조절이나 바닥층의 불균일을 해결하기 위한 쐐기수단(30)이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쐐기수단(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등변삼각형이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삼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길이가 긴 두 변에는 나머지 한 변 방향으로 향하는 톱니 치형(33) 들이 형성된다.
한편, 쐐기수단(30)은 좌우가 대향되어 설치되는 하부 쐐기부재(31)와 상부 쐐기부재(32)로 설치 구성된다. 이때, 이등변삼각형 형태로 쐐기수단(30)을 구성한 경우 하부에 위치한 쐐기수단(30)이 하부 쐐기부재(31)가 되고, 상부에 위치한 쐐기수단(30)이 상부 쐐기부재(32)가 된다. 그리고, 하부 쐐기부재(31)와 상부 쐐기부재(32)는 좌우가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하부 쐐기부재(31)의 상부에 형성된 톱니 치형(33)들과 상부 쐐기부재(32)의 하부에 형성된 톱니 치형(33)들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쐐기부재(32)에 무거운 물체가 놓이는 경우 서로 분리되지 않을 뿐 아니라 쐐기수단간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쐐 기수단(30) 역시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쐐기수단(30)은 평면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는데, 외줄장선 수단(60)이 설치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쐐기수단(30)이 놓이는 위치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평면적으로 쐐기수단(30) 간에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쐐기수단(30) 각각의 상층부 소정영역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및 접착 수단(50)을 안치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는 쿠션 및 접착 수단(5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41)가 형성된 고정수단(40)이 설치된다. 이때, 고정수단(40)은 하부의 쐐기수단(30)과 태커(tacker)에 의해 직접적인 시침식으로 고정된다. 한편, 고정수단(40)은 쐐기수단(30)과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무독성의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40)의 하부 양측에는 결합공(42)이 형성된 결합편(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공(42)을 통해서도 하부의 쐐기수단(30)과 시침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40)의 제 1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결합공(42)이 형성된 결합편(43)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정수단(40)의 제 2 실시예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고정돌기(41)와 다수의 유도부재(44)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으로 결 합편(43)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도부재(44)는 쿠션 및 접착 수단(50)이 고정수단(40)으로 안치될 때 고정수단(40)의 중앙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내주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수단(40)의 제 3 실시예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수단(40)의 내주면 사방에 고정돌기(41)(45)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결합공(42)이 형성된 결합편(43)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쐐기수단(30)과 고정 수단(40)은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수단(4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고정수단(40)의 상층부보다 높은 높이의 쿠션 및 접착 수단(50)이 안치된다.
여기서, 쿠션 및 접착 수단(50)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돌기(41)에 의해 고정 수단(40)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결합층(51)과 쿠션이 있는 탄성층(52), 접착층(53) 및 이형지(54)가 차례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층(51)은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탄성층(52)과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탄성층(52)은 고무나 합성수지에 의한 스펀지이거나, 에틸렌 혼성 중합체로 구성할 수 있다. 에틸렌 혼성중합체(Ethylene Co-polymer)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EVA(Ethylene-Vinyl Acetate)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층(53) 역시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다.
EVA는 유연성(부드러움), 내충격성(충격흠수성), 질감성, 단열성, 보온성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EVA는 생활 에서 가장 접하기 쉬운 제품 중 한가지가 바로 신발류인데, EVA는 신발 밑창(Shoe Sole)의 충격흡수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켜 신발의 기능화와 고급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EVA는 경도와 발포를 달리하여 여러 종류의 EVA 시트(Sheet) 생산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예로는 각종 제품 케이스 내부 완충재 및 고급 포장재, 각종 어린이 장난감 및 용품, 각종 스포츠, 레져 용품의 보호구 및 안전용품, 가방 성형용 및 낚싯대 등의 각종 손잡이가 있다. 또한, 학교나 기업체 및 유치원등에서 학습 재료, 산업용 및 공업용 기자재, 보완재,모자 및 의류의 자수용 보충재, 의류 및 가방 등의 잡화, 방음재, 단열재 및 층간 차음재 등의 건축재료 등이 있다. 그리고, 자동차 내부 용품 및 충격 완화용 제품, 체육관 및 바닥 쿠션재로 사용되는 매트와 같은 제품들로 가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범위가 계속 광범위하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접착층(53)은 일측에 이형지(54)가 형성된 점착 테이프로 구성하여, 외줄장선층(60)과 접착 시 이형지(54)를 제거한 후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쿠션 및 접착 수단(50)의 상부에는 쿠션 및 접착 수단(50)의 접착층(53)과 결합되는 외줄장선층(60)이 일측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갖고 형성된다. 여기서, 외줄장선층(60)은 목재 여러 겹을 압축 가공한 것으로, 외줄장선층(60)으로 가해지는 압축이나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킨다. 외줄장선층(60)은 5 내지 11 겹의 전나무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두께는 20T(mm) 내지 24 T(mm)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복수개의 쿠션 및 접착 수단(50)들이 서로 엑스(X)자(또는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쿠션 및 접착 수단(50)의 배치 형태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외줄장선층(60)을 포함한 전면상에 합판층(70)이 형성되고, 합판층(70)상에 플로어링층(80)이 형성된다. 이때, 외줄장선층(60)과 합판층(70)은 피스를 이용해 고정하고, 합판층(70)과 플로어링층(80)은 30°내지 60°로 태커(tacker) 못에 의한 시침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합판층(70)은 10T 내지 14T 두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플로어링층(80)은 18 내지 26T 두께의 압축건조된 너도밤나무 목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플로어링층(80)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줄장선층(60)과 교차하는 다수의 플로어링 부재(81)(82)(83)(84)로 구성된다. 이때, 플로어링 부재는 일측면에 결합돌기(80a)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이중맞춤 홈(80b)이 구성된 제 1 플로어링 부재(81)(83)와, 이중맞춤 홈(80b)에 결합되는 이중맞춤 돌기(80c)와 결합돌기(80a)와 결합되는 결합홈(80d)이 구성된 제 2 플로어링 부재(82)(84)가 교번되어 설치된다.
도 12a 내지 도 12i는 도 4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순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i는 도 5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 링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 시공 방법은 우선, 도 12a 및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과 같은 바닥층(10) 전면에 바닥층(10)에서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층(20)을 형성한다. 이때, 방습층(20)은 폴리에틸렌(P.E) 필름, ASP, 펠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 도 12b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습층(20) 상에 플로어링층(80)의 높이 조절이나 바닥층(10)의 불균일을 해결하기 위한 쐐기수단(30)을 형성한다. 이때, 쐐기수단(30)은 도 6에 나타낸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쐐기수단이거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삼각형 형태의 쐐기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쐐기수단은 좌우가 대향되는 하부 쐐기부재(31)와 상부 쐐기부재(32)가 차례로 적층되어 하나의 쐐기수단(30)을 구성한다. 이때, 하부 쐐기부재(31)의 상부에 형성된 톱니 치형(33)들과 상부 쐐기부재(32)의 하부에 형성된 톱니 치형(33)들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쐐기부재(32)에 무거운 물체가 놓이는 경우 상부 쐐기부재(32)와 하부 쐐기부재(31)간의 밀착력이 더욱 강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2c 및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수단(30)의 상층부 소정영역에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고정수단(40) 중 하나의 고정수단(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수단(40)은 하부의 쐐기수단(30)과 태커에 의해 직접적인 시침식으로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친환경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 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 다음, 도 12d 및 도 13d와 도 12e 및 도 1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수단(40)에 고정수단(40)의 최상층부보다 높은 높이의 쿠션 및 접착 수단(50)을 안치한다. 이때, 쿠션 및 접착 수단(50)은 결합층(51), 탄성층(52), 접착층(53) 및 이형지(54)로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층(51)은 합성수지제로 구성되며, 탄성층(52)은 고무나 합성수지에 의한 스펀지이거나, 에틸렌 혼성 중합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53)은 일측에 이형지(54)가 형성된 점착 테이프로 구성한다.
이어, 쿠션 및 접착 수단(50)의 이형지(54)는 고정수단(40)에 안치된 후 도 12e 및 도 1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된다.
그리고, 도 12f 및 도 13f와 도 12g 및 도 1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형지(54)가 제거된 쿠션 및 접착 수단(50)의 상측으로 외줄장선층(60)이 형성된다. 이때, 외줄장선층(60)은 접착층(53)에 의해 쿠션 및 접착 수단(50)에 접착된다.
그 다음, 도 12h 및 도 13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줄장선층(60)을 포함한 전면상에 합판층(70)을 형성한다. 이때, 외줄장선층(60)과 합판층(70)은 피스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 도 12i 및 도 13i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판층(70)상에 마루로 이용할 플로어링층(80)을 형성한다. 여기서, 플로어링층(80)은 일측면에 결합돌기(80a)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이중맞춤 홈(80b)이 구성된 제 1 플로어링 부재와, 이중맞춤 홈(80b)에 결합되는 이중맞춤 돌기(80c)와 결합돌기(80a)와 결합되는 결합홈(80d)이 구성된 제 2 플로어링 부재를 교번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합판층(70)과 플로어링층(80)은 30°내지 60°로 태커(tacker) 못에 의한 시침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B-B'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C-C'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외주장선 플로어링의 D-D' 선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에서 사용되는 쐐기수단의 제 1 내지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에서 사용되는 고정수단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장선 플로어링에서 사용되는 쿠션 및 접착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i는 도 4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순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i는 도 5에 나타낸 외줄장선 플로어링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층 20 : 방습층
30 : 쐐기수단 31, 32 : 쐐기부재
33 : 톱니 치형 40 : 고정수단
41, 45 : 고정돌기 42 : 결합공
43 : 결합편 44 : 유도 부재
50 : 쿠션 및 접착 수단 51 : 결합층
52 : 쿠션층 53 : 접착층
54 : 이형지 60 : 외줄장선층
70 : 합판층 80 : 플로어링층

Claims (15)

  1. 바닥층(1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플로어링층(80)을 갖는 플로어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링층(80)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바닥층(10) 전면에 바닥층(10) 상측으로의 방습을 위해 형성된 방습층(20);
    상기 방습층(20) 상에 상기 플로어링층(80)의 높이 조절이나 바닥층의 불균일을 해결하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쐐기수단(30);
    상기 각각의 쐐기수단(30) 상에 형성되는 고정수단(40)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결합공(42)이 형성된 결합편(4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4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40)에 안치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의 고정돌기(41)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결합층(51)과, 쿠션이 있는 탄성층(52)과, 접착성분이 있는 접착층(53)이 차례로 형성된 쿠션 및 접착수단(50);
    상기 쿠션 및 접착수단(50) 상에 접착되어 형성되며, 5 내지 11 겹의 전나무로 20T 내지 24T 두께로 구성되고, 상기 플로어링층(80)은 18 내지 26T 두께의 압축건조된 너도밤나무 목재로 구성되는 외줄장선층(60);
    상기 외줄장선층(60)을 포함한 플로어링 전면상에 10T 내지 14T 두께로 형성되는 합판층(70); 및,
    상기 합판층(70)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플로어링층(8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수단(30)은 길이가 긴 두 변에 나머지 한 변 방향으로 향하는 톱니 치형(33) 들이 형성된 이등변삼각형이나, 직삼각형 형태의 쐐기 수단(30)이 좌우가 대향되어 설치되는 하부 쐐기부재(31)와 상부 쐐기부재(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수단(30)은 평면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어 상기 외줄장선 수단(60)이 설치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하부의 쐐기수단(30)과 태커(tacker)에 의해 직접적인 시침식으로 고정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수단(30)과 고정 수단(40)은 합성수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51)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층(52)은 고무나 합성수지에 의한 스펀지이거나, 에틸렌 혼성 중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링층(80)은 일측면에 결합돌기(80a)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이중맞춤 홈(80b)이 구성된 제 1 플로어링 부재와,
    상기 제 1 플로어링 부재의 이중맞춤 홈(80b)에 결합되는 이중맞춤 돌기(80c)와 상기 제 1 플로어링 부재의 결합돌기(80a)와 결합되는 결합홈(80d)이 구성된 제 2 플로어링 부재가 교번되어 상기 외줄장선층(60)과 교차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082155A 2009-09-01 2009-09-01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11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55A KR101115065B1 (ko) 2009-09-01 2009-09-01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55A KR101115065B1 (ko) 2009-09-01 2009-09-01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47A KR20110024247A (ko) 2011-03-09
KR101115065B1 true KR101115065B1 (ko) 2012-02-27

Family

ID=4393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55A KR101115065B1 (ko) 2009-09-01 2009-09-01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220168A1 (en) * 2019-08-23 2021-03-11 Klevaklip Systems Pt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ck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685Y1 (ko) * 1989-09-22 1994-07-16 니혼 켄코오 가부시키가이샤 프리액써스(free-access) 마루구조
KR100394902B1 (ko) * 2001-03-30 2003-08-19 (주) 성록 실내경기장용 바닥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레벨쿠션 조절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685Y1 (ko) * 1989-09-22 1994-07-16 니혼 켄코오 가부시키가이샤 프리액써스(free-access) 마루구조
KR100394902B1 (ko) * 2001-03-30 2003-08-19 (주) 성록 실내경기장용 바닥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레벨쿠션 조절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47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0283C (zh) 弹性地板面层
KR101109629B1 (ko) 쿠션매트
KR101115065B1 (ko) 외줄장선 플로어링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460239B1 (ko) 층간 소음방지용 매트
JP6468717B2 (ja) 床材
JP5188341B2 (ja) 無垢遮音床材
JP2015203203A (ja) 床材
KR200443146Y1 (ko) 마루 구조
JPS6378961A (ja) 制振複合床材
JP2001065166A (ja) 防音性を有する内装材
JP6376816B2 (ja) 床材
JPH055356A (ja) 防音緩衝材およびこれを有する木質系防音床材
JPH0254058A (ja) 木質防音床材および床下地用部材
JP3021365B2 (ja) 遮音床板
JP2872732B2 (ja) 木質防音床材および防音用下地材
JPH02261154A (ja) 防音床材
ES2955688T3 (es) Capa base para pisos
JP5950381B2 (ja) 床材
KR101653326B1 (ko) 소음 충격 차단성을 지닌 스포츠 플로어
JP6600921B1 (ja)
JP5649606B2 (ja) 置敷き床材
JP2017115365A (ja) 床材
JP3213070U (ja) 床敷き断熱ボード
JP2017115366A (ja) 床材
JPH0213655A (ja) 衝撃吸収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331

Effective date: 2014111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616

Effective date: 201411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331

Effective date: 201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