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566B1 -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 Google Patents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566B1
KR101114566B1 KR1020090038295A KR20090038295A KR101114566B1 KR 101114566 B1 KR101114566 B1 KR 101114566B1 KR 1020090038295 A KR1020090038295 A KR 1020090038295A KR 20090038295 A KR20090038295 A KR 20090038295A KR 101114566 B1 KR101114566 B1 KR 10111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hicle
closing device
frame
cre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269A (ko
Inventor
김우태
Original Assignee
후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5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1/00Funeral aspects of hearses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60J11/025Covers wound on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vehicle parts, e.g. for doors,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에 관한 것으로, 소각이 완료되어 흉하게 된 유골을 관망실에서 직접 관망할 수 없도록 대차운반차의 적재함을 커버링하는 커버장치를 제공하며, 그 커버장치를 통해 노내대차의 온도가 전실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화장이 완료되어 냉각전실의 입구를 빠져나오는 대차냉각차에 적재된 노내대차가 커버에 의해 은폐되게 되므로 관망실에서 유족들이 화장된 유골을 직접 육안으로 보지 않게 되므로 미관상 우수하고, 또한 유족들에게 2차적이 정신적 고통을 주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노내대차의 열을 전실홀로 발산시키지 않게 되므로 전실홀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장장 차량, 대차 운반차, 노내대차, 커버 개폐.

Description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CREMATORY VEHICLE WITH A COV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소각이 완료되어 흉하게 된 유골을 관망실에서 직접 관망할 수 없도록 대차운반차의 적재함을 커버링하는 커버장치를 제공하며, 그 커버장치를 통해 노내대차의 온도가 전실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장 시스템은 사체를 화장하여 유골상태로 만든 다음, 수골실에서 유골을 분쇄하여 유골을 분말 상태로 수거함으로써, 유골함에 분말상태의 유골을 수용하여 안치하여 장례 절차를 마무리하는 시스템을 갖춘다.
보다 상세하게, 화장장 시스템은 사체의 운반부터 유골함이 유족의 손에 넘겨질 때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인 바, 그 화장장 시스템에는 사체관을 버스에서 넘겨받아 화장로로 이동시키는 관운반차와; 화장이 완료된 노내대차를 수골실로 이동시키는 대차운반차를 이용하여 화장이 완료되어 유골이 상부에 소각된 상태로 위치되는 노내대차를 수골실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화장로는 냉각전실의 내부에 구성되어져 있으며, 복도 형태로 이루어진 전실홀을 사이에 두고, 유족들이 냉각전실을 바라볼 수 있게 관망실이 구성되는 바, 그 관망실은 보통 2층에 구성되어 아래로 보이는 전실홀과, 냉각전실을 관망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즉, 고별실에서 망자와 고별한 유족들은 관망실로 이동하여, 관이 들어간 냉각전실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화장이 이루어져 소각된 유골은 노내대차에 실려진 상태로, 대차 운반차에 의해 냉각전실의 입구를 통해 전실홀로 나오게 되고, 유족들은 관망실에서 소각된 유골을 실은 대차운반차를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때 종래의 대차운반차는 적재함에 적재한 노내대차를 덮을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전무하므로, 화장이 완료되어 냉각전실의 입구로 진출하는 이미 소각된 유골을 직접 관망하게 되므로 유족들에게 2차적인 슬픔을 안겨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각전실에서 어느 정도 노내대차 및 유골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진다고 하여도 기본적으로 노내대차가 200도 이상의 고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실홀로 나오게 되므로 전실홀의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각이 완료되어 흉하게 된 유골을 관망실에서 직접 관망할 수 없도록 대차운반차의 적재함 을 커버링하는 커버장치를 제공하며, 그 커버장치를 통해 노내대차의 온도가 전실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륜이 그 하단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어져 있으며, 그 상면에 노내대차를 적재하는 적재부가 구비된 차량 프레임과; 그 차량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하단에 구동륜이 구비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화장장의 노내대차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프레임에 구비된 적재함을 커버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적재함 상부 및 후방면,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이송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일정길이 이동시켜 적재함을 개폐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유골의 적재시 커버부를 구동시켜 적재함을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프레임은 그 후방 상단 및 후방 하단, 바닥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롤러가 각각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프레임은 그 적재함 양측벽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이 구성되며, 그 상부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프레임은 그 후방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텐션롤러가 롤러브라켓에 의해 장착되며,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텐션롤러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차량 프레임의 적재함을 덮을 수 있게 적재함의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덮개판과; 상기 다수개의 덮개판을 각각 연결하기 위해, 그 덮개판 측면에 구성된 연결대와; 상기 덮개판의 측면 소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대와 결합되는 힌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그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와이어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그 와이어는 상기 구동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전후단에 각각 결합된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 1, 2 풀리와; 상기 제 1, 2 풀리의 중앙 외주연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축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베어링이 더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어링을 내삽시키고,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판은 그 하면에 내열코팅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풀리는 그 외측벽에 수동 조작핸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에 정역 회전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작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은 화장이 완료되어 냉각전실의 입구를 빠져나오는 대차냉각차에 적재된 노내대차가 커버에 의해 은폐되게 되므로 관망실에서 유족들이 화장된 유골을 직접 육안으로 보지 않게 되므로 미관상 우수하고, 또한 유족들에게 2차적이 정신적 고통을 주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노내대차의 열을 전실홀로 발산시키지 않게 되므로 전실홀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30)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2)은 소각이 완료되어 흉하게 된 유골을 관망실에서 직접 관망할 수 없도록 대차운반차의 적재함을 커버링하는 커버장치를 제공하며, 그 커버장치를 통해 노내대차의 온도가 전실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30)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2)은 노내대차(22)를 적재함에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대차운반차로서, 차량(2)은 하부 프레임(4)과 상부프레임(6)으로 구성되는 바, 상부프레임(6)의 내부에는 노내대차(22)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6)의 전방에는 전방프레임(8)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하단 중앙과 상기 전방프레임(8)의 하단에는 각각 차륜(10)이 장착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8)의 전면에는 주행부(12)가 구비되어진 바, 그 주행부(12)는 주행장치 몸체(14)의 상단에 구비되어 전진 후퇴의 교체조작 및 브레이크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핸들(16)이 구성되고, 그 주행장치 몸체(14)의 하단에는 지지브라켓(18)을 매개로 구동륜(20)이 결합되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30)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2)은 상기 상부 프레임(6)에 구비된 적재함을 커버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적재함 상부 및 후방면,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이송되는 커버부(5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부(50)를 일정길이 이동시켜 적재함을 개폐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70)로 이루어진 커버 개폐장치(30)가 구비되어, 유골의 적재시 커버 부를 구동시켜 적재함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량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6,4)은 그 후방 상단 및 후방 하단, 바닥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롤러(34)가 각각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5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차량 프레임 즉, 상부 프레임(6)은 그 적재함 양측벽 상단에 상기 커버부(5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32)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차량 프레임은 그 후방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텐션롤러(36)가 롤러브라켓(38)에 의해 장착되며, 내부에 탄성스프링(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텐션롤러(36)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구성되어져 있다.
이하, 상기 커버부(50)와 구동부(70)는 본 발명의 다른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에 포함된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에 포함된 커버부의 슬라이딩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6)의 적재함에 적재된 노내대차(22)를 덮어서 유족들이 흉하게 소각된 유골을 육안으로 볼 수 없게 하는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차량 프레임의 적재함을 덮을 수 있게 적재함의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덮개판(52)과; 상기 다수개의 덮개판(52)을 각각 연결하기 위해, 그 덮개판(52) 측면에 구성된 연결대(54)와; 상기 덮개판(52)의 측면 소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대(54)와 결합되는 힌지(5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부(50)는 그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와이어(40)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그 와이어(40)는 상기 구동부(70)에 각각 연결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덮개판(52)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로드(60)와; 상기 지지로드(6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베어링(62)이 더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32)는 상기 베어링(62)을 내삽시키고, 베어링(62)이 이탈되지 않게 절곡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은 그 커버부(50)가 다수개의 조각 형태의 덮개판(52)으로 구성되며, 각각 그 덮개판(52)들이 힌지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부(32) 또는 가이드롤러(34)를 따라 용이하게 각도 변형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50)는 블라인드 형태처럼 힌지(56)를 중심으로 가이드부(32)와 가이드롤러(34)를 따라 각각의 결합 상태가 유동적으로 변형되게 되므로,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50)는 상부 프레임(6)의 적재함을 덮을 수도 있고, 상부 프레임(6)과 하부 프레임(4)의 후단 또는 하부 프레임(4)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판(52)은 그 하면에 내열코팅막(59)이 더 형성되어 노내대차(22)로부터 발생된 열이 덮개판(52)의 내구성을 감소시키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내열코팅막(59)이란 세라믹 코팅막과 같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 막인 것을 좋겠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판(52)의 하부에는 지지로드(60)가 장착되 어져 있으며, 그 지지로드(60)의 양단에는 각각 베어링(62)이 결합되어져 있는 바, 그 베어링(62)의 구름운동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32)를 따라 덮개판(52)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구동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구동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8)의 상부에 박스 형태로 구성된 구동박스(72)의 내부에 구성되는 바,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커버부(50)의 전후단에 각각 결합된 와이어(40)가 권취되는 제 1, 2 풀리(82,84)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풀리(82,84)는 각각 축결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 1, 2 풀리(82,8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풀리(82)는 권취된 와이어(40)를 풀어내게 되고, 제 2 풀리(84)는 풀어진 와이어(40)를 권취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 1, 2 풀리(82,84)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풀리(82)는 풀어진 와이어(40)를 권취하게 되고, 제 2 풀리(84)는 권취된 와이어(40)를 풀어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2 풀리(82,84)의 중앙 외주연에 형성된 종동기어(80)가 축설되어져 있고, 상기 종동기어(80)와 치합된 구동기어(78)가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어(78)와 축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76)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제 1풀리(82)는 그 외측벽에 수동 조작핸들(86)이 더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76)에 정역 회전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작판(74: 도 1,2참조)이 더 구비되어져 있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76)는 정역 모터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30)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2)은 상기 커버부(50)에 포함된 덮개판(52)이 차량 프레임의 후단 및 하부 프레임(4)의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6)의 적재함이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이 완료되어 화장로(미도시)로부터 배출되는 노내대차(22)를 상기 상부 프레임(6)의 적재함에 적재한다.
노내대차(22)의 적재가 이루어지면, 그 상태에서 냉각전실의 냉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냉각처리를 수행하며, 노내대차(22)의 냉각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차량의 조작판(74)을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76)가 구동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76)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종동기어(8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종동기어(80)를 따라 상기 제 1, 2풀리(82,84)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제 1풀리(82)는 풀어진 와이어(40)를 권취하게 되고, 제 2 풀리(84)는 권취된 와이어(40)를 풀어내게 된다.
즉, 상기 제 1풀리(82)가 풀어진 와이어(40)를 권취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부(50)를 상부 프레임(6) 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그 커버부(50)는 상기 가이드롤러(34)를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6)의 상단 양내측에 각각 구성된 가이드부(32)에 삽입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상부 프레임(6)의 적재함을 완전히 덮게 된다.
따라서, 화장으로 인해 소각이 완료된 유골이 2층의 관망실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50)는 텐션롤러(36)에 의해 텐션력을 부여받게 되므로 상기 제 1, 2풀리(82,84)를 통해 와이어(40)가 권취 및 권취해제될 때, 그 텐션력으로 인해 커버부(50)의 덮개판(52)이 늘어지지 않으며, 견실하게 적재함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2)을 수골실로 이동시켜 노내대차(22)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차량의 조작판(74)을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76)가 구동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76)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종동기어(8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종동기어(80)를 따라 상기 제 1, 2풀리(82,84)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제 1풀리(82)는 권취된 와이어(40)를 풀어내게 되고, 제 2 풀리(84)는 풀어진 와이어(40)를 권취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풀리(82)가 풀어진 와이어(40)를 권취하게 됨으로써, 차량 프레임의 적재함을 덮고 있는 상기 커버부(50)가 상기 차량 프레임의 후부나 하부로 당겨지게 되고, 그 커버부(50)는 상기 가이드롤러(34)를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6)의 후부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부 프레임(6)의 적재함을 개방시키게 한다.
따라서, 수골함에서 작업자가 상기 상부 프레임(6)의 적재함에 적재된 노내대차(22)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에 포함된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에 포함된 커버부의 슬라이딩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의 구동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커버개폐장치, 32:가이드부,
34:가이드롤러, 36:텐션롤러,
40:와이어, 50:커버부,
52:덮개판, 54:연결대,
56:힌지, 59:내열코팅막,
70:구동부, 72:구동박스,
74:조작판, 76:구동모터,
78:구동기어, 80:종동기어,
82,84:제1,2풀리, 86:수동조작핸들.

Claims (12)

  1. 차륜이 차량프레임의 하단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어져 있으며, 차량프레임의 상면에 노내대차를 적재하는 적재부가 구비된 차량 프레임과; 상기 차량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하단에 구동륜이 구비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화장장의 노내대차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프레임에 구비된 적재함을 커버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적재함 상부 및 후방면,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이송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일정길이 이동시켜 적재함을 개폐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유골의 적재시 커버부를 구동시켜 적재함을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프레임은 후방 상단 및 후방 하단, 바닥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롤러가 각각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프레임은 적재함 양측벽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프레임은 후방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텐션롤러가 롤러브라켓에 의해 장착되며,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텐션롤러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차량 프레임의 적재함을 덮을 수 있게 적재함의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덮개판과;
    상기 다수개의 덮개판을 각각 연결하기 위해, 상기 덮개판의 측면에 구성된 연결대와;
    상기 덮개판의 측면 소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대와 결합되는 힌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와이어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전후단에 각각 결합된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 1, 2 풀리와;
    상기 제 1, 2 풀리의 중앙 외주연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축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8. 제 5항에 있어서, 덮개판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로드와;
    지지로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베어링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하면에 내열코팅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풀리는 외측벽에 수동 조작핸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정역 회전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작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개 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KR1020090038295A 2009-04-30 2009-04-30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KR10111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95A KR101114566B1 (ko) 2009-04-30 2009-04-30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95A KR101114566B1 (ko) 2009-04-30 2009-04-30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69A KR20100119269A (ko) 2010-11-09
KR101114566B1 true KR101114566B1 (ko) 2012-02-27

Family

ID=4340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295A KR101114566B1 (ko) 2009-04-30 2009-04-30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5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656U (ko) * 1989-09-04 1991-04-23
KR19990038465A (ko) * 1997-11-05 1999-06-05 노정진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개폐 장치
KR19990044798A (ko) * 1998-08-20 1999-06-25 오문근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개폐장치
KR20000017916A (ko) * 1999-12-29 2000-04-06 원영상 화장로의 시체관 운반용 전동주행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656U (ko) * 1989-09-04 1991-04-23
KR19990038465A (ko) * 1997-11-05 1999-06-05 노정진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개폐 장치
KR19990044798A (ko) * 1998-08-20 1999-06-25 오문근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개폐장치
KR20000017916A (ko) * 1999-12-29 2000-04-06 원영상 화장로의 시체관 운반용 전동주행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69A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74205A1 (en) Funeral car
JP6697933B2 (ja) プラグドア装置
KR101114566B1 (ko) 커버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장 차량
CN108202586A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隐藏滑动车门总成
JPWO2005070790A1 (ja) コンテナ
JP2007039997A (ja) ドア等開閉アシスト装置
KR0132706B1 (ko) 공해방지형 화장로의 구조
JP2001327538A (ja) 車椅子用乗降補助装置
ES2648807T3 (es) Dispositivo de asistencia a la descarga de un remolque de transporte de tapiz que se puede enrollar
WO2005120422A1 (fr) Chariot chirurgical de type table roulante
JPS6324345Y2 (ko)
JP2011084260A (ja) 車椅子運搬用リャカー自転車
CN114041951B (zh) 一种重症医学科护理车
JPH0828833A (ja) 火葬設備における火葬台車移送装置
US557335A (en) Funeral carriage or car
JP3040790U (ja) ペット用火葬車
JP4001567B2 (ja) 霊柩車
KR200243034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로내대차운반장치
US928179A (en) Body for auto funeral-cars.
KR200195174Y1 (ko) 화장로의 시체관 운반용 전동주행대차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US10376436B2 (en) Conveyor mechanism with illuminated chamber for concealing coffin
JPH0262774B2 (ko)
JPH0349583B2 (ko)
JP3374312B2 (ja) 電車における車椅子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