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508B1 -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508B1
KR101113508B1 KR1020100042603A KR20100042603A KR101113508B1 KR 101113508 B1 KR101113508 B1 KR 101113508B1 KR 1020100042603 A KR1020100042603 A KR 1020100042603A KR 20100042603 A KR20100042603 A KR 20100042603A KR 101113508 B1 KR101113508 B1 KR 10111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converter
batter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130A (ko
Inventor
이태원
오동성
김진욱
문희성
고정민
김종수
원충연
이병국
최규영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508B1/ko
Priority to US12/899,938 priority patent/US8493020B2/en
Publication of KR2011012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 H02J3/44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with means for ensuring correct phase seque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10)와 연결되는 제1 DC/DC 컨버터(110), 계통(20)에 연결되는 DC/AC 인버터(120),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로부터의 출력단과 상기 DC/AC 인버터(120)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된 DC링크부(130), 상기 DC링크부(130)와 배터리(30)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DC/DC 변환 기능을 갖는 제2 DC/DC 컨버터(14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을 계산하고, 이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제2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제어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또는 태양 에너지 또는 배터리 전압을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PHOTOVOLTAIC PCS INTEGRATED BATTERY}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는 태양광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광 PCS와 배터리 충전기(Charger)를 결합하여, 태양 에너지 및/또는 계통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태양 에너지 또는 배터리 전압을 계통에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기술중 태양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PV 모듈, 전력변환장치 (PCS) 등의 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PV PCS 분야는 태양광 모듈의 전력을 최대의 효율로 계통에 전달할 수 있는 PCS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연료로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 연료로 2가지 이상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는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무공해 및 저비용 주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기 자동차의 보급은 기술적인 제한 요인이 존재하며, 이러한 기술적인 제한 요인중 대표적인 것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의 문제와 안정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Charger) 문제이다.
먼저, 배터리의 문제점에 있어서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대략 8시간 내외 정도 소모되며, 한번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잦은 충전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수명이 자동차의 사용시간에 비하여 현저히 짧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기존 배터리 충전장치는 친환경 에너지가 아닌 계통전압에만 의존하는 방식이므로, 친환경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을 안정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Charger)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태양광 PCS와 배터리 충전기(Charger)를 결합하여, 태양 에너지 및/또는 계통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태양 에너지 또는 배터리 전압을 계통에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태양전지로부터의 PV 전압을 제1 DC/DC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DC/DC 컨버터; 계통과 연결되어, 제2 DC/DC 제어에 따라 계통전압/직류전압 변환, 또는 직류전압/계통전압 변환을 수행하는 DC/AC 인버터; 상기 제1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단과 상기 DC/AC 인버터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DC/DC 컨버터로부터의 직류전압과 상기 DC/AC 인버터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DC링크부; 상기 DC링크부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제2 DC/DC 제어에 따라 양방향으로 전압을 변환하는 제2 DC/DC 컨버터; 상기 태양전지의 PV 전압/전류,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전류, 상기 계통의 계통전압/전류 및 상기 DC링크부의 DC링크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전류 검출부; 및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복수의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 제2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을 계산하고, 이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1 컨버터 제어기;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기; 및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2 컨버터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DC/DC 컨버터, 계통에 연결되는 DC/AC 인버터, 상기 제1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단과 상기 DC/AC 인버터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된 DC링크부, 상기 DC링크부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DC/DC 변환 기능을 갖는 제2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노드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 배터리 전압/전류, 계통전압/전류 및 DC링크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 단계;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단계;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단계; 및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3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방법은,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4 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상기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으면 제1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지 않으면 제2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이 없으면 제3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4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 DC링크 전압 및 PWM 컨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류 충전 및 전류 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의 동작 동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PCS와 배터리 충전기(Charger)를 결합하여, 태양 에너지 및/또는 계통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태양 에너지 또는 배터리 전압을 계통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PV PCS와 배터리 충전기를 결합한 형태의 태양광 PCS 일체형 배터리 충전기 토플로지(Topology)를 제안하여, 태양광 PCS형태인 컨버터와 인버터 사이의 DC 링크단에 병렬로 양방향 배터리 충전기를 결합함으로써, 배터리 충전기의 전원을 기본적으로 청정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사용할 수 있고, PV PCS 기능으로 전력을 계통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출력이 없을 경우는 배터리의 전력을 계통으로 전달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부피와 가격이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제어부의 구성도.
도 3a, 3b, 3c 및 3d는 본 발명의 제1,제2,제3 및 제4 동작모드 각각에서의 전력전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컨버터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컨버터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컨버터 제어과정을 보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과정을 보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컨버터 제어과정을 보이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은, 태양전지(10)로부터의 PV 전압을 제1 DC/DC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DC/DC 컨버터(110)와, 계통과 연결되어, 제2 DC/DC 제어에 따라 계통전압/직류전압(DC/AC) 변환, 또는 직류전압/계통전압(DC/AC) 변환을 수행하는 DC/AC 인버터(120)와,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로부터의 출력단과 상기 DC/AC 인버터(120)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로부터의 직류전압과 상기 DC/AC 인버터(120)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DC링크부(130)와, 상기 DC링크부(130)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제2 DC/DC 제어에 따라 양방향으로 전압을 변환하는 제2 DC/DC 컨버터(140)와, 상기 태양전지(10)의 PV 전압/전류(Vpv/Ipv), 상기 배터리(30)의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 상기 계통(20)의 계통전압/전류(Vg/Iac) 및 상기 DC링크부(130)의 DC링크전압(Vdc)을 검출하는 전압/전류 검출부(200)와,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복수의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제2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을 계산하고, 이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Vpv/Ipv) 및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부(305)와, 상기 상태 판단부(305)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를 제어하는 제1 컨버터 제어기(310)와, 상기 상태 판단부(305)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DC/AC 인버터(120)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기(320)와, 상기 상태 판단부(305)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는 제2 컨버터 제어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는, 코일, 스위치 및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승압 DC/D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DC/AC 인버터(120)는, 풀-브리지 또는 하프-브리지 등의 H-브리지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DC/DC 제어에 따라 출력전류(Iac)의 위상이 계통위상과 동일하면 직류전압/계통전압(DC/AC)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는, 예를 들어, 벅-부스트(Buck-Boost)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벅-부스트(Buck-Boost) 타입으로 구현되면,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는 한쪽 방향으로는 승압 변환을 수행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감압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양방향 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a, 3b, 3c 및 3d는 본 발명의 제1,제2,제3 및 제4 동작모드 각각에서의 전력전달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20)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컨버터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컨버터 제어기(310)는, 상기 PV 출력전압(Vpv) 및 PV 전류(Ipv)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최대 전력점 추종을 수행하여 PV 출력전압 지령치(V*pv)를 생성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부(312)와,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부(312)로부터의 PV 출력전압 지령치(V*pv)와 PV 검출전압(Vpv)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를 보상하는 제1 전압 제어부(314)와, 상기 제1 전압 제어부(314)에서 보상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에 기초해서 제1 컨버터 PWM 신호(PWMcon1)를 생성하는 제1 컨버터 PWM 생성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버터 제어기(320)는, 상기 계통전압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을 갖는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계통위상 검출부(321)와, 상기 DC링크전압(Vdc)과 기설정된 DC링크전압 지령치(V*dc)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를 보상하는 DC링크전압 제어부(322)와, 상기 DC링크전압 제어부(322)에서 보상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와 상기 계통위상 검출부(321)의 위상신호를 곱하여 교류전류 지령치(I*ac)를 생성하는 신호 변환부(S323)와, 상기 신호 변환부(323)로부터의 교류전류 지령치(I*ac)와 검출된 교류전류(Iac)와의 오차전류(Iac_err)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하는 제1 전류 제어부(324)와, 상기 PV 전압/전류(Vpv/Ipv)에 의해 결정되는 PV 전력(Ppv)을 상기 계통전압(Vg)으로 나누어 생성되는 값에 기초해서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전향 보상부(325)와, 상기 전류 전향 보상부(324)로부터의 위상 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제1 전류 제어부(323)로부터의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하는 전류 보상부(326)와, 상기 전류 보상부(325)에서 보상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에 기초해서 인버터 PWM 신호(PWMinv)를 생성하는 인버터 PWM 생성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컨버터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컨버터 제어기(340)는, 상기 배터리 전압(Vbatt)과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지령치(V*batt)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를 보상하는 전압 제어부(342)와, 상기 전압 제어부(342)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와 검출된 배터리 전류(Ibatt)와의 오차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보상하는 전류 제어부(344)와, 상기 전류 제어부(344)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이용하여 제2 컨버터 PWM 신호(PWMcon2)를 생성하는 제2 컨버터 PWM 생성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은, 기설정된 노드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Vpv/Ipv),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 계통전압/전류(Vg/Iac) 및 DC링크전압(Vdc)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S100)와, 상기 PV 전압/전류(Vpv/Ipv) 및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 단계(S200)와,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단계(S310)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단계(S320)와,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는 제3 제어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충방전 방법은,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20)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하는 제4 제어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배터리 충방전 방법은 종료판단(S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종료판단(S400)에서 종료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동작이 종료되고, 종료로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단계(S100)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태 판단 단계(305)는, 상기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으면 제1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지 않으면 제2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없으면 제3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3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4 동작모드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은, 상기 태양전지(10)의 PV 전압/전류(Vpv/Ipv)로부터 계산될 수 있는 PV 전력(Ppv)으로 알 수 있다.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은 적용되는 시스템에 적합하게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 여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에 기초하면 알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 및 DC/AC 인버터(120)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MPPT),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 및 DC/AC 인버터(120)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MPPT), DC링크 전압 및 PWM 컨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이용하여 전류 충전 및 전류 방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 및 DC/AC 인버터(120)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MPPT),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의 동작 동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컨버터 제어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제1 컨버터 제어과정은, 상기 PV 출력전압(Vpv) 및 PV 전류(Ipv)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최대 전력점 추종을 수행하여 PV 출력전압 지령치(V*pv)를 생성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단계(S510)와,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단계(S510)로부터의 PV 출력전압 지령치(V*pv)와 PV 검출전압(Vpv)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를 보상하는 제1 전압 제어단계(S520)와, 상기 제1 전압 제어단계(S520)에서 보상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에 기초해서 제1 컨버터 PWM 신호(PWMcon1)를 생성하는 제1 컨버터 PWM 생성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인버터 제어과정은, 상기 계통전압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을 갖는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계통위상 검출단계(S610)와, 상기 DC링크전압(Vdc)과 기설정된 DC링크전압 지령치(V*dc)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를 보상하는 DC링크전압 제어단계(S620)와, 상기 DC링크전압 제어단계(S620)에서 보상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와 상기 계통위상 검출단계(S610)의 위상신호를 곱하여 교류전류 지령치(I*ac)를 생성하는 신호 변환단계(S630)와, 상기 신호 변환단계(S630)로부터의 교류전류 지령치(I*ac)와 검출된 교류전류(Iac)와의 오차전류(Iac_err)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하는 제1 전류 제어단계(S640)와, 상기 PV 전압/전류(Vpv/Ipv)에 의해 결정되는 PV 전력(Ppv)을 상기 계통전압(Vg)으로 나누어 생성되는 값에 기초해서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전향 보상단계(S650)와, 상기 전류 전향 보상단계(S650)로부터의 위상 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제1 전류 제어단계(S640)로부터의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하는 전류 보상단계(S660)와, 상기 전류 보상단계(S660)에서 보상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에 기초해서 인버터 PWM 신호(PWMinv)를 생성하는 인버터 PWM 생성단계(S6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컨버터 제어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상기 제2 컨버터 제어과정은, 상기 배터리 전압(Vbatt)과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지령치(V*batt)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를 보상하는 전압 제어단계(S710)와, 상기 전압 제어단계(S710)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와 검출된 배터리 전류(Ibatt)와의 오차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보상하는 전류 제어단계(S720)와, 상기 전류 제어단계(S720)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이용하여 제2 컨버터 PWM 신호(PWMcon2)를 생성하는 제2 컨버터 PWM 생성단계(S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제1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에서는,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으므로, PV 발전전력을 배터리 충전전력 및 인버터의 출력전력으로 제공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2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에서는,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지 않으므로, PV 발전전력과 계통전력을 배터리 충전전력으로 제공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제3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에서는,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없으므로, 계통전력을 배터리 충전전력으로 제공하거나 배터리 전력을 계통으로 제공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은 태양전지(10)와 연결되는 제1 DC/DC 컨버터(110), 계통(20)에 연결되는 DC/AC 인버터(120),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로부터의 출력단과 상기 DC/AC 인버터(120)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된 DC링크부(130), 상기 DC링크부(130)와 배터리(30)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DC/DC 변환 기능을 갖는 제2 DC/DC 컨버터(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은, 전압/전류 검출부(200) 및 충전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는, 상기 태양전지(10)의 PV 전압/전류(Vpv/Ipv), 상기 배터리(30)의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 상기 계통(20)의 계통전압/전류(Vg/Iac) 및 상기 DC링크부(130)의 DC링크전압(Vdc)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복수의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제2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을 계산하고, 이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의 상태 판단부(305)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Vpv/Ipv) 및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300)의 제1 컨버터 제어기(310)는, 상기 상태 판단부(305)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충전 제어부(300)의 인버터 제어기(320)는, 상기 상태 판단부(305)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DC/AC 인버터(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부(300)의 제2 컨버터 제어기(340)는, 상기 상태 판단부(305)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상태 판단부(305)는, 상기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으면 제1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지 않으면 제2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없으면 제3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3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4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b를 차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제어부(300)는,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20)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컨버터 제어기(310)의 최대 전력점 추종부(312)는, 상기 PV 출력전압(Vpv) 및 PV 전류(Ipv)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최대 전력점 추종을 수행하여 PV 출력전압 지령치(V*pv)를 생성하여 제1 전압 제어부(314)에 제공한다.
상기 제1 전압 제어부(314)는,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부(312)로부터의 PV 출력전압 지령치(V*pv)와 PV 검출전압(Vpv)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를 보상하여 제1 컨버터 PWM 생성부(316)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컨버터 PWM 생성부(316)는, 상기 제1 전압 제어부(314)에서 보상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에 기초해서 제1 컨버터 PWM 신호(PWMcon1)를 생성하여 제1 컨버터 PWM 신호(PWMcon1)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컨버터 제어기(310)는, 상기 제1 컨버터 PWM 신호(PWMcon1)를 이용하여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에서 결정된 제어모드에 해당되는 전력의 흐름 제어를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버터 제어기(320)의 계통위상 검출부(321)는, 상기 계통전압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을 갖는 위상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변환부(S323)에 제공한다.
상기 인버터 제어기(320)의 DC링크전압 제어부(322)는, 상기 DC링크전압(Vdc)과 기설정된 DC링크전압 지령치(V*dc)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를 보상하여 신호 변환부(S323)에 제공한다.
상기 신호 변환부(S323)는, 상기 DC링크전압 제어부(322)에서 보상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와 상기 계통위상 검출부(321)의 위상신호를 곱하여 교류전류 지령치(I*ac)를 생성하여 제1 전류 제어부(324)에 제공한다.
상기 제1 전류 제어부(324)는, 상기 신호 변환부(323)로부터의 교류전류 지령치(I*ac)와 검출된 교류전류(Iac)와의 오차전류(Iac_err)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하여 전류 보상부(326)에 제공한다.
상기 인버터 제어기(320)의 전류 전향 보상부(325)는, 상기 PV 전압/전류(Vpv/Ipv)에 의해 결정되는 PV 전력(Ppv)을 상기 계통전압(Vg)으로 나누어 생성되는 값에 기초해서 위상 신호를 생성하여 전류 보상부(326)에 제공한다.
상기 전류 보상부(326)는, 상기 전류 전향 보상부(324)로부터의 위상 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제1 전류 제어부(323)로부터의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하여 인버터 PWM 생성부(327)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PWM 생성부(327)는, 상기 전류 보상부(325)에서 보상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에 기초해서 인버터 PWM 신호(PWMinv)를 생성하여 상기 DC/AC 인버터(12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 제어기(320)는, 상기 인버터 PWM 신호(PWMinv)를 이용하여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에서 결정된 제어모드에 해당되는 전력의 흐름 제어를 위해 상기 DC/AC 인버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컨버터 제어기(340)의 전압 제어부(342)는, 상기 배터리 전압(Vbatt)과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지령치(V*batt)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를 보상하여 전류 제어부(344)에 제공한다.
상기 전류 제어부(344)는, 상기 전압 제어부(342)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와 검출된 배터리 전류(Ibatt)와의 오차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보상하여 제2 컨버터 PWM 생성부(346)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컨버터 PWM 생성부(346)는, 상기 전류 제어부(344)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이용하여 제2 컨버터 PWM 신호(PWMcon2)를 생성하여 제2 DC/DC 컨버터(14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컨버터 제어기(340)는, 상기 제2 컨버터 PWM 신호(PWMcon2)를 이용하여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에서 결정된 제어모드에 해당되는 전력의 흐름 제어를 위해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에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검출 단계(S100)에서는, 기설정된 노드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Vpv/Ipv),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 계통전압/전류(Vg/Iac) 및 DC링크전압(Vdc)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상태 판단 단계(S200)에서는, 상기 PV 전압/전류(Vpv/Ipv) 및 배터리 전압/전류(Vbatt/Ibatt)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제어단계(S310)에서는,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을 제어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제어단계(S320)에서는,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제어단계(S330)에서는,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제어단계(S340)에서는,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20)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한다.
또한,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태 판단 단계(305)에서는, 상기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으면 제1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지 않으면 제2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없으면 제3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3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4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 및 DC/AC 인버터(120)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MPPT),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 및 DC/AC 인버터(120)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MPPT), DC링크 전압 및 PWM 컨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DC/AC 인버터(120) 및 제2 DC/DC 컨버터(140)를 이용하여 전류 충전 및 전류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110) 및 DC/AC 인버터(120)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MPPT),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의 동작 동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제1 컨버터 제어과정에서, 먼저, 최대 전력점 추종단계(S510)에서는, 상기 PV 출력전압(Vpv) 및 PV 전류(Ipv)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최대 전력점 추종을 수행하여 PV 출력전압 지령치(P*pv)를 생성한다.
다음, 제1 전압 제어단계(S520)에서는,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단계(S510)로부터의 PV 출력전압 지령치(V*pv)와 PV 검출전압(Vpv)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를 보상한다.
그리고, 제1 컨버터 PWM 생성단계(S530)에서는, 상기 제1 전압 제어단계(S520)에서 보상된 PV 출력전압 제어치(Vpv_ref)에 기초해서 제1 컨버터 PWM 신호(PWMcon1)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컨버터 제어과정에서는, 상기 제1 컨버터 PWM 신호(PWMcon1)를 이용하여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에서 결정된 제어모드에 해당되는 전력의 흐름 제어를 위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인버터 제어과정에서, 먼저 계통위상 검출단계(S610)에서는, 상기 계통전압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을 갖는 위상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DC링크전압 제어단계(S620)에서는, 상기 DC링크전압(Vdc)과 기설정된 DC링크전압 지령치(V*dc)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를 보상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신호 변환단계(S630)에서는, 상기 DC링크전압 제어단계(S620)에서 보상된 DC 링크전압 제어치(Vdc_ref)와 상기 계통위상 검출단계(S610)의 위상신호를 곱하여 교류전류 지령치(I*ac)를 생성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전류 제어단계(S640)에서는, 상기 신호 변환단계(S630)로부터의 교류전류 지령치(I*ac)와 검출된 교류전류(Iac)와의 오차전류(Iac_err)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류 전향 보상단계(S650)에서는, 상기 PV 전압/전류(Vpv/Ipv)에 의해 결정되는 PV 전력(Ppv)을 상기 계통전압(Vg)으로 나누어 생성되는 값에 기초해서 위상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전류 보상단계(S660)에서는, 상기 전류 전향 보상단계(S650)로부터의 위상 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제1 전류 제어단계(S640)로부터의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를 보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버터 PWM 생성단계(S670)에서는, 상기 전류 보상단계(S660)에서 보상된 교류전류 제어치(Iac_ref)에 기초해서 인버터 PWM 신호(PWMinv)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 제어과정에서는, 상기 인버터 PWM 신호(PWMinv)를 이용하여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에서 결정된 제어모드에 해당되는 전력의 흐름 제어를 위해 상기 DC/AC 인버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상기 제2 컨버터 제어과정에서, 먼저, 본 발명의 전압 제어단계(S710)에서는, 상기 배터리 전압(Vbatt)과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지령치(V*batt)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를 보상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전류 제어단계(S720)에서는, 상기 전압 제어단계(S710)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I*batt)와 검출된 배터리 전류(Ibatt)와의 오차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보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컨버터 PWM 생성단계(S730)에서는, 상기 전류 제어단계(S720)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Ibatt_ref)를 이용하여 제2 컨버터 PWM 신호(PWMcon2)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컨버터 제어과정에서는, 상기 제2 컨버터 PWM 신호(PWMcon2)를 이용하여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에서 결정된 제어모드에 해당되는 전력의 흐름 제어를 위해 상기 제2 DC/DC 컨버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1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에서는,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으므로, PV 발전전력을 배터리 충전전력 및 인버터의 출력전력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2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에서는,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3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지 않으므로, PV 발전전력과 계통전력을 배터리 충전전력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3 동작모드에서의 전력 그래프에서는, 상기 배터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10)의 태양발전량이 없으므로, 계통전력을 배터리 충전전력으로 제공하거나 배터리 전력을 계통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첫째로 위에서 언급한 PV PCS와 배터리 충전기(Charger)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태양광 PCS 일체형 배터리 충전기 토플로지(Charger Topology)를 제안하고, 이러한 태양광 PCS 일체형 배터리 충전기 토플로지(Charger Topology)의 구조는 태양광 PCS형태인 컨버터와 인버터 사이의 DC 링크단에 병렬로 양방향 배터리 충전기를 결합한 형태이다.
이로써 배터리 충전기의 전원을 기본적으로 청정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사용한다는 장점과 PV PCS 기능으로 전력을 계통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태양광 출력이 없을 경우는 배터리의 전력을 계통으로 전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부피와 가격이 현저히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하며 태양광 에너지와 계통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에너지를 방전하여 계통에 전달 할 수 있는 태양광 PCS 일체형 배터리 충전기 시스템의 충방전 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10: 태양전지 20 : 계통
30: 배터리 110 : 제1 DC/DC 컨버터
120 : DC/AC 인버터 130 : DC링크부
140 : 제2 DC/DC 컨버터 200 : 전압/전류 검출부
300 : 충전 제어부 305 : 상태 판단부
310 : 제1 컨버터 제어기 312 : 최대 전력점 추종부
314 : 제1 전압 제어부 316 : 제1 컨버터 PWM 생성부
320 : 인버터 제어기 321 : 계통위상 검출부
322 : DC링크전압 제어부 323 : 제1 전류 제어부
324 : 전류 전향 보상부 325 : 전류 보상부
326 : 인버터 PWM 생성부 340 : 제2 컨버터 제어기
342 : 전압 제어부 344 : 전류 제어부
346 : 제2 컨버터 PWM 생성부

Claims (20)

  1. 삭제
  2. 태양전지로부터의 PV 전압을 제1 DC/DC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DC/DC 컨버터;
    계통과 연결되어, 제2 DC/DC 제어에 따라 계통전압/직류전압 변환, 또는 직류전압/계통전압 변환을 수행하는 DC/AC 인버터;
    상기 제1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단과 상기 DC/AC 인버터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DC/DC 컨버터로부터의 직류전압과 상기 DC/AC 인버터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DC링크부;
    상기 DC링크부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제2 DC/DC 제어에 따라 양방향으로 전압을 변환하는 제2 DC/DC 컨버터;
    상기 태양전지의 PV 전압/전류,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전류, 상기 계통의 계통전압/전류 및 상기 DC링크부의 DC링크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전류 검출부; 및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복수의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 제2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해서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을 계산하고, 이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제1,제2,제3 및 제4 제어모드중 하나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전압/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1 컨버터 제어기;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기; 및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2 컨버터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PV 출력전압 및 PV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최대 전력점 추종을 수행하여 PV 출력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부;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부로부터의 PV 출력전압 지령치와 PV 검출전압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PV 출력전압 제어치를 보상하는 제1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제1 전압 제어부에서 보상된 PV 출력전압 제어치에 기초해서 제1 컨버터 PWM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컨버터 PWM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기는,
    상기 계통전압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을 갖는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계통위상 검출부;
    상기 DC링크전압과 기설정된 DC링크전압 지령치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DC 링크전압 제어치를 보상하는 DC링크전압 제어부;
    상기 DC링크전압 제어부에서 보상된 DC 링크전압 제어치와 상기 계통위상 검출부의 위상신호를 곱하여 교류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의 교류전류 지령치와 검출된 교류전류와의 오차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교류전류 제어치를 보상하는 제1 전류 제어부;
    상기 PV 전압/전류에 의해 결정되는 PV 전력을 상기 계통전압으로 나누어 생성되는 값에 기초해서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전향 보상부;
    상기 전류 전향 보상부로부터의 위상 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제1 전류 제어부로부터의 교류전류 제어치를 보상하는 전류 보상부; 및
    상기 전류 보상부에서 보상된 교류전류 제어치에 기초해서 인버터 PWM 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 PWM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지령치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를 보상하는 전압 제어부;
    상기 전압 제어부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와 검출된 배터리 전류와의 오차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를 보상하는 전류 제어부; 및
    상기 전류 제어부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를 이용하여 제2 컨버터 PWM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컨버터 PWM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11.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DC/DC 컨버터, 계통에 연결되는 DC/AC 인버터, 상기 제1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단과 상기 DC/AC 인버터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된 DC링크부, 상기 DC링크부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DC/DC 변환 기능을 갖는 제2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노드에서 검출된 PV 전압/전류, 배터리 전압/전류, 계통전압/전류 및 DC링크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기설정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작모드중 어느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 단계;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단계;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 및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단계; 및
    상기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3 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방법은,
    상기 제4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 에너지를 상기 계통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4 제어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PV 전압/전류 및 배터리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태양발전량 및 배터리 연결여부에 기초해서, 상기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으면 제1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이 상기 배터리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량보다 높지 않으면 제2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의 태양발전량이 없으면 제3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4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 DC링크 전압 및 PWM 컨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를 통해 전류 충전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DC/AC 인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류 충전 및 전류 방전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제어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추종, DC링크 전압 및 계통 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의 동작 동지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제1 컨버터 제어과정은,
    상기 PV 출력전압 및 PV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최대 전력점 추종을 수행하여 PV 출력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단계;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단계로부터의 PV 출력전압 지령치와 PV 검출전압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PV 출력전압 제어치를 보상하는 제1 전압 제어단계; 및
    상기 제1 전압 제어단계에서 보상된 PV 출력전압 제어치에 기초해서 제1 컨버터 PWM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컨버터 PWM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인버터 제어과정은,
    상기 계통전압의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을 갖는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계통위상 검출단계;
    상기 DC링크전압과 기설정된 DC링크전압 지령치과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DC 링크전압 제어치를 보상하는 DC링크전압 제어단계;
    상기 DC링크전압 제어단계에서 보상된 DC 링크전압 제어치와 상기 계통위상 검출부의 위상신호를 곱하여 교류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신호 변환단계;
    상기 신호 변환단계로부터의 교류전류 지령치와 검출된 교류전류와의 오차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교류전류 제어치를 보상하는 제1 전류 제어단계;
    상기 PV 전압/전류에 의해 결정되는 PV 전력을 상기 계통전압으로 나누어 생성되는 값에 기초해서 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전향 보상단계;
    상기 전류 전향 보상단계로부터의 위상 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제1 전류 제어부로부터의 교류전류 제어치를 보상하는 전류 보상단계; 및
    상기 전류 보상단계에서 보상된 교류전류 제어치에 기초해서 인버터 PWM 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 PWM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단계의 제2 컨버터 제어과정은,
    상기 배터리 전압과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지령치와의 오차 전압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를 보상하는 전압 제어단계;
    상기 전압 제어단계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지령치와 검출된 배터리 전류와의 오차 전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를 보상하는 전류 제어단계; 및
    상기 전류 제어단계에서 보상된 배터리 전류 제어치를 이용하여 제2 컨버터 PWM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컨버터 PWM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방법.
KR1020100042603A 2010-05-06 2010-05-06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11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03A KR101113508B1 (ko) 2010-05-06 2010-05-06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US12/899,938 US8493020B2 (en) 2010-05-06 2010-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photovoltaic PCS integrated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03A KR101113508B1 (ko) 2010-05-06 2010-05-06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130A KR20110123130A (ko) 2011-11-14
KR101113508B1 true KR101113508B1 (ko) 2012-02-29

Family

ID=4490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603A KR101113508B1 (ko) 2010-05-06 2010-05-06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93020B2 (ko)
KR (1) KR1011135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770B1 (ko) 2018-01-30 2018-06-18 이기현 전력 제어와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을 갖춘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80070077A (ko) 2016-12-16 2018-06-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센서기반의 ess용 태양광 충전컨트롤러의 최대전력점추종 연동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34560B1 (ko) 2019-12-20 2021-03-31 (주)아이비티 저압직류(lvdc) 배전망을 이용한 분산형 부하와 밀집형 부하 연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20139743A (ko)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세원전력 지역 단위 전력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528B1 (ko) * 2009-12-11 2013-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전지의 최대전력 추출 장치 및 방법
JP5218483B2 (ja) * 2010-07-09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電力コントロール装置
US20120173031A1 (en) * 2010-12-29 2012-07-05 Redwood Systems, Inc. Real-time power point calibration
US9423448B1 (en) * 2011-03-06 2016-08-23 Sunpower Corporation Testing of module integrated electronics using power reversal
US8988096B1 (en) 2011-03-06 2015-03-24 Sunpower Corporation Flash testing of photovoltaic module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KR101245647B1 (ko) * 2011-03-21 2013-03-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발전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배터리 급속 충전 시스템
EP2512000B1 (en) * 2011-04-15 2022-03-02 ABB Schweiz AG Reconfigurable power systems and converters
CN103492222B (zh) * 2011-04-22 2016-01-20 三菱电机株式会社 充电装置
WO2012155297A1 (en) * 2011-05-18 2012-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conver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converter system
BR112013031623B1 (pt) * 2011-06-09 2020-04-28 Toshiba Mitsubishi Elec Ind sistema de fonte de alimentação ininterrupta
CN103503288B (zh) * 2011-07-29 2017-03-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开关装置、使用开关装置的太阳光发电系统及车辆驱动系统
CN102412758B (zh) * 2011-11-18 2015-03-04 中国南方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便携式太阳能电源系统
DE102011088059A1 (de) * 2011-12-08 2013-06-13 Hochschule Osnabrück Modulares Energiespeichersystem zur Speicherung von elektrischer Energie
JP2015512080A (ja) * 2012-01-24 2015-04-23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光起電装置のシステムレベル電力点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87586B1 (ko) * 2012-01-31 2013-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DE102012002185B4 (de) * 2012-02-07 2019-11-07 Sew-Eurodrive Gmbh & Co Kg Energiegewinnungssystem mit Energiespeiche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nergiegewinnungssystems
DE112012005865T5 (de) * 2012-02-13 201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nergieumwandlungsvorrichtung
CN102610146A (zh) * 2012-03-06 2012-07-25 江苏大学 一种多功能光伏发电系统教学实验平台
US9236751B2 (en) * 2012-03-09 2016-01-12 Aspect Solar Pte Ltd Portable modular sun-tracking solar energy receiver system
US9472980B2 (en) * 2012-06-01 2016-10-18 Xunwei Zhou Integrated buck/boost battery management for power storage and delivery
DE102012212287A1 (de) * 2012-07-13 2014-01-16 Robert Bosch Gmbh Stromrichtermodul, Photovoltaikanlage mit Stromrichtermodul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hotovoltaikanlage
CN105052004A (zh) * 2012-09-03 2015-11-11 罗伯特·博世(东南亚)私人有限公司 混合存储系统的拓扑和控制策略
CN103023351B (zh) * 2012-12-04 2015-01-21 上海交通大学 电动汽车充放储一体化电站功率流动三级变流装置
JP6075041B2 (ja) * 2012-12-04 2017-02-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変換装置
CN103066662B (zh) * 2013-01-07 2015-08-05 雷星亮 应急电源
US20140203649A1 (en) * 2013-01-18 2014-07-24 3L Powe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 Secondary Power Source into a Power Generation Plant
US20140211529A1 (en) * 2013-01-28 2014-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bi-directional micro inverter
JP6509191B2 (ja) * 2013-03-22 2019-05-08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ソースと負荷との間の電力管理
JP2014222956A (ja) * 2013-05-13 2014-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CN104184200A (zh) * 2013-05-24 2014-12-0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源适配器、电源适配器的控制方法及笔记本
FR3006512A1 (fr) * 2013-05-31 2014-12-05 St Microelectronics Sa Circuit de gestion d'energie d'un capteur autonome
US9602025B2 (en) 2013-07-12 2017-03-2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Multiphase power converter circuit and method
KR101400092B1 (ko) * 2013-07-26 2014-05-28 (주)에너지와공조 태양 전지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JP5915619B2 (ja) * 2013-10-22 2016-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及び太陽光発電装置の制御方法
FR3014259B1 (fr) 2013-12-03 2016-02-05 Renault Sas Procede et systeme de commande d'un chargeur bidirectionnel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EP3087653A4 (en) * 2013-12-27 2017-08-02 Intel Corporation Charger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535978B1 (ko) * 2013-12-31 2015-07-24 (주)미르 알엔티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 저장방법
EP3047704B1 (en) 2014-01-08 2017-02-22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nverter between solar panel, source and load
JP6278715B2 (ja) * 2014-01-22 2018-02-14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装置
JP6053711B2 (ja) * 2014-02-27 2016-12-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充電設備管理装置、充電設備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90659B1 (en) * 2014-02-28 2016-11-08 Edwin A. English Portable photovoltaic electric power system with extendable cords
JP6001587B2 (ja) * 2014-03-28 2016-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JP6364307B2 (ja) * 2014-10-14 2018-07-25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電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6170258B2 (ja) * 2014-11-27 2017-07-26 京セラ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674392B1 (ko) * 2014-12-05 2016-11-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계통 전원을 버퍼로 이용한 직류 배전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WO2016100406A1 (en) * 2014-12-16 2016-06-23 Sinewatts, Inc. Dispatchable photovoltaic panel with fully integrated energy storage and grid interactive power conversion
KR101677831B1 (ko) 2015-02-11 2016-1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1626911B1 (ko) 2015-02-26 2016-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682375A (zh) * 2015-03-24 2015-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中心的供电设备和供电方法
CN105071434A (zh) * 2015-08-04 2015-11-18 上海煦达新能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电动汽车充电并离网储节能系统
US10374424B2 (en) * 2015-08-18 2019-08-06 Argentum Electronics, Inc. Wide range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CA2990619C (en) * 2015-08-18 2022-03-15 Argentum Electronics, Inc. Wide range power combiner
CN105515154A (zh) * 2015-12-08 2016-04-20 江苏峰谷源储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离/并网家用储能系统
US20170179723A1 (en) * 2015-12-16 2017-06-22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lustered energy-storing micro-grid system
US10447070B2 (en) * 2016-06-16 2019-10-15 Yu Qin Solar energy system with built-in battery charger and its method
US10411500B2 (en) * 2016-06-16 2019-09-10 Yu Qin Electric vehicle fast charging station with solar energy system and its method
US10277035B2 (en) * 2016-09-13 2019-04-30 MidNite So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scalable modular electric devices
US10270252B2 (en) 2016-09-13 2019-04-23 MidNite So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modular electric devices with hot-swap capability
US10211636B2 (en) 2016-09-13 2019-02-19 MidNite Solar, Inc. Modular inverter system and charging system for off-grid power generation
US10530170B2 (en) * 2016-09-30 2020-01-07 Rng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of adaptive charging
US10361581B2 (en) 2016-11-16 2019-07-23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charger power control
WO2018148683A1 (en) * 2017-02-10 2018-08-16 Sologrid, Inc. Portable renewable energy power converter/inverter and storage supply systems and methods
CN109217806A (zh) * 2017-07-03 2019-01-15 北京信邦同安电子有限公司 太阳能组件的分体式功率优化模组
CN109245712A (zh) * 2017-07-03 2019-01-18 北京信邦同安电子有限公司 太阳能组件及其分体式功率优化接线盒
WO2019017968A1 (en) * 2017-07-21 2019-01-24 Total Solar International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STORAGE BASED ON A MODE
CN107465205A (zh) * 2017-09-20 2017-12-12 重庆聚陆新能源有限公司 一种基于dc/dc变换器分时复用的直流微网系统
KR101851921B1 (ko) * 2018-01-31 2018-04-24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태양광 계통연계 전력변환장치
CN108233421B (zh) 2018-02-05 202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光伏发电系统和光伏输电方法
DE102018108472A1 (de) * 2018-04-10 2019-10-10 Sma Solar Technology Ag Photovoltaische Energieerzeugungsanlage, Versorgungsleitung für eine Energieerzeugungsanlage, Gegenstecker und Wechselrichter
US10673380B2 (en) * 2018-09-28 2020-06-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hotovoltaic energy system with stationary energy storage control
CN109390961B (zh) * 2018-12-04 2023-08-18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功率单元、功率单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10971936B2 (en) * 2018-12-11 2021-04-06 National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 using current loop adjustment
KR102226727B1 (ko) * 2018-12-27 2021-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너지제어장치 및 에너지제어방법
CN110277794A (zh) * 2019-02-01 2019-09-24 国家电投集团黄河上游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自适应储能逆变一体化设备
US11581821B2 (en) * 2019-06-06 2023-02-14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Multi-level inverter topologies for medium- and high-voltage applications
KR102234962B1 (ko) * 2019-11-25 2021-04-01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210112153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US11916511B1 (en) * 2020-10-13 2024-02-27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Solar-battery integrated DC system
CN112531760B (zh) * 2020-12-07 2022-12-13 南方电网调峰调频发电有限公司 一种光储充一体化分层协调控制系统及其控制策略
KR102476508B1 (ko) * 2020-12-23 2022-12-13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온도에 따라 기능이 비활성화 될 수 있는 전력 변환 모듈들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2297177B1 (ko) * 2021-01-25 2021-09-03 남부산전 주식회사 다중 입력 전기차 충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13964869A (zh) * 2021-11-05 2022-01-21 内蒙古民族大学 一种分布式光伏发电并网控电系统
CN117856313B (zh) * 2024-03-04 2024-05-07 深圳市沃尔德储能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973A (ko) * 2008-02-05 2009-08-10 성신전기공업(주) 대체 에너지원이 접속된 무정전전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7096B1 (en) * 1997-09-08 2002-11-26 Capstone Turbine Corporation Power controller
US20060017328A1 (en) * 2003-02-10 2006-01-26 Bryde Jan H Control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conversion, and storage system
US7193872B2 (en) 2005-01-28 2007-03-20 Kasemsan Siri Solar array inverter with maximum power tracking
JP4514143B2 (ja) * 2005-03-31 2010-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973A (ko) * 2008-02-05 2009-08-10 성신전기공업(주) 대체 에너지원이 접속된 무정전전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77A (ko) 2016-12-16 2018-06-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센서기반의 ess용 태양광 충전컨트롤러의 최대전력점추종 연동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68770B1 (ko) 2018-01-30 2018-06-18 이기현 전력 제어와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을 갖춘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234560B1 (ko) 2019-12-20 2021-03-31 (주)아이비티 저압직류(lvdc) 배전망을 이용한 분산형 부하와 밀집형 부하 연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20139743A (ko)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세원전력 지역 단위 전력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93020B2 (en) 2013-07-23
KR20110123130A (ko) 2011-11-14
US20110273130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508B1 (ko) 태양광 pcs 일체형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JP4557005B2 (ja) 電圧変換装置および車両
US8907522B2 (en)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KR101775957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연계형 전원공급시스템
US6914418B2 (en) Multi-mode renewable power converter system
Na et al. Light fuel-cell hybrid electric vehicles based on predictive controllers
KR101245647B1 (ko) 태양광발전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배터리 급속 충전 시스템
WO2013018507A1 (ja) 電力変換装置
JP2010041819A (ja) 太陽光発電装置用の充電制御装置
CN112290583A (zh) 直流耦合离网制氢系统及其控制柜供电装置和控制方法
KR20160122918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CN115085245A (zh) 光伏储能系统及其适用的控制方法
CN103066676B (zh) 燃料电池供电装置和供电系统
KR20230113256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1593985B (zh) 一种自发电的充电装置及充电方法
KR101079404B1 (ko) 단일 컨버터 및 단일 인버터를 이용한 태양광-연료전지 복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ali et al. Control and energy management of a wind-photovoltaic hybrid system
Saranya et al. Design of Grid Independent EV Charging Station
JP3950706B2 (ja) 系統連系システム
KR20190062812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0749463B2 (en) Photovoltaic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with an auxiliary charging module
KR20140042092A (ko)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 운용방법
Pawase et al. Controllable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Grid at Different Loading Condition with Solar Power
KR20120077941A (ko) 태양광을 이용한 이중 충전 장치 및 방법
Ishibashi et al. Control method of energy storage system to increase output power from power conditioning systems (P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