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171B1 - 흡착 장치 - Google Patents

흡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171B1
KR101113171B1 KR1020100017179A KR20100017179A KR101113171B1 KR 101113171 B1 KR101113171 B1 KR 101113171B1 KR 1020100017179 A KR1020100017179 A KR 1020100017179A KR 20100017179 A KR20100017179 A KR 20100017179A KR 101113171 B1 KR101113171 B1 KR 10111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working surface
adsorp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369A (ko
Inventor
김성진
채성덕
이진철
Original Assignee
김성진
주식회사 삼인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주식회사 삼인솔루텍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10001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1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1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외면에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거치부와, 전술한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외면의 경사도가 조절 가능하게 전술한 거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사조절부와, 전술한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외면과 연통하며 전술한 복수의 공간과 각각 연결되어 전술한 공작 대상물이 거치부에 고정되게 에어를 흡입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흡착 장치{ABSORB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 대상물을 거치부에 거치하고 흡착부로 에어를 흡입하여 고정하며 경사조절부로 거치부를 틸팅시키며 가공하는 구조에 따라 3축 가공은 물론 5축 가공 등 다양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철 또는 철 합금은 자성을 지니므로, 철 또는 철합금의 공작 대상물을 선반 가공 등에 의한 방법으로 특정 형상을 형성하도록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부착시켜 가공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공작 대상물은 자성이 없으므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부착하여 가공하기 힘들므로, 고정용 지그 등의 고정 도구에 고정시켜 가공한다.
그러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공작 대상물은 전술한 고정 도구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 또는 철합금의 공작 대상물 뿐 아니라,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공작 대상물은 한 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되므로, 지면과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의 절삭 가공 등 세밀한 작업은 고가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로봇을 이용하여 실시해야 하지만, 대다수의 영세한 작업장에서 로봇과 같은 설비를 마련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작 대상물을 표면 결함이 없이 고정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 장치와 관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작 대상물에 대하여 세밀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 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에 정밀한 작업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착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착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외면에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거치부와, 전술한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외면의 경사도가 조절 가능하게 전술한 거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사조절부와, 전술한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외면과 연통하며 전술한 복수의 공간과 각각 연결되어 전술한 공작 대상물이 거치부에 고정되게 에어를 흡입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흡착부는 전술한 거치부에 마련된 전술한 복수의 공간 중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에어를 선택적으로 흡입하도록 제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거치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전술한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작업면과 전술한 작업면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전술한 경사조절부가 장착되고 전술한 흡착부가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이 마련되는 케이스와, 전술한 케이스 내부에 전술한 작업면을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과, 전술한 작업면에 관통되어 전술한 흡착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며, 전술한 경사조절부는 전술한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경사조절부는 전술한 측면 중 상호 대향하는 측면을 관통하여 전술한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유닛과, 전술한 회전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전술한 케이스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전술한 상호 대향하는 측면과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전술한 흡착부는 전술한 회전 유닛과 전술한 가이드 유닛 사이에서 전술한 격벽 사이의 전술한 작업면과 연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흡착부는 전술한 연결판에 관통되어 전술한 작업면의 격판으로 구획된 부분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연결공과, 전술한 복수의 연결공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전술한 작업면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 유닛과, 전술한 에어 유닛에 장착되고 전술한 에어의 흡입이 전술한 복수의 연결공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착 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공작 대상물을 거치부에 거치한 다음 흡착부로 에어를 흡입하면서 고정시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따라 기존의 고정용 지그나 바이스와 같은 고정 도구에 의한 고정으로 인하여 공작 대상물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없이 깨끗한 품질의 공작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공작 대상물을 거치부에 거치하고 흡착부의 에어 흡입으로 고정하며 경사조절부에 의하여 거치부를 틸팅시키면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따라 3축 가공은 물론 5축 가공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폭넓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로봇과 같은 고가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설비의 도움이 없어도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한 다양하고 세밀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면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주요부인 거치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주요부인 흡착부와 연통하기 위한 케이스 내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주요부인 흡착부의 제어 유닛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주요부인 경사조절부의 회전 유닛을 나타낸 개념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를 이용하여 공작 대상물을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10에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는 공작 대상물(400, 이하 도 9 내지 도 11 참고)이 놓이는 거치부(100)와, 거치부(100)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200)와, 거치부(100)의 공작 대상물(400)을 에어 흡입으로 고정시키는 흡착부(3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거치부(100)는 내부에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공작 대상물(400)이 놓이는 면적을 제공하고, 후술할 경사조절부(200)가 장착되고 흡착부(300)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경사조절부(200)는 공작 대상물(400)이 놓이는 외면의 경사도가 조절 가능하게 거치부(100)의 양측에 결합된다.
경사조절부(20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면이나 구조물 등에 고정되어 거치부(100)의 경사도 조절을 허용하는 구조이다.
흡착부(300)는 공작 대상물(400)이 놓이는 외면과 연통하며, 전술한 복수의 공간과 각각 연결되어 공작 대상물(400)이 거치부(100)에 고정되게 에어를 흡입한다.
여기서, 흡착부(300)는 거치부(100)에 마련된 복수의 공간 중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에어를 선택적으로 흡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100)에 거치되는 공작 대상물(400)의 크기가 크면 전술한 복수의 공간 중 대부분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거나, 공작 대상물(400)의 크기가 작으면 전술한 복수의 공간 중 극히 일부분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도록 하는 등의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거치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작 대상물(400) 거치되는 면적과 후술할 경사조절부(200) 및 흡착부(3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와, 격벽(120)과, 통공(130)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공작 대상물(400)이 놓이는 작업면(112)과, 작업면(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후술할 경사조절부(200)가 장착되고 후술할 흡착부(300)가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114, 114', 114", 114'")이 마련된다.
여기서, 후술할 경사조절부(200)는 측면(114, 114', 114", 114'") 중 상호 대향하는 측면(114, 114')에 결합된다.
격벽(120)은 도 3과 같이 케이스(110) 내부에 날줄과 씨줄처럼 격자 형상으로 작업면(112)을 복수로 구획한다.
통공(130)은 후술할 흡착부(300)와 연통되게 작업면(112) 전체에 다수로 관통된다.
케이스(110)는 후술할 흡착부(300)와의 연통을 위하여 도 4와 같이 통공(130)과 연통하는 복수의 홀(141)이 형성되고,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142)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연통블럭(140)이 작업면(112)과 대응되게 격벽(120) 사이에 각각 장착되며, 유로(142)와 흡착부(300)가 상호 연결되어 유로(142)를 통하여 에어가 작업면(112)으로부터 흡입되면서 공작 대상물(40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110)는 후술할 흡착부(300)와의 연통을 위하여 도 5와 같이 통공(130)과 연통하는 복수의 홀(151)이 형성되고,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연통관(150)이 작업면(112)과 대응되게 격벽(120) 사이에 각각 장착되며, 연통관(150)과 흡착부(300)가 상호 연결되어 연통관(150) 내의 유로를 통하여 에어가 작업면(112)으로부터 흡입되면서 공작 대상물(400)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경사조절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100), 즉 케이스(110)의 경사도 조절을 허용하면서 케이스(1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유닛(210)과, 가이드 유닛(220)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 부호로 201은 정, 역회전시켜 후술할 브라켓(214)에 대하여 후술할 회전축(212)을 회전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를, 211은 후술할 회전축(212)과 이동봉(224)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각각 나타낸다.
회전 유닛(210)은 케이스(110)의 측면(114, 114', 114", 114'") 중 상호 대향하는 측면(114, 114')을 관통하여 케이스(1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212)과, 브라켓(214)과, 연결판(216)을 포함한다.
회전축(212)은 상호 대향하는 측면(114, 114')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케이스(110)의 경사도 조절을 위한 회전 중심이 된다.
브라켓(214)은 회전축(212)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케이스(110)의 회전을 지지한다.
연결판(216)은 회전축(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며 후술할 가이드 유닛(220)과 결합하고, 흡착부(300)는 연결판(216)을 통하여 격벽(120) 사이의 작업면(112)과 연통된다.
가이드 유닛(220)은 회전 유닛(210), 즉 연결판(216)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케이스(11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측면(114, 114')과 각각 결합되며 가이드 슬롯(222)과, 이동봉(224)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롯(222)은 상호 대향하는 측면(114, 114')에 각각 마주보게 원호 형상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것으로, 원호 형상의 오목한 부분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케이스(11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기 위한 이동 궤적을 형성한다.
이동봉(224)은 연결판(216)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브라켓(214)과 결합된 회전축(212)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양단부가 가이드 슬롯(2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한다.
따라서, 케이스(110)는 회전축(212)을 기준으로 양측이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게 회전하되, 회전축(212)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 슬롯(222)의 회동 범위 내에서 이동봉(224)이 왕복한다.
이때, 일측의 이동봉(224)은 타측의 이동봉(224)에 대하여 상반되는 동작, 즉 일측의 이동봉(224)이 가이드 슬롯(222)을 따라 하강하면 타측의 이동봉(224)이 가이드 슬롯(222)을 따라 상승하는 식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흡착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100)에 거치된 공작 대상물(400)을 에어 흡입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공(310)과, 에어 유닛(320)과, 제어 유닛(330)을 포함한다.
연결공(310)은 연결판(216)에 관통되어 작업면(112)의 격판(120)으로 구획된 부분에 복수로 각각 대응된다.
에어 유닛(320)은 복수의 연결공(310)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작업면(112)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배관(322)과, 진공 펌프(324)를 포함한다.
에어배관(322)은 연결공(310)에 삽입되어 작업면(112),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면(112)에 장착된 연통블럭(140, 이하 도 4 참고)의 유로(142) 또는 작업면(112)에 장착된 연통관(150, 이하 도 5 참고)의 단부와 연통된다.
진공 펌프(324)는 에어배관(3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작업면(112)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한다.
제어 유닛(330)은 에어 유닛(320)에 장착되고, 에어의 흡입이 복수의 연결공(31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에어배관(322) 상에 장착되고 진공 펌프(3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 6 및 도 7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제어 유닛(330)은 도 6과 같이 에어배관(322)에 밸브(332)를 각각 장착하고, 진공 펌프(3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34)에 의하여 진공 펌프(324)의 가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밸브(332)는 다양한 것을 채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 조작을 함으로써 작업면(112)의 격벽(120)으로 구획된 부분, 즉 섹터(sector)별로 에어 흡입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330)은 도 7과 같이 에어배관(322)에 밸브(332')를 각각장착하고, 밸브(332') 및 진공 펌프(3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34)에 의하여 밸브(332')의 개폐 조작 및 진공 펌프(324)의 가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110)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114, 114') 중 한 측면(114)에는 브라켓(214)의 단부를 영점으로 하여 양측에 각도별 눈금자가 표시되며, 중앙에 회전축(212)이 관통된 기준 원판(213)이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축(212)의 일단부에는 전술한 영점에 대응하는 기준눈금의 양측에 각도별 눈금자가 표시되고, 회전축(212)과 일체로 회전하는 확인 원판(215)이 장착되어 기준 원판(213)에 대하여 케이스(110)의 작업면(112)이 얼마나 경사지게 회전하였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212)과 각도별 눈금자의 양단이 이루는 각도는 이동봉(224)의 이동 거리를 원호로 하여, 즉 회전축(212)과 가이드 슬롯(222)의 양단이 이루는 각도와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5축 가공과 같이 희망하는 각도로 경사진 면을 깎아내는 가공을 실시하려면, 기준 원판(213)에 대하여 확인 원판(215)의 기준눈금이 벗어난 정도를 전술한 희망하는 각도로 맞추고 고정구(201)로 조여서 회전축(212)이 브라켓(21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면 된다.
한편, 경사조절부(200)의 회전유닛(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케이스(110)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업할 수도 있음은 물론, 도 8과 같이 희망하는 경사각을 입력하여 케이스(1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회전축(212)의 일단에는 회전축(212)과 결합하여 정, 역회전하는 모터(230)가 장착되고, 회전축(212)과 모터(230) 사이에 적정한 속도로 회전축(212)을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240)가 장착된다.
여기서, 모터(230)는 틸팅 컨트롤러(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확인 원판(215)의 눈금자와 대응되게 희망하는 경사각을 입력하여 회전축(212)을 정, 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장치를 이용하여 공작 대상물(400)을 가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로, 작업자는 평판 형상의 공작 대상물(400) 표면을 따라 평행한 복수의 홈을 파내는 가공을 실시하고자 하며, 전술한 홈은 형성 방향에 직교되게 자른 단면의 형상이 공작 대상물(400)의 표면으로부터 점차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이라 가정한다.
우선,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케이스(110)의 작업면(112) 상에 공작 대상물(400)을 거치하고 흡착부(300)를 가동시켜 공작 대상물(400)을 고정시키고, 이때 작업면(112)은 지면(500)과 평행을 이룬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도 10과 같이 케이스(110)를 경사조절부(200)의 브라켓(214)에 장착된 회전축(212)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이 하강하고 타측이 상승하도록 회전시킨 다음 전술한 홈의 일측부를 가공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케이스(110)를 도 9와 같은 상태로 지면(500)과 평행하게 조정하고 전술한 홈의 중앙부, 즉 단면이 사다리꼴인 밑변부의 가공을 실시한다.(특별히 도시하지 않음)
여기서, 전술한 밑변부의 가공은 홈의 폭이 넓지 않은 경우 생략할 수도 있다.
이후, 작업자는 도 11과 같이 케이스(110)를 회전축(212)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이 상승하고 타측이 하강하도록 회전시킨 다음 전술한 홈의 타측부를 가공한다.
작업자는 전술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공작 대상물(400) 상에 전술한 형상의 홈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작 대상물을 표면 결함이 없이 고정하여 작업할 수 있고, 공작 대상물에 대하여 세밀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에 정밀한 작업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거치부 110...케이스
112...작업면 114, 114', 114", 114'"...측면
120...격벽 130...통공
140...연통블럭 141...홀
142...유로 150...연통관
151...홀 200...경사조절부
201...고정구 210...회전 유닛
212...회전축 213...기준 원판
214...브라켓 215...확인 원판
216...연결판 220...가이드 유닛
222...가이드 슬롯 224...이동봉
230...모터 240...감속기
250...틸팅 컨트롤러 300...흡착부
310...연결공 320...에어 유닛
322...에어배관 324...진공 펌프
330...제어 유닛 332, 332'...밸브
334...컨트롤러 400...공작 대상물
500...지면

Claims (13)

  1. 내부에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외면에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거치부;
    상기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외면의 경사도가 조절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사조절부; 및
    상기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외면과 연통하며 상기 복수의 공간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공작 대상물이 거치부에 고정되게 에어를 흡입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는 상기 거치부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에어를 선택적으로 흡입하도록 제어되는 흡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공작 대상물이 놓이는 작업면과, 상기 작업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경사조절부가 장착되고 상기 흡착부가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이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작업면을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작업면에 관통되어 상기 흡착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측면에 결합되는 흡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연통블럭이 상기 작업면과 대응되게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유로와 상기 흡착부가 연결되는 흡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연통관이 상기 작업면과 대응되게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연통관과 상기 흡착부가 연결되는 흡착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측면 중 상호 대향하는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유닛과,
    상기 회전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상호 대향하는 측면과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유닛과 상기 가이드 유닛 사이에서 상기 격벽 사이의 상기 작업면과 연통되는 흡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상호 대향하는 측면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회전을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과 결합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는 상기 연결판을 통하여 상기 격벽 사이의 상기 작업면과 연통되는 흡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마주보게 원호 형상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과,
    상기 연결판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과 결합된 상기 회전축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 슬롯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봉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원호 형상의 오목한 부분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흡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연결판에 관통되어 상기 작업면의 격판으로 구획된 부분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연결공과,
    상기 복수의 연결공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상기 작업면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 유닛과,
    상기 에어 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의 흡입이 상기 복수의 연결공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흡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유닛은,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작업면과 연통하는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작업면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에어배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진공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흡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에어배관에 장착되는 밸브와,
    상기 진공 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흡착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에어배관에 장착되는 밸브와,
    상기 진공 펌프의 가동 및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흡착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는 상기 브라켓의 단부를 영점으로 하여 양측에 각도별 눈금자가 표시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된 기준 원판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영점에 대응하는 기준눈금의 양측에 각도별 눈금자가 표시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확인 원판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각도별 눈금자의 양단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이드 슬롯의 양단이 이루는 각도와 상응하는 흡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정, 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 사이에 장착되는 감속기와,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확인 원판의 눈금자와 대응하는 각도만큼 상기 회전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틸팅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흡착 장치.
KR1020100017179A 2010-02-25 2010-02-25 흡착 장치 KR10111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179A KR101113171B1 (ko) 2010-02-25 2010-02-25 흡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179A KR101113171B1 (ko) 2010-02-25 2010-02-25 흡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369A KR20110097369A (ko) 2011-08-31
KR101113171B1 true KR101113171B1 (ko) 2012-02-15

Family

ID=4493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179A KR101113171B1 (ko) 2010-02-25 2010-02-25 흡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5186B (zh) * 2017-05-05 2018-11-06 江西佳时特精密机械有限责任公司 兼具除尘装置和定位工装并应用于石墨加工处的数控机床
CN109366433B (zh) * 2018-10-15 2022-02-25 湖北宏旭伟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屏幕板生产的吸盘式工作台
KR102135385B1 (ko) * 2020-03-31 2020-07-17 신현조 각도변형이 가능한 지그가 포함된 가공장치
CN114227617B (zh) * 2021-12-21 2023-08-15 扬州威森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具有气密性检测机构的船舶配件加工平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439A (ja) * 1985-12-20 1987-07-01 Minolta Camera Co Ltd クロ−ズアツプ撮影が可能なカメラ
JPS62147439U (ko) 1986-03-12 1987-09-17
JPS6413200A (en) * 1987-04-06 1989-01-18 Boisukurafuto Inc Improvement in method for compression of speech digitally coded
JPS6413200U (ko) 1987-07-03 1989-01-24
JPH11165222A (ja) 1997-12-04 1999-06-22 Rohm Co Ltd ワーク整列装置
KR20000009932A (ko) * 1998-07-29 2000-02-15 구자홍 감광성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439A (ja) * 1985-12-20 1987-07-01 Minolta Camera Co Ltd クロ−ズアツプ撮影が可能なカメラ
JPS62147439U (ko) 1986-03-12 1987-09-17
JPS6413200A (en) * 1987-04-06 1989-01-18 Boisukurafuto Inc Improvement in method for compression of speech digitally coded
JPS6413200U (ko) 1987-07-03 1989-01-24
JPH11165222A (ja) 1997-12-04 1999-06-22 Rohm Co Ltd ワーク整列装置
KR20000009932A (ko) * 1998-07-29 2000-02-15 구자홍 감광성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369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43000B (zh) 工件夹持装置
KR101113171B1 (ko) 흡착 장치
EP2745959B1 (en) Machine tool with lathe tool and scraping cutter
US6374878B1 (en) Portable fixture for woodworking tools
CN103108718A (zh) 用于可调节的斜切导引装置的反馈机构
KR20130029535A (ko) 경사면 가공용 클램핑 장치
JP2021506627A (ja) 工作物載置装置のための追加サポート装置
KR101233646B1 (ko) 경사각 자동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세혈방전기
JP4890424B2 (ja) 薄板曲面被加工物の加工装置
WO2011156268A2 (en) Adjustable dowling jig
JP2015062973A (ja) 工作機械
JP5850904B2 (ja) 金具加工方法
US20150151393A1 (en) Machining mechanism and machine tool and method for machining using the machine tool
US10300622B2 (en) Bearing device
KR101136383B1 (ko) 5축 마이크로 가공장치
CN112975129B (zh) 把手焊接设备
JP4550771B2 (ja) 被加工物に溝を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CN102070295A (zh) 硬质脆性板的穿孔加工方法和装置
KR101497452B1 (ko) 공냉식 에어 그라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비드 사상장치
CN103506700B (zh) 一种方形零件双边自动倒角方法及倒角装置
KR101180901B1 (ko) 파이프 절단기
CN109079236A (zh) 斜切锯
CN105058122B (zh) 一种适用于条状工件的快捷夹具
CN213944954U (zh) 一种钻孔设备
US7836807B2 (en) Canted and vertical blad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