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781B1 -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781B1
KR101112781B1 KR1020110018223A KR20110018223A KR101112781B1 KR 101112781 B1 KR101112781 B1 KR 101112781B1 KR 1020110018223 A KR1020110018223 A KR 1020110018223A KR 20110018223 A KR20110018223 A KR 20110018223A KR 101112781 B1 KR101112781 B1 KR 10111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active composition
natural
farming
natural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희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나노텍 filed Critical (주)에이스나노텍
Priority to KR102011001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4Bo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Fe) 770~830ppm, 알루미늄(Al) 500~560ppm, 마그네슘(Mg) 80~100ppm, 아연(Zn) 35~42ppm, 칼슘(Ca) 25~35ppm, 구리(Cu) 22~32ppm, 망간(Mn) 10~20ppm, 붕소(B) 9~15ppm, 나트륨(Na) 5~12ppm, 및 티탄(Ti) 1~3ppm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미량 원소 및 천연 미네랄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김 생육에 적합한 pH를 유지하고 잡태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침적 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높을 뿐 아니라, 김의 광합성을 극대화시켜 에너지 대사를 증진시키고 양분과 수분 흡수를 증진시켜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독성 물질을 감소시키고 친환경 성분을 사용하여 주변 생태계와의 조화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적은 양만 사용하여도 그 효과가 우수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노화된 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붉은 갯병의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예방 및 치유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A NATURAL VITALITY COMPOSITION FOR CULTIVATING LAVER}
본 발명은 김양식용 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김은 널리 알려진 식품으로 탄수화물인 한천이 가장 많이 들어 있으며, 그 외에 헤미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둘시톨 등이 들어 있다. 지방은 거의 없으나 단백질은 30~40% 함유되어 있으며, 트레오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드립토판 등의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높다. 뿐만 아니라, 김에도 다른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Na, K, Ca, P, Fe, L, Br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카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비타민 A의 좋은 공급원이 되고, 그 밖에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C 등도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홍색 색소인 푸코에리트로빈이 있어 특유한 빛깔을 내며, 디메틸술파이드에 의하여 독특한 맛과 냄새를 낸다. 특히, 감미와 지미(脂味)를 가진 아미노산인 글리신과 알라닌의 함량이 높아 감칠맛을 낸다.
김 양식의 혁명이라고 하는 김의 냉장 발을 이용하면 한 양식장에서 씨발을 교체함으로써 오랫동안 생산을 계속할 수 있다. 김 양식은 보통 가을인 9월 말에서 10월에 인공적으로 김 포자를 붙여서 기르고, 11월 말부터 다음해 2월에 걸쳐 싹이 자라면 여러 번 채취하여 육상에서 말려 제품화한다. 김의 양식에서 잡초의 제거는 김의 성장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므로 김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파래와 같은 잡초를 사멸시켜야 한다. 김의 양식에서 잡초나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염산과 같은 무기산이나 유기산이 사용되고 있다.
김의 양식에 있어서 산 처리는 무기산인 염산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정부에서는 염산으로 인하여 해양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1997년부터 유기산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염산의 사용으로 인해 천연자원 식품의 청정 이미지 훼손, 환경오염 야기, 안전성 염려, 원산지 및 생산 이력 미표기에 따른 분식 증대로 소비가 저하되며, 소비 둔화와 과잉 생산에 따른 김 가격 폭락의 근본 원인은 염산 사용에 있다는 어업인, 현지 공무원, 수협 관계자의 공통적인 인식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 유기산을 이용한 김의 산 처리제가 출시되어 시판되고 있다. 유기산 처리제에 사용되는 유기산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구연산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본에서는 구연산을 비롯하여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현재에 시판되는 김의 유기산 처리제는 잡태 제거에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침적 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민들이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유기산을 창고에 그대로 방치하거나 바다에 투기하고 있는 실정이며, 실질적인 산 처리는 과거와 같이 염산을 불법으로 사용하여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염산의 사용은 양식장 해역의 플랑크톤을 사멸시켜 어패류의 도피, 폐사를 초래하므로 먹이사슬의 파괴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초래한다. 또한, 중금속이 다량 함유된 폐 염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먹이 연쇄를 통해 인체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염산 처리 작업은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노령화, 인력 부족 현상에 의해 김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미량 원소 및 천연 미네랄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김 생육에 적합한 pH를 유지하고 잡태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침적 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높을 뿐 아니라, 김의 광합성을 극대화시켜 에너지 대사를 증진시키고 양분과 수분 흡수를 증진시켜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성 물질을 감소시키고 친환경 성분을 사용하여 주변 생태계와의 조화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적은 양만 사용하여도 그 효과가 우수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노화된 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붉은 갯병의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예방 및 치유 효과가 있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철(Fe) 770~830ppm, 알루미늄(Al) 500~560ppm, 마그네슘(Mg) 80~100ppm, 아연(Zn) 35~42ppm, 칼슘(Ca) 25~35ppm, 구리(Cu) 22~32ppm, 망간(Mn) 10~20ppm, 붕소(B) 9~15ppm, 나트륨(Na) 5~12ppm, 및 티탄(Ti) 1~3ppm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나듐(V) 2~5ppm, 몰리브덴(Mo) 2~4ppm, 규소(Si) 1~3ppm, 및 스트론튬(Sr) 0.05~0.5pp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탄은,
크기가 나노사이즈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탄은,
크기가 1~4㎚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S), 인(P), 코발트(Co), 칼륨(K) 및 염소(C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미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전처리 과정 시 해수에 400~600배 희석하여 10~30초 침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미량 원소 및 천연 미네랄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김 생육에 적합한 pH를 유지하고 잡태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침적 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높을 뿐 아니라, 김의 광합성을 극대화시켜 에너지 대사를 증진시키고 양분과 수분 흡수를 증진시켜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독성 물질을 감소시키고 친환경 성분을 사용하여 주변 생태계와의 조화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적은 양만 사용하여도 그 효과가 우수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노화된 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붉은 갯병의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예방 및 치유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철(Fe) 770~830ppm, 알루미늄(Al) 500~560ppm, 마그네슘(Mg) 80~100ppm, 아연(Zn) 35~42ppm, 칼슘(Ca) 25~35ppm, 구리(Cu) 22~32ppm, 망간(Mn) 10~20ppm, 붕소(B) 9~15ppm, 나트륨(Na) 5~12ppm, 및 티탄(Ti) 1~3ppm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나듐(V) 2~5ppm, 몰리브덴(Mo) 2~4ppm, 규소(Si) 1~3ppm, 및 스트론튬(Sr) 0.05~0.5pp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티탄은 그 크기가 나노사이즈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nm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황(S), 인(P), 코발트(Co), 칼륨(K) 및 염소(C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미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위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미량 원소 및 천연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며, 전처리 과정에서 해수에 약 500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무독성, 효율성, 경제성을 갖는 염산 대체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인체 독성이 없고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김의 색은 진하게, 광택은 환하게, 향기는 고소하게 하여 양식된 김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붉은 갯병을 예방 및 방제하는 효과가 있어 천연 살균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광합성 극대화 및 생육 촉진 작용을 하여 천연 영양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표 1에는 무기산과 본 발명의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의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무기산인 염산에 비해 다양한 강점이 있다.
Figure 112011014783863-pat0000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의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광합성 증대를 통해 김의 에너지 대사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이온화된 4가 티탄(Ti4 +)과 철 이온이 착체를 형성하여 빛의 이용 효율을 높여 김의 광합성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철 이온(Fe2 + 또는 Fe3 +)은 헤모글로빈과 치토크롬의 철로 내부 자장과 오비탈의 모양에 의해 Fe(OH)2+, Fe(OH)+, Fe(OH)3 등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티탄(Ti)과 바나듐(V)의 착체 결합으로 인해 전자 전달 능력이 향상되어, 유기화합물 분해 능력과 바다에 침적된 각종 염류의 이온화를 촉진시켜 촉매 능력과 응집체 형성 능력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김의 양분과 수분 흡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철이 킬레이트 결합을 함으로써 과산화효소(peroxidase)의 활성을 억제하고, 인산화 작용에 관여하는 포스포릴라아제(phosphorylase)의 합성을 촉진하여, 채묘 단계부터 김의 성장이 빠르고 양분 흡수가 촉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미량 원소 및 천연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독성 물질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독소 및 해양 오염 물질과 같은 비이온성 유기화합물을 강하게 흡착하여 독성을 중화시킴으로써, 쾌적한 양식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인체 및 환경에 전혀 무해한 물질로서 양식 김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소비량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다. 즉, 광합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산소가 풍부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유해균 살균 및 항균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티탄을 나노 크기, 특히 1~4㎚ 정도로 함으로써, 평균적인 식물 기공크기인 100~200㎚보다 훨씬 작게 하여 침적 즉시 김 내부로 신속히 침투하여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속효성을 발현할 수 있다. 김 양식 중에는 붉은 갯병균(Pythium porphyrae)의 기생으로 인해 붉은 갯병(red rot)이 생길 수 있다. 김이 붉은 갯병에 걸리게 되면, 김 엽체의 붉은 쇠 녹색깔의 둥근 반점이 먼저 생기고, 이 반점이 차차 커지면서 그 내부는 청록색, 담황색으로 되며, 그 둘레는 붉은 색을 띠게 되어 상품성이 없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빠르고 탁월한 살균 및 항균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붉은 갯병을 예방 및 치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기존의 염산과 같은 무기산 사용량의 1/10 정도의 사용으로 기존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사용 효과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되고, 위험성이 제거되며, 친환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적은 양만 사용하여도 기존의 무기산과 대응되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인력이 절감되어 인건비가 줄고, 운반비 및 폐기 비용의 절감으로 부가적 경제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영양제 및 타 제제와 혼용 시에 부작용이 없고 효용이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김의 생육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즉, 김 생육에 적합한 pH 2~3 정도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파래 및 규조류 제거에 효과적이어서, 종래 유기산의 사용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김의 생육을 촉진하여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김양식용 활성 조성물로서,
    철(Fe) 770~830ppm, 알루미늄(Al) 500~560ppm, 마그네슘(Mg) 80~100ppm, 아연(Zn) 35~42ppm, 칼슘(Ca) 25~35ppm, 구리(Cu) 22~32ppm, 망간(Mn) 10~20ppm, 붕소(B) 9~15ppm, 나트륨(Na) 5~12ppm, 및 티탄(Ti) 1~3ppm을 포함하는 천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바나듐(V) 2~5ppm, 몰리브덴(Mo) 2~4ppm, 규소(Si) 1~3ppm, 및 스트론튬(Sr) 0.05~0.5pp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탄은,
    크기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황(S), 인(P), 코발트(Co), 칼륨(K) 및 염소(C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미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은,
    전처리 과정 시 해수에 400~600배 희석하여 10~30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KR1020110018223A 2011-02-28 2011-02-28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KR10111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223A KR101112781B1 (ko) 2011-02-28 2011-02-28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223A KR101112781B1 (ko) 2011-02-28 2011-02-28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781B1 true KR101112781B1 (ko) 2012-02-24

Family

ID=4584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223A KR101112781B1 (ko) 2011-02-28 2011-02-28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17B1 (ko) * 2013-01-18 2016-05-16 황영수 기능성 해태 양식용 영양제
KR20220121572A (ko) 2021-02-25 2022-09-01 대한민국(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김 붉은갯병 구제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49A (ko) * 1994-09-07 1996-04-20 이광일 김양식용 유기산 혼합물
KR20000040470A (ko) * 1998-12-18 2000-07-05 이광일 김양식용 유기산 혼합물
KR20020008332A (ko) * 2000-07-22 2002-01-30 신종암 후민물질계 김양식용 영양 산 처리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49A (ko) * 1994-09-07 1996-04-20 이광일 김양식용 유기산 혼합물
KR20000040470A (ko) * 1998-12-18 2000-07-05 이광일 김양식용 유기산 혼합물
KR20020008332A (ko) * 2000-07-22 2002-01-30 신종암 후민물질계 김양식용 영양 산 처리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17B1 (ko) * 2013-01-18 2016-05-16 황영수 기능성 해태 양식용 영양제
KR20220121572A (ko) 2021-02-25 2022-09-01 대한민국(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김 붉은갯병 구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53B1 (ko) 복합 펩티드 셀레노프로테인 양액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KR100679665B1 (ko)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셀레늄을함유하는 과수의 재배방법
KR101144641B1 (ko) 액상복합비료
KR101144633B1 (ko) 코팅종이비료
CN1213000C (zh) 农业和园艺物质
KR20100123304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창란젓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창란젓갈
KR101225890B1 (ko)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12781B1 (ko) 김양식용 천연 활성 조성물
JP2006304671A (ja) 食品処理剤及び魚卵食品
JP4087174B2 (ja) たらこ漬用の発色処理剤
CN102613009A (zh) 一种树木嫁接专用营养液
CN105837306A (zh) 一种抗菌增氮的花卉液体肥
Deepika et al. Utilisation of seaweeds in the Australian market–commercialisation strategies: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WO2017067168A1 (zh) 一种防治锈病的木瓜蛋白酶络合铜剂
JP2023101510A (ja) 天然温泉濃縮液の製造方法
KR101342532B1 (ko)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JP2002255712A (ja)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葉面散布剤
JPH02142760A (ja) 鉄塩配合物及びその水溶液
KR20210027750A (ko) 산 처리제를 이용한 김 양식 방법
KR101752610B1 (ko) 김 양식용 활성처리제
KR20090049966A (ko) 농작물의 영양공급 및 생육촉진과 병해충예방을 위한조성물
KR101160801B1 (ko) 고형 보조 첨가제
KR100551565B1 (ko) 환경친화적 김양식용 목초유기산 처리제 및 그의 사용방법
KR101179746B1 (ko) 대나무잎 추출물과 죽염의 혼합액을 이용한 마른멸치와 그 제조방법
KR102060690B1 (ko) 감귤류의 당도 및 저장 안정성 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