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801B1 - 고형 보조 첨가제 - Google Patents

고형 보조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801B1
KR101160801B1 KR1020100049571A KR20100049571A KR101160801B1 KR 101160801 B1 KR101160801 B1 KR 101160801B1 KR 1020100049571 A KR1020100049571 A KR 1020100049571A KR 20100049571 A KR20100049571 A KR 20100049571A KR 101160801 B1 KR101160801 B1 KR 101160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ditive
solid
plants
soli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104A (ko
Inventor
서용일
이영임
손화섭
Original Assignee
서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일 filed Critical 서용일
Priority to KR102010004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8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05D3/02Calcareous fertilisers from 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ate, slaked lime, calcium oxide, waste calcium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보조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pH 9.5인 미네랄 심층수 41~45중량%, 염분 0.1~4중량%, 게르마늄 8~12중량%, 제오라이트 8~12중량%, 셀레늄 3~7중량%, 천연 식이유황 3~7중량%, 키토산 3~7중량%, 및 해조류 18~22중량%로 이루어진 액상첨가제 10~20중량%와; 조개껍질분말 80~90중량%가 혼합되어 고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생물의 면역력 및 성장을 촉진시키고, 최종 섭취자인 인간의 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며,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형 보조 첨가제{Solid Supplement Additive}
본 발명은 고형 보조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미네랄, 게르마늄, 제오라이트,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키토산 및, 칼슘이 함유된 고형 보조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동물과 같은 생물은 건강한 성장을 위해 많은 영양성분이 필요하다.
상기 식물의 경우, 영양성분을 얻기 위해, 통상적으로 화학비료를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 화학비료는, 식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토양의 산성화를 가속시키고 지력을 약화시켜, 식물을 각종 병해로부터 보호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농약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질 비료 시비가 권장되고 있으나, 유기질 비료인 퇴비는 자체 생산이 어려워, 일반 경작자들은 퇴비 회사에서 대량으로 생산한 유기질 비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기질 비료로는, 퇴비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와, 혈분을 기초로 한 유기질 비료가 있다.
이때, 상기 퇴비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는, 톱밥을 주원료로 하여 미발효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유기질 비료를 시비한 후 발생하는 암모니아 등의 가스로 인해 작물이 타 죽는 일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혈분을 기초로 한 유기질 비료는, 동물 혈액에 강피류, 폐기된 곡물, 광물성 분말 등이 섞인 뒤, 부숙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혈액은 미생물이 투입되어 부숙되는데, 미생물에 의한 부숙은 시간이 오래 걸려, 미숙성의 유기질 비료가 사용 전 추가 분해되어, 발생된 가스에 의해 포장재가 터지는 일일 발생하고, 이로 인해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경작자는 퇴비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또는 혈분을 기초로한 유기질 비료의 사용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유기질 비료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없어, 식물의 성장에 해를 끼치는 병충해로부터 식물의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영양성분은 식물을 통해 최종 섭취자인 인간에게 공급될 수 있지만, 종래의 유기질 비료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종래의 유기질 비료에 의해서는 인간에게 좀 더 이로운 식물을 재배할 수 없었다.
한편, 상기 동물의 경우 건강한 성장을 위해 영양성분이 함유된 첨가제를 사료와 함께 섭취한다.
하지만, 종래의 첨가제의 경우, 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아, 동물이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물의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생물이 건강하게 성장하게 하며, 사용이 편리한 고형 보조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pH 9.5인 미네랄 심층수 41~45중량%, 염분 0.1~4중량%, 게르마늄 8~12중량%, 제오라이트 8~12중량%, 셀레늄 3~7중량%, 천연 식이유황 3~7중량%, 키토산 3~7중량%, 및 해조류 18~22중량%로 이루어진 액상첨가제 10~20중량%와; 조개껍질분말 80~90중량%가 혼합되어 고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조류가 미역 또는 다시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네랄, 게르마늄, 제오라이트,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키토산 및 칼슘이 함유되어, 생물의 면역력 및 성장을 촉진시키고, 최종 섭취자인 인간의 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며,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추와 일반비료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추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하여 재배한 오이잎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하여 재배한 시금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보조 첨가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보조 첨가제는 액상첨가제 10~20중량%와, 조개껍질분말 80~90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액상첨가제는 pH 9.5인 미네랄 심층수 41~45중량%, 염분 0.1~4중량%, 게르마늄 8~12중량%, 제오라이트 8~12중량%, 셀레늄 3~7중량%, 천연 식이유황(MSM; Methyl Sulfoneyl Methane) 3~7중량%, 키토산 3~7중량%, 및 해조류 18~22중량% 이루어져, 별도의 교반장치에 의해 혼합된다.
상기 미네랄 심층수는 pH가 9.5를 이루도록 해양 심층수가 정제된 물을 말하는 것으로, 정제과정에서 생명체에 해로운 물질은 제거된다.
한편, 상기 미네랄 심층수의 정제방법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해양 심층수는 해양심층수개발 및 관리에 관한 법에서 규정한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바닷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해양 심층수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무기영양염이 다량 포함된 부영양성,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이 없는 청정성,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저온안정성, 20기압 이상의 수압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숙성된 숙성성 등의 특성을 가진 해양자원이다.
특히, 상기 해양 심층수는 4대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을 비롯하여 아연, 셀렌, 망간 등의 각종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생명체에는 매우 이롭다.
상기 미네랄은 인간에게 필요한 5대 영양소 중의 하나로서 신체구성, 신체 기능 조절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미네랄의 결핍 또는 과잉은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저해하고,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므로, 체내의 미네랄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기 해양 심층수에 포함된 미네랄은 수용성이므로, 식물에 공급할 시 흡수가 용이하여, 식물의 성장 또는 면역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준다.
상기 게르마늄은 나노 입자로 분쇄되어 액화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게르마늄의 분쇄는 1~100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르마늄은 유해산소제거, 항암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간질환 완화, 신장병 완화, 면역기능 활성화 및, 자연치유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게르마늄은 광물 또는 식물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현미 등의 정제되지 않은 곡류나 마늘, 해조류, 인삼 등에서 얻은 천연 게르마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오라이트는 나노 입자로 분쇄되어 액화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제오라이트의 분쇄는 1~100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오라이트는, 토양의 잔류 농약 또는 카드뮴이 식물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토양의 보비력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뿌리가 왕성하게 발육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오라이트는 인공 또는 천연 제오라이트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광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제오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레늄은 나노 입자로 분쇄되어 액화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셀레늄의 분쇄는 1~100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레늄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량원소로써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 작용, 노화방지, 면역기능 향상, 중금속 해독작용, 피부미용과 탈모증의 예방과 치료,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셀레늄은 광물 또는 식물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현미 등의 정제되지 않은 곡류나 마늘, 해조류, 인삼 등에서 얻은 천연 셀레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식이유황은 나노 입자로 분쇄된다. 이때 천연 식이유황의 분쇄는 1~100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식이유황은 해독작용, 정화작용, 살균작용, 뼈 강화작용, 이뇨 및 변비 억제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천연 식이유황은 과일, 야채, 생선, 해산물, 및 육고기 등에서 얻을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나노 입자로 분쇄된다. 이때, 키토산의 분쇄는 1~100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토산은 노폐해진 세포를 활성화하여 노화를 억제하고 면역력을 강화해주며 질병을 예방해 준다. 또한, 키토산은 생체의 자연적인 치유 능력을 활성화하고, 생체 리듬을 조절해 준다.
특히, 상기 키토산은 체내에 과잉된 유해 콜레스테롤을 흡착, 배설하는 역할을 하며,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 작용을 한다. 더불어 혈압 상승의 원인이 되는 염화물 이온을 흡착하여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혈압 상승 억제 작용을 한다.
그 밖에도 상기 키토산은 혈당 조절과 간 기능 개선 작용, 체내 중금속 및 오염 물질 배출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키토산은 게, 가재, 및 새우 껍데기에 들어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진다.
상기 해조류는 나노 입자로 분쇄된다. 이때, 해조류의 분쇄는 1~100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조류 분말은 후코이단을 함유하고 있다. 후코이단이란 미역, 다시마, 톳 모즈크 등의 해조류에 함유된 미끌미끌한 점성물질로 해초가 파도에 씻기고 부딪혀 상처가 났을 때 세균 침투를 막고 상처를 치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해조류는 항균력, 면역력이 뛰어나 상처 부위에 세균이 침입하지 못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후코이단이 몸에 흡수되면 생리작용의 정상화, 깨진 생체밸런스의 회복 등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조류 중 미역과 다시마를 사용하였다.
상기 조개껍질분말은 나노 입자로 분쇄되고, 액상첨가제와 혼합되어, 고형 보조 첨가제가 생성된다. 이때, 조개껍질분말의 분쇄는 1~100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개껍질분말은 칼슘을 대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칼슘은 식물 필수 영양소 중 N(질소), P(인), K(칼륨)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이 흡수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또한 상기 칼슘은 식물에 흡수되면, 식물의 세포막을 튼튼하게 하여, 식물이 좋은 빛깔과 우수한 품질을 갖도록 한다.
한편 칼슘이 부족하면 식물은, 생육저해를 받아 잎크기가 작아지고, 줄기가 가늘어지며, 뿌리가 성장하지 못해, 결국 고사한다.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액상첨가제에 조개껍질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된 고형 보조 첨가제를 토양에 시비하면, 제오라이트에 의해 토양의 보비력이 향상되어, 토양의 거름기가 오랫동안 지속된다. 더불어, 각종 미네랄이 식물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성장촉진 및 병충해 예방에 큰 효과가 있어, 농가의 수익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게르마늄 및 셀레늄은 작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인체에서 소화, 흡수할 수 있는 유기 미네랄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식물을 섭취하는 인간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게르마늄 및 셀레늄의 효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경제가 발전하여 생활이 부유해짐으로써, 인간은 건강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점차 육식보다는 채식 위주의 식문화가 발전하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인간은 더욱더 건강에 좋은 식물을 찾게 되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한 식물은 이러한 요구에 부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농가는 보다 높은 가격으로 식물을 거래할 수 있어, 농가의 수익에 많은 도움이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보조 첨가제의 효과를 좀 더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는 함유하고 있는 구성물질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식물의 면역체계를 조절하고 자연치유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고형 보조 첨가제는 식물의 면역체계를 안정화시키며 물질대사작용을 촉진시킨다.
특히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는 병원성 세균들에 대하여 흡착 및 흡수력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독성물질을 표면에 퇴적시키거나 가두어 버리는 성질이 매우 우수하여, 탁월한 질병 방어능력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는 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칼슘을 흡수한 식물의 성장이 촉진되고, 이로 인해 식물에는 풍부한 영양소를 갖는 과실이 열매 맺는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이 인간에 섭취되면, 인간은 식물로부터 풍부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어, 건강이 증진되며, 특히 면역력이 향상되어, 별도의 건강 보조식품을 섭취하지 않더라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형 보조 첨가제의 효과를 식물에 사용되는 비료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고형 보조 첨가제가 동물에 사료로 섭취되었을 경우에도, 고형 보조 첨가제가 함유하고 있는 영양성분이 동물에 흡수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는 영양제의 형태로 인간에게도 섭취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는 비료, 사료, 영양제에 따른 사용 상태에 따라 제조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를 비료로 사용할 경우, 500℃로 가열하여 산화하면, 식물에 좋은 효능을 발휘하는 영양성분만 존재하게 되어, 고형 보조 첨가제의 효능을 비료의 기능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료로 사용할 경우, 1200℃로 가열하여 산화하면, 동물에 좋은 효능을 발휘하는 영양성분만 존재하게 되어, 고형 보조 첨가제의 효능을 사료의 기능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를 인간이 섭취하는 영양제로 사용할 경우, 2000℃로 가열하여 산화하면, 인간에 좋은 효능을 발휘하는 영양성분만 존재하게 되어, 고형 보조 첨가제의 효능을 영양제의 기능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는 환 형상으로 제조되는 등 사용에 편리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추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진의 좌측에 나타난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한 배추는 사진의 우측에 나타난 일반비료를 사용한 배추에 비해 우월한 성장능력을 보여준다.
또한 도 2는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하여 재배한 오이잎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오이잎은 핸드폰과의 크기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반 비료를 사용한 오이잎에 비해 우월한 성장능력을 보여준다.
또한 도 3은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를 사용하여 재배한 시금치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시금치는 핸드폰과의 크기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반 비료를 사용한 시금치에 비해 우월한 성장능력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고형 보조 첨가제는 종래의 화학비료와 달리 무공해 천연 무기질 비료로서 매우 안전하며, 종래의 유기질 비료에 비해 악취 등이 나지 않아, 사용하는 데 있어 매우 편리한 장점도 있다.

Claims (2)

  1. pH 9.5인 미네랄 심층수 41~45중량%, 염분 0.1~4중량%, 게르마늄 8~12중량%, 제오라이트 8~12중량%, 셀레늄 3~7중량%, 천연 식이유황 3~7중량%, 키토산 3~7중량%, 및 해조류로서 미역 또는 다시마 18~22중량%로 이루어진 액상첨가제 10~20중량%와; 조개껍질분말 80~90중량%가 혼합되어 고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보조 첨가제.
  2. 삭제
KR1020100049571A 2010-05-27 2010-05-27 고형 보조 첨가제 KR101160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571A KR101160801B1 (ko) 2010-05-27 2010-05-27 고형 보조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571A KR101160801B1 (ko) 2010-05-27 2010-05-27 고형 보조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04A KR20110130104A (ko) 2011-12-05
KR101160801B1 true KR101160801B1 (ko) 2012-06-29

Family

ID=4549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571A KR101160801B1 (ko) 2010-05-27 2010-05-27 고형 보조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1541A (zh) * 2017-09-19 2018-02-23 蚌埠市众星蔬果科技专业合作社联合社 一种梨树种植用硒肥促进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2185B1 (en) * 2014-02-03 2021-07-14 Apurano Pharmaceuticals GmbH Nanosuspension of natural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486A (ja) 2000-12-11 2002-06-26 Masahiro Kono 海水を使ったミネラル肥料の製造法
KR100866587B1 (ko) 2006-04-14 2008-11-03 주식회사 한국애그로바이오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이로부터제조된 액상비료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486A (ja) 2000-12-11 2002-06-26 Masahiro Kono 海水を使ったミネラル肥料の製造法
KR100866587B1 (ko) 2006-04-14 2008-11-03 주식회사 한국애그로바이오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이로부터제조된 액상비료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1541A (zh) * 2017-09-19 2018-02-23 蚌埠市众星蔬果科技专业合作社联合社 一种梨树种植用硒肥促进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04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4734B (zh) 纳米稀土硒硅钛宏微量元素复合营养肥
CN101691546B (zh) 一种液态海藻生物菌及其制备工艺
KR101144641B1 (ko) 액상복합비료
US20190256431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US20160200634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CN103626595B (zh) 一种果树有机肥及其生产工艺
CA2914547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CN104447022A (zh) 一种富硒壳聚糖营养型微生物肥料及制备方法
CN106800466A (zh) 生态稻田用复合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KR101144633B1 (ko) 코팅종이비료
KR20060003837A (ko) 수분조절제 및 팽화제로 해조류 부산물을 첨가한부산물비료 제조방법
CN102584429B (zh) 高浓度生态复合肥及其制备方法和在农林业生产中的应用
CN105198646A (zh) 一种有机富硒肥料及其制备方法
CN109384592A (zh) 一种降解粮食药残的酵素氨基酸纳米硒微肥、制法及应用
CN103880511A (zh) 绿色农业元素复合肥
CN103288528A (zh) 一种生产有机富硒番茄的育苗基质
CN106588217A (zh) 果树专用缓释肥
KR20110107511A (ko)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60801B1 (ko) 고형 보조 첨가제
CN107641022A (zh) 一种含硒生物有机肥的制作方法
KR101913806B1 (ko) 수산부산물을 이용한 동,식물용 영양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082031A (zh) 护草菌的制备和修复水产养殖环境的方法
CN108409432A (zh) 富硒锗多元素腐植酸微肥
CN105367294A (zh) 一种魔芋专用复合微生物菌肥的制备方法
KR20100019061A (ko) 보양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