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603B1 -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2603B1 KR101112603B1 KR1020110108637A KR20110108637A KR101112603B1 KR 101112603 B1 KR101112603 B1 KR 101112603B1 KR 1020110108637 A KR1020110108637 A KR 1020110108637A KR 20110108637 A KR20110108637 A KR 20110108637A KR 101112603 B1 KR101112603 B1 KR 1011126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able
- hanger
- cable hanger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가선에 지지되어 전선을 내측에 지지하도록 비선형으로 이루어지고 폐곡선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형성되는 링바디, 이 링바디의 상측에 형성되어 양측이 대응되는 전주측에 연결된 상측고정와이어를 삽입하는 상측연결부, 및 이 링바디의 하측에 형성되어 전주측에 연결되는 하측고정와이어를 삽입하는 하측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케이블 행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케이블 행거의 자동 설치를 위한 설비의 부피를 줄이면서 조가선에 대한 슬립(slip)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케이블 행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케이블 행거의 자동 설치를 위한 설비의 부피를 줄이면서 조가선에 대한 슬립(slip)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케이블 행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케이블 행거의 자동 설치를 위한 설비의 부피를 줄이면서 조가선에 대한 슬립(slip)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의 광케이블(fiver optics)은 전주 사이에 통신케이블 가설용의 조가선(messenger wire)을 설치한 후 작업자가 조가선에 매달린 작업자 매달림용 케이블에 올라앉아 이동하면서 걸이식 행거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설치하였다. 작업자는 조가선에 매달린 매달림용 케이블에 올라서 통신용 케이블을 신설하거나 점검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는 행거(hanger)를 조가선에 설치한 다음, 설치하는 케이블을 행거 내부에 삽입하고 체결하여 조가선에 고정하는 공정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여 작업자 매달림용 케이블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작업중인 상태에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빈발하였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작업자는 앉음 판 등의 간단한 보호지지구를 의지하기는 하지만 공중에서 작업을 하는 동안에 일정하지 못한 조가선의 장력에만 의지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작업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매우 많았고 이에 따라 작업성도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긴급하게 해결해야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또, 케이블이 설치되는 전주 자체가 노후화 되거나 충격에 의해 견고하지 못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선로를 신규로 증설하거나 수리를 위해 올라 갔을 때 중량이 부과되어 전주가 도괴되는 경우들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문제 뿐만 아니라 선로의 차단에 의한 경제적 손실도 매우 커지는 사례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용의 케이블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장치로서 국내특허출원 제10-2009-0005815호(발명의 명칭: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국내특허출원 제 10-2009-0092026호(발명의 명칭 :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장치)와 국내특허등록 제10-0914456호에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용 행거 등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선출원된 기술은 현존하는 통신용 케이블의 신설과 증설을 위하여 두 개의 장비를 모두 구비하야 하며, 장치가 무겁고 부피가 커 장치를 조가선에 올려놓기 위하여 바켓트럭을 이용해야만 하고, 장치의 복잡성에 기인한 높은 가격의 문제로 인하여 상용화되기는 하였으나 실사용은 대단히 미미한 수준이어서 거의 모든 설치 작업이 이전과 같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광케이블 자동정리방법은 장치 내부에 전용행거를 장착한 후 장치가 설치방향으로 진행하며 일정한 거리에 한 개씩의 행거를 조가선에 강제 압입하게 되어 있어 진행속도에 한계가 있으며 장착하고자 하는 행거의 숫자도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조가선이 부식되어 외경이 커졌을 때 압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는 롤러를 조가선의 상측에 지지되도록 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롤러가 조가선의 상측에서 회전시 슬립(slip)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교적 중량이 무거워지고 부피가 커지게 됨에 따라, 설치용 장치의 작업장 이동이 불편하고, 설치용 장치의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케이블 행거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별도의 고정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케이블 행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 행거가 상하측의 고정와이어에 균등하게 배치된 상태로 구속됨에 따라 고정와이어를 당기는 작업으로 케이블 행거를 일정하게 유격시켜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한 케이블 행거를 기계 내부에 장착하지 않고 조가선에 걸도록 하여 설치용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줄이고 케이블 행거 설치 후 조가선의 기울음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조가선에 대한 슬립(slip)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가격도 저렴한 케이블 행거 설치용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그에 따르는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는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는: 전선과 조가선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폐곡선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형성되는 링바디, 상기 링바디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고정와이어를 삽입하는 상측연결부, 및 상기 링바디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측고정와이어를 삽입하는 하측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바디는 둘레면에 절연피복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방법은: 제 1케이블 행거군을 이루면서 등간격으로 구속된 복수 개의 제 1케이블 행거에 제 1상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고 상기 제 1케이블 행거의 하측에 제 1하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제 1상측고정와이어와 상기 제 1하측고정와이어의 동일한 일측을 제 1조가선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단계, 상기 제 1상측고정와이어와 상기 제 1하측고정와이어를 당겨 상기 제 1조가선을 따라 상기 제 1케이블 행거를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등간격 배치단계, 및 상기 제 1상측고정와이어와 상기 제 1하측고정와이어의 동일한 타측을 상기 제 1조가선의 타측에 고정하는 고정와이어 타측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와이어 타측 연결단계 후(後)에는, 기 설치된 선로에 증설이 필요한 경우 제 2케이블 행거군을 이루면서 등간격으로 구속된 복수 개의 제 2케이블 행거에 제 2상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고 상기 제 2케이블 행거의 하측에 제 2하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증설삽입단계, 기 설치된 제 1행거군의 고정와이어 연결부중 증설시작점의 고정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 1행거군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해제단계, 상기 삽입된 제 2케이블 행거군을 시 설치된 조가선에 걸고 전선을 삽입하며 증설해야할 전선을 제 1전주와 제 2전주에 거치하는 증설거치단계, 상기 거치된 제 2행거군의 상하고정와이어를 증설시작점에 연결하는 제 2행거군 일측 고정와이어 연결단계, 상기 제 2케이블 행거군 상하고정와이어의 타단을 설치방향으로 당겨 제 2케이블 행거군의 케이블 행거들을 등간격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기 설치된 제 1케이블 행거군을 설치방향으로 모으는 증설단계, 상기 집속된 제 1케이블 행거군을 조가선과 기설치된 전선으로부터 탈거하는 집속된 제 1행거군 제거단계, 및 상기 등간격으로 배치된 제 2케이블 행거군 상하고정와이어의 타단을 조가선 또는 제 2전주, 등에 연결하는 제 2행거군 타측 고정와이어 연결 및 증설완료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케이블 행거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별도의 고정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케이블 행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 행거가 상하측의 고정와이어에 균등하게 배치된 상태로 구속됨에 따라 고정와이어를 당기는 작업으로 케이블 행거를 일정하게 유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 행거를 기계 내부에 장착하지 않고 조가선에 걸도록 하여 케이블 행거의 자동 설치를 위한 설비의 부피를 줄이면서 케이블 행거 설치 후 조가선의 기울임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조가선에 대한 슬립(slip)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행거 설치용 설비를 사용할 경우 신설용과 증설용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112)는 링바디(130), 상측연결부(140) 및 하측연결부(150)를 포함한다.
링바디(130)는 케이블 행거(112)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지국끼리를 연결하는 광케이블 또는 발전소의 전력을 보내는 전력선 등의 전선(10)을 내측에 삽입하기 위해 둘레면 일부를 개방한 수용부(136)를 형성한다. 즉, 링바디(130)는 수용부(136)에 의해 폐곡선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링바디(130)는 내부 상측에 조가선(22)을 삽입한다. 이때, 조가선(22)과 전선(10)은 양측이 각각 전주 등에 연결된다. 그래서, 조가선(22)과 전선(10)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전선(10)은 비교적 굵거나 다발로 이루어져 휘어지며 하측으로 늘어지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행거(112)는 상대적으로 장력이 강한 조가선(22)에 지지되어 상대적으로 장력이 약한 전선(10)을 지지함으로써 전선(10)의 늘어짐과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가선(22)은 케이블 행거(112)의 링바디(130) 내부 상측에 삽입되고, 전선(10)은 링바디(130)의 내부 하측에 삽입된다. 여기서, 링바디(130)는 비선형 형상의 내측에 조가선(22)을 삽입시, 조가선(22)은 링바디(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링바디(130)는 불안정하게 전선(10)을 거치하게 된다. 그래서, 링바디(130)는 조가선(22)을 수용하도록 상부 내측을 상측으로 돌출시켜 지지부(13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2)는 링바디(130)의 비선형 궤적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조가선(2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지지부(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지지부(132)는 링바디(130)에 별도로 부가 형성될 수 있으나, 링바디(130) 자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2)의 내측은 조가선(22)의 굵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블 행거(112)의 이송 설치시 조가선(22) 상의 저항체(결속용 끈 등)가 있을 때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조가선(22)이 링바디(130)의 지지부(132)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조가선(22)은 링바디(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전선(10)은 링바디(130) 내측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특히, 케이블 행거(112)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조가선(22)에 대해 전선(10)의 거치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내부응력이 큰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링바디(130)는 전선(10)과의 마찰을 줄이고, 절연을 위해 둘레면에 절연피복부재(13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절연피복부재(134)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링바디(130)에 이중 사출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링바디(130)에 덮어씌울 수도 있다. 편의상, 절연피복부재(134)는 외측을 절개하여 벌인 상태로 링바디(130)를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절연피복부재(134)는 벌이고자 하는 외력 제거시 초기 상태로 복귀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링바디(130)를 완전히 감싸게 된다. 또한, 절연피복부재(134)는 전선(10)과 접할 수 있는 링바디(130)를 감싸도록 링바디(13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측연결부(140)는 링바디(1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양측이 대응되는 전주에 연결된 상측고정와이어(21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측연결부(150)는 링바디(1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양측이 대응되는 전주에 연결된 하측고정와이어(22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측연결부(140)와 하측연결부(150)는, 지지부(132)처럼, 링바디(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링바디(13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측연결부(140)는 지지부(132)의 둘레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하측연결부(150)는 링바디(130)의 하측의 상측연결부(140)와 대칭되는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측고정와이어(212)와 하측고정와이어(222)는 복수 개의 케이블 행거(112)를 일정간격(등간격)으로 유격되게 배치하여 고정한다. 상측고정와이어(212)와 하측고정와이어(222)는 복수 개의 케이블 행거(112)를 등간격으로 전개시, 케이블 행거(112)는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대략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링바디(130)가 상측고정와이어(212)와 하측고정와이어(222)에 삽입되는 이유는, 상측고정와이어(212)만 링바디(130)에 연결될 경우 전선(10)과 케이블 행거(112)의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설치를 위해 상측고정와이어(212)를 당길 때 케이블 행거(112)의 하측이 따라오지 않아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측고정와이어(212)가 조가선(22)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거나 조가선(22)의 측면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측연결부(140)는 지지부(132)에 구비된다. 이는, 상측고정와이어(212)가 케이블 행거(112)의 상측에 연결될 경우 조가선(22)의 마찰로 인하여 상측연결부(1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하측연결부(150)는 링바디(130)의 하측을 통공하여 형성하거나, 절연피복부재(134)의 하측 일부를 절개하여 하측고정와이어(222)를 연결하는 등 케이블 행거(112)의 하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케이블 행거(112)의 링바디(130)는 내부 상측에 조가선(22)을 삽입하고 내부 하측에 전선(10)을 삽입하며, 상측고정와이어(212)와 하측고정와이어(222)를 대응되는 상측연결부(140)와 하측연결부(150)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링바디(130)는 전선(10)의 늘어짐을 방지하도록 전선(10)을 수용한 채 조가선(22)에 지지된다. 그리고, 링바디(130)는 조가선(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방법은 삽입단계(S10),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단계(S20), 등간격 배치단계(S30) 및 고정와이어 타측 연결단계(S40)를 포함한다.
편의상, 제 1조가선(22)은 상술한 조가선(22)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는 상술한 상측고정와이어(212)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는 상술한 하측고정와이어(222)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더불어, 제 1케이블 행거(112)는 상술한 케이블 행거(112)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아울러, 제 1전주(2)와 제 2전주(4)는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삽입단계(S10)는 제 1케이블 행거군(110)을 이루면서 등간격으로 구속된 복수 개의 제 1케이블 행거(112)에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를 순서대로 삽입하고, 제 1케이블 행거(112)의 하측에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공정이다.
이때, 제 1케이블 행거(112) 각각은 상측에 삽입되는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하측에 삽입되는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에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를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하게 된다.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에서 이웃한 제 1케이블 행거(112) 사이의 거리는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에서 이웃한 제 1케이블 행거(11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삽입단계(S10)는 공장에서 제조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공사 현장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단계(S20)는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일측을 제 1조가선(22)의 일측에 고정하는 공정이다. 이때,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 사이에는 제 1조가선(22)과 전선(10)이 배치되고, 제 1조가선(22)과 전선(10)의 동일한 일측은 제 1전주(2)에 지지되며, 제 1조가선(22)과 전선(10)의 동일한 타측은 제 2전주(4)에 지지된다.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일측은 제 1전주(2)에 인접되는 제 1조가선(22)의 일측 가장자리를 말한다. 이때,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는 케이블 타이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 1조가선(22)에 연결 고정된다.
물론,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일측은 제 1전주(2) 또는 전선(10)에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제 1케이블 행거(112) 각각은 제 1조가선(22)의 일측에서 제 1조가선(22)과 전선(10)을 삽입하게 된다.
또한, 등간격 배치단계(S30)는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의 타측과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타측을 당겨 제 1조가선(22)을 따라 제 1케이블 행거(112)를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공정이다.
즉, 구속되거나 연결되지 않은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타측이 제 1전주(2)에 인접한 제 2전주(4)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복수 개의 제 1케이블 행거(112)는 제 1조가선(22)을 따라 등간격을 배치된다.
이때,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타측은 다양한 설비에 의해 당겨질 수 있고, 수작업으로 당길 수도 있다.
한편, 고정와이어 타측 연결단계(S40)는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타측을 제 1조가선(22)의 타측에 고정하는 공정이다.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타측은 제 2전주(4)에 인접되는 제 1조가선(22)의 타측 가장자리를 말한다. 이때,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는 케이블 타이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 1조가선(22)에 연결 고정된다.
물론,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타측은 제 2전주(4) 또는 전선(10)에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이후, 기존의 전선(10)에 증설이 필요한 경우 증설될 증설선(12)을 기 설치된 전선(10)과 함께 지지하는 공정이 행해진다.
즉, 고정와이어 타측 연결단계(S40) 후(後)에는 제 2행거군 삽입단계(S51), 제 1행거군 고정와이어 일측연결해제단계(S52), 증설설치단계(S53), 제 2행거군 고정와이어 일측연결단계(S54), 증설단계(S55), 집속된 제 1행거군 제거단계(S56), 제 2행거군 타측 고정와이어 연결 및 증설완료단계(S57)를 포함한다.
제 2행거군 삽입단계(S51)는 삽입단계(S10)와 동일하며, 제 1행거군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해제단계(S52)는 제 1조가선(22)의 일측에 연결된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연결을 해제하는 공정이다.
즉,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일측은 연결 고정된 제 1조가선(22)이나 제 1전주(2) 또는 전선(10)으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이때,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일측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연결 해제된다.
증설거치단계(S53)는 준비된 제 2케이블 행거군(120)을 기 설치된 제 1조가선(22)에 걸고 기 설치된 전선(10)을 제 2케이블 행거군(120)에 삽입한 후 증설해야할 증설선(12)을 제 1전주(2)와 제 2전주(4)에 거치하며 거치된 전선(10)과 증설선(12)을 제 2케이블 행거군(120)에 삽입한다.
즉, 제 2케이블 행거군(120)의 제 2케이블 행거(122) 각각은 제 2상측고정와이어(214)와 제 2하측고정와이어(224)를 삽입한다. 이때, 제 2케이블 행거(122)는 제 2상측고정와이어(214)와 제 2하측고정와이어(224)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 2행거군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단계(S54)는 신설시의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고정단계(S20)와 동일하다. 즉, 제 2상측고정와이어(214)와 제 2하측고정와이어(224)의 동일한 일측은 제 1조가선(22)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 2케이블 행거(122)는 내부 상측에 제 1조가선(22)을 삽입하여 제 1조가선(22)에 거치되고, 전선(10) 및 증설선(12)을 내부 하측에 삽입하여 전선(10)과 증설선(12)의 늘어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증설단계(S55)는 제 2 케이블 행거군(120)의 고정와이어(214,224)중 제 1전주(2) 측에 연결되지 않은 타측 제 2케이블 행거군(120)의 제 2 상측고정와이어(214)와 제 2하측 고정와이어(224)를 설치방향으로 당겨 제 2케이블 행거군(120)의 케이블 행거(122)들을 등간격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기 설치된 제 1케이블 행거군(110)을 설치방향으로 밀어 집속시켜주는 공정이다.
특히, 복수 개의 제 1케이블 행거(112)를 삽입한 제 1상측고정와이어(212)와 제 1하측고정와이어(222)의 동일한 일측은 구속되거나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 2케이블 행거(112)가 제 1조가선(22)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복수 개의 제 1케이블 행거(112)는 제 2전주(4)측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상측고정와이어(214)와 제 2하측고정와이어(224)의 동일한 타측은 다양한 설비에 의해 당겨질 수 있고, 수작업으로 당길 수도 있다.
집속된 제 1행거군 제거단계(56)는 상기와 같이 집속된 제 1 케이블 행거군(110)을 조가선(22)과 전선(10)에서 탈거하여 연장설치에 활용하거나, 이후 타 공사에 사용하도록 하는 공정이다.
제 2행거군 타측 고정와이어 연결 및 증설완료단계(S57)는 증설 완료된 제 2행거군(120)의 고정와이어(214,224) 타측을 제 2전주(4)측에 연결하여 증설공정을 완료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4,6: 제 1,2,3전주 10: 전선
12: 증설선 22: 제 1조가선
212,214: 제 1,2상측고정와이어
222,224: 제 1,2하측고정와이어
110,120: 제 1,2케이블 행거군
112,122: 제 1,2케이블 행거 130: 링바디
132: 지지부 134: 절연피복부재
136: 수용부 140: 상측연결부
150: 하측연결부
12: 증설선 22: 제 1조가선
212,214: 제 1,2상측고정와이어
222,224: 제 1,2하측고정와이어
110,120: 제 1,2케이블 행거군
112,122: 제 1,2케이블 행거 130: 링바디
132: 지지부 134: 절연피복부재
136: 수용부 140: 상측연결부
150: 하측연결부
Claims (4)
- 전선과 조가선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폐곡선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형성되는 링바디;
상기 링바디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고정와이어를 삽입하는 상측연결부; 및
상기 링바디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측고정와이어를 삽입하는 하측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바디는 둘레면에 절연피복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
- 제 1케이블 행거군을 이루면서 등간격으로 구속된 복수 개의 제 1케이블 행거에 제 1상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고, 상기 제 1케이블 행거의 하측에 제 1하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제 1상측고정와이어와 상기 제 1하측고정와이어의 동일한 일측을 제 1조가선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단계;
상기 제 1상측고정와이어와 상기 제 1하측고정와이어를 당겨 상기 제 1조가선을 따라 상기 제 1케이블 행거를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등간격 배치단계; 및
상기 제 1상측고정와이어와 상기 제 1하측고정와이어의 동일한 타측을 상기 제 1조가선의 타측에 고정하는 고정와이어 타측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 타측 연결단계 후(後)에는, 기 설치된 선로에 증설이 필요한 경우 제 2케이블 행거군을 이루면서 등간격으로 구속된 복수 개의 제 2케이블 행거에 제 2상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고, 상기 제 2케이블 행거의 하측에 제 2하측고정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하는 제 2행거군 삽입단계;
기 설치된 제 1행거군의 고정와이어 연결부중 증설시작점의 고정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 1행거군 고정와이어 일측 연결해제단계;
상기 삽입된 제 2케이블 행거군을 시 설치된 조가선에 걸고 전선을 삽입하며 증설해야할 전선을 제 1전주와 제 2전주에 거치하는 증설거치단계;
상기 거치된 제 2행거군의 상하고정와이어를 증설시작점에 연결하는 제 2행거군 일측 고정와이어 연결단계;
상기 제 2케이블 행거군 상하고정와이어의 타단을 설치방향으로 당겨 제 2케이블 행거군의 케이블 행거들을 등간격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기 설치된 제 1케이블 행거군을 설치방향으로 모으는 증설단계;
상기 집속된 제 1케이블 행거군을 조가선과 기설치된 전선으로부터 탈거하는 집속된 제 1행거군 제거단계; 및
상기 등간격으로 배치된 제 2케이블 행거군 상하고정와이어의 타단을 조가선 또는 제 2전주, 등에 연결하는 제 2행거군 타측 고정와이어 연결 및 증설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637A KR101112603B1 (ko) | 2011-10-24 | 2011-10-24 |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637A KR101112603B1 (ko) | 2011-10-24 | 2011-10-24 |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2603B1 true KR101112603B1 (ko) | 2012-02-15 |
Family
ID=4584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8637A KR101112603B1 (ko) | 2011-10-24 | 2011-10-24 |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260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9434A (ja) * | 1992-11-09 | 1994-07-08 | Kiya Seisakusho:Kk | 把持体 |
KR100897344B1 (ko) | 2009-01-23 | 2009-05-14 | (주)상산이엔씨 |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
KR20100092669A (ko) * | 2009-02-13 | 2010-08-23 | (주)이정티엔씨 | 케이블 행거, 케이블 행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가설 방법 |
KR20110023692A (ko) * | 2009-12-18 | 2011-03-08 | (주)상산이엔씨 | 광케이블용 자동정리장치용 행거 |
-
2011
- 2011-10-24 KR KR1020110108637A patent/KR1011126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9434A (ja) * | 1992-11-09 | 1994-07-08 | Kiya Seisakusho:Kk | 把持体 |
KR100897344B1 (ko) | 2009-01-23 | 2009-05-14 | (주)상산이엔씨 |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
KR20100092669A (ko) * | 2009-02-13 | 2010-08-23 | (주)이정티엔씨 | 케이블 행거, 케이블 행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가설 방법 |
KR20110023692A (ko) * | 2009-12-18 | 2011-03-08 | (주)상산이엔씨 | 광케이블용 자동정리장치용 행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2687B1 (ko) | 이지행거 | |
CN100367589C (zh) | 电力线绞线辊子及其操作方法 | |
KR101135639B1 (ko) |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장치 | |
KR102344311B1 (ko) |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 |
CN101834416A (zh) | 带电修补输电线路断股架空地线的设备及施工方法 | |
JP5597443B2 (ja) | Pc構築物の施工方法 | |
KR101112603B1 (ko) |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 |
KR102413386B1 (ko) |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주상 포설 방법 | |
JP2004302418A (ja) | ケーブル留め具 | |
KR20090095228A (ko) | 송전선로의 전선 교체용 활차구조체 및 이 활차구조체를이용한 전선 교체공법 | |
CN113471916B (zh) | 一种高空安装防振锤防触电装置及其实施方法 | |
KR101881298B1 (ko) | 광케이블 보호관 | |
KR101229889B1 (ko) | 인입선 행거 | |
KR200223945Y1 (ko) |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행거 | |
KR20100062001A (ko) | 유형케이블행거 | |
JP5033846B2 (ja) | 取付補助具、装着方法、および脱着方法 | |
KR20100077394A (ko) | 개방형 조가선 행거용 취부공구 | |
KR101268252B1 (ko) | 가공케이블 트레이 | |
KR100887419B1 (ko) | 송·배전선용 클램프 | |
KR101061809B1 (ko) | 이지행거 | |
KR101668108B1 (ko) | 통신용 케이블 행거 | |
CN204075625U (zh) | 一种钢丝绳锁扣拆装用辅助装置 | |
JPH11164461A (ja) | 架設装置 | |
JP5889619B2 (ja) | 回転電機用冶具、及び回転電機の回転子挿入方法、並びに引抜き方法 | |
JP2010268637A (ja) | 架空配電線の分岐装置及び分岐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