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344B1 -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344B1
KR100897344B1 KR1020090005815A KR20090005815A KR100897344B1 KR 100897344 B1 KR100897344 B1 KR 100897344B1 KR 1020090005815 A KR1020090005815 A KR 1020090005815A KR 20090005815 A KR20090005815 A KR 20090005815A KR 100897344 B1 KR100897344 B1 KR 100897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am
casing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일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상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상산이엔씨
Priority to KR102009000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44B1/ko
Priority to PCT/KR2010/000456 priority patent/WO2010085126A2/ko
Priority to CN2010800053761A priority patent/CN10229289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신케이블 설치용의 조가선(wire)(1) 상에 설치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통신케이블을 내부에 유지하는 복수개의 통신케이블 가이드(16); 본체부를 지지하기 위해 그의 상부 일측단에 설치되는 케이싱부(20); 본체부의 상부 타측단에 설치되어 행거를 낙하하고 압착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캠 작동부(30); 상기 캠 작동부(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고, 행거를 낙하 후 압착하는 플라이휠부(40); 상기 케이싱부(20)와 플라이휠부(40)를 연결하는 구동벨트(24); 상기 케이싱부(20)의 밑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구동부(50); 상기 케이싱부(20)와 상기 캠 작동부(30) 사이를 연결하여 행거를 장착하고 밀어주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 2개의 바(bar)를 구비하고, 하부측 바에 안착하여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21)를 구비하는 행거가이드부(26); 상기 케이싱부(20)에 부착되고, 조가선(1)에 안착하여 본체부(10)를 주행하기 위한 제1주행휠(wheel)(12a) 및 제2주행휠(12b)을 구비하는 주행휠부(12); 및 상기 캠 작동부(30)에 연장 설치되어 조가선(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가선 지지핀(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05815
통신용 광케이블 자동정리, 조가선, 가이드 브라켓, 행거낙하, 행거 압착

Description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FIBER OPTICS AUTOMATIC ARRAN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케이블 가설용의 조가선 상에 광케이블을 자동으로 설치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의 광케이블(fiver optics)은 전주 사이에 통신케이블 가설용의 조가선(messenger wire)을 설치한 후 작업자가 케이블 상에 올라 앉아 이동하면서 설치한 후 걸이식 행거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설치하였다. 작업자는 케이블 상에 올라서 통신용 케이블을 신설하거나 점검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는 행거(hanger)를 조가선에 설치한 다음, 설치하는 케이블을 행거 내부에 삽입하고 체결하여 조가선에 고정하는 공정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여 케이블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작업중인 상태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빈발하였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작업자는 앉음 판 등의 간단한 보호지지구를 의지하기는 하지만 공중에서 작업을 하는 동안에 일정하지 못한 케이블의 장력에만 의지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작업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매우 많았고 이에 따라 작업성도 매 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긴급하게 해결해야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또, 케이블이 설치되는 전주 자체가 노후화 되거나 충격에 의해 견고하지 못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선로를 신규로 증설하거나 수리를 위해 올라 갔을 때 중량이 부과되어 전주가 도괴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문제 뿐만 아니라 선로의 차단에 의한 경제적 손실도 매우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용 광케이블을 신설하거나 할 경우에는 바켓트럭을 이용한 선로작업을 하는 것이 권장되었으나, 현장에서의 감독이 소홀해 질 수 있고 바켓 트럭에 올라 작업을 할 경우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발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바켓 트럭을 이용하지 않고 사다리를 이용하여 바인딩 작업을 시행함에 따라 노후화되고 균열이 있었던 전주가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절손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선로 설치를 위한 작업자가 전주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상에 올라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지 않고 케이블 정리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 설치된 구 행거를 안전하고 빠르게 제거하고 신설하는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 정리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지상에서 제어하면서 기존 설치된 행거를 제거하고, 신설 행거를 설치하면서 통신용 광케이블을 신설할 수 있는 원격조정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는, 통신케이블 설치용의 조가선(wire)(1) 상에 설치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통신케이블을 내부에 유지하는 복수개의 통신케이블 가이드(16); 본체부를 지지하기 위해 그의 상부 일측단에 설치되는 케이싱부(20); 본체부의 상부 타측단에 설치되어 행거를 낙하하고 압착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캠 작동부(30); 상기 캠 작동부(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고, 행거를 낙하 후 압착하는 플라이휠 부(40); 상기 케이싱부(20)와 플라이휠부(40)를 연결하는 구동벨트(24); 상기 케이싱부(20)의 밑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구동부(50); 상기 케이싱부(20)와 상기 캠 작동부(30) 사이를 연결하여 행거를 장착하고 밀어주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 2개의 바(bar)를 구비하고, 하부측 바에 안착하여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21)를 구비하는 행거가이드부(26); 상기 케이싱부(20)에 부착되고, 조가선(1)에 안착하여 본체부(10)를 주행하기 위한 제1주행휠(wheel)(12a) 및 제2주행휠(12b)을 구비하는 주행휠부(12); 및 상기 캠 작동부(30)에 연장 설치되어 조가선(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가선 지지핀(36);을 포함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구동부(50)는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1타이밍풀리(5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부(20)는 이 구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제2타이밍풀리(22a)와 제3타이밍풀리(23)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타이밍풀리(22a)와 연장되는 축상에 제4타이밍풀리(22b)를 구비하며, 상기 제4타이밍풀리(22b)는 플라이휠 구동벨트(24)로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휠부(40)에 설치된 제5타이밍풀리(42)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타이밍풀리(52)와 제2타이밍풀리(22a) 및 제3타이밍풀리(23)는 모터 구동벨트(22d)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타이밍풀리(22a)와 제4타이밍풀리(22b) 사이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조절용 풀리(22c)와, 구동벨트(2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벨트 장력조절용 풀리(24a)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행거가이드부(26)는, 케이싱부(20)와 캠 작동부(30) 사이에 2개의 바를 상하부로 연결하여 그 하부측이 조가선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설치용의 행거 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프레싱 위치까지 밀어주는 가이드스프링(26c)을 외부에 구비하는 하부 행거가이드(26a)와; 상기 하부 행거가이드(26a)의 상면에 설치되어 행거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행거가이드(26b)와; 이 상층 및 하층 행거가이드부(26a, 26b)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26d)와; 캠 작동부(30)와 격벽되는 제1 가이드 브라켓(26e) 및 제2 가이드 브라켓(26f);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0)에 완충장치(62)를 개재하여 부착되며, 상기 케이싱부(20)에 고정되어 기 설치된 구 행거(2)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60)를 추가로 구비하며, 구 행거(2)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64)와, 설치된 통신용 케이블을 손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커버(6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케이싱부(20)에 연장설치되고, 커팅부(60)에서 절단된 구 행거(2)를 들어내어 제거하기 위해, 볼트(27a)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브라켓스프링(27b)을 외부에 삽입하는 행거제거 브라켓(27)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이휠부(40)부는; 상기 제5타이밍풀리(42)를 지지하기 위하여 부싱(44a)을 개재하여 설치하는 회전축(44)과; 그 상부에 투입되는 행거를 낱개로 돌출시켜 낙하하기 위한 행거 낙하캠축부(46)와; 낙하 투입된 행거를 조가선에 압착하기 위한 행거 압착캠축부(48);로 구성되며,
상기 행거 낙하캠축부(46)는 상기 플라이휠부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구동하는 낙하캠 롤러(46a)와, 캠을 감싸 형성되는 낙하캠 리턴스프링(46b)와, 캠을 이동하기 위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46c)와, 진행 및 복귀 작동하는 낙하캠축(57)과 내부 에 설치되어 탄성작용하는 내부스프링(57a) 및 행거를 조가선 상에 낙하(drop) 및 복귀하는 행거드롭장치(5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행거 압착캠축부(48)는 상기 플라이휠부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구동하는 압착캠 롤러(48a)와, 캠을 감싸 형성되는 압착캠 리턴스프링(48b)과, 캠을 이동하기 위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48c)와, 진행 및 복귀 작동하는 압착캠축(47)과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작용하는 내부스프링(47a) 및 낙하된 행거를 조가선 상에 압착(press)하거나 복귀 작용하는 행거압착장치(4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케이싱부(20)는, 그 일측에 장홈(28a)을 형성하고, 행거의 길이에 맞게 커팅하는 행거절단 조절부(2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그 내측에 봉형태로 돌출 설치되고, 스프링(25b)을 끼운 볼트(25a)로 고정되어 상기 행거가이드(26)를 눌러 행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행거지지대(25)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 의하면, 선로 설치를 위한 작업자가 전주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 상에 올라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지 않고 케이블 정리를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 의하면, 기 설치된 행거를 안전하고 빠르게 제거한 후 신설하는 통신용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 의하면, 기 설치된 구 행거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 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하면서 신설 광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정리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 의하면 통신용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인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인건비를 절감하면서도, 케이블 정리작업의 속도를 획기적으로 증대할 수 있어, 광케이블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크게 증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케이싱부와 모터 구동부와 커팅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부분 상세도를 도시한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캠 작동부(30)의 배면부를 도시하여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케이싱부(20)의 배면부를 도시하여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구 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구동원리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부호 1은 전주상에 기 설치되어 있는 조가선(messenger wire), 부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의 본체부, 부호 12는 주행휠부, 부호 16은 통신용 케이블을 결속 시키기 위한 통신케이블 가이드, 부호 20은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싱부, 부호 21은 행거 가이드 상을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 부호 22a, 22b, 23, 42, 52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5 타이밍 풀리, 부호 24, 54는 동력 전달용의 구동벨트(또는 체인), 부호 25는 행거를 지지하고 행거지지대, 부호 26은 가이드 롤러(21)가 주행하는 행거가이드부, 부호 27은 절단된 구 행거를 들어 올리는 구조의 행거제거 브라켓, 부호 27a는 행거제거 브라켓을 본체부에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볼트, 부호 27b는 브라켓 고정볼트에 삽입되는 브라켓 스프링, 부호 28은 행거의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하는 행거절단 조절부, 부호 30은 행거를 낙하 및 압착하도록 작동하는 캠 작동부, 부호 40은 케이싱부(2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플라이휠부, 부호 44는 캠 작동부와 플라이휠부를 연결하는 회전축, 부호 46은 행거를 낱개로 분리시켜 떨어뜨리는 행거 낙하캠, 부호 46a, 48a는 낙하캠 및 압착캠을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 부호 46b, 48b는 리턴스프링, 부호 46c, 48c는 롤러가 타고 이동하는 제1, 제2 돌출부, 부호 57, 47은 낙하 및 압착캠축을 도시하고, 부호 47a, 57a은 캠의 내부스프링, 부호 48은 행거 압착캠를 도시하고, 부호 49는 행거를 압착하는 행거압착장치, 부호 59는 행거를 낙하하는 행거드롭장치, 부호 50은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 부호 60은 커터를 내장하여 기 설치된 구 행거를 절단하는 커팅부(cutting), 부호 62는 커팅부를 설치하기 위한 완충장치, 부호 64는 커터(cutter), 부호 66은 커팅부를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커버, 부호 70은 행거를 도시하며, 부호 100은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를 도시한다.
1. 전체 구성의 도시 및 설명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설치용의 조가선(messenger wire)(1) 상에 본체부(10)가 탑재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어 통신케이블을 내부에 유지하는 복수개의 통신케이블 가이드(16)를 체결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해 그의 상부 일측단에 케이싱부(20)를 설치하고, 본체부(10)의 상부 타측단에 설치되어 행거를 낙하하고 압착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캠 작동부(30)를 설치하며, 상기 캠 작동부(30)의 회전축(44)에 부싱(44a)을 개재하여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받고, 행거를 낙하(drop) 후 압착(press)하는 플라이휠부(4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부(20)와 플라이휠부(40)를 구동벨트(24)를 체결하여 연결한다. 이때 여기에서는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벨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체인이나 기타 형태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케이싱부(20)의 밑면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구동부(5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부(20)와 상기 캠 작동부(30) 사이를 연결하여 행거를 장착하고 밀어주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 2개의 바(bar)를 구비하는 행거가이드부(26)를 구 성하며, 상기 케이싱부(20)에 부착되고, 조가선(1)에 안착하여 본체부(10)를 주행하기 위한 제1주행휠(wheel)(12a) 및 제2주행휠(12b)을 구비하는 주행휠부(12)를 설치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본체부(10)를 조가선(1)에 탑재하여 안정적으로 구동하고, 행거가이드부(26)는 상층과 하층에 각 2개씩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이후 추가로 상세하게 그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행거가이드(26)의 하부측 바에 안착하여 이동하기 위해서 가이드 롤러(21)를 설치하여 조가선(1) 상부를 주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는 봉형태로 돌출되는 행거지지대(25)를 설치하고, 그 단부에는 행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술한 행거가이드(26)를 눌러 고정한다.
또, 상기 캠 작동부(30)에는 조가선(1)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조가선 지지핀(36)을 설치하여 멈춤이 없이 지속적으로 구 행거(2)의 절단, 제거 및 신 행거 설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행거(70)는 상술한 플라이휠부(40)를 통해 낙하 및 압착되어 통신용 케이블을 내부에 유지(Holding)하게 되는데, 그 형상은 조가선(1)을 중앙에 끼우고 중앙부에는 통신용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상측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커팅부(60)는 케이블 보호커버(66)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기 설치된 구 행거(2)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64)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 구동부(50)가 작동하면서 커팅부(60)의 커터(64)가 구 행거(2)를 절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행거제거 브라켓(27)이 케이싱(20)에 브라켓 스 프링(27b)을 끼운 브라켓 고정볼트(27a)에 설치되어 있어, 절단된 구 행거(2)의 체결와이어를 들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도 2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알 수 있듯이, 본체부(10)의 내측으로는 행거지지대(25)가 스프링(25b)을 끼운 볼트(25a)로 고정되어 설치되고, 행거가이드(26)를 눌러 행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행거지지구(25c)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롤러(21)가 설치되어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
2. 케이싱부(20)와 캠 작동부(30)의 상세 구성 및 작용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싱부(20)와 캠 작동부(30) 사이에 복층으로 설치된 행거가이드부(26)의 구성을 알 수 있다. 상기 행거가이드부(26)는 하층에 설치되고, 스프링(26c)을 끼워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층 행거가이드부(26a)와, 그 상층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술한 행거가이드(26)에 결합되는 행거지지구(25c)에 의해 고정되는 상층 행거가이드부(26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 상층 및 하층 행거가이드부(26a, 26b)의 선단부에는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26d)가 설치된다. 또, 캠 작동부(30)와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행거(70)를 탄성력을 이용해 밀고 나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1 가이드 브라켓(26e) 및 제 2 가이드 브라켓(26f)이 설치되어, 행거가이드가 캠 작동부(30)에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부(20)에는 스프링판 등의 완충장치(62)를 개재하여 커팅부(60)가 부착되어 커팅시 충격을 완하하고, 커팅부(60)에는 커터(cutter)(64)를 내장하여 구 행거(2)를 절단하며, 케이블 보호커버(66)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통신용 케이블이 절단되는 것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 모터 구동부(5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타이밍풀리(52)를 설치하고, 케이싱부(20)의 뒷면에 제2 내지 4 타이밍풀리(22a, 23, 22b)를 설치하며, 모터 구동벨트(22d)를 연결하여 구동한다. 이때, 모터 구동벨트(22d)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용 풀리(22c)를 삽입할 수 있다. 또, 제4 타이밍풀리(22b)는 플라이휠부(40)에 설치되는 제5타이밍풀리(42)에 타이밍벨트(24)를 통해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터 구동부(5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케이싱부(20)와 플라이휠부(40)에 전달하게 된다.
3. 행거 낙하캠부의 작동 전후의 상태의 설명
다음으로, 도 5a는 도 1의 A-A 단면도로,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낙하캠(46)의 작동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낙하캠(46)의 작동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 5a, 5b를 참조하면, 행거 낙하캠(46)은 롤러(46a)를 이용해 이동하고, 캠의 외부에는 캠이 작동후 복귀하기 위한 리턴스프링(46b)이 구비되고, 작동시 캠이 이동하는 제1 돌출부(46c)가 형성된다. 본체부(10)가 이동하면서 개별의 행거(70)를 위치시키면, 낙하캠축(57)에 설치된 내부스프링(57a)이 인장되어 행거(70)를 드롭시키게 된다.
이후,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거(70)를 드롭시킨 후에는 리턴스프링(46a)이 탄성력을 회복하여 복귀하도록 작동한다.
여기에서, 부호 44는 캠 작동부(30)로부터 연장되어 플라이휠부(40)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한 회전축을 도시하고, 부싱(44a)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는 행거를 고정할 위치에 낙하(drop)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4. 행거 압착캠부의 작동 전후의 상태의 설명
도 6a는 도 1의 B-B 단면도로,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압착캠(48)의 작동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압착캠(48)의 작동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 5a, 5b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낙하된 행거(7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작동이 발생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는 낙하된 행거(70)를 조가선(1) 상에 끼워서 압착(pressing)하여 고정시킨다.
도 6a, 6b를 참조하면, 행거 압착캠(48)은 롤러(48a)를 이용해 이동하고, 캠의 외부에는 캠이 작동후 복귀하기 위한 리턴스프링(48b)이 구비되고, 작동시 캠이 이동하는 제2 돌출부(48c)가 형성된다. 본체부(10)가 이동하면서 개별의 행거(70)를 위치 한 후에, 행거 압착캠축(47)에 설치된 내부스프링(47a)이 인장되어 행거(70)를 위에서 끼워서 압착하게 된다.
이후,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거(70)를 조가선 상에 끼워 압착시킨 후에는 리턴스프링(48a)이 탄성력을 회복하여 복귀하도록 작동한다. 이후, 다음 행거를 압착하기 위하여 작동 대기한다.
여기에서, 부호 44는 캠 작동부(30)로부터 연장되어 플라이휠부(40)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한 회전축을 도시하고, 부싱(44a)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또, 부호 36으로 도시하고 있는 조가선 지지핀(36)은 롤러(36a)와 외부에 스프링(36b)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제3 돌출부(36c)를 구비하여 작동한다. 이 조가선 지지핀(36)은 상기 캠 작동부(30)에 연장 설치되어 조가선(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구동원리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타이밍 풀리(52)는 제 2 내지 3 타이밍 풀리(22a, 23)과 구동벨트(22d)를 통해 연결되고, 제4타이밍 벨트(22b)는 플라이휠부(40)에 설치되는 제5 타이밍 풀리(42)에 연결되며, 각각의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 벨트(22c, 24a)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벨트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체인 등의 구성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기 설치된 구 행거를 제거하고, 통신용 케이블을 자동으로 설치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의 케이싱부와 모터 구동부와 커팅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캠 작동부(30)의 배면부를 도시하여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케이싱부(20)의 배면부를 도시하여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a는 도 1의 A-A 단면도로,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낙하캠(46)의 작동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낙하캠(46)의 작동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a는 도 1의 B-B 단면도로,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압착캠(48)의 작동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에서의 행거 압착캠(48)의 작동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구동원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가선(messenger wire) 10: 본체부
12: 주행휠부 16: 통신케이블 가이드
20: 케이싱부 21: 가이드 롤러
22a, 22b, 23, 42, 52:타이밍 풀리 24: 구동벨트
25: 행거지지대 26: 행거가이드부
27: 행거제거 브라켓 27a: 브라켓 고정볼트
27b: 브라켓 스프링 28: 행거절단 조절부
30: 캠 작동부 40: 플라이휠부
44: 회전축 46: 행거 낙하캠
46a, 48a: 롤러 46b, 48b: 리턴스프링
46c, 48c: 제1, 제2 돌출부 47, 57: 캠축
47a, 57a: 내부스프링 48: 행거 압착캠
49: 행거압착장치 59: 행거드롭장치
50: 모터 구동부 60: 커팅부(cutting)
62: 완충장치 64: 커터(cutter)
66: 케이블 보호커버 70: 행거
100: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Claims (8)

  1. 통신케이블 설치용의 조가선(wire)(1) 상에 설치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통신케이블을 내부에 유지하는 복수개의 통신케이블 가이드(16);
    본체부를 지지하기 위해 그의 상부 일측단에 설치되는 케이싱부(20);
    본체부의 상부 타측단에 설치되어 행거를 낙하하고 압착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캠 작동부(30);
    상기 캠 작동부(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고, 행거를 낙하(drop) 후 압착(press)하는 플라이휠부(40);
    상기 케이싱부(20)와 플라이휠부(40)를 연결하는 구동벨트(24);
    상기 케이싱부(20)의 밑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구동부(50);
    상기 케이싱부(20)와 상기 캠 작동부(30) 사이를 연결하여 행거를 장착하고 밀어주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 2개의 바(bar)를 구비하고, 하부측 바에 안착하여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21)를 구비하는 행거가이드부(26);
    상기 케이싱부(20)에 부착되고, 조가선(1)에 안착하여 본체부(10)를 주행하기 위한 제1주행휠(wheel)(12a) 및 제2주행휠(12b)을 구비하는 주행휠부(12); 및
    상기 캠 작동부(30)에 연장 설치되어 조가선(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가선 지지핀(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50)는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1타이밍풀리(5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부(20)는 이 구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제2타이밍풀리(22a)와 제3타이밍풀리(23)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타이밍풀리(22a)와 연장되는 축상에 제4타이밍풀리(22b)를 구비하며, 상기 제4타이밍풀리(22b)는 플라이휠 구동벨트(24)로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휠부(40)에 설치된 제5타이밍풀리(42)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타이밍풀리(52)와 제2타이밍풀리(22a) 및 제3타이밍풀리(23)는 모터 구동벨트(22d)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타이밍풀리(22a)와 제4타이밍풀리(22b) 사이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조절용 풀리(22c)와, 구동벨트(2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벨트 장력조절용 풀리(24a)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가이드부(26)는, 케이싱부(20)와 캠 작동부(30) 사이에 2개의 바를 상하부로 연결하여 그 하부측이 조가선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설치용의 행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프레싱 위치까지 밀어주는 가이드스프링(26c)을 외부에 구비하는 하부 행거가이드(26a)와; 상기 하부 행거가이드(26a)의 상면에 설치되어 행거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행거가이드(26b)와; 이 하부 및 상부 행거가이드부(26a,26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간격유지구(26d)와; 캠 작동부(30)와 격벽되는 제1 가이드 브라켓(26e) 및 제2 가이드 브라켓(26f);을 포 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4. 제 1항에 있어서, 본체부(10)에 완충장치(62)를 개재하여 부착되며, 상기 케이싱부(20)에 고정되어 기 설치된 구 행거(2)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6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커팅부(60)는 구 행거(2)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64)와, 설치된 통신용 케이블을 손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커버(6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5.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싱부(20)에 연장설치되고, 커팅부(60)에서 절단된 구 행거(2)를 들어내어 제거하기 위해, 볼트(27a)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브라켓스프링(27b)을 외부에 삽입하는 행거제거 브라켓(27)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20)는, 그 일측에 장홈(28a)을 형성하고, 행거의 길이에 맞게 커팅하는 행거절단 조절부(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부(40)부는; 상기 제5타이밍풀리(42)를 지지하기 위하여 부싱(44a)을 개재하여 설치하는 회전축(44)과; 그 상부에 투입되는 행 거를 낱개로 돌출시켜 낙하하기 위한 행거 낙하캠축부(46)와; 낙하 투입된 행거를 조가선에 압착하기 위한 행거 압착캠축부(48);로 구성되며,
    상기 행거 낙하캠축부(46)는 상기 플라이휠부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구동하는 낙하캠 롤러(46a)와, 캠을 감싸 형성되는 낙하캠 리턴스프링(46b)와, 캠을 이동하기 위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46c)와, 진행 및 복귀 작동하는 낙하캠축(57)과, 내부에 설치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작용하는 내부스프링(57a) 및 행거를 조가선 상에 낙하(drop)후 복귀하는 행거드롭장치(5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행거 압착캠축부(48)는 상기 플라이휠부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구동하는 압착캠 롤러(48a)와, 캠을 감싸 형성되는 압착캠 리턴스프링(48b)과, 캠을 이동하기 위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48c)와, 진행 및 복귀 작동하는 압착캠축(47)과,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작용하는 내부스프링(47a) 및 낙하된 행거를 조가선 상에 압착(press)하거나 복귀 작용하는 행거압착장치(4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그 내측에 봉형태로 돌출 설치되고, 스프링(25b)을 끼운 볼트(25a)로 고정되어 상기 행거가이드(26)를 눌러 행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행거지지대(25)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100).
KR1020090005815A 2009-01-23 2009-01-23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KR10089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15A KR100897344B1 (ko) 2009-01-23 2009-01-23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PCT/KR2010/000456 WO2010085126A2 (ko) 2009-01-23 2010-01-25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CN2010800053761A CN102292891A (zh) 2009-01-23 2010-01-25 光缆自动整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15A KR100897344B1 (ko) 2009-01-23 2009-01-23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344B1 true KR100897344B1 (ko) 2009-05-14

Family

ID=4086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815A KR100897344B1 (ko) 2009-01-23 2009-01-23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97344B1 (ko)
CN (1) CN102292891A (ko)
WO (1) WO201008512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06B1 (ko) 2009-09-28 2010-04-16 (주)상산이엔씨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 장치
KR101112603B1 (ko) 2011-10-24 2012-02-15 정인영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KR101135639B1 (ko) * 2011-10-24 2012-04-17 정인영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1295A (en) 1976-12-08 1978-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Apparatus for removing cable suspension rings
JPH071998A (ja) * 1992-04-01 1995-01-0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ハンガイヤの自動着脱装置
JP2000278828A (ja) 1999-03-25 2000-10-06 Denkensha:Kk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ーの架設用先導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5749A1 (de) * 1994-10-04 1996-04-10 KONRAD DOPPELMAYR &amp; SOHN MASCHINENFABRIK GESELLSCHAFT M.B.H. &amp; CO. KG. Seilbahnanlage mit einem Trag- und Förderseil
CN2497455Y (zh) * 2000-03-21 2002-06-26 蒋志明 随篮电缆导线器
KR100725284B1 (ko) * 2005-08-05 2007-06-07 박은혜 친환경 광케이블 정리기
KR20080112034A (ko) * 2007-06-20 2008-12-24 보성텔레콤(주) 케이블가설용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1295A (en) 1976-12-08 1978-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Apparatus for removing cable suspension rings
JPH071998A (ja) * 1992-04-01 1995-01-0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ハンガイヤの自動着脱装置
JP2000278828A (ja) 1999-03-25 2000-10-06 Denkensha:Kk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ーの架設用先導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06B1 (ko) 2009-09-28 2010-04-16 (주)상산이엔씨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 장치
WO2011037437A2 (ko) * 2009-09-28 2011-03-31 (주)상산이엔씨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 장치
WO2011037437A3 (ko) * 2009-09-28 2011-11-03 (주)기산이엔씨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 장치
KR101112603B1 (ko) 2011-10-24 2012-02-15 정인영 케이블 행거 및 이의 자동설치방법
KR101135639B1 (ko) * 2011-10-24 2012-04-17 정인영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5126A2 (ko) 2010-07-29
WO2010085126A3 (ko) 2010-11-11
CN102292891A (zh)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344B1 (ko)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
CN102222869B (zh) 大刀卡带电更换线路耐张整串绝缘子工具
CN105514869A (zh) 一种校正输电线路防振锤位移的复位机
KR101135639B1 (ko)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장치
KR100952906B1 (ko)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 장치
JP5889722B2 (ja) 自走機
KR20120122809A (ko) 통신용케이블 자동 설치 장치
US20210293041A1 (en) Carpet Pulling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ving Carpet
CN110994519A (zh) 一种工业用具有除冰功能的电缆维护装置
CN102020190A (zh) 客用输送机扶手装置及磨耗粉的去除方法
CN104755404A (zh) 用于电梯设备的承载机构
CN105102748A (zh) 具备线缆张力增强机构的窗户调节器
CN109333057B (zh) 一种石英钟机芯的装配生产线
CN220207945U (zh) 一种光纤定位分路结构
KR100915420B1 (ko) 가공전선 전주의 주상 변압기 설치장치
CN105514752A (zh) 一种接地棒快速拔出装置
KR20060007744A (ko) 가공선 가설용 자주기
CN212272185U (zh) 一种地质录井自动取岩屑机械装置
KR100745457B1 (ko) 철탑에서의 자주기 우회 장치 및 방법
CN214459456U (zh) 一种高聚物道路修复用压平装置
CN220410740U (zh) 一种装甲车辆主动轮
CN221079692U (en) Stranded protector is used in cable processing
CN220121060U (zh) 一种便于布线的通信槽道
CN216851178U (zh) 一种可拼接的组合型电缆桥架
CN213744760U (zh) 一种输送链条的自动张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