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392B1 -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392B1
KR101111392B1 KR1020090064650A KR20090064650A KR101111392B1 KR 101111392 B1 KR101111392 B1 KR 101111392B1 KR 1020090064650 A KR1020090064650 A KR 1020090064650A KR 20090064650 A KR20090064650 A KR 20090064650A KR 101111392 B1 KR101111392 B1 KR 10111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plate
synthetic resin
scre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985A (ko
Inventor
박태화
손순익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엘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이엘테크
Priority to KR102009006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3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7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 B29C48/38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using two or more serially arranged screws in the sam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05Intermeshing co-rota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2Non-identical or non-mirrored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쇄부의 일측에 마찰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부가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에서 연장되어지는 구동스크류 및 종동스크류가 회전되어지도록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는 호퍼가 구비되며, 상기 마찰부의 내부에는 고정마찰판이 안치되고 상기 마찰부의 외측중앙에서 토출부가 상기 고정마찰판까지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분쇄부의 구동스크류 및 종동스크류가 상기 마찰부의 고정마찰판에 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 및 종동스크류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마찰편들이 상기 마찰부의 고정마찰판에 회전마찰되어 마찰열이 발생되고, 상기 마찰열에 의하여 상기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합성수지가 용융되어 상기 토출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류들의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합성수지가 분쇄되고 분쇄된 합성수지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용융압출기, 합성수지, 스크류, 토출부, 마찰판, 마찰편

Description

합성수지 용융압출기{MELTING EXTRUDER FOR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양의 비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닐에는 재사용이 가능한 것과 재사용이 불가능한 것이 있고, 이 중에서 재생 가능한 비닐은 깨끗이 세척하여 다시 녹인 후 다른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닐은 열가소성수지로 만들어지는데 열을 가해 반복적인 성형이 가능하므로,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제품의 경우 사용 후 재생공정을 거쳐 재활용하는 것이 자원절감, 환경보호 등 여러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가소성수지를 재생하도록 열가소성수지에 열을 가해 용융하면서 압출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648(2004년06월07일자)의"합성수지용융압출기"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합성수지용융압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가열수단이 구비된 원통형의 실린더(100)내부에 압출스크류가 설치되는 합성수지용융압출기에서 원료공급부(A)의 실린더(100)내부는 제1스크류(14)와 제2스크류(16)가 대향되게 설 치된 한 쌍의 압출스크류로 구성되고, 용융배출부(B)의 실린더(100)내부는 제1스크류(14)가 연장 설치되어 배출구(300)로 압출된다.
상기 제1스크류(14)는 구동기(12)를 통해 회동되되 제1스크류(14)일측단부의 구 동축부에 설치된 구동기어(14a)는 제2스크류(16)일측단부의 피동기어(16a)와 치합되어 연동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00은 원료공급호퍼이고, 500은 습기배출구이고, 제1스크류(14)가 단일압출스크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 융융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0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용융압출기는 합성수지를 용융하기 위해 실린더에 히터가열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고 히터가열수단에 의한 열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를 효과적으로 용융시키기 위해 열을 강하게 가열하여야 하므로, 합성수지를 재활용할 수는 있어도 열에너지의 낭비가 심각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스크류들의 회전에 의해 합성수지가 분쇄되고, 스크류들의 전방에서 배치된 고정마찰판과 회전되는 스크류들의 끝단에 설치된 회전마찰편들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분쇄된 합성수지가 용융될 수 있는 합성수지 용융 압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마찰판을 가압하는 가압조절구에 의해 마찰열의 온도가 조절되어 각각의 합성수지에 적합한 용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들의 스크류컨베이어들 끝단에 구비된 스텔라이트들과 고정마찰판에 형성된 돌부의 마찰에 의해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될 수 있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분쇄부(10)의 일측에 마찰부(20)가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부(30)가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1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30)에서 연장되어지는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회전되어지도록 실린더(11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10)의 상부에는 호퍼(120)가 구비되며, 상기 마찰부(20)의 내부에는 고정마찰판(50)이 안치되고 상기 마찰부(20)의 외측중앙에서 토출부(60)가 상기 고정마찰판(50)까지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분쇄부(10)의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상기 마찰부(20)의 고정마찰판(50)에 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마찰편(410)(410')들이 상기 마찰부(20)의 고정마찰판(50)에 회전마찰되어 마찰열이 발생되고, 상기 마찰열에 의하여 상기 호퍼(120)를 통하여 투입된 합성수지가 용융되어 상기 토출부(60)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류들의 회전에 의해 합성수지가 분쇄되고, 스크류들의 전방에서 배치된 고정마찰판과 회전되는 스크류들의 끝단에 설치된 회전마찰편들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분쇄된 합성수지가 용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마찰판을 가압하는 가압조절구에 의해 마찰열의 온도가 조절되어 각각의 합성수지에 적합한 용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들의 스크류컨베이어들 끝단에 구비된 스텔라이트들과 고정마찰판에 형성된 돌부의 마찰에 의해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용융압출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다른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분쇄부와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를 평면에서 보인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내부를 측면에서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분쇄부의 일단을 보인 종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분쇄부(10)의 일측에 마찰부(20)가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부(30)가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1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30)에서 연장되어지는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회전되어지도록 실린더(11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10)의 상부에는 호퍼(120)가 구비되며, 상기 마찰부(20)의 내부에는 고정마찰판(50)이 안치되고 상기 마찰부(20)의 외측중앙에서 토출부(60)가 상기 고정마찰판(50)까지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분쇄부(10)의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상기 마찰부(20)의 고정마찰판(50)에 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마찰편(410)(410')들이 상기 마찰부(20)의 고정마찰판(50)에 회전마찰되어 마찰열이 발생되고, 상기 마찰열에 의하여 상기 호퍼(120)를 통하여 투입된 합성수지가 용융되어 상기 토출부(6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먼저 본 발명은 합성수지 또는 폐비닐을 용융 및 압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마찰편(410)(410')들은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단부에 각각 아르곤 용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마찰편410)(410')들은 냉간금형용 합금공구강(SKD11)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마찰부(20)에 끼워지는 토출부(60)의 양측에는 가압조절구(70)가 상기 고정마찰판(50)에 닿도록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조절구(70)는 고정마찰판(50)을 회전마찰편(410)(410')들 쪽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마찰판(50)에는 방사형의 돌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스크 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외주면에 구비된 각각의 스크류컨베이어(420)(420')의 끝단에는 스텔라이트(421)(421')가 각각 구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부(510)는 회전마찰편(410)(410')들과 마찰되기 위한 것으로, 돌부(510)는 회전마찰편(410)(410')들과 마찰되도록 고정마찰판(5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부(510)는 도트형상 또는 줄무늬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텔라이트(421)(421')는 코발트, 크롬, 탄소, 텅스텐, 몰리브덴(Molybdenum)으로 된 합금으로써, 회전마찰편(410)(410')들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스크류컨베이어(420)(420')의 끝단에 용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냉간금형용 합금공구강(SKD11)은 약60경도(硬度)를 갖고, 스텔라이트(421)(421')는 약80~90경도(硬度)갖고 있다. 따라서 냉간금형용 합금공구강과 스텔라이트(421)(421')는 일반 철들보다 상대적으로 강한경도를 갖고 있으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마찰판(50) 및 스텔라이트(421)(421')들이 회전마찰편(410)(410')의 돌부(510)에 마찰되어 마찰열이 발생되고, 발생되는 마찰열은 약500~800도까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합성수지의 용융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쇄부(10)와 마찰부(20)는 연결부(80)에 의하여 연결되어지고, 상기 구동부(30)가 상기 분쇄부(10)의 후방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연결부(80)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마찰판(50)과 동일 형상의 스크류관통공(81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마찰부(20)는 가압조절판(210)과 마찰안치판(22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마찰안치 판(220)의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마찰판(50)이 안치되는 타워형의 마찰판안치홈(221)이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마찰판(50)이 스크류관통공(810)을 통과하여 마찰판안치홈(221)에 안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마찰판(50)이 회전마찰편(410)(410')들과 마찰되어도 고정마찰판(50)은 마찰판안치홈(221)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80)의 일측에 마찰부(20)인 가압조절판(210)과 마찰안치판(220)이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80)의 타측에 분쇄부(10)의 전방플랜지(130)가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분쇄부(10)의 후방플랜지(140)에 상기 구동부(30)가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80)의 일측에 가압조절판(210)과 마찰안치판(220)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부(80)의 타측에 분쇄부(10)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므로, 보수시에는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분쇄부(10)는 실린더(110)가 구비되고, 실린더(110)의 상부에 호퍼(120)가 결합되며, 실린더(110)와 호퍼(120)의 사이에는 수직리브(150)가 형성되고, 실린더(110)의 측면에는 연결리브(160)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퍼(120)는 수직리브(150)에 의해 실린더(11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실린더(1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전방플랜지(130)와 후방플랜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방플랜지(130)에는 마찰부(20)가 결합될 수 있고, 후방플랜지(140)에는 구동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0)의 가압조절판(210), 마찰안치판(220) 및 고정마찰판(50) 중 앙에는 토출부(60)가 끼워지는 토출부끼움공(210a)(220a)(50a)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압조절판(210) 및 마찰안치판(220)의 토출부끼움공(210a)(220a)의 양측에는 가압조절구(70)가 끼워지는 조절끼움공(210b)(220b)이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토출부(60)가 가압조절판(210), 마찰안치판(220) 및 고정마찰판(50)의 토출부끼움공(210a)(220a)(50a)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므로, 고정마찰판(50)과 회전마찰편(410)(410')들의 마찰에 의해 용융되는 합성수지는 토출부(60)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토출부(60)는 일측의 직경(D1)이 넓고 타측의 직경(D2)이 좁게 형성되고, 일측의 직경(D1)과 타측의 직경(D2)이 연결되는 부분은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있어서, 용융된 합성수지는 깔때기 형상의 토출부(60)에 의해 압축되면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조절구(70)는 가압볼트(710)에 풀림방지너트(720)가 끼워지고, 상기 가압볼트(710)의 타측 단부에 조절편(730) 및 압축스프링(74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조절편(730) 및 압축스프링(740)이 상기 마찰안치판(220)의 조절끼움공(210b)(220b)내부에 삽입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절끼움공(210b)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압볼트(710)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편(730) 및 압축스프링(740)이 조절끼움공(210b)(220b)에 삽입되어 고정마찰판(50)에 닿아 있는 상태이므로, 가압볼트(710)를 조이면 가압볼트(710)의 조임에 의해 압축스프링(740)이 탄력적으로 고정마찰판(50)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압볼트(710)를 조인 상태에서 풀림방지너트(720)를 조이면 가압볼트(710)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에는 구동스크류(40)의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40')의 종동스크류축(430')이 연장되어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부(30)의 지지프레임(3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프런트하우징(320) 및 리어하우징(330)이 구비되어 상기 리어하우징(330)에 고정캡(340)이 볼트 결합되며,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이 상기 프런트하우징(320) 및 리어하우징(33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구동스크류축(430)과 종동스크류축(430')의 전방 외주면에 시일링(350)(350')이 끼워지며,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의 전방 단턱(430a)(430'a)에는 레이디얼(radial)베어링(360)(360')이 끼워지고,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의 후방 단턱(430b)(430'b)에는 트러스트(thrust)베어링(370)(370')이 끼워지며, 상기 프런트하우징(320)과 리어하우징(330) 사이의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에 스퍼어기어(380)(380')가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지고, 상기 구동스크류축(430)의 타측이 상기 고정캡(340)을 관통하여 감속부(90)에 연결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프레임(310)은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된 상태이며, 지지프레임(310)의 전방에는 전면지지플랜지(310a)가 용접되어 설치되고, 지지프레임(310)의 후방에는 후면지지플랜지(310b)가 용접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은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 스퍼어기어(380)(380')에 의해 구동스크류축(430)이 회전되면 종동스크류축(430') 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의 전방 단턱(430a)(430'a)이 레이디얼베어링(360)(360')에 지지되어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는 회전될 수 있고,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의 후방 단턱(430b)(430'b)이 트러스트베어링(370)(370')에 지지되어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은 후방으로 밀리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트러스트베어링(370)(370')의 후방에는 베어링지지구(390)(390')가 구비되어 트러스트베어링(370)(370')의 후면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스크류축(430)과 종동스크류축(430')의 전방 외주면에 끼워진 시일링(350)(350')에 의해 실린더(110)에서 용융된 합성수지가 구동부(30)에 침투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스크류축(4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C)에 의해 감속부(90)에 연결된 회전축(431)과 결합될 수 있고, 감속부(90)는 동력전달 수단인 벨트와 풀리에 의해 모터(M)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터(M)에 구동되는 구동스크류축(430)은 감속부(90)의 내부에 서로 연동되는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약300rpm의 적정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토출부(6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구동부(30)가 구동되고,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맞물려서 함께 회전된다. 이어서 호퍼(120)를 통해 합성수지들이 실린더(110)의 내부로 공급 되면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합성수지들은 분쇄된다.
이때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회전되면 회전마찰편(410)(410')들이 고정마찰판(50)에 마찰되어 마찰열이 발생된다. 그러면 분쇄된 합성수지들은 회전마찰편(410)(410')들과 고정마찰판(50)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용융된다. 즉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는 합성수지들은 토출부(60)쪽으로 밀려가게 되고, 밀려가게 된 합성수지들은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며, 용융되는 합성수지들은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110)의 내부에서 믹싱 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공급된 합성수지들이 분쇄되고 용융되면 사용자는 폐쇄되었던 토출부(60)를 개방시키면 용융된 합성수지들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마찰열의 온도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는 복수개의 가압조절구(70)를 조여 압축량을 높인다. 그러면 고정마찰판(50)이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쪽으로 이동되어 고정마찰판(50)과 회전마찰편(410)(410')들은 더욱 밀착되고 이에 의해 마찰열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복수개의 가압볼트(73)들을 풀어서 압축량을 낮추면 고정마찰판(50)과 회전마찰편(410)(410')들의 압축량이 낮아지게 되므로 마찰열은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찰열을 이용하여 합성수지를 용융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가열수단인 히터 등이 불필요하여 열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지 재생용 압출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용융압출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찰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쇄부와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를 평면에서 보인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내부를 측면에서 보인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분쇄부의 일단을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분쇄부 20 : 마찰부
30 : 구동부 40 : 구동스크류
40' : 종동스크류 50 : 고정마찰판
60 : 토출부 70 : 가압조절구
110 : 실린더 120 : 호퍼
410, 410' : 회전마찰편

Claims (8)

  1. 분쇄부(10)의 일측에 마찰부(20)가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부(30)가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1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30)에서 연장되어지는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회전되어지도록 실린더(11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10)의 상부에는 호퍼(120)가 구비되며,
    상기 마찰부(20)의 내부에는 고정마찰판(50)이 안치되고 상기 마찰부(20)의 외측중앙에서 토출부(60)가 상기 고정마찰판(50)까지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분쇄부(10)의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가 상기 마찰부(20)의 고정마찰판(50)에 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마찰편(410)(410')이 상기 마찰부(20)의 고정마찰판(50)에 회전마찰되어 마찰열이 발생되고, 상기 마찰열에 의하여 상기 호퍼(120)를 통하여 투입된 합성수지가 용융되어 상기 토출부(60)로 배출되어지며,
    상기 고정마찰판(50)에는 방사형의 돌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스크류(40) 및 종동스크류(40')의 외주면에 구비된 각각의 스크류컨베이어(420)(420')의 끝단에는 스텔라이트(421)(421')가 각각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20)에 끼워지는 토출부(60)의 양측에는 가압조절구(70)가 상기 고정마찰판(50)에 닿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10)와 마찰부(20)는 연결부(80)에 의하여 연결되어지고, 상기 구동부(30)가 상기 분쇄부(10)의 후방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연결부(80)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마찰판(50)과 동일 형상의 스크류관통공(81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마찰부(20)는 가압조절판(210)과 마찰안치판(22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마찰안치판(220)의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마찰판(50)이 안치되는 타워형의 마찰판안치홈(221)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80)의 일측에 마찰부(20)인 가압조절판(210)과 마찰안치판(220)이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80)의 타측에 분쇄부(10)의 전방플랜지(130)가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분쇄부(10)의 후방플랜지(140)에 상기 구동부(30)가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20)의 가압조절판(210), 마찰안치판(220) 및 고정마찰판(50) 중앙에는 토출부(60)가 끼워지는 토출부끼움공(210a)(220a)(50a)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압조절판(210) 및 마찰안치판(220)의 토출부끼움공(210a)(220a)의 양측에는 가압조절구(70)가 끼워지는 조절끼움공(210b)(220b)이 형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조절구(70)는 가압볼트(710)에 풀림방지너트(720)가 끼워지고, 상기 가압볼트(710)의 타측 단부에 조절편(730) 및 압축스프링(74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조절편(730) 및 압축스프링(740)이 상기 마찰안치판(220)의 조절끼움공(220b)내부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에는 구동스크류(40)의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40')의 종동스크류축(430')이 연장되어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부(30)의 지지프레임(3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프런트하우징(320) 및 리어하우징(330)이 구비되어 상기 리어하우징(330)에 고정캡(340)이 볼트 결합되며,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이 상기 프런트하우징(320) 및 리어하우징(33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구동스크류축(430)과 종동스크류축(430')의 전방 외주면에 시일링(350)(350')이 끼워지며,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의 전방 단턱(430a)(430'a)에는 레이디얼베어링(360)(360')이 끼워지고,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의 후방 단턱(430b)(430'b)에는 트러스트베어링(370)(370')이 끼워지며,
    상기 프런트하우징(320)과 리어하우징(330) 사이의 상기 구동스크류축(430) 및 종동스크류축(430')에 스퍼어기어(380)(380')가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지고, 상기 구동스크류축(430)의 타측이 상기 고정캡(340)을 관통하여 감속부(90)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KR1020090064650A 2009-07-15 2009-07-15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KR10111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50A KR101111392B1 (ko) 2009-07-15 2009-07-15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50A KR101111392B1 (ko) 2009-07-15 2009-07-15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85A KR20110006985A (ko) 2011-01-21
KR101111392B1 true KR101111392B1 (ko) 2012-02-24

Family

ID=4361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650A KR101111392B1 (ko) 2009-07-15 2009-07-15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11B1 (ko) 2015-02-27 2016-01-19 정희찬 수직 하향식 중력 압출장치
KR20160028125A (ko)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합성수지 압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18B1 (ko) * 2006-12-26 2007-07-26 엠엔테크(주)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연료 제조장치
KR100818756B1 (ko) 2006-06-20 2008-04-01 이수의 폐플라스틱류의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 방법
KR20090022330A (ko)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56B1 (ko) 2006-06-20 2008-04-01 이수의 폐플라스틱류의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 방법
KR100743218B1 (ko) * 2006-12-26 2007-07-26 엠엔테크(주)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연료 제조장치
KR20090022330A (ko)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125A (ko)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합성수지 압출기
KR101620713B1 (ko) * 2014-09-03 2016-05-12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합성수지 압출기
KR101586411B1 (ko) 2015-02-27 2016-01-19 정희찬 수직 하향식 중력 압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85A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953B1 (en) Apparatus for pre-treatment and subsequent plastification or agglomeration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s
CN103085196A (zh) 一种多功能团粒机
US4859166A (en) Screw extruding machine
KR101111392B1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US4189291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covering scraps of thermoplastic material, even of heterogeneous shapes, by gradual melting and compression through one or more orifices
KR101393951B1 (ko)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CA2350760A1 (en) Granulate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4923126A (zh) 一种自密封小型环模制粒机
CN104507653A (zh) 用于聚合物粉碎挤压的方法和设备
JPH09276729A (ja) 破砕装置
CN201179455Y (zh) 防松对辊机
JP2569299B2 (ja) 廃プラスチック材を含む廃棄物の減容固形化装置
KR20090009592U (ko)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AU732090B2 (en) Extrusion device for compacting metal parts, in particular shavings
CN219634269U (zh) 一种电缆挤出料头的破碎装置
KR100589936B1 (ko) 압출식 폐고무 분쇄장치
CN2902659Y (zh) 废橡胶快速粉碎、捏炼机
CN215823268U (zh) 一种应用于危废焚烧的吨袋破碎机系统
KR20040064424A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성형장치
JP6224485B2 (ja) 固形化処理装置のシール構造及び固形化処理装置
CN221022253U (zh) 一种一体化成型挤出机
CN219338517U (zh) 一种双螺杆挤出设备
CN210759079U (zh) 一种塑料薄膜用挤出机
KR200310158Y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성형장치
US3009202A (en) Extrusion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