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592U -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 Google Patents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592U
KR20090009592U KR2020080003615U KR20080003615U KR20090009592U KR 20090009592 U KR20090009592 U KR 20090009592U KR 2020080003615 U KR2020080003615 U KR 2020080003615U KR 20080003615 U KR20080003615 U KR 20080003615U KR 20090009592 U KR20090009592 U KR 20090009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rive
main body
solid fuel
rp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유은미
Original Assignee
김근수
유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유은미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080003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592U/ko
Publication of KR20090009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0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RDF 또는 RPF 고형연료 압출성형기 본체(10)와, 상기 본체 상측 일측으로 형성되고, 다량의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폐기물 투입구(12)와, 상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이송압착되도록 구동되는 한 쌍의 압착스크류(20)와, 상기 본체(10)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착스크류를 구동토록 구비된 구동수단(100)과, 상기 본체 타측으로 형성되고, 압착스크류에 의해 본체 내로 투입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가 압착성형되어 배출되도록 노즐이 형성된 고형연료 배출부(50)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압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0)은 상기 한 쌍의 압착스크류(20)의 각각의 일단에 축결합되는 구동전달기어부(110)와;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 일측으로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한 쌍의 압착스크류(20)를 구동회전토록 마련된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로 형성되어 압출성형기 내의 스크류의 과부하시 자동속도제어 및 자동역회전과 압출성형기 내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RDF, RPF, 유압,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

Description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Oil pressure type extrusion molding machine of Refuse Derived Fuel or Refuse Plastic Fuel}
본 고안은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압출성형기 내의 스크류의 과부하시 자동속도제어 및 자동역회전과 압출성형기 내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산업혁명과 석유화학산업의 발달에 따른 다양한 고분자화합물을 제조생산하여 실생활에 적용함으로써,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생활의 편리함을 위한 산업발전에 따른 폐기물의 처리가 현재 각국에서 상당히 고심하는 문제이며, 다양한 산업분야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타이어, 비닐,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로 만든 제품은 사용 후에 극히 일부분만이 재활용되고, 대부분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되거나 소각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등의 플라스틱 쓰레기는 무게에 비해 부피가 상당히 커서 매립비용이 일반 쓰레기보다 클 뿐만 아니라 매립해도 썩지 않아 사회적 골치덩어리로 치부되고 있다. 특히 폐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은 다른 쓰레기에 비하여 저조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의 2005년 한해만 보더라도 폐지의 재활용률은 55%, 폐타이어가 67%, 유리병 58%, 고철 43%인데 반해, 플라스틱은 15% 수준에 그치고 있다. 더군다나 폐플라스틱은 매년 4백만∼5백만톤이 발생하고 있고, 그 발생량도 매년 현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환경부에서도 폐플라스틱이 하나의 자원임을 인식하고 폐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품의 품질 및 규격기준을 고시하고 대체연료로 사용하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을 50%까지 끌어올려 연간 5천억원의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활쓰레기 중에서 가연성 쓰레기를 처리하여 고체연료로 만든 RDF(Refuse Derived Fuel;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 폐플라스틱을 처리하여 고체연료로 만든 RPF(Refuse Plastic Fuel; 폐플라스틱 고형연료제품) 제조에 관한 많은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장치로서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 줄 수 있는 고형연료 압출성형기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압출성형기는 페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압출기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호퍼에 투입하고 폐플라스틱이나 폐합성수지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의 양이 많을 경우 폐플라스틱이나 폐합성수지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호퍼에서 이송 스크류로 투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스크류를 호퍼 내부에 설치하여 호퍼의 상부에 위치한 모터와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압출성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 이송스크류로부터 투입된 폐플라스틱이나 폐합성수지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압착하여 고형화하기 위한 압착스크류(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압착스크류(20)는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전동모터(M)의 회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감속기(G) 등이 별도 설치되어 압착스크류(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야만 설치가 가능하여 협소한 장소에서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송 스크류(MS)에 의해 많은 양의 폐플라스틱이나 폐합성수지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량가 급격히 본체(10)의 호퍼(12)를 통해 압착스크류(20)측으로 투입되게 되면 압착 스크류(20)에 로드가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전동모터(M)가 정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압착스크류(20)의 로드를 해소하여 고형연료를 재생산하기 위해서는 압착스크류(20)를 역회전하여 압착스크류의 로드를 해소하여야만 한다. 그 러나 기존의 방식은 역회전을 시키기 위하여 스위치조작을 하여 정지를 시킨후 재가동을 시켜야 하며, 속도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모터와 인버터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기어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형연료 압출성형기는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본체 내부로 다량의 폐합성수지와 폐플라스틱,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호퍼에 투입할 경우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호퍼에 적층되며 막히기 때문에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량의 폐플라스틱과 폐합성 수지,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계속적으로 호퍼에 투입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막힘 현상이 발생되면 역회전하여 막힘을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장치를 멈춘 후에나 시동이 가능하여 생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소량의 폐플라스틱과 페합성수지, 가연성 생활쓰레기만을 호퍼에 투입함으로써, 다량의 고형 연료(RDF, RPF)의 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압출성형기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압착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와 감속기를 설치하고 있으나, 그 설치면적이 크고, 전동모터와 감속기는 그 무게 (최소 700kg ~1t)를 감안할 때 설치가 매우 어려우며 유지 및 보수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RDF 또는 RPF 고형연료 압출성형장치의 압착스크류의 구동을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등의 과잉 투입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압착스크류의 로드에 따른 과부하시, 과부하에 의한 압력변화를 실시간으로 적용되도록 하여 유압의 변화를 통해 압착스크류의 자동속도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동역회전이 가능한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압착스크류 내의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등의 적층에 따른 과부하시, 설정압력 이상으로 부하가 지속되면 압력초과 시점에서 자동역회전이 가능토록하여 압착스크류의 적층에 따른 막힘을 방지 해소됨과 함께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생산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한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별도의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의 부착이 불필요하고, 자체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RDF 또는 RPF 고형연료 생산시 마찰에 의한 온도 상승시 속도 조절만으로도 냉각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는 RDF 또는 RPF 고형연료 압출성형기 본체(10)와, 상기 본체 상측 일측으로 형성되고, 다량의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폐기물 투입구(12)와, 상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이송압착되도록 구동되는 한 쌍의 압착스크류(20)와, 상기 본체(10)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착스크류를 구동토록 구비된 구동수단(100)과, 상기 본체 타측으로 형성되고, 압착스크류에 의해 본체 내로 투입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가 압착성형되어 배출되도록 노즐이 형성된 고형연료 배출부(50)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압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0)은 상기 한 쌍의 압착스크류(20)의 각각의 일단에 축결합되는 구동전달기어부(110)와;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 일측으로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한 쌍의 압착스크류(20)를 구동회전토록 마련된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는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 내측으로 상기 압착스크류(20)의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와 축결합되는 구동샤프트(112)와; 상기 구동샤프트(112)의 외연 일 측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13)와; 상기 구동샤프트(112) 외측으로 나란하게 평행하도록 상기 압착스크류(20)의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종동샤프트(114)와; 상기 종동샤프트(114)의 외연 일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113)와 치차결합되어 구동기어(114)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인가받는 종동기어(11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RDF 또는 RPF 고형연료 압출성형장치의 압착스크류의 구동을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등의 과잉 투입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압착스크류의 로드에 따른 과부하시, 과부하에 의한 압력변화를 실시간으로 적용되도록 하여 유압의 변화를 통해 압착스크류의 자동속도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압착스크류 내의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등의 적층에 따른 과부하시, 설정압력 이상으로 부하가 지속되면 압력초과 시점에서 자동역회전이 가능토록하여 압착스크류의 적층에 따른 막힘을 방지 해소됨과 함께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생산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별도의 감속기 등의 속도를 제어하는 기계적 수단이 불필요하고, 이로 인해 고형연료 압착성형기의 설치면적의 축소와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온도조절 및 압력, 회전수 등의 구조 단순화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구성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전체 평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요부확대 평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사용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는 본체(10), 한 쌍의 압착스크류(20), 고형연료 배출부(50), 구동수단(100) 등으로 구성되며, 본 고안의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본체(10), 한 쌍의 압착스크류(20), 고형연료 배출부(50)는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00)은 구동전달기어부(110),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는 한 쌍의 압착스크류(20)의 각각의 일단에 축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후술되는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의 회전력을 동일한 힘으로 전달토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는 하우징(111), 구동샤프트(112), 구동기어(113), 종동샤프트(114), 종동기어(115)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1)은 구동샤프트(112), 구동기어(113), 종동샤프트(114), 종동기어(115)를 설치토록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회전력을 저하시키는 먼지, 기타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등의 침투에 따른 파손을 방지토록 밀폐된다.
상기 구동샤프트(112)는 일단이 후술되는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의 회전축(부호생략)이 축결합되고, 전술한 상기 하우징(111) 내측으로 상기 압착스크류(20)의 축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샤프트(112)의 타단은 압착스크류(20)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샤프트(112)의 외연 일측에는 후술되는 종동기어(115)와 치차결합되는 구동기어(113)이 형성된다.
상기 종동샤프트(114)는 전술한 구동샤프트(112) 외측으로 나란하게 평행하도록 상기 압착스크류(20)의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종동샤프트(114) 의 일단은 하우징(111)에 베어링 결합되고, 타단은 외연으로 베어링결합되어 압착스크류(20)와 축결합된다.
상기 종동기어(115)는 전술한 상기 종동샤프트(114)의 외연 일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113)와 치차결합되어 구동기어(114)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인가받는 전술한 종동샤프트(114)를 회전하게 되어 압착스크류(20)을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는 압착스크류(20)의 고속회전에 따른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된 폐기물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는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가 과량 투입시 발생되는 부하에 대하여 유압의 변화를 통해 자동속도조절이 가능하고, 설정 압력이상 초과시에 자동 역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는 전술한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의 구동샤프트(112) 일단에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구동샤프트(112)를 통하여 구동기어(113)에 전달되고, 구동기어(113)와 치차결합된 종동기어(115)로 회전력을 인가하여 종동샤프트(114)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샤프트(112)와 종동샤프트(114)가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한 쌍의 압착스크류(20)를 구동회전토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연료 압출성형기 본체(10) 내에 구비된 한 쌍의 압착스크류(20)를 고속회전토록 본체(10)의 외측 일측으로 구동전달기어부(110)와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가 구비된 구동수단(100)을 한 쌍의 압착스크류(20)과 축결합하여 유압의 변화에 따라 압착스크류(20)가 자동속도조절 및 자동역회전이 가능토록 구비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1차 파쇄공정(도시없음)을 거쳐 파쇄한 후, 전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스크류(부호생략)에 의해 유압식 압출성형기 본체(10)의 상측에 형성된 폐기물 투입구(12)측으로 투입된다.
이후, 폐기물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는 본체(10) 내에 구비된 한 쌍의 압착스크류(20)를 통해 고형연료 배출부(50)측으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는 고형연료 배출부(50)측으로 이송되면서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어 압착스크류(20)에 의해 계속해서 이송압착되는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가 고형연료 배출 구(50)를 통해 고형화되어 배출된다.
즉, 마찰열에 의해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가 용융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 등을 용융하기 위한 별도의 히터가 불필요하여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의 절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가 과량 투입되면 압착스크류(20)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스크류(20)가 부하를 받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압착스크류(20)가 부하를 받게되면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의 회전이 자동조절되어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의 과량 투입에 따른 압착스크류(20)의 과부하시,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에 의한 유압의 변화에 따라 자동속도조절이 가능하여 과부하에 의한 압력변화를 실시간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계속적이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의 과량 투입에 따라 압착스크류(20)의 과부하가 기준치 이상을 넘어 막힘 현상 등에 의한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의 유압이 역으로 발생되어 자동역회전된다. 이와 같이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의 자동역회전에 의해 압착스크 류(20)가 역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는 역으로 이송되게 되어 고형연료 배출부(50)측으로 막힘 현상이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설정온도 초과에 따른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의 과용융에 의한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과부하시, 유압의 압력변화에 따라 자동온도조절의 설정이 가능하여 보다 품질 좋은 고형연료의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모터에 의한 고형연료 압출성형기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모터에 의한 고형연료 압출성형기를 나타낸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전체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요부확대 평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의 사용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구동수단 110 : 구동전달기어부
111 : 하우징 112 : 구동샤프트
113 : 구동기어 114 : 종동샤프트
115 : 종동기어 120 :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
10 : 본체 12 : 폐기물 투입구
20 : 압착스크류 50 : 고형연료 배출부

Claims (2)

  1. RDF 또는 RPF 고형연료 압출성형기 본체(10)와, 상기 본체 상측 일측으로 형성되고, 다량의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폐기물 투입구(12)와, 상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이송압착되도록 구동되는 한 쌍의 압착스크류(20)와, 상기 본체(10)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착스크류를 구동토록 구비된 구동수단(100)과, 상기 본체 일측으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를 용융시키기 위한 열효율이 높은 히터(30)와, 상기 본체 타측으로 형성되고, 압착스크류에 의해 본체 내로 투입된 폐플라스틱과 폐합성수지가 압착성형되어 배출되도록 노즐이 형성된 고형연료 배출부(50)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압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0)은 상기 한 쌍의 압착스크류(20)의 각각의 일단에 축결합되는 구동전달기어부(110)와;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 일측으로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한 쌍의 압착스크류(20)를 구동회전토록 마련된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기어부(110)는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 내측으로 상기 압착스크류(20)의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고속중공유압회전실린더 유압모터(120)와 축결합되는 구동샤프트(112)와;
    상기 구동샤프트(112)의 외연 일측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13)와;
    상기 구동샤프트(112) 외측으로 나란하게 평행하도록 상기 압착스크류(20)의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종동샤프트(114)와;
    상기 종동샤프트(114)의 외연 일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113)와 치차결합되어 구동기어(114)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인가받는 종동기어(11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KR2020080003615U 2008-03-20 2008-03-20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KR200900095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15U KR20090009592U (ko) 2008-03-20 2008-03-20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15U KR20090009592U (ko) 2008-03-20 2008-03-20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92U true KR20090009592U (ko) 2009-09-24

Family

ID=4153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615U KR20090009592U (ko) 2008-03-20 2008-03-20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59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30B1 (ko) * 2010-10-28 2011-05-02 박갑진 폐플라스틱 고체연료 제조장치
KR101337507B1 (ko) * 2013-05-20 2013-12-05 한국기계연구원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KR101466047B1 (ko) * 2014-06-27 2014-11-27 전복경 펠렛 성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30B1 (ko) * 2010-10-28 2011-05-02 박갑진 폐플라스틱 고체연료 제조장치
KR101337507B1 (ko) * 2013-05-20 2013-12-05 한국기계연구원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KR101466047B1 (ko) * 2014-06-27 2014-11-27 전복경 펠렛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uwendaal Polymer extrusion
WO199701807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bauteilen aus mischkunststoffen und damit vermischten anderen baustoffen sowie deren anwendung
CN103085196A (zh) 一种多功能团粒机
AU2011380929A1 (en)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thermoplastic materials and using this recycled thermoplastic in composite material production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KR20090009592U (ko)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KR100435218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0982072B1 (ko)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0861721B1 (ko) 고형화연료 성형기
CN210758854U (zh) 包含料斗式干燥机的注塑机
KR101309034B1 (ko) 고형연료 성형기
JP4803793B2 (ja) 一軸型破砕機
WO2008135757A1 (en)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0926995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 연료 제조장치
CN206048580U (zh) 一种泡沫材料回收造粒机
CN1390693A (zh) 废弃物的固化挤出装置
KR101013132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성형장치
KR200455307Y1 (ko) Rdf 또는 rpf 고형연료 압출성형기의 이송스크류
KR101111392B1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CN111844534A (zh) 一种废旧泡沫冷压机
KR20210072311A (ko) 유압방식의 고형연료 압출 성형기
CN111420601A (zh) 一种清洁环保生物质取暖颗粒制备设备
CN218462681U (zh) 一种塑胶废料的熔融回收装置
CN212189459U (zh) 一种双轴破碎机的压紧盖结构
CN211941985U (zh) 一种便于泡棉废料再利用的挤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