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14B1 -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 Google Patents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214B1
KR101111214B1 KR1020100000590A KR20100000590A KR101111214B1 KR 101111214 B1 KR101111214 B1 KR 101111214B1 KR 1020100000590 A KR1020100000590 A KR 1020100000590A KR 20100000590 A KR20100000590 A KR 20100000590A KR 101111214 B1 KR101111214 B1 KR 10111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webbing
fishing
ba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400A (ko
Inventor
김갑용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이종구
김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구, 김갑용 filed Critical 이종구
Priority to KR102010000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1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에서 이동하는 어업용 선박에 적용되어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어구로서,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은 트롤어업(trawl fishery)에 적용되어 트롤어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은 두께가 얇은 직사각 단면형상, 유선형상, 방추형상의 웨빙(webbing)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웨빙 그물체를 포함하는 자루그물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히 웨빙 그물체를 이루는 웨빙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이 자루그물의 수중 이동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선박 조업시 연료비가 절감되고, 선체의 속도가 향상되어 조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Dragged net with webbing}
본 발명은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웨빙(webbing) 그물체가 구비되어 수중에서 어망의 이동시 유체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에 관한 것이다.
그물어구(fishing nets)의 하나인 끌그물(dragged net)은 자루 양쪽에 날개가 달린 그물을 수평방향으로 끌어서 대량의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것으로, 주로 트롤어업(trawl fishery)에 적용되어 트롤어망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트롤어망은 수상에서 이동하게 되는 선박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선박(1)에서 대상 수심에 어구를 적용하기 위한 끌줄(12), 어구를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판인 오타 보드(otter board)(14), 어류를 유도하기 위한 후릿줄(16), 후릿줄(16)과 연결되어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자루그물(10), 자루그물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자루그물로 유도된 어류가 실제로 포획되도록 하는 끝자루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트롤어업에 사용되는 어구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1995-0008065호 "트롤 어구 및 트롤어법",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10032호 "소형 어류 탈출장치가 구비된 트롤어구",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33756호 "트롤어구의 끝자루용 힘줄", 공개번호 제20-1999-0033757호 "트롤어구의 끝자루용 망지" 등이 안출되어 있다.
여기서, 트롤어망으로 사용되는 종래 끌그물식 어망은 도 2의 (a)와 (b)에서와 같이 격자형상의 자루그물(10)을 로프(rope)(18)나 트와인(twine)으로 형성시켰는데, 이와 같은 로프(18)나 트와인은 일정 직경의 원형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루그물이 수중에서 이동하게 될 시 높은 유체저항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루그물을 포함한 끌그물식 어망을 일정속도로 일정시간 동안 끌기 위해서는 높은 추진력이 요구되어 끌그물식 어망을 끌게 되는 선박의 연료비가 증대되었으며, 에너지 대비 효율이 낮아 선체의 속도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형 단면의 로프(18)나 트와인으로 자루그물이 구현되어 자루그물 격자의 개방부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자루그물로 유인되는 어류가 자루그물의 개방된 격자를 통해 이탈되는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 유선형상, 방추형상의 웨빙(webbing)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웨빙 그물체를 포함하는 자루그물을 구비하여 자루그물의 수중 이동시 유체저항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자루그물의 수중 이동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웨빙이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유체저항이 최소화되어 연료비의 절감과 선체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폭을 가진 웨빙에 의해 자루그물의 격자가 구성됨에 따라 종래 로프에 의해 자루그물의 격자가 구성되던 것에 비하여 격자의 개방부 크기가 작아질 수 있게 되어 자루그물로 유인되는 어류가 개방된 격자 틈새로 이탈하게 되는 비율이 감소되는 새로운 형태의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어망에 있어서, 정해진 두께와 폭을 가진 웨빙(webbing)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웨빙 그물체를 포함하는 자루그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에서 상기 웨빙그물체를 이루는 상기 웨빙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은 상기 자루그물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한 상기 웨빙의 투영면적이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웨빙에 대한 수중 상의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루그물의 전단부를 이루어 원통체 형상을 가지는 웨빙 그물체는 상기 웨빙의 두께방향 상면과 하면이 원통체 형상의 둘레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자루그물의 후단부를 이루어 테이퍼진 원통체 형상을 가지는 웨빙 그물체는 상기 웨빙의 폭방향이 테이퍼진 원통체 형상의 둘레면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웨빙 그물체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재봉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거나, 상기 웨빙 그물체는 다수개의 웨빙 끝단부가 정해진 형상의 연결고리에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격자형상으로 어망의 매듭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웨빙 그물체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소켓, 클립, 펀칭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에서 상기 자루그물은 수상에서 이동하게 되는 선박과 끌줄, 오타 보드(otter board), 후릿줄로 연결되어 트롤 어망의 구성요소을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에 의하면, 웨빙(webbing) 그물체의 구현으로 수중이동시 유체저항이 최소화됨에 따라 연료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이 적용된 선박은 유체저항의 최소화로 조업시 선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폭을 가진 웨빙에 의해 자루그물 격자의 개방부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자루그물로 유인되는 어류의 이탈률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어획량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어업용 선박에 구비되는 끌그물식 어망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의 (a)는 종래 끌그물식 어망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 단면도로서, 종래 끌그물식 어망의 자루그물을 이루는 로프의 단면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의 자루그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의 (b)는 도 3의 (a)의 B-B' 단면도로서, 웨빙의 단면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의 (a)는 로프로 이루어진 자루그물과 웨빙으로 이루어진 자루그물의 폭방향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4의 (b)는 로프로 이루어진 자루그물과 웨빙으로 이루어진 자루그물의 두께방향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의 자루그물의 위치별 단면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재봉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다수개의 웨빙 끝단부가 연결고리에 방사형으로 연결된 웨빙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소켓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의 (a)와 (b)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펀칭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은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클립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100)은 수상에서 이동하는 어업용 선박에 적용되어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어구로서, 특히 트롤어업(trawl fishery)에 적용되어 트롤어망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100)은 두께가 얇은 직사각 단면형상, 유선형상, 방추형상의 웨빙(webbing)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웨빙 그물체(20)를 포함하는 자루그물(10)을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100)은 웨빙 그물체(20)를 이루는 웨빙(22)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이 자루그물(10)의 수중 이동에 의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끌그물식 어망(100)을 사용하는 선박(1)은 조업시 연료비가 절감되고, 선체의 속도가 향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어망, 끌그물식 어망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의 자루그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B-B' 단면도로서, 웨빙의 단면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4의 (a)는 로프로 이루어진 자루그물과 웨빙으로 이루어진 자루그물의 폭방향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로프로 이루어진 자루그물과 웨빙으로 이루어진 자루그물의 두께방향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의 자루그물의 위치별 단면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재봉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다수개의 웨빙 끝단부가 연결고리에 방사형으로 연결된 웨빙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재봉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소켓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의 (a)와 (b)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펀칭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클립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웨빙 그물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100)은 트롤어업에서 사용되는 트롤어망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수상에서 이루어는 어업용 선박(1)과 끌줄(12), 오타 보드(otter board)(14), 후릿줄(16)을 통해 연결되는 자루그물(1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루그물(10)은 도 3의 (a)와 (b)에서와 같이 정해진 두께와 폭을 가진 웨빙(22)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웨빙 그물체(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웨빙(22)은 도 3의 (b)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 형상, 유선형 단면 형상, 방추형 단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웨빙 그물체(20)를 이루는 웨빙(22)은 도 4의 (a)와 (b)에서와 같이 종래 끌그물식 어망을 이루는 로프(18)에 비해 두께가 작고, 폭이 큼에 따라 도 4의 (a)에서와 같이 자루그물(10)을 이루는 격자의 개방부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자루그물(10)로 유인되는 어류가 개방된 격자 틈새로 이탈하게 되는 비율이 감소되게 된다.
여기서, 웨빙그물체(20)를 이루는 웨빙(22)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은 자루그물(10)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한 웨빙(22)의 투영면적이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는 수중에서 자루그물(10)의 이동시 웨빙(22)에 대한 유체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물체가 유체 내에서 운동할 때 받는 저항력인 항력(D:drag)은 다음의 <수식>으로 결정되는데,
<수식>
D=½*C*ρ*S*V²(D:항력, C:항력계수, ρ:유체의 밀도, S:물체의 단면적, V:유체의 속도)
상기한 <수식>에서 물체의 단면적 S에 해당되는 웨빙(22)의 투영면적을 최소화하여 유체저항인 항력의 크기를 최소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자루그물(10)의 전단부(A)를 이루어 원통체 형상을 가지는 웨빙 그물체(20)는 웨빙(22)의 두께방향 상면과 하면이 원통체 형상의 둘레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자루그물(10)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한 웨빙(22)의 투영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유체저항의 최소화를 도모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자루그물(10)의 후단부(B)를 이루어 테이퍼진 원통체 형상을 가지는 웨빙 그물체(20)는 웨빙(22)의 폭방향이 테이퍼진 원통체 형상의 둘레면과 수직이 되도록 함으로써 자루그물(10)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한 웨빙(22)의 투영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유체저항의 최소화를 도모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웨빙 그물체(20)는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22)이 재봉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 7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웨빙(22) 끝단부가 정해진 형상의 연결고리(30)에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격자형상을 이루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22)이 소켓(40)에 의해 서로 결합될수도 있고, 도 9의 (a)와 (b)에서와 같이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22)이 펀칭에 의한 펀칭편(50)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22)이 클립(6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100)은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단면의 웨빙(22)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웨빙 그물체(20)를 포함하는 자루그물(10)을 구비하는 구성임에 따라 자루그물(10)의 수중 이동시 유체저항이 저감되어 연료비의 절감과 선체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선박 10 : 자루그물
12 : 끌줄 14 : 오타 보드
16 : 후릿줄 18 : 로프
20 : 웨빙그물체 22 : 웨빙
30 : 연결고리 40 : 소켓
50 : 펀칭편 60 : 클립
100 : 끌그물식 어망

Claims (8)

  1. 어망에 있어서,
    정해진 두께와 폭을 가진 웨빙(webbing)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웨빙 그물체를 포함하는 자루그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그물체를 이루는 상기 웨빙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은 상기 자루그물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한 상기 웨빙의 투영면적이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웨빙에 대한 수중 상의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그물의 전단부를 이루어 원통체 형상을 가지는 웨빙 그물체는 상기 웨빙의 두께방향 상면과 하면이 원통체 형상의 둘레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그물의 후단부를 이루어 테이퍼진 원통체 형상을 가지는 웨빙 그물체는 상기 웨빙의 폭방향이 테이퍼진 원통체 형상의 둘레면과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그물체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재봉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그물체는 다수개의 웨빙 끝단부가 정해진 형상의 연결고리에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격자형상으로 어망의 매듭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 그물체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의 웨빙이 소켓, 클립, 펀칭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그물은 수상에서 이동하게 되는 선박과 끌줄, 오타 보드(otter board), 후릿줄로 연결되어 트롤 어망의 구성요소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KR1020100000590A 2010-01-05 2010-01-05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KR10111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90A KR101111214B1 (ko) 2010-01-05 2010-01-05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90A KR101111214B1 (ko) 2010-01-05 2010-01-05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400A KR20110080400A (ko) 2011-07-13
KR101111214B1 true KR101111214B1 (ko) 2012-02-15

Family

ID=4491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590A KR101111214B1 (ko) 2010-01-05 2010-01-05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21B1 (ko) 2018-08-20 2018-10-26 문해시 라셀 편직 그물망
KR101993196B1 (ko) 2018-12-03 2019-06-26 문해시 라셀 편직 그물망
KR102144275B1 (ko) 2020-03-16 2020-08-13 정연희 라셀 편직 그물망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066A (ja) * 1982-02-08 1983-08-15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のメモリアクセス制御方法
JPS58137066U (ja) 1982-03-13 1983-09-14 カネヤ製綱株式会社 漁網用モノフイラメント
JPS58158672A (ja) * 1982-03-15 1983-09-20 Canon Inc 加熱装置
JPS58178872A (ja) * 1982-04-13 1983-10-19 Sogo Jidosha Anzen Kogai Gijutsu Kenkyu Kumiai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S58158672U (ja) 1982-04-17 1983-10-22 小室 徳太郎 垣網用原糸
JPS58178872U (ja) 1982-05-25 1983-11-30 小室 徳太郎 垣網用原糸
KR200271867Y1 (ko) 2001-12-28 2002-04-12 정인옥 전복 양식용 어망
KR20020071867A (ko) * 2000-09-21 2002-09-13 테르모 킹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버스와 같은 상용차용 난방 장치 및 선택적 냉방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066A (ja) * 1982-02-08 1983-08-15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のメモリアクセス制御方法
JPS58137066U (ja) 1982-03-13 1983-09-14 カネヤ製綱株式会社 漁網用モノフイラメント
JPS58158672A (ja) * 1982-03-15 1983-09-20 Canon Inc 加熱装置
JPS58178872A (ja) * 1982-04-13 1983-10-19 Sogo Jidosha Anzen Kogai Gijutsu Kenkyu Kumiai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S58158672U (ja) 1982-04-17 1983-10-22 小室 徳太郎 垣網用原糸
JPS58178872U (ja) 1982-05-25 1983-11-30 小室 徳太郎 垣網用原糸
KR20020071867A (ko) * 2000-09-21 2002-09-13 테르모 킹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버스와 같은 상용차용 난방 장치 및 선택적 냉방 장치
KR200271867Y1 (ko) 2001-12-28 2002-04-12 정인옥 전복 양식용 어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21B1 (ko) 2018-08-20 2018-10-26 문해시 라셀 편직 그물망
KR101993196B1 (ko) 2018-12-03 2019-06-26 문해시 라셀 편직 그물망
KR102144275B1 (ko) 2020-03-16 2020-08-13 정연희 라셀 편직 그물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400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0278B (zh) 围网养殖用捕捞网箱
CN114304085B (zh) 一种环境友好型连续捕捞式南极磷虾拖网
CN111526717B (zh) 用于围网渔业的网组件
KR101111214B1 (ko)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KR20170104213A (ko) 트롤망
JP2007195482A (ja) 釣り用ルアー
KR100991372B1 (ko) 트롤어구
WO2018174258A1 (ja) 水生動物脱出装置および定置網
JP7261126B2 (ja) 表中層トロール網におけるフラッパー
CN202680231U (zh) 一种圆环形定位阻流器
KR101085184B1 (ko) 트롤 어구
CN202456142U (zh) 三船联合拖网作业系统
JP2017189130A (ja) ジグヘッド、及び釣用仕掛けセット
Boopendranath Basic principles of fishing gear design and construction
US3842528A (en) Fishing line weights
CN211379346U (zh) 钓鱼器具
KR20150056383A (ko) 물고기포획기
JP5530726B2 (ja) エギ
JP3189501U (ja) 魚釣り用水流抵抗板
RU58854U1 (ru) Деталь переходная для сортирующей системы &#34;sort-v&#34; к двухпластному траловому мешку
JP3169495U (ja) ルアー
JP7086682B2 (ja) 鋼製人工魚礁
CN201440877U (zh) 渔网
RU2176446C1 (ru) Невод
JPS61158734A (ja) トロ−ル漁法及び該漁法に使用されるトロ−ル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