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67Y1 - 전복 양식용 어망 - Google Patents

전복 양식용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67Y1
KR200271867Y1 KR2020010040660U KR20010040660U KR200271867Y1 KR 200271867 Y1 KR200271867 Y1 KR 200271867Y1 KR 2020010040660 U KR2020010040660 U KR 2020010040660U KR 20010040660 U KR20010040660 U KR 20010040660U KR 200271867 Y1 KR200271867 Y1 KR 200271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abalone
fishing
rop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옥
Original Assignee
정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옥 filed Critical 정인옥
Priority to KR2020010040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6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육면체 형상의 어망을 구비하고, 상기 어망의 모서리와 면을 통해 지지용 로프를 실장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많은 수의 전복을 키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에 관한 것으로,
빗살무늬 형태(또는 격자형태)가 가로세로로 교합되며 상부가 개구된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형상의 어망과; 상기 어망의 모서리 및 면을 가로질러 부착되며, 상부면 및 꼭지점과 하부면의 꼭지점에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시켜 상기 어망을 지지하는 로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어망과 로프를 이용하여 전복 양식용 어망 제작하게 되면 보다 많은 양의 전복을 키울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로프의 중심점과 어망을 구성하는 라인을 바느질하여 결합함으로서 결합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결합력이 강해지므로 장시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복 양식용 어망{A Fishing Net Culturing Abalone}
본 고안은 전복 양식용 어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면체 형상의 어망을 구비하고, 상기 어망의 모서리와 면을 통해 지지용 로프를 실장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많은 수의 전복을 키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복을 육성하는 방법으로는 껍질(패각)이 형성된 1∼2년생 전복을 청정해역에 뿌려 자생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또는 인공적으로 만든 육성집을 이용하여 양식전복을 키우는 방법으로는 청정해역에 가두리를 설비한 다음 그 가두리에 '∩', '∧'자형 등 여러 형태로 된 육성집을 설치하여 전복을 양식시키는 방법과, 청정해역에 박아 놓은 말뚝에 고정줄을 설치한 다음 그 고정줄에 원통형으로 된 육성집을 일정간격으로 매달아 놓고 상기 원통형 육성집에서 전복을 양식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한 가두리 육성방법은 양식전복이 '∩', '∧'자형으로 된 육성집에서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다시마, 미역 등 해초먹이를 섭취하게 되므로서 작업자는 해초먹이를 무작위로 뿌려주는 간편한 수단으로 먹이를 줄 수 있어 전복을 양식하는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가두리의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해상에 매달아 놓은 원통형 육성집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방법은 해상에 말뚝을 박아놓는 고정줄을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할 뿐 아니라 설치비가 매우 저렴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전복이 양식되고 있는 원통형 육성집에 해초먹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배를 타고 나가서 고정줄에 매달린 다수의 원통형 육성집 각각을 일일이 해상으로 끌어올린 다음 해초먹이를 넣어주는 작업이 번거롭고 힘이 들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원통형 육성집은 원통형 본체의 상,하부에 조립되는 상,하부 뚜껑이 나사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먹이를 줄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말뚝에 연결된 고정줄에 현수끈으로 매달린 다수의 원통형 본체를 수면위로 끌어올리되, 상기 원통형 본체를 수면에 부상시킨 상태에서는 상부 뚜껑을 나사식으로 열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원통형 본체를 수면에서 완전히 들어올려 배 위로 옮긴 다음 배 위에서 상부 뚜껑을 열고 먹이를 투입하여야 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수고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먹이를 투입시킨 다음에는 다시 상부 뚜껑을 나사조립한 후 원통형 본체를 배에서 수면으로 옮겨주어야 하는데, 이때 원통형 본체에 투입된 다시마, 미역 등 해초먹이의 무게에 의하여 원통형 본체가 더욱 무거워져 배 위에서 수면으로 옮겨주는 작업이 더욱 어렵고 힘이 들게 되며, 나아가 고정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현수된 각각의 원통체 본체에 해초먹이를 주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지적한 힘든 작업을 일일이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힘이 들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원통형 육성집은 원통형 본체는 물론이고 상,하부 뚜껑까지도 고가의 사출금형으로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가가 비싸져 전복양식업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육면체 형태의 그물망을 구비하고, 상기 그물망에 다수개의 지지용 로프를 설치하며, 하부면과 상부면은 파이프에 묶이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으로 저렴한 간단한 구조체의 전복 양식 어망을 제공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빗살무늬 형태(격자 형태)가 가로/세로로 교합되며 상부가 개구된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형상의 어망과; 상기 어망의 모서리 및 면을 가로질러 부착되며, 상부면 및 꼭지점과 하부면의 꼭지점에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시켜 상기 어망을 지지하는 로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로프의 돌출끈은 파이프에 접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로프는 단면이 원형 형태 또는 웨빙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기 로프는 그 중심점을 통해 바느질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어망은 일체의 사이드 4개면과 독립체의 하부면 등 2개 구조를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어망의 결합부위는 일측을 다른측과 맞대어 겹친후 휘감아 바느질하여 결합시킨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격자 형태의 어망구조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격자 형태의 어망구조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복 양식용 어망 10: 로프
20: 웨빙 30: 어망
40: 바늘코 10a, 10b, 20a: 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빗살무늬 형태가 가로세로로 교체되며 상부가 개구된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형상의 어망(30)과; 상기 어망(30)의 모서리 및 면을 가로질러 부착되며, 상부면 및 꼭지점과 하부면의 꼭지점에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출시켜 상기 어망을 지지하는 로프(10)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의 전복 양식용 어망(100)은 먼저 어망(30)을 구비하되 일정한 공간(그물코)을 갖도록 빗살무늬 형태의 라인이 가로 및 세로로 겹쳐있다.
상기 어망(30)은 비살무늬 형태의 라인을 교차하여 공간부(그물코)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전복의 크기에 따라 어린 전복은 보다 촘촘한 어망을 갖출 필요가 있고, 크기가 보다 커진 전복은 보다 공간이 큰 어망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근거로 어망(30)의 형태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어망(30)은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제작되어 개구면을 통해 전복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사이드 네면은 일체형의 어망이고, 바닥면에 부착되어지는 어망과 결합하여 본 고안의 어망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어망을 바느질시 겹침 이중 겹침 바느질을 하지 않고 일개의 면이 다른 일개의 면에 올라타는 형태로 겹친 다음 그 중간을 바느질하도록 하여 보다 깔끔한 형태의 디자인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 바느질되는 부분은 사이드 면을 겹치는 부분과, 상기 사이드면과 하부면을 겹치는 부분이며, 총 바느질되는 부분은 바닥면 4개 모서리부와 사이드 모서리부 등 총 5개의 모서리 부분이다.
본 고안은 상기 5개 모서리 부분에 소요되는 바느질을 전술한 바와 같이 2개면을 겹친후 모서리부를 휘감아 바늘질토록 하여 외관이 보다 깔끔한 형태의 어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는 어망의 끝을 나란하게 겹쳐 그 겹쳐진 부분을 바느질할 때 자투리 부분이 남아 깔끔한 모양이 되지 못하며 여기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수명을 짧게 하는 것과 비교되는 기술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나란하게 겹친후 그 모서리부분을 엮어서 휘감는 형태로 바느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로 튀어나오는 모습을 최소화시켜 이물질이 달라붙는 형태가 최소화 된다.
한편, 이러한 어망(30)을 육면체 모양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일정한 두께의 로프가 연결되는바, 어망의 모서리 부분과 면에 일정개수 장착된다.
통상 밑바닥 모서리와 상부 모서리를 한번에 작업하고, 나머지 모서리를 갖다 붙일 수 있으며,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모서리부에 로프(10)를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면에 일정개수의 로프(20)를 부착하여 강도를 뒷바침하도록 하였는바, 본 고안에서는 4개의 로프(20)를 구비하여 일개면과 바닥면 및 일개면에 마주보는 면에 연장시켜 한개의 로프(20)로 3개면을 지나 설치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전복 양식용 어망(30)은 3등분 하여 2개의 로프(20)가 일개면에 장착되도록 하였다.
물론, 면에 장착되는 로프(20)는 필요에 따라서 1개 이상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유속이 빠르지 않은 곳에서는 장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면에 설치되는 로프는 선택사양인 것이다.
상기의 로프중 모서리에 설치되는 로프(10)는 상부와 하부를 연장시킨 끈(10a, 10b)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에 어망을 고정시키도록 하며, 면에 설치되는 로프(20) 역시 상부면을 연장시킨 끈(20a)으로서 파이프에 어망을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파이프는 사각형태로 제작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치되어 중력작용에 의하여 육면체의 틀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로프를 어망에 고정시 로프의 중심을 통해 바느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작업속도를 빨리하고 단단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의 중심을 따라 2개 줄로 바늘코(40)를 형성하여 어망과 결합시키는 것이다.
만약에 본 고안에서와 같이 중심을 통해 바느질을 진행하지 않으면 로프와 어망의 라인을 휘감는 형식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럴 경우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로프의 중심축을 바느질 하게 되어 직선상으로 로프를 유도하면서 바느질하게 되어 보다 빠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로프 대신에 패널형태의 웨빙(10, 로프와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동일번호로 표기함)를 이용하여도 본 고안이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일정한 강도를 갖는 패널형태의 웨빙(10)을 이용하여도 어망 전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지지용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시 충분히 어망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상부를 고정하는 끈으로 상부 파이프에 묶고, 하부를 고정하는 끈으로 하부를 묶어주면 된다.
그러면 위에 위치한 파이프에 의해서 어망을 고정되고 아래에 위치한 파이프에 의해서 중력작용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 어망의 6면체 형태가 잡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개구면을 통해 전복을 투입하게 되면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격자형태로 어망이 제조됨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어망은 빗살무늬 형태 또는 격자형태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격자 형태에 있어서도 로프형태의 지지체 또는 웨빙 형태의 지지체 모두 가능하다.
물론, 전복이 커짐에 따라서 망의 공간이 큰 것으로 교체할 수도 있고, 그냥 키울 수도 있다. 그리고, 수명이 통상 3 - 4년은 갈 것으로 예상되어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돼 매우 경제적이다.
무엇보다도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고 전복의 키움에 따른 이물질이 많이 달라붙지 않게 되어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어망과 로프를 이용하여 전복 양식용 어망 제작하게 되면 보다 많은 양의 전복을 키울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로프의 중심점과 어망을 구성하는 라인을 바느질하여 결합함으로서 결합작업이 간편하면서도 결합력이 강해지므로 장시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빗살무늬 형태 또는 격자형태가 가로 세로로 교합되며 상부가 개구된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형상의 어망과;
    상기 어망의 모서리 및 면을 가로질러 부착되어 상기 어망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파이프에 고정을 위해 일체형의 돌출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단면이 원형 형태인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인 웨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그 중심점을 통해 바느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은 일체의 사이드 4개면과 독립체의 하부면 등 2개 구조를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의 결합부위는 2개의 면을 겹친후 휘감아 바느질하여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어망.
KR2020010040660U 2001-12-28 2001-12-28 전복 양식용 어망 KR200271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60U KR200271867Y1 (ko) 2001-12-28 2001-12-28 전복 양식용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60U KR200271867Y1 (ko) 2001-12-28 2001-12-28 전복 양식용 어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67Y1 true KR200271867Y1 (ko) 2002-04-12

Family

ID=7311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660U KR200271867Y1 (ko) 2001-12-28 2001-12-28 전복 양식용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14B1 (ko) 2010-01-05 2012-02-15 이종구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KR20160056603A (ko) * 2014-11-12 2016-05-20 최성오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14B1 (ko) 2010-01-05 2012-02-15 이종구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KR20160056603A (ko) * 2014-11-12 2016-05-20 최성오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KR101703559B1 (ko) 2014-11-12 2017-02-07 최성오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4368B (zh) 一种综合多营养级海水网箱养殖系统装置及养殖方法
JP6427030B2 (ja) 被養殖生物の養殖方法およびその養殖施設
JP4686554B2 (ja) 貝類の養殖篭
KR200477010Y1 (ko) 해삼 등의 어패류 및 해조류용 인공어초
KR101071149B1 (ko) 어류종묘 중간 육성기 및 이를 이용한 어류종묘 방류 시스템
KR102306835B1 (ko) 가두리 해삼 양식장치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
JP4247238B2 (ja) 人工魚礁
KR20130039160A (ko)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KR200271867Y1 (ko) 전복 양식용 어망
CN205511629U (zh) 一种海水培育珍珠贝幼虫的附着装置
JPH0548663U (ja) あわび養殖具
KR100315165B1 (ko) 상자형 인공어초
RU27306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трепангов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CN209768611U (zh) 钢筋混凝土鱼礁
CN209768610U (zh) 组合式生态鱼礁
KR20130127331A (ko) 해조류 수평면 양식 장치
CN208113779U (zh) 深水立体养殖子母网
JP2004141066A (ja) 藻礁ブロック
KR200377384Y1 (ko) 인공어초
AU2012100285A4 (en) Steel Hexagonal Frame Reef
CN216254738U (zh) 海洋牧场养殖系统
KR20090047911A (ko) 조립식 인공어초
JP3115105U (ja) ホタテ篭用ロープ
KR101243195B1 (ko) 중량림베이스가 구비된 팔각십자계단형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