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03B1 - 제방블록 - Google Patents

제방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203B1
KR101111203B1 KR1020090044841A KR20090044841A KR101111203B1 KR 101111203 B1 KR101111203 B1 KR 101111203B1 KR 1020090044841 A KR1020090044841 A KR 1020090044841A KR 20090044841 A KR20090044841 A KR 20090044841A KR 101111203 B1 KR101111203 B1 KR 10111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rizontal
horizontal pipe
main body
embank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890A (ko
Inventor
이현로
정재천
오병춘
Original Assignee
나라앤텍 주식회사
이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앤텍 주식회사, 이현로 filed Critical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블록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내설돼 관통하는 수평관로(11)를 구비한 콘크리트 재질의 본체(10)와; 본체(10)의 양단에 각각 둘 이상이 돌출형성된 다수의 다리부(20)로 이루어져, 제방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수생 동식물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방블록{Levee Block}
본 발명은 어소기능을 가지며 제조가 용이한 제방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등의 제방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재질의 제방블록이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축조된다.
한편, 하천의 중앙부는 유속이 빠르므로,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리고 토사와 인접한 하천의 가장자리에서 수생 동식물들이 서식이 집중된다.
그런데, 수생 동식물들의 서식이 집중되는 하천 등의 가장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재질의 제방블록이 축조되므로, 수생 동식물들의 서식이 용이치 못했다. 또한, 종래 제방블록의 경우 육면체 형상의 블록들이 상하좌우로 상호 밀집 축조되면서 수생 동식물들이 출입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전무하므로, 종래 제방블록은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 중 하나였다.
이에, 제방블록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하천 생물이 용이하게 서식할 수 있는 제방블록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하천에서 생활하는 수생 동식물의 서식을 가능토록 한 제방블록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설돼 관통하는 수평관로를 구비한 콘크리트 재질의 본체와; 본체의 양단에 각각 둘 이상이 돌출형성된 다수의 다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방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유입되는 수압을 최소화하여 하천에 생활하는 수생 동식물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b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b의 측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방블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방블록은,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20)에 구비되는 다수의 다리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각 기둥 형상, 바람직하게는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재질의 수평관로(11)가 구비된다.
상기 다리부(20)는 본체(10)와 동일 유사한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본체(10)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다리부(20)는 이웃하는 제방블록 간의 결속은 물론 물리적으로 상호 이격시켜서, 수생 동식물의 서식공간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담보 받기 위해 삼각기둥 형상의 본체(10)에 상응하게 3개의 다리부(20)가 본체(10)의 각 면에 돌출 형성되어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결국, 3개의 다리부(20)는 120도 각도로 이격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다리부(20)는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으므로,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방블록의 다리부(20)는 수평관로(11)와 연통하는 서식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식부(21)는 수평관로(11)로 출입한 수생 동식물이 유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안정된 상태에서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관로(11)과 절곡된 방향으로 연통한다. 결국, 수평관로(11)로 유입된 하천수는 수평관로(11)를 따라 이동하되 수평관로(11)와 절곡된 서식부(21)로는 그 유력을 크게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서식부(21)는 수평관로(11)의 제작과 더불어 제작될 수 있고, 따라서 수평관로(11)와 동일 유사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본체(10)의 수평관로(11) 및 다리부(20)의 서식부(21)가 FRP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철근을 이용한 배근 없이도 제방블록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방블록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방블록 내부에 다수의 철근(I)이 보강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다수의 철근(I)은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그물망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 축조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의 사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방블록을 하천 제방에 일단으로 배치시킨 후, 배치된 제방블록 사이에 또 다른 제방블록을 역방으로 얹으면, 도 4와 같이 제방블록이 축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방블록이 축조된 상태에서 시간이 흐르게 되면, 제방블록은 수평관로(11) 및 서식부(21)에 하천수가 유입되고, 다리부(20)에 의해 이웃하는 제방블록이 이격되면서 일정간 공간을 형성시켜서 토사의 퇴적 공간은 물론 수생 동식물의 출입이 용이토록 된다. 물론, 다수의 다리부(20)를 갖는 제방블록은 하천수의 급격한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방파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제방블록 내에 서식하는 수생 동식물이 받는 물리적인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퇴적된 토사에 자연발생적으로 수초가 서식하고, 수초는 어류 등이 알을 낳을 수 있는 서식공간을 제공해 주므로, 생태계의 안정화를 급속히 진행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다리부(20)의 서식부(21)는 갑작스럽게 하천수가 수평관로(11)로 유입되더라도, 서식부(21)가 받는 압력이 최소화되므로, 수초 또는 어류와 같은 수생 동식물에게 좋은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은, 수생식물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춤으로서, 제방블록의 축조로 인해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방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방블록은, 상기 본체(10)의 수평관로(11) 및 다리부(20)의 서식부(21)가 주름관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방블록이 제조될 시, 본체(10) 및 다리부(20)를 이루는 콘크리트와 주름관 형상의 수평관로(11) 및 서식부(21)가 상호 밀착결합되어, 제방블록의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방블록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수평관로(11)가 사각관 형상을 이루는 한편, 수압조절기구(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기구(30)는, 수평관로(11)의 입구부(1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바디(31)와, 제1바디(31)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S1)과, 제1바디(3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32)와, 제2바디(32)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S2)으로 구성된다. 이때, 수평관로(11)의 하천수 유입부에는 브라켓(B)이 설치된다. 참고로 제1스프링(S2)는 제1바디(31)가 원위치로 복귀할 시 제2바디(32)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복원력을 주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제1바디(31)는, 하방으로 개구된 제2바디수용부(31a)를 갖춘 'ㄷ' 자 형상을 이루고서, 회전축(H)을 매개로 수평관로(11)의 하천수 유입부에 설치된 브라켓(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바디수용부(31a)의 상부에는 제2바디(3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E)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E)은, 유입부로 유입되는 하천수에 의해 제2바디(32)가 회동하지 않도록 걸어 고정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제2바디(32)가 하천수의 유입을 제1바디(31)와 더불어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제1스프링(S1)의 탄발력 이상의 유력으로 하천수가 유입될 경우, 제1,2바디(31, 32)는 회전축(H)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1바디(31)는 양측면 또는 저면이 수평관로(1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서, 제1스프링(S1)의 탄발력 이상의 유력이 미치지 않더라도 하천수 및 수생생 물이 수평관로(11)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스프링(S1)은, 통상의 토션스프링으로서, 일단이 브라켓(B)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바디(31)에 연결되어, 제1바디(31)가 수평관로(11)와 수직을 이루도록 제1바디(31)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제2바디(32)는, 다수의 관통홀(32a)이 형성되며, 하단이 회전축(H)을 매개로 제1바디(31)의 제2바디수용부(31a)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바디(32)의 상부는 제1바디(31)의 걸림턱(E)에 맞대어진다.
한편, 제2바디(32)에 관통홀(32a)을 형성하는 것은, 평상시에 하천수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와 같이 제방블록이 축조된 상태에서, 수평관로(11)로 하천수가 급격하게 유입되면, 제2바디(32)의 상부가 제1바디(31)의 걸림턱(E)에 걸려 제1바디(31) 및 제2바디(32)가 제1바디(31)의 회전축(H)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한다.(도 10 참고)
이때, 상기 제2바디(32)는 제1바디(31)와 일체로 되어 서식부(21)의 출입구를 폐구하므로, 고압의 하천수가 서식부(21)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즉, 상기 수평관로(11)로 하천수가 급격하게 유입되면, 유입된 하천수에 의 해 서식부(21)의 수압과 유력이 급격히 높아질 수 있는데, 제1바디(31) 및 제2바디(32)에 의한 서식부(21) 입구의 폐구로, 상기 수압을 일차적으로 즉시 방어해 줌으로써, 서식부(21)에 서식하는 수생 동식물이 받는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수압조절기구(30)가 회전하면, 일차적으로 서식부(21)가 급격히 받는 수압을 최소화함에도 불구하고, 서식부(21)를 폐구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2바디(31, 32)에 의해 오히려 서식부(21)가 수압을 받을 수도 있다.
이때, 도 11과 같이 서식부(21)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제2바디(32)는 수평관로(11) 쪽으로 밀리고, 이렇게 밀린 제2바디(32)는 수평관로(11)에 지속적으로 유입돼 흐르는 하천수에 의해 유력을 받아 도 12와 같이 급격히 회전하면서 제1바디(31)와 일직선이 되도록 벌어진다. 이를 통해 수평관로(11)에 최초 유입된 하천수의 유압이 서식부(21)에 일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막는 한편, 서식부(21)가 받는 압력 또한 신속히 해소시켜서, 서식부(21) 내 수압을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서식부(21)에 서식하는 수생 동식물은 갑작스런 수압변화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방블록은 다리부(20)의 외면에 포러스수용부(12)가 형성되고, 포러스수용부(20)에 포러스콘크리트(F)가 타설된다.
상기 포러스콘크리트(F)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다공을 갖는 공지된 콘크리 트로서, 다수의 구멍을 통해 수생 식물들이 쉽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제방블록이 상호 조적 및 축조돼 이루는 제방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방블록은 상호 긴밀히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본체(10)의 전후면에는 이웃하는 제방블록과의 맞물림을 매개하는 돌부(13) 및 홈부(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부(13) 및 홈부(1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관로(11)의 말단이 위치한 지점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제방블록의 수평관로(11)는 돌부(13) 및 홈부(14)의 맞물림 시 상호 연통할 것이다.
그런데, 돌부(13) 및 홈부(14)가 서로 맞물릴 경우, 수평관로(11) 간의 연통은 가능하나 내외로의 출입공간이 폐구되므로, 수생 동식물의 출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돌부(13) 및 홈부(14)는 각각 출입로(WR) 및 출입구(R)가 절개 형성되어서, 이를 통해 수평관로(11)가 개구되도록 한다. 결국, 수생 동식물은 출입로(WR) 및 출입구(R)를 통해 수평관로(11)를 출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다수 개의 출입로(WR) 및 출입구(R)가 수평관로(1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수생 동식물이 다양한 방향에서 수평관로(11)의 출입을 가능토록 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b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b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블록이 축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압조절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압조절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방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본체 11; 수평관로
13; 돌부 14; 홈부
20; 다리수 21; 서식부
30; 수압조절기구 31; 제1바디
31a; 제2바디수용부 32; 제2바디
32a; 관통홀 R; 출입구
WR; 출입로 S1; 제1스프링

Claims (7)

  1. 길이방향을 따라 내설돼 관통하는 수평관로(11)를 구비한 콘크리트 재질의 본체(10)와; 본체(10)의 양단에 각각 둘 이상이 돌출형성된 다수의 다리부(20)를 갖춘 제방블록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0)에는, 수평관로(11)와 연통하면서 다리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리부(20)에 내설되는 서식부(21)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수평관로(11) 또는 서식부(21)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FRP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로(11) 또는 서식부(21)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주름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로(11)는 사각관 형상을 이루고;
    하방이 개구되고 상부에 걸림턱(E)이 형성된 'ㄷ' 형상의 제2바디수용부(31a)를 갖추고서 수평관로(11) 내에서 서식부(21)를 개폐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바디(31)와, 제1바디(31)가 본체(10)의 수평관로(11)를 일부 폐구하도록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S1)과, 다수의 관통홀(32a)을 갖추고 제2바디수용부(31a)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바디(31)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부는 걸림턱(E)에 맞대어져서 제2바디수용부(31a)를 일방향으로만 개폐하는 제2바디(32)로 구성된 수압조절기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로(11)가 개구된 본체(10)의 양 단면에 돌부(13) 및 홈부(14)가 각각 형성되고, 돌부(13) 및 홈부(14)의 맞물림을 매개로 한 이웃하는 다른 제방블록과의 연결시 수평관로(11)가 개구되도록 돌부(13) 및 홈부(14)에 각각 다수 개의 출입로(WR) 및 출입구(R)가 수평관로(1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또는 다리부(20)의 외면에 다공성 포러스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블록.
  6. 삭제
  7. 삭제
KR1020090044841A 2009-05-22 2009-05-22 제방블록 KR10111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841A KR101111203B1 (ko) 2009-05-22 2009-05-22 제방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841A KR101111203B1 (ko) 2009-05-22 2009-05-22 제방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890A KR20100125890A (ko) 2010-12-01
KR101111203B1 true KR101111203B1 (ko) 2012-02-15

Family

ID=4350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841A KR101111203B1 (ko) 2009-05-22 2009-05-22 제방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160B1 (ko) * 2003-02-19 2006-01-10 김갑중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1461B1 (ko) 2006-12-28 2007-03-29 주식회사 셀플렉스 방파제 및 인공어초용 테트라포드
KR20070040360A (ko) * 2007-03-27 2007-04-16 이순태 친 환경 인공어초 기능성 테트라포트
KR20080091645A (ko) * 2007-04-09 2008-10-14 원 회 양 어초기능겸용 소파블럭과 이 어초기능겸용 소파블럭이 적용된 방파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160B1 (ko) * 2003-02-19 2006-01-10 김갑중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1461B1 (ko) 2006-12-28 2007-03-29 주식회사 셀플렉스 방파제 및 인공어초용 테트라포드
KR20070040360A (ko) * 2007-03-27 2007-04-16 이순태 친 환경 인공어초 기능성 테트라포트
KR20080091645A (ko) * 2007-04-09 2008-10-14 원 회 양 어초기능겸용 소파블럭과 이 어초기능겸용 소파블럭이 적용된 방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890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456B1 (ko) 하천용 어도블럭
KR101111203B1 (ko) 제방블록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20090090252A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1210491B1 (ko) 어도블럭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200389675Y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KR101045998B1 (ko) 홍수의 유속 방향을 변환하는 하천 만곡부의 급류를유도하기 위한 제방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KR100769940B1 (ko) 친환경성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58152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0668128B1 (ko)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및 어류서식블럭
KR101969440B1 (ko)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KR101067728B1 (ko) 환경친화형 수중보 어도 구조
KR100723256B1 (ko) 하천하상 생태복원 식생대 설치구조
KR200410822Y1 (ko)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KR100770161B1 (ko) 소하천 바닥 세굴 방지 및 어도를 갖는 수중보
KR100992377B1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JPH07197432A (ja) 小型魚棲息用水路
KR100934098B1 (ko)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200370048Y1 (ko) 하천의 제방블럭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