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338B1 - 교복 스커트 - Google Patents

교복 스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338B1
KR101110338B1 KR1020090123216A KR20090123216A KR101110338B1 KR 101110338 B1 KR101110338 B1 KR 101110338B1 KR 1020090123216 A KR1020090123216 A KR 1020090123216A KR 20090123216 A KR20090123216 A KR 20090123216A KR 101110338 B1 KR101110338 B1 KR 10111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zipper
pocket
bag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528A (ko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주)에리트베이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리트베이직 filed Critical (주)에리트베이직
Priority to KR102009012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3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 스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소지품의 분실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주머니부가 최대한 표시나지 않고 교복용 스커트로서의 단정하고 맵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절개부가 형성되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에 지퍼 절개부와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주머니부가 형성되고 이 지퍼 절개부의 타측에는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제2 주머니부를 구비한 교복 스커트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를 전면 스커트부와 후면 스커트부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부분을 제봉부에 의해 제봉하되, 상기 주머니부는 일측 제봉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퍼 절개부는 주머니부의 주머니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복 스커트에 관한 것이다.
교복, 스커트, 주머니, 제봉, 지퍼, 절개

Description

교복 스커트{School unifom skirt}
본 발명은 여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 스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소지품의 분실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주머니부가 최대한 표시나지 않고 교복용 스커트로서의 단정하고 맵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교복 스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용 스커트는 학생신분으로서 단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인 맵시도 뛰어나게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작되는 교복 스커트(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에서 다리부분까지 늘어지는 스커트부(110)와, 이 스커트부의 상단에는 착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밴드(1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허리밴드의 일측에는 스냅파스너(일명 : 똑딱단추)나 단추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절개 연결부(112a)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 연결부의 하부 스커트부(110)에는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지퍼 절개부(112b)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 연결부(112a)와 지퍼 절개부(112b)를 개방하거나 닫는 과정을 통하여 착용자 가 스커트는 벗거나 착용시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커트는 주머니가 구비되지 않아 학생들이 착용한 상태에서 소지품 등을 넣을 수 없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한 특허출원 제2007-112795호 "교복 스커트"를 안출한 바, 이를 첨부된 도면 도 6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복 스커트(100)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절개 연결부(112a)가 구비되는 허리밴드(112)와, 상기 허리밴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커트부(110)를 구비하되, 상기 절개 연결부의 하부 스커트부(110)에 지퍼를 통해 개폐되는 지퍼 절개부(112b)를 구비하고, 상기 지퍼 절개부(112b)의 전방 스커트부(110)에 내측면으로 주머니(122)가 형성되도록 지퍼를 통하여 개방되는 주머니부(120)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머니부(120)의 타측 제봉부의 전방 스커트부에는 지퍼에 의해 개방되도록 내측면에 주머니(122)가 형성되는 제2 주머니부(120A)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스커트에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주머니부와 제2 주머니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소지품 등을 주머니부와 제2 주머니부에 넣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지퍼부에 의해 분실되는 것 또한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한 스커트에 형성되는 주머니부는 지퍼 절개부가 외부로 노출됨은 물론 지퍼 절개부의 전방 스커트부에 형성됨 으로써, 사용자가 지퍼 절개부와 주머니부의 지퍼를 오인혼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머니부가 이중으로 형성된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킴은 물론 교복용 스커트로서 단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머니부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제2 주머니부 또한 스커트부의 제봉부 전방에 별도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은 제공하였으나 육안상으로 심미감이 떨어짐은 물론 교복용 스커트로서 단정함도 저하시켰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머니부와 제2 주머니부가 스커트부에 별도로 형성됨에 따라 단정함은 물론 교복으로서의 맵시도 또한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7-112795호 " 교복 스커트"를 토대로 개량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스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소지품의 분실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주머니부가 최대한 표시나지 않고 교복용 스커트로서의 단정하고 맵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주머니가 측방향으로 쏠림이나 말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절개부가 형성되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에 지퍼 절개부와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주머니부가 형성되고 이 지퍼 절개부의 타측에는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제2 주머니부를 구비한 교복 스커트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를 전면 스커트부와 후면 스커트부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부분을 제봉부에 의해 제봉하되, 상기 주머니부는 일측 제봉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퍼 절개부는 주머니부의 주머니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머니부의 지퍼는 제봉부의 제봉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절개부는 상기 주머니부의 지퍼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주머니부의 지퍼는 주머니부의 타측 제봉부의 제봉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머니부의 주머니와 제2 주머니부의 주머니는 연결 밴드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복 스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소지품의 분실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주머니부가 최대한 표시나지 않고 교복용 스커트로서의 단정하고 맵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주머니 형성에 따른 착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과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주머니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아 착용시 교복으로서의 단정함과 뛰어난 맵시감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각 주머니가 측방향으로 쏠림이나 말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도 교복으로서의 단정함을 유지하면서 주머니에 소지품이나 손 등이 삽입된 상태에서 맵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복 스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따른 주머니부가 닫혀진 상태의 요부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따른 주머니부가 개방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스냅파스너나 단추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절개부(112a)가 형성되는 허리밴드(112)와, 상기 허리밴드(112)의 하부에 착용자의 허리에서부터 다리까지 늘어지게 형성되는 스커트부(110)와,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에 상기 연결 절개부와 같이 착용자가 벗거나 착용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퍼 절개부(112b)와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내측면에 주머니(122)가 형성된 주머니부(120)가 형성되고, 이 지퍼 절개부(112b)의 타측에는 지퍼에 의해 내측에 주머니(122)가 형성되어 개방되는 제2 주머니부(120A)를 구비한 교복 스커트(1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스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소지품의 분실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주머니부가 최대한 표시나지 않고 교복용 스커트로서의 단정하고 맵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커트부(110)를 전면 스커트부(110A)와 후면 스커트부(110B)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부분을 제봉부에 의해 제봉하되, 상기 주머니부(120) 전면이나 후면 스커트부(110A)(110B)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 제봉부(13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지퍼 절개부(112b)는 외부로 드러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주머니부(120)의 주머니(122)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주머니부(120)의 지퍼는 제봉부(130)의 제봉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절개부(112a)는 상기 주머니부(120)의 지퍼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스커트에 형성되는 주머니부는 전면이나 후면 스커트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전면 스커트와 후면 스커트가 제봉되는 제봉부의 제봉선 상에 지퍼가 제봉되어 닫고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퍼를 닫을 경우에는 주머니부가 제봉부의 제봉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표시나거나 식별되지 않아 교복으로서의 단정함과 맵시가 뛰어난 조건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허리밴드(112)에 형성된 연결 절개부(112a)와 함께 스커트(100)를 벗거나 착용시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지퍼 절개부(112b)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즉 주머니부(120)의 주머니(122) 내측면에서 지퍼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 절개부와 같이 벗거나 착용시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상기 지퍼 절개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스커트의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주머니부와 지퍼 절개부를 오인혼동 또한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교복으로서의 한층 더 단정함과 맵시가 뛰어난 것이다.
한편, 상기 주머니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주머니부(12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주머니부(120A)의 지퍼는 주머니부(120)의 타측 제봉부(130)의 제봉선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한 제2 주머니부는 제봉부가 아닌 스커트부에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2 주머니부(120A)는 전면 스커트(110A)나 후면 스커트(110B)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봉부(130)에 의해 서로 제봉되는 부분으로 제2 주머니부(120A)의 지퍼가 제봉되어 개방됨으로서, 지퍼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제봉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외부로 표시되지 않고 제봉선 상태로 표시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제2 주머니부 또한 스커트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교복으로써의 단정함과 뛰어난 맵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주머니부와 제2 주머니부에 형성되는 각 주머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봉부의 제봉선 상에 형성됨에 따라 주머니가 말리거나 사용자가 소지품을 넣거나 또는 손 등을 넣을 경우 주머니가 제봉선 측이나 후방 측으로 쏠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머니부(120)의 주머니(122)와 제2 주머니부(120A)의 주머니(122)는 연결 밴드(122a)에 의해 각 주머니가 말리거나 소지품이나 손 등을 넣을 경우 제봉선 측이나 후방 측으로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주머니부와 제2 주머니부는 전면 스커트부와 후면 스커트부의 제봉부인 제봉선 상에 형성됨에 따라 각 주머니가 평상시에 처짐이 발생하거나 또는 말리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소지품이나 손 등을 넣을 경우 제봉선 측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각 주머니를 전면 스커트의 후방면에서 연결 배드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 놓으므로써, 평상시 주머니가 말리거나 사용자가 소지품이나 손 등을 넣을 경우에도 주머니가 제봉선 측으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주머니부나 제2 주머니부에 구비되는 주머니가 말리거나 제봉선 측으로 쏠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복용의 스커트로서 단정함과 뛰어난 맵시를 자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복 스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따른 주머니부가 닫혀진 상태의 요부도.
도 2b는 도 1에 따른 주머니부가 개방된 상태의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주머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도.
도 5는 일반적인 교복 스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6는 종래 교복 스커트에 주머니가 구비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커트 110 : 스커트부
110A : 전면 스커트 110B : 후면 스커트
112 : 허리밴드 112a : 연결 절개부
112b : 지퍼 절개부 120 : 주머니부
120A : 제2 주머니부 122 : 주머니
122a : 연결 밴드 130 : 봉제부

Claims (4)

  1.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절개부(112a)가 형성되는 허리밴드(112)와, 상기 허리밴드(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커트부(110)와, 상기 스커트부(110)의 일측에 지퍼 절개부(112b)와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주머니부(120)가 형성되고 이 지퍼 절개부(112b)의 타측에는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제2 주머니부(120A)를 구비한 교복 스커트(100)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110)를 전면 스커트부(110A)와 후면 스커트부(110B)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부분을 제봉부(130)에 의해 제봉하되, 상기 주머니부(120)는 일측 제봉부(13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퍼 절개부(112b)는 주머니부(120)의 주머니(122)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복 스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120)의 지퍼는 제봉부(130)의 제봉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절개부(112a)는 상기 주머니부(120)의 지퍼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복 스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머니부(120A)의 지퍼는 주머니부(120)의 타측 제봉부(130)의 제봉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복 스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120)의 주머니(122)와 제2 주머니부(120A)의 주머니(122)는 연결 밴드(122a)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복 스커트.
KR1020090123216A 2009-12-11 2009-12-11 교복 스커트 KR10111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16A KR101110338B1 (ko) 2009-12-11 2009-12-11 교복 스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16A KR101110338B1 (ko) 2009-12-11 2009-12-11 교복 스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28A KR20110066528A (ko) 2011-06-17
KR101110338B1 true KR101110338B1 (ko) 2012-02-15

Family

ID=4439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216A KR101110338B1 (ko) 2009-12-11 2009-12-11 교복 스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4496A (zh) * 2019-03-28 2019-08-02 杭州润娴服饰有限公司 半裙腰部中宽牛筋的防翻卷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05A (ja) 1997-07-03 1999-01-26 Shimaya:Kk スカートの腰回り調整装置
JP2005307394A (ja) 2004-04-21 2005-11-04 Akashi Hifuku Kogyo Co Ltd スカート
KR20090046570A (ko) * 2007-11-06 2009-05-11 (주)에리트베이직 교복 스커트
KR20090114688A (ko) * 2008-04-30 2009-11-04 (주)에리트베이직 치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05A (ja) 1997-07-03 1999-01-26 Shimaya:Kk スカートの腰回り調整装置
JP2005307394A (ja) 2004-04-21 2005-11-04 Akashi Hifuku Kogyo Co Ltd スカート
KR20090046570A (ko) * 2007-11-06 2009-05-11 (주)에리트베이직 교복 스커트
KR20090114688A (ko) * 2008-04-30 2009-11-04 (주)에리트베이직 치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28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086B1 (en) Garment with a lower abdominal support and an insert therefor
KR101958186B1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상의
US11330850B2 (en) Multi-use garment
US7231670B2 (en) Versatile scarf
US5802619A (en) Cheerleading skirt with improved waistband
US20120272427A1 (en) Articles of Clothing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20110289646A1 (en) Swimwea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KR101110338B1 (ko) 교복 스커트
US2873738A (en) Reversible garment
KR20100117849A (ko) 허리단을 갖고 허리조절수단을 갖는 의복용 하의
KR200220348Y1 (ko) 치마겸용바지
US1128168A (en) Combination shirt and vest.
KR20090114688A (ko) 치마
JPH08113805A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KR200342596Y1 (ko)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KR200430423Y1 (ko) 주름부에 의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앞치마
US2223157A (en) Garment
JP3135751U (ja) ウエスト調節パンツ
KR20110093470A (ko) 신축기능을 갖는 상의 팔꿈치
KR102416977B1 (ko) 스포츠 치마
KR101081580B1 (ko) 교복 상의
CN218921729U (zh) 一种设有固定结构的上衣
JP4863776B2 (ja) レインパンツ付きズボン
CN214509498U (zh) 一种可分离的多功能裤子
KR20140084811A (ko) 폭조절 깔끔한 스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