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977B1 - 스포츠 치마 - Google Patents

스포츠 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977B1
KR102416977B1 KR1020220051481A KR20220051481A KR102416977B1 KR 102416977 B1 KR102416977 B1 KR 102416977B1 KR 1020220051481 A KR1020220051481 A KR 1020220051481A KR 20220051481 A KR20220051481 A KR 20220051481A KR 102416977 B1 KR102416977 B1 KR 10241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kirt
tape
zipper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나
Original Assignee
윤지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나 filed Critical 윤지나
Priority to KR102022005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스포츠 치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는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바지부, 상기 바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치마부, 상기 치마부 및 상기 바지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하는 지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지퍼부와 대향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지퍼부 사이에 상기 절개부와 상기 지퍼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포츠 치마{SPORTS SKIRT}
본 발명은 스포츠 치마에 대한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를 취미로 즐기고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일상 생활에서 즐기는 운동이 유행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남녀노소 모든 성별에서 드러난다.
취미로서의 운동이 유행하면서 각 운동을 수행하기에 편안하면서 심미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스포츠 웨어 시장이 같이 발전하고 있다. 스포츠 웨어는 일반적인 의류와는 달리 특정 운동의 행동 패턴에 최적화된 기능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효율적인 운동 수행을 돕거나, 운동 전 후 편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의류와 기술적 요소가 결합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그 예가 한국등록특허 1020130012921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체형을 가진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을 수 있는 스포츠 치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운동을 수행할 때 편안함을 느끼는 스포츠 치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운동 수행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스포츠 치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는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바지부, 상기 바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치마부, 상기 치마부 및 상기 바지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하는 지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지퍼부와 대향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지퍼부 사이에 상기 절개부와 상기 지퍼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퍼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프부, 상기 테이프부를 따라 배치되는 체인부; 및 상기 테이프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단과 상기 절개부를 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부는 서로 분지되는 제1 서브 테이프부 및 제2 서브 테이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지퍼부에 의해 절개되되, 절개된 상기 밴드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서브 테이프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절개된 상기 밴드부의 타측은 상기 제2 서브 테이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부와 상기 테이프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지부의 양측에는 봉제선이 형성되고, 상기 봉제선과 상기 절개부가 만나는 영역인 절개부 중단이 정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 중단으로부터 상기 지퍼부 하단을 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서브 테이프부로부터 연장되는 일변 및 상기 제2 서브 테이프부로부터 연장되는 타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는 상기 지퍼부 하단과 상기 일변 및 타변이 만나는 영역인 중단을 잇고,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는 상기 제1 서브 테이프부와 상기 일변을 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2 서브 연결부의 연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지퍼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의 폭은 상기 밴드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밴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절개 길이는 5cm 내지 10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연결 실이며, 상기 연결 실의 길이는 1cm 내지 5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체형을 가진 사용자가 불편 없이 스포츠 치마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착용 시 편안함을 제공하여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구성(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을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의 "아래"로 기술된 구성은 다른 구성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구성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구성은 시점에 따라 다른 구성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은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1000)는 치마부(100), 바지부(200) 및 지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포츠 치마(1000)는 골프 치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관과 기능이 부합하는 범위에서 다른 스포츠 용으로 착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포츠 치마(1000)가 골프 치마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포츠 치마(1000)는 치마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마부(100)는 스포츠 치마(1000)의 외관을 구성한다. 즉, 정지 상태나 가볍게 걷는 상태에서는 치마부(100)가 시인될 수 있다. 치마부(100)는 스포츠 치마(1000)에서 심미감에 영향을 주는 부분일 수 있다.
치마부(1000)의 내측에는 바지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바지부(200)는 스포츠 치마(1000)에서 운동 수행을 담당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움직임이 많은 운동의 경우, 당연하게도 바지가 훨씬 편리하다. 바지부(200)는 사용자의 둔부와 허벅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며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운동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치마부(100)의 일측에는 지퍼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퍼부(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포츠 치마(1000)를 열고 닫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퍼부(300)는 치마부(1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을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둔부와 허벅지를 바지부(200)에 넣은 이후에는 치마부(100)를 닫아 스포츠 치마(1000)를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퍼부(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하기로 한다.
치마부(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2가 참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1000)의 치마부(100)는 밴드부(110)와 확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10)는 사용자의 허리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허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10)는 사용자의 허리에 거치되어 스포츠 치마(10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부(120)는 밴드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부(120)의 폭은 밴드부(1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장부(120)는 중력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확장부(120)가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 확장부(12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거나 주변 환경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을 받아 나풀거리거나 부분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즉, 바람에 나풀거리는 듯한 느낌을 줘 외관상 가벼워 보이는 심미감을 제공할 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장부(120)에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은 확장부(120)를 이루는 천이 접혀진 상태에서 연장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주름은 확장부(120)의 확장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름은 바람에 의한 움직임을 더욱 확실하게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주름에 의해 바람이 집중되거나 주름의 저항때문에 바람이 일부에 쏠림으로써, 더욱 다이나믹한 움직임이 연출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스포츠 치마(1000)의 바지부(200)는 허리부(210)와 다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부(210)는 스포츠 치마(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허리에 위치할 수 있다. 허리부(210)는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며, 허리에 거치될 수 있다. 허리부(210)는 치마부(100)의 밴드부(1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허리부(210)와 밴드부(110)는 서로 바느질 결합될 수 있다.
허리부(210)의 아래측에는 다리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리부(220)는 사용자의 둔부와 허벅지 일부를 수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리부(220)는 전체적으로 반바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바람에 의해 치마부(10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바지부(200)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바지부(200)의 상하길이는 치마부(100)의 상하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지부(200)의 양측에는 봉제선이 형성될 수 있다. 봉제선은 바지부(200)의 앞판과 뒷판을 바느질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지부(200)의 일측에는 제1 봉제선(2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봉제선(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봉제선(221)은 바지부(200) 일측 중간 부분에서 바지부(200)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제2 봉제선(222)은 바지부(200)의 타측 상단 부분(허리부(210)와 만나는 부분)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봉제선(221)과 제2 봉제선(222)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봉제선(221)이 제2 봉제선(222)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봉제선(221)이 중간부터 연장되므로, 제1 봉제선(221)과 허리부(210) 사이에는 절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230)는 허리부(210)로부터 제1 봉제선(221)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치마부(100)와 바지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치마부(100)의 일측에는 지퍼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퍼부(300)는 치마부(100)의 일측 상단에서 확장부(120)의 중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지퍼부(300)에 의해 치마부(100)는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고하여 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치마부(100)의 밴드부(110)와 바지부(200)의 허리부(2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바느질 결합될 수 있다. 치마부(100)의 확장부(120)와 바지부(200)의 다리부(220)는 서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확장부(120)와 다리부(220) 사이에는 빈 공간(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확장부(120)는 다리부(220)에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움직이거나 나풀거릴 수 있다. 즉, 바지부(200)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운동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움직임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확장부(120)의 움직임은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확장부(120)의 움직임은 이렇듯 심미감을 향상시키지만 확장부(120)의 움직임이 과할 경우, 치마부(100)가 훌러덩 뒤집어지거나 다리부(220)가 과하게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마부(100)와 바지부(200) 사이에는 연결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5 및 도 6을 참고한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6을 참고하면, 치마부(100)와 바지부(200) 사이에는 연결부(400)가 배치된다.
도 5는 지퍼부가 잠긴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지퍼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스포츠 치마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연결부(400)의 설명에 앞서 지퍼부(300) 등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퍼부(300)는 체인부(310), 테이프부(320) 및 슬라이더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퍼부(300)는 일반적인 파스너(fastener)와 같이 의복에 사용되는 결합 수단일 수 있다.
체인부(3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인부(310)는 제1 서브 체인부(311)와 제2 서브 체인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체인부(311)와 제2 서브 체인부(312)는 서로 결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체인부(311)와 제2 서브 체인부(312)의 금속 부분이 서로 교번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더(330)의 이동에 따라 체인부(310)는 결합되거나, 두 개로 갈라질 수 있다.
체인부(310)는 테이프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체인부(310)는 금속을 포함하므로, 다른 천과의 결합이 어렵다. 테이프부(320)는 직물 소재로 이루어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른 직물에 손쉽게 바느질 결합될 수 있다.
테이프부(320)는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테이프부(320)는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로 분지될 수 있다.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는 각각 제1 서브 체인부(311)와 제2 서브 체인부(312)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테이프부(321)는 제1 서브 체인부(311)와 결합되고, 제2 서브 테이프부(322)는 제1 서브 체인부(31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체인부(311)와 제2 서브 체인부(312)가 이격될 때,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는 이에 따라 이격되고, 또한, 제1 서브 체인부(311)와 제2 서브 체인부(312)가 결합될 때,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는 이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의 일단은 테이프부(320)의 하단(323)에서 서로 수렴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는 하단(323)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323)에서의 결합은 슬라이더(330)의 상하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슬라이더(330)까 상하이동함에 따라 제1 서브 체인부(311)와 제2 서브 체인부(312)가 결합 또는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1 서브 테이프부(321)와 제2 서브 테이프부(322)가 결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하단(323)은 서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더(330)는 하단(323)을 가로지르지 못하며, 하단(323) 직전 까지만 진행할 수 있다.
즉, 하단(323)은 체인부(310)가 형성되지 않은 테이프부(320)의 끝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퍼부(300)에 의해 치마부(100)의 일부와 바지부(200)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마부(100)의 밴드부(110)와 확장부(120)의 일부가 지퍼부(300)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또한, 바지부(200)의 허리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지퍼부(300)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절개된 치마부(100)의 일측과 타측은 지퍼부(300)가 잠기고 열림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절개된 허리부(210)의 일측과 타측은 지퍼부(300)가 잠기고 열림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분할된 밴드부(110)의 일측은 제1 서브 테이프부(321) 상부에 바느질 결합되고, 분할된 밴드부(110)의 타측은 제2 서브 테이프부(322) 상부에 바느질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부(110)가 지퍼부(300)에 의해 분할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테이프부(321) 및 제2 서브 테이프부(322)는 밴드부(110)와 결합된 영역과 밴드부(110)와 결합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부(110)와 허리부(210)가 결합되는 경우, 허리부(210)는 밴드부(110)와 마찬가지로 지퍼부(300)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퍼부(300)에 의해 절개된 허리부(210)의 일측은 제1 서브 테이프부(321)에, 타측은 제2 서브 테이프부(322)에 결합되어 지퍼부(300)가 열리고 잠김에 따라 허리부(210)도 열리고 잠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부(220)는 테이프부(320)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절개부(230)의 일변과 타변은 테이프부(320)에서 밴드부(110)와 결합된 영역과 결합되지 않은 영역의 경계에서 시작되어 연장되지만,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절개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부(320)와 대향하며 이격될 수 있다. 즉,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볼 때) 이와 같이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배치되는 경우, 다양한 사용자의 서로 다른 신체 사이즈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허리 사이즈가 동일한 사용자더라도, 엉덩이 사이즈와 허벅지 사이즈는 천차만별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스포츠 치마의 경우, 엉덩이 사이즈와 허벅지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사용자가 입으면 바지가 팽창함에 따라 지퍼부 주변의 천들이 지퍼부를 사이에 두고 불룩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내측의 바지가 팽창하여 지퍼부의 테이프에 결합되는 천들을 당기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엉덩이 사이즈와 허벅지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얇은 사용자가 입으면 내측의 바지부가 헐렁해지고, 이에 따라 지퍼부가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포츠 치마의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외관에 찝힙이나 구김이 발생하는 경우, 스포츠 치마의 운동수행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예상되지 않았던 구김이나 찝힘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불편함을 주고, 이와 같은 불편함은 사용자의 집중을 흐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배치되는 경우, 엉덩이와 허벅지에 의해 바지부(200)가 일정 간격 팽창하더라도, 이격 공간이 이를 수용하고, 테이프부(320)를 당기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엉덩이와 허벅지 사이즈가 큰 사용자가 착용하여도 사이즈가 외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엉덩이와 허벅지 사이즈가 작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에도, 절개부(230)에 의해 테이프부(320)의 하부가 바지부(200)와 결합되지 않으므로, 지퍼부(300)가 잠겨도 바지부(200)가 따라 올라가 지퍼부(300) 부분이 움푹 패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외측에서 봤을 때)
일 실시예에서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 하단 사이에는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절개부(230) 중단(231)과 테이프부(320) 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30) 중단(231)은 절개부(230)의 일변과 타변이 만나는 지점과 그 인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중단(231)은 절개부(230)와 제1 봉제선(221)이 만나는 지점과 그 인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 사이에서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환경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확장부(120)는 펄럭이거나 나풀거릴 수 있다. 다만, 외부에서 바람이 세게 불거나 사용자가 과도한 움직임을 수행하는 경우, 확장부(12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운동 수행을 방해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확장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확장부(120)가 뒤집어져 바지부(20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확장부(120)가 격하게 움직여 사용자의 운동 수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직물 소재로 된 연결 실(thread)일 수 있다. 연결 실의 일단은 절개부(230)의 중단(231)에 결합되고, 타단은 테이프부(320) 하단(323)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실은 한 가닥의 실이거나, 두 개 이상의 가닥이 꼬여서 결합된 꼬인 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천(fabric) 조각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400)의 길이는 1cm 내지 5c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부(230)와 테이프부(320) 하단을 연결부(400)로 연결하는 경우, 다양한 사이즈를 수용해도 외관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운동 수행능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확장부를 움직이게 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시에 바지부(200)가 뒤집어지는 등의 이유로 착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연결부(400)는 바지부(200)를 아래로 땅겨, 바지부(200)가 위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치마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제1 서브 연결부(401) 및 제2 서브 연결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연결부(401)는 도 6에서 설명한 연결부(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브 연결부(402)는 연결 실일 수 있다. 제2 서브 연결부(402)의 연장 길이는 제1 서브 연결부(401)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브 연결부(402)의 연장 길이는 1cm 내지 3cm일 수 있다. 제2 서브 연결부(402)는 절개부(230)의 일측과 제1 서브 테이프부(321)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6은 절개부(230)의 일측과 제1 서브 테이프부(321)의 하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절개부(230)의 타측과 제2 서브 테이프부(322) 사이에 제2 서브 연결부(40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서브 연결부(402)는 치마부(100)의 움직임을 더욱 강하게 제한할 수 있다. 즉, 제2 서브 연결부(402)로 인해 확장부(120)의 움직임이 수평 방향에서 제한될 수 있으며(제1 서브 연결부(401)는 주로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 이에 따라 확장부(120)의 과도한 움직임이 사용자의 운동 수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치마부
200: 바지부
300: 지퍼부
110: 밴드부
120: 확장부
210: 허리부
220: 다리부
230: 절개부

Claims (10)

  1.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바지부;
    상기 바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치마부;
    상기 치마부 및 상기 바지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하는 지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지퍼부와 대향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지퍼부 사이에 상기 절개부와 상기 지퍼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포츠 치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프부, 상기 테이프부를 따라 배치되는 체인부; 및 상기 테이프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단과 상기 절개부를 잇는
    스포츠 치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부는 서로 분지되는 제1 서브 테이프부 및 제2 서브 테이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지퍼부에 의해 절개되되, 절개된 상기 밴드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서브 테이프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절개된 상기 밴드부의 타측은 상기 제2 서브 테이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부와 상기 테이프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스포츠 치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부의 양측에는 봉제선이 형성되고, 상기 봉제선과 상기 절개부가 만나는 영역인 절개부 중단이 정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 중단으로부터 상기 지퍼부 하단을 잇는 스포츠 치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서브 테이프부로부터 연장되는 일변 및 상기 제2 서브 테이프부로부터 연장되는 타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서브 연결부 및 제2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는 상기 지퍼부 하단과 상기 일변 및 타변이 만나는 영역인 중단을 잇고,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는 상기 제1 서브 테이프부와 상기 일변을 잇는 스포츠 치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2 서브 연결부의 연장 길이보다 긴 스포츠 치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지퍼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스포츠 치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폭은 상기 밴드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밴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스포츠 치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절개 길이는 5cm 내지 10cm 인 스포츠 치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 실이며, 상기 연결 실의 길이는 1cm 내지 5cm인 스포츠 치마.
KR1020220051481A 2022-04-26 2022-04-26 스포츠 치마 KR10241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81A KR102416977B1 (ko) 2022-04-26 2022-04-26 스포츠 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81A KR102416977B1 (ko) 2022-04-26 2022-04-26 스포츠 치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977B1 true KR102416977B1 (ko) 2022-07-05

Family

ID=8240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481A KR102416977B1 (ko) 2022-04-26 2022-04-26 스포츠 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9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166Y1 (ko) * 2006-06-22 2006-09-08 구본기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20090009184U (ko) * 2008-03-10 2009-09-15 박재현 반바지, 바지 및 치마로의 변환이 가능한 의류
KR20110029021A (ko) * 2009-09-14 2011-03-22 이재호 나풀거림 방지용 치마
KR20170107881A (ko) * 2016-10-11 2017-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허리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바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166Y1 (ko) * 2006-06-22 2006-09-08 구본기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20090009184U (ko) * 2008-03-10 2009-09-15 박재현 반바지, 바지 및 치마로의 변환이 가능한 의류
KR20110029021A (ko) * 2009-09-14 2011-03-22 이재호 나풀거림 방지용 치마
KR20170107881A (ko) * 2016-10-11 2017-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허리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553B2 (e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the fit of clothing
US10645985B2 (en) Trim piece for an apparel item
US20150128331A1 (en) Sports Garment
US6463591B1 (en) Clothing such as shorts and bathing suit
US11234467B1 (en) Tuck no tuck apparel
WO2012023208A1 (ja) ショーツ等の衣料
EP3217821B1 (en) Wet sportswear takeoff helping means
JP3124196U (ja) 女性用上衣
KR102416977B1 (ko) 스포츠 치마
US20090126080A1 (en) Pair of trousers stretchable around a waist
JP4953671B2 (ja) 姿勢補整用ボトムズ
EP2948009B1 (en) Shaping trousers
CA2097013C (en) Efficiently shirred pa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006328625A (ja) パンツ
CN209846221U (zh) 可调节裤腰及具有该裤腰的服装
US20090000006A1 (en) Article of clothing with side access
JP2987087B2 (ja) 被 服
CN215270707U (zh) 一种透气通风上衣
CN218682121U (zh) 加强收腹功能的运动塑形瑜伽裤
US11998074B2 (en) Multi-layer swimwear fitment apparatus
JP6550183B1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KR100872161B1 (ko) 바지
JP2005163218A (ja) ジーンズ
US20230225427A1 (en) Multi-layer swimwear fitment apparatus
JP6538254B1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