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060B1 - 헤드 기어 - Google Patents
헤드 기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0060B1 KR101110060B1 KR1020060114306A KR20060114306A KR101110060B1 KR 101110060 B1 KR101110060 B1 KR 101110060B1 KR 1020060114306 A KR1020060114306 A KR 1020060114306A KR 20060114306 A KR20060114306 A KR 20060114306A KR 101110060 B1 KR101110060 B1 KR 101110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skin material
- surface skin
- mouth
- ey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기어 본체(1)는, 양 눈을 보이게 하는 안용 개구부(5)에 추가하여 입 부분을 보이게 하는 구용 개구부(6)가 안용 개구부(5)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용 개구부(5)의 상측은 이마 부분을 덮으며,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는 뺨 부분 및 코 부분을 덮으며, 구용 개구부(6)의 하측은 아래턱 부분을 덮는다.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가,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절되어 제절 부분(9)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절 부분(9)에서는 제절 부분(9)에 대향하는 단부끼리가 접속 수단에 의해 좌우의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사이의 공간이 연통하는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절 부분(9)의 연통 공간을 포함해서 충격 완화재(4)가 충전(充塡)되어 있다.
헤드 기어, 격투기, 구용 개구부, 안용 개구부, 충격 완화재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관련 헤드 기어를 정면 경사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기어를 눈과 입의 사이의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수평으로 파단(破斷)하여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 충격 완화 심재(芯材)로서의 얇은 강성재(剛性材)의 설치 상황을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 기어의 충격 완화 심재(芯材)용의 얇은 강성재(剛性材)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1의 헤드 기어에 있어서 안용(眼用) 개구부와 구용(口用) 개구부 사이의 표면측(表面側) 표피재(表皮材)와 이면측(裏面側) 표피재(表皮材)의 사이의 제절(除切) 부분의 상황을 보여주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헤드 기어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헤드 기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헤드 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수(空手)나 복싱 등의 각종 격투기 등에 사용되는 헤드 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기자가 머리 부분에 피착(被着)하여 주로 경기자의 안면(顔面)을 상대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헤드 기어에 관한 것이다.
근년, 공수나 복싱의 시합이나 연습에서는,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주로 경기자의 안면을 상대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경기자(M)가 머리 부분(頭部)에 헤드 기어(61)를 착용한다. 종래의 헤드 기어(61)의 경우,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측 표피재(62)와 이면측 표피재(63)의 사이에 충격 완화재(64)가 충전(充塡)되어 있고, 경기자(M)의 양 눈이 내다 보이는 개구부(65)가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경기자(M)는, 개구부(65)로부터 대전(對戰) 상대의 움직임을 보면서, 표면측과 이면측의 양 표피재(62, 63)의 사이에 충전(充塡)된 충격 완화재(64)에 의해 대전 상대의 타격에 수반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플레이를 계속한다(특개 2004-267313호 공보).
한편, 경기자(M)의 양 눈이 내다 보이는 개구부(65)의 주변에는 표면측 표피재(62)와 이면측 표피재(63)가 재봉실을 실질적으로 바깥쪽(표측;表側)으로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봉합되어 있다. 표면측 표피재(62)와 이면측 표피재(63)를 재봉실로 봉합한 후 뒤집어서 마무리하는 것에 의해서, 개구부(65)의 주변에는, 재봉실의 솔기가 표면측 표피재(62)의 안쪽(이측:裏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바로 정면의 위치로 되는 개구부(65)의 주위는, 상대의 타격을 빈번하게 받음과 동시에 눈에 보이기 쉽기 때문에, 개구부(65)의 주변에서는 재봉실 및 표리면측(表裏面側) 표피재 끼리 합치게 한 부분을 안쪽으로 감추도록 해서, 재봉실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재봉실 및 합치게 한 부분을 눈에 띄도록 함 없이 미관성(美觀性)을 높이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헤드 기어(61)의 경우, 경기자의 코 부분의 보호가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것에 더하여서, 경기자는 대화나 호흡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역으로, 경기자의 코 부분의 전면(全面) 보호를 충분히 하는 것과 함께, 경기자에게 대화나 호흡이 쉽게 되도록 입 부분 전면(前面)을 개방하면, 아래 턱 부분의 보호가 불충분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측과 이면측의 양 표피재(62, 63)의 사이에 충전(充塡)된 충격 완화재(64)를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서, 경기자의 코 부분을 개구부(65)의 안으로 끌어들이도록 하고 있으나, 경기자의 코 부분이 충격 완화재(64)로 덮혀 있지 않기 때문에, 때로는 코 부분이 상대의 타격을 직접 받아 버린다.
다른 한편, 경기자의 안면을 가급적 넓게 보호하도록, 경기자의 입 부분은 헤드 기어(61)에서 대부분 덮혀 있으므로, 경기자는 입 부분에 압박감을 받아서, 말하기 어렵고 답답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그 과제는, 경기자의 코 부분을 포함하는 안면의 보호가 충분한 것에 추가하여, 경기자가 용이하게 대화나 호흡할 수 있는 헤드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기어의 특징 구성은, 표면측(表面側) 표피재(表皮材) (2), 이면측(裏面側) 표피재(表皮材)(3) 및 이들 표리면측(表裏面側) 표피재(表皮材)(2,3)의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있는 충격 완화재(4)를 구비하는 기어 본체(1)를 구비하는 헤드 기어에 있어서, 정면에서 양 눈을 내다 보이게 하는 폐쇄상(閉鎖狀)의 안용(眼用) 개구부(開口部)(5)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안용 개구부(5)에 추가해서 입 부분을 내다 보이게 하는 패쇄상의 구용(口用) 개구부(開口部)(6)가 상기 안용 개구부(5)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경우, 경기자가 헤드 기어를 머리 부분에 피착(被着)하고서 양 눈을 내다 보이게 하는 안용 개구부로부터 대전(對戰) 상대의 움직임을 보면서, 입 부분을 내다 보이게 하는 구용 개구부에 의해 입 부분의 자유를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기어 본체의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사이에 충전(充塡)된 충격 완화제에 의해서 대전 상대의 타격에 수반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계속 싸운다. 경기자는 구용 개구부에 의해서 입 부분의 압박감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대화나 호흡을 할 수 있다. 헤드 기어는 경기자가 대화를 하기도 하고 숨을 내쉬기도 하는 것의 방해로 되지 않는다. 게다가, 경기자는 구용 개구부로부터 상대의 발 밑을 보고 시인(視認)하는 것도 가능하여서, 상호 근접한 경우에 상대방 경기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기어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하기 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용 개구부(5)의 주변에는, 상기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제(3)가 재봉실(14)을 바깥쪽으로 노출시키기 어렵게 한 상태에서 봉합되어 있어서, 경기자의 머리 부분에 피착되어 주로 경기자의 안면을 상대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안용 개구부(5)의 상측은 이마 부분을 덮으며, 상기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는 뺨 부분과 코 부분을 덮으며, 상기 구용 개구부(6)의 하측은 아래턱 부분을 덮는 것에 추가로, 상기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가, 상기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에서 상하의 방향으로 제절(除切)되어 제절(除切) 부분(9)을 형성하여 놓고, 이 제절 부분(9)에는 제절 부분(9)에 대향하는 단부(端部) 끼리가 접속 수단에 의해, 좌우의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사이의 공간이 연통(連通)하는 상태에서 접속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절 부분(9)의 연통 공간도 포함해서 상기 충격 완화재(4)가 충전(充塡)되어 있고, 이 구성이면, 양 눈이나 입을 보이게 하는 안용과 구용의 양 개구부의 주변에는, 봉제실이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노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봉제실이 손상하기 어렵고, 봉재실이나 합쳐진 부분이 눈에 띄는 것도 아니다.
한편, 기어 본체는, 안용 개구부의 상측의 이마 부분과 구용 개구부의 하측의 아래턱 부분과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의 사이의 뺨 부분 및 코 부분을 덮는 것에 추가해서,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의 사이는,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 피재의 제절 부분이 있어도 제절 부분에서는 제절 부분에 대향하는 단부끼리가 접속 수단에 의해 좌우의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사이의 공간이 연통하는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절 부분의 연통 공간도 포함해서 충격 완화재가 충전(充塡)되어 있다. 그 결과, 경기자의 이마 부분과 아래턱 부분 및 뺨 부분이나 코 부분의 전방(前方)에는 충격 완화재가 배치되어 있는 모양으로 되어, 상대의 타격은 충격 완화재를 사이에 두고 이마 부분과 아래턱 부분 및 뺨 부분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기어 본체의 충격 완화재는 경기자의 코 부분도 포함해서 안면을 상대의 타격에 수반하는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한다.
다른 한편,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제절 부분은, 여러가지의 접속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의하면, 경기자의 코 부분을 포함하는 안면의 보호가 충분한 것에 추가하여, 경기자는 용이하게 대화하기 쉽게 되기도 하고, 호흡하기 쉽게 된다. 게다가, 경기자는 구용 개구부로부터 상대의 발 아래를 시인(視認)하는 것도 가능해서, 상호 접근한 경우에 상대방 경기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헤드 기어에 대해서 다시 부언하면, 기어 본체의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는, 제품이 완성된 시점이면 양방(兩方) 모두 닫힌 개구부이나,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를 재봉실로서 봉합한 시점에서는,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의 사이에서 상하의 방향으로 제절되어 제절 부분이 미봉합의 개방 상태이고,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는, 아직 각각의 개구부는 아닌 것이므로, 표 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를 뒤집어서 봉제실을 안쪽으로 가지고 오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가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의 사이가 제절되지 않고 봉제실로서 봉합시키면,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는 각각의 개구부로 되어 버려서,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를 뒤집어서 봉제실을 안쪽으로 가지고 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결국,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를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절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절 부분은 개방 그대로 되도록 봉합한다면,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를 뒤집어서 봉제실을 안쪽으로 오게 하는 가지고 것이 가능한 것에 추가하여,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제절 부분을 봉제실과는 별도의 스트링으로서 접속한다면, 어떤 지장없이 헤드 기어를 제작할 수 있다고 하는 새로운 지견(知見)을 발명자가 얻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기어 본체의 안용 개구부의 주위에는, 이 안용 개구부를 둘러싸는 얇은 강성재가 충격 완화 심재로서 상기 충격 완화재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충격 완화 심재로서의 얇은 강성재에 의해 충격 완화재의 충격 완화 기능이 강화되는 것이므로, 경기자의 안면의 보호가 보다 충분하게 된다. 강성재로서는,알루미늄 합금 박판(薄板), 박강판(薄鋼板), 스텐레스강제(鋼製) 박판, 강화 플라스틱제 박판 등이 바람직하고, 경량으로 강도가 높은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얇은 상기 강성재는, 상기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제절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절 부분을 가지는 것과 함께, 제절 부분에서 대향하는 얇은 강성재의 단부끼리가 접속편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충격 완화 심재로서의 얇은 강성재가 안용 개구부를 제절하지않고 둘러싸도록 된 것이므로, 충격 완화재의 충격 완화 기능을 충분히 강화할 수 있다. 추가하여, 얇은 강성재를 제절 부분의 상태에서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사이에 밀치고 들어가기 때문에, 얇은 강성재의 단부끼리가 접속편에서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얇은 강성재의 설치가 간단이 행해질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접속 수단이, 접착제, 봉제실 또는 이 봉제실과는 다른 별도의 스트링의 어느 것이며, 얇은 상기 강성재가, 상기 충격 완화재와 전면적(全面的)으로 접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형태를 들 수 있다.
접속 수단으로 접착제나 봉제실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접속 부분이 눈에 띄지 않으며, 봉제실과는 다른 별도의 스트링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봉제실 보다 강도가 높은 튼튼한 스트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스트링이 바깥쪽으로 노출하고 있어도 스트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스트링은 제절 부분만을 접속할 뿐인 것이므로, 스트링이 눈에 띄어서 외관을 현저하게 손상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충격 완화 심재로서의 얇은 강성재가 충격 완화재에 전면적(全面的)으로 접착되어 있으므로, 충격 완화재의 충격 완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얇은 강성재를 충격 완화재에 미리 접착하여 놓았기 때문에,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사이에 강성재와 충격 완화재를 동시에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헤드 기어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하는 헤드 기어를 정면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헤드 기어를 눈과 입 사이의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수평으로 파단(破斷)하여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보이는 헤드 기어는, 공수나 복싱 등의 경기자(도시 생략)의 머리 부분에 피착되어서, 주로 경기자의 안면을 상대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어 본체(1)를 구비한다. 이 기어 본체(1)는, 도 2에도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사이에 충격 완화재(4)가 충전(充塡)되어 있으며, 양 눈을 보이게 하는 안용 개구부(5)가 정면에서 좌우로 횡장(橫長) 형성되어 있다. 추가하여, 입 부분을 보이게 하는 구용 개구부(6)가 안용 개구부(5)와는 별도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 본체(1)의 경우,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가, 안용 개구부(5) 및 구용 개구부(6)의 주변에서, 봉제실을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노출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봉합되어 있다. 결국, 실땀이 기어 본체(1)의 이면측(충격 완화재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양 눈이나 입을 보이게 하는 안용과 구용 양 개구부(5,6)의 주변에서 봉제실이 실질적으로 바같쪽으로 노출하여 있지 않고, 봉제실이나 합친 부분이 눈에 띄지 않는다. 이 때문에, 미감성에서 뛰어날 뿐 아니 라, 사용시에 봉제실이 닳아서 손상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기어 본체(1)의 좌우의 각 측방(側方)에는, 경기자의 귀를 보호하는 이환(耳環, 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 기어의 머리 부분에의 고정은, 기어 본체(1)에 부속되어 있는 끈(8) 및 후두부(後頭部)에 설치한 면(面)패스트너(fastener)를 겹쳐 합쳐서 처리되나, 헤드 기어의 고정은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겹쳐 합칠 때에 설치한 면패스트너만으로 처리하는 구성으로서도 좋기도 하고, 끈만으로서 처리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또한, 이환(7) 끼리를 후두부 측으로부터 끈으로서 해제가 자유롭게 고정하고, 혹은, 양(兩) 이환(7)에 밴드를 설치하고, 이 밴드를 연장해서 그것들을 면(面)패스트너로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격심한 경기중에 헤드 기어가 벗겨지는 것을 일층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져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면 좋다.
이 헤드 기어를 착용한 경기자는, 양 눈을 보이게 하는 안용 개구부(5)로부터 대전(對戰) 상대의 움직임을 보면서, 입 부분을 보이게 하는 구용 개구부(6)의 존재에 의해, 입 부분의 압박감이 제거됨과 동시에, 기어 본체(1)의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사이에 충전(充塡)된 충격 완화재(4)에 의해, 대전(對戰) 상대의 타격에 수반하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플레이를 계속할 수 있다.
기어 본체(1)의 표면측 표피재(2)나 이면측 표피재(3)에는, 인공 피혁 재료 또는 천연 피혁 재료 등의 유연성 있는 표피재(表皮材)가 사용되고 있다. 기어 본체(1)는, 경기자의 안면과 측면을 포함하는 모양으로 순조롭게 마무리되어 있는 것 과 함께, 안용 개구부(5)나 구용 개구부(6)의 둘레는, 전방(前方)으로 팽출(膨出)한 모양으로 조절되어 있다. 통상, 기어 본체(1)의 안용 개구부(5)나 구용 개구부(6)의 주변의 팽출 지점은, 부푼 부분만 충격 완화재(4)가 두껍게 충전(充塡)되어 있어서, 기어 본체(1)의 표면이 융기한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인 표피재로서는, 예를 들면 소프리나(인공 피혁 재료, 상품명)등이 바람직하나, 어느 정도의 강도와 유연성이 있다면 다른 재료여도 좋다.
충격 완화재(4)에는, 예를 들면 두께 20~45mm 정도의 고(高)충격 흡수성의 고밀도 발포제와, 예를 들면 두께 5~15mm 정도의 고탄성(高彈性) 발포제를 겹쳐 합친 적층재를 이용할 수 있다. 고밀도 발포재로서는, NASA 개발 메모리 폼(Memory Foam 발매원:산광유업(山光油業)) 등의 고밀도 우레탄폼이 예시되며, 고탄성 발포재로서는 비타폼(상품명, 제일과학사 제(製))등의 연질 스틸렌에라스토머 가교폼이 예시된다.
기어 본체(1)의 경우, 안용 개구부(5)의 상측(上側)은 경기자의 이마 부분을 덮으며,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는, 경기자의 뺨 부분 및 코 부분을 덮으며, 구용 개구부(6)의 하측(下側)은 경기자의 아래턱 부분을 보호하도록 덮는다. 다만, 아래턱 부분의 보호에 있어서는, 아래턱 전체를 깊게 보호하도록 하여도 좋고, 아래턱 선단(先端)만을 보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기어 본체(1)는,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가, 양방(兩方) 모두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절(除切) 부분이 형성되어서 이간(離間)하고 있다. 그래서,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가, 제절 부분(9)에서는, 봉제실로서 봉합되지 않고 제절 부분(9)에서 대향하는 단부(2A)끼리 및 단부(3A)끼리가, 각각 봉제실과는 다른 별도의 스트링(10)에 의해, 좌우의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사이의 공간이 연통(連通)하는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추가로, 제절 부분(9)의 연통 공간도 포함하여, 충격 완화재(4)가 충전(充塡)되어 있다. 그 결과, 경기자의 이마 부분이나 아래턱 부분 및 뺨 부분과 코 부분의 전방(前方)에 충격 완화재(4)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고, 상대의 타격은 경기자의 완충 완화재(4)를 사이에 두고 가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도, 코 부분 전면(前面)의 완충 완화재(4)와 코 부분과의 사이에 간격(2~5cm 정도)이 비어 있으므로, 코 부분에는 직접 상대의 타격이 가해지는 것은 아니다.
스트링(10)은,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측 표피재(2)의 단부(2A) 끼리와 이면측 표피재의 단부(3A)끼리를 제절 부분(9)의 표리(表裏)에서, 각각 견고하게 접속하고 있다. 스트링(10)으로서는, 합성 섬유제 스트링이나 천연 섬유제 스트링 또는 합성 피혁제 스트링, 또한 천연 피혁제 스트링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절제 부분(9)은, 봉제실과는 별도의 고강도의 스트링(10)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스트링(10)이 바깥쪽으로 노출하고 있어도, 스트링(10)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추가로, 스트링(10)은, 제절 부분(9)을 접속할 뿐이기 때문에 눈에 띄기 어렵다. 또한, 스트링(10)은 손상을 받는다고 하여도, 스트링(10)의 교환이 용이하고 봉제실과 같은 번거로움은 없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 기어의 경우, 도 2,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어 본 체(1)의 안용 개구부(5)의 주위에서는, 안용 개구부(5)를 둘러싸도록, 좁은 폭의 얇은 강성재(11)가 충격 완화 심재로 하여, 충격 완화재(4)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이 강성재(11)로서는 두께 0.2~2mm 정도, 폭 10~30mm 정도의 강판이나 스텐레스 강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금속제 등의 금속판 등,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FRP(섬유 강화 수지)제 판 등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얇은 강성재(11)에 의해서 충격 완화재(4)의 충격 완화 기능이 강화되므로, 경기자의 안면의 보호가 보다 확실하게 된다.
얇은 강성재(11)는, 도 2 및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층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제절 부분(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끊어진 부분(12)을 가지는 것과 함께, 얇은 강성재(11)의 끊어진 부분(12)에서 대향하는 얇은 강성재의 단부(11A) 끼리가, 접속편(13)에 의해 일체적으로 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충격 완화 심재로서의 얇은 강성재(11)는 안용 개구부(5)를 제절하지 않고 둘러싸도록 된 것이므로, 충격 완화재(4)의 충격 완화 기능이 충분히 강화된다. 더욱, 강성재(11)의 단부(11A)와 접속편(13)의 결합은, 용접이나 나사 고정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접속편(13)으로서는, 강성재(11)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제나 FRP(강화 수지)제의 얇은 (예를 들면 두께 0.2~2mm 정도)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헤드 기어에 관해 부언하면, 기어 본체(1)의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는, 제품의 완성 시점에서는 양자(兩者) 모두 닫힌 개구부로 되나,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를 봉제실(14)로서 봉합한 시점에서는,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에서 상 하의 방향으로 제절되어서, 제절 부분(9)이 미봉합의 개방 상태이고,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가 아직 각각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를 뒤집어서 봉제실(14)을 안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가,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가 제절되지 않고 봉제실(14)로 봉합된다면,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는 각각의 개구부로 되고,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를 뒤집어서 봉제실(14) 및 합쳐진 부분(15)을 안쪽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결국,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를,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절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절 부분이 개방된 그대로 되도록 봉합하면,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를 뒤집어서, 봉제실(14) 및 합쳐친 부분(15)을 안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추가하여,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제절 부분(9)을 접속용 관통공(2a, 3a)에 봉제실(14)과는 별도의 스트링(10)을, 가죽끈을 매는 요령으로, 순차 삽통(揷通)하여 단단히 묶는 등을 해서 접속하면, 지장없이 본 실시 형태의 헤드 기어를 제작할 수 있다고 하는 새로운 지견(知見)을 얻은 것에 의해,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 기어에서는, 얇은 강성재(11)가 끊어진 부분(12)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트링(10)에 의해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와의 제절 부분(9)을 접속하기 전에, 강성재(얇기때문에, 탄성이 풍부하고 취급이 용이하다)(11)의 끊어진 부분(12)을 어느 정도 이간(離間)시켜서, 그의 일단(11A)을, 표 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개방 상태의 일방의 제절 부분(9)으로 밀어 넣도록 하면, 용이하게 삽통할 수 있고, 타방의 제절 부분(9)의 개방된 지점으로부터, 강성재의 일단부(11A)를 표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강성재(11)가 안용 개구부(5)의 주위 위치에서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강성재(11)의 단부(11A)끼리를, 접속편(13)을 개재시켜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얇은 강성재(11)를 일체적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가 뒤집어져서, 봉제실(14)이 안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안용 개구부(5) 및 구용 개구부(6)의 주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그렇지만,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타단측은, 아직 실로 꿰메 있지 않고 개방된 그대로이므로, 이 상태에서, 안용 개구부(5) 및 구용 개구부(6)가 위치하는 지점이 공간으로 된 형상의 충격 완화재(4) 2장을,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사이에 위치하는 강성재(11)를 협지(挾持)하도록 해서, 각각 배치한다.
다만, 강성재(11)의 단부(11A)끼리를 접속편(13)에 의해 결합한 결합 지점에는, 충격 완화재(4)가 베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강성재(11)와 접속편(13)을 중심으로 해서, 그의 표리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충격 완화재(4)를 제절 부분(9)으로부터 삽입? 피착(被着)한다. 그 후,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제절 부분(9)을, 간격이 생기기 어렵도록 스트링(10)에 의해 접속한다. 기어 본체(1)의 배면측(背面側)에 위치하는 개구단(開口端)을 실로 꿰맴과 함께, 이환(7), 끈(8) 등을 장착해서, 도 1에 보이는 헤드 기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얇은 강성재(11)의 편면(片面) 또는 양면(兩面)은, 충격 완화재(4)에 접착제에 의해 전면적으로 접착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충격 완화 심재로서의 얇은 강성재(11)가 충격 완화재(4)에 전면적으로 접착되어 있으면, 충격 완화재(4)의 충격 완화 기능을 보다 충분히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얇은 강성재(11)를 충격 완화재(4)에 미리 접착하여 놓기 때문에, 표면측 표피재(2)와 이면측 표피재(3)의 사이에 강성재(11)와 충격 완화재(4)를 동시에 밀어 넣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헤드 기어의 경우, 경기자는 구용 개구부(6)에 의해 입의 자유(발성, 호흡 등의 동작)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화가 용이하고 호흡하기 용이하며, 또한 헤드 기어를 머리 부분으로부터 벗는 것 없이 수분 보급할 수도 있다. 추가로, 상대의 타격은 충격 완화재(4)를 사이에 두고 이마 부분과 아래턱 부분 및 뺨 부분에 가해하는 것으로 되므로, 기어 본체(1)의 충격 완화재(4)는, 경기자의 코 부분도 포함해서 안면을 상대의 타격에 수반하는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의 헤드 기어에 의하면, 경기중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위치가 엇갈림이 어렵고, 게다가 경기자의 코 부분을 포함하는 안면의 보호가 충분한 것에 추가하여, 경기자는 용이하게 대화나 호흡할 수 있어서, 호흡 곤란을 느끼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절 부분(9)을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는 예를 들었으나, 안용 개구부(5)와 이마 부분과의 사이에 동일한 제절 부분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얇은 강성재로 이루어진 충격 완화 심재(11)의 단부(11A)를 안용 개구부(5)와 이마 부분과의 사이의 제절 부분으로부터 밀어 넣는다. 삽통을 완료하면, 충격 완화 심재(11)의 단부(11A) 끼리를, 동일하게 해서 접속편(13)을 이용하여 접속하여 일체화한다. 그 후, 충격 완화재(4)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안용 개구부(5)와 구용 개구부(6)가 형성되었고, 도 1에 보인 것과 동일한 헤드 기어를 제조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얇은 강성재(11)를,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중발(中拔) 장방형(張方形) 모양의 형상으로 해서, 타격력의 분산을 효과적으로 높이도록 구성하였으나, 이것에 대신하여, 약간 타격력을 분산하는 작용 효과는 뒤지는 것이지만, 대략 H형의 구성으로서도 좋다. 즉, 얇은 강성재를, H형을 한 좌우의 평행부를 연결하는 직경부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절단한 반체(半體)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하고, 그의 좌우의 평행부를 뺨 부분의 전면(前面)에 대면시키도록 함과 함께, 직경부를 코 부분과 대면시키는 위치로 배치하도록 해서, 이런 반체(半體)끼리를 상기한 접속편(13)으로 고착(固着)해서 일체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도, 높은 충격 완화 기능이 얻어진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격 완화재(4)를 적층재로 한 예를 보였으나, 충격 완화재(4)는 반드시 적층재일 필요는 없고, 고충격 흡수성의 고밀도 발포제나 고탄성 발포제의 어느 것 일방만을 이용한 단층재여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용 개구부(6)의 주변에도, 구용 개구부(6)를 둘러싸도록 하여 얇은 강성재가 충격 완화 심재로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헤드 기어가, 다른 실시의 형태로서 들 수 있다.
(5)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측 표피재(2)의 단부(2A)끼리는 이면측 표피재(3)의 단부(3A)끼리를 제절 부분(9)의 표리(表裏)에서, 스트링(10)을 이용해서, 견고하게 접속하고 있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대신하여, 접착제를 이용해서 제절 부분(0)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봉제실을 이용해서 접속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스트링에 비해서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서 사정이 좋다.
(6)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측 표피재(2)의 단부(2A)끼리와 이면측 표피재(3)의 단부(3A)끼리를 제절 부분(9)의 표리에서, 스트링(10)을 이용해서, 견고하게 접속하고 있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대신하여, 헤드 기어의 형상을 한 틀 테두리 내부에, 수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을 거푸집에 붓는 것에 의해서 일체(一體) 형성하여, 본 발명의 헤드 기어를 제조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안용 개구부와 구용 개구부에 상당하는 지점에는, 중심을 이용해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물론, 틀 테두리 내부에 얇은 강성재를 내장시켜서, 도 3과 같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기자가 머리 부분에 피착(被着)하여 주로 경기자의 안면(顔面)을 상대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헤드 기어가 제공된다.
Claims (8)
- 표면측 표피재, 이면측 표피재 및 이들 표리면측 표피재의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있는 충격 완화재를 구비하는 기어 본체를 포함하는 헤드 기어로서, 상기 기어 본체는 정면에서 양 눈이 보이는 폐쇄상(閉鎖狀)의 안용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안용 개구부에 추가하여 입 부분을 보이게 하는 폐쇄상의 구용 개구부가 상기 안용 개구부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안용 개구부의 주변에는, 상기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가 뒤집어져서, 봉제실이 안쪽에 위치한 상태로 봉합되어 있고, 경기자의 머리 부분에 피착되어 주로 경기자의 안면을 상대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안용 개구부의 상측은 이마 부분을 덮으며, 상기 안용 개구부와 상기 구용 개구부의 사이는 뺨 부분 및 코 부분을 덮으며, 상기 구용 개구부의 하측은 아래턱 부분을 덮는 것에 추가하여, 상기 표면측 표피재와 상기 이면측 표피재가, 상기 안용 개구부와 상기 구용 개구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절되어 제절 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이 제절 부분에서는 제절 부분에 대향하는 단부끼리가 접속 수단에 의해, 좌우의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사이의 공간이 연통하는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절 부분의 연통 공간도 포함해서 상기 충격 완화재가 충전(充塡)되어 있는 것인, 헤드 기어.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본체의 안용 개구부의 주위에는, 이 안용 개구부를 둘러싸는 0.2 ~ 2mm 두께의 강성재가 충격 완화 심재로서 상기 충격 완화재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것인, 헤드 기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재는, 상기 표면측 표피재와 이면측 표피재의 상기 제절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끊어진 부분을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끊어진 부분에 대향하는 강성재의 단부 끼리가 접속편으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인, 헤드 기어.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은, 상기 강성재와 동일 재질이며, 또한 금속제 또는 FRP로 이루어지며, 두께 0.2~2mm인 것인, 헤드 기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이, 접착제, 봉제실 및 스트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상기 강성재가, 상기 충격 완화재와 전면(全面)적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인, 헤드 기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본체의 좌우의 각 측방에는, 경기자의 귀를 보호하는 이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헤드 기어.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38816 | 2005-11-24 | ||
JP2005338816 | 2005-11-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5344A KR20070055344A (ko) | 2007-05-30 |
KR101110060B1 true KR101110060B1 (ko) | 2012-03-13 |
Family
ID=3789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4306A KR101110060B1 (ko) | 2005-11-24 | 2006-11-20 | 헤드 기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739752B2 (ko) |
EP (1) | EP1790394B1 (ko) |
KR (1) | KR101110060B1 (ko) |
CN (1) | CN1970120B (ko) |
AU (1) | AU2006233204B2 (ko) |
ES (1) | ES2317406T3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1169A (ko) | 2018-12-10 | 2020-06-19 |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어쿠션부가 구비된 헤드기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13533A1 (en) * | 2009-11-19 | 2011-05-19 | Manuel Guillen | Sports/swimming head protection device |
US20150089721A1 (en) * | 2013-09-30 | 2015-04-02 | Wadia M. Hanna | Helmet construction |
CN106669135A (zh) * | 2017-01-10 | 2017-05-17 | 成都体育学院 | 一种带受击信息感应装置的武术散打头部护具 |
CN107373853A (zh) * | 2017-07-20 | 2017-11-24 | 镇安县秦绿食品有限公司 | 冲浪防护帽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34271A (en) | 1974-11-27 | 1976-01-27 | Jhoon Rhee | Protective helmet |
US5911308A (en) | 1998-04-15 | 1999-06-15 | Chafitz; Steven R. | Sports safety mask |
US6056674A (en) * | 1998-04-17 | 2000-05-02 | Cook; Arnold J. | Method and apparatus for boxing |
JP2004321209A (ja) * | 2003-04-21 | 2004-11-18 | B Sports:Kk | 武道用具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69544A (en) | 1920-07-06 | 1921-10-06 | Harold Round | Improvements in head-coverings for aviators |
US1432471A (en) * | 1921-02-04 | 1922-10-17 | Lacrotte Nazaire | Protecting mask for boxing pupils |
US2458025A (en) * | 1946-02-01 | 1949-01-04 | Sport Products Inc | Boxer's headgear |
US3527461A (en) | 1968-11-22 | 1970-09-08 | Lloyd L Prater | Face and head protector |
US3768100A (en) | 1972-05-23 | 1973-10-30 | Us Army | Cold weather face mask |
US3992722A (en) * | 1974-11-27 | 1976-11-23 | Jhoon Goo Rhee | Protective helmet |
US4667343A (en) * | 1986-10-17 | 1987-05-26 | Bettis Brian K | Boxing glove cover |
US5038047A (en) * | 1990-03-19 | 1991-08-06 | Still Shirley S | Radiation shield hood for the head and neck |
US5177815A (en) * | 1990-04-09 | 1993-01-12 | Andujar Edward M | Protective headgear |
EP0825368A4 (en) * | 1995-04-28 | 2001-05-16 | Burlington Cons Ltd Inc | BODY PROTECTOR |
US5768715A (en) * | 1995-05-01 | 1998-06-23 | Gregg, Iii; Eugene Stuart | Padded head protector |
FR2809286B1 (fr) * | 2000-05-29 | 2002-08-16 | Gallet Sa | Perfectionnement pour casque de protection |
JP4116474B2 (ja) | 2003-03-06 | 2008-07-09 | 美津濃株式会社 | 格闘技用保護具 |
-
2006
- 2006-10-26 AU AU2006233204A patent/AU2006233204B2/en not_active Ceased
- 2006-11-06 US US11/556,996 patent/US773975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1-20 KR KR1020060114306A patent/KR1011100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1-22 CN CN2006101449403A patent/CN197012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1-23 ES ES06024334T patent/ES2317406T3/es active Active
- 2006-11-23 EP EP06024334A patent/EP1790394B1/en not_active Not-in-forc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34271A (en) | 1974-11-27 | 1976-01-27 | Jhoon Rhee | Protective helmet |
US5911308A (en) | 1998-04-15 | 1999-06-15 | Chafitz; Steven R. | Sports safety mask |
US6056674A (en) * | 1998-04-17 | 2000-05-02 | Cook; Arnold J. | Method and apparatus for boxing |
JP2004321209A (ja) * | 2003-04-21 | 2004-11-18 | B Sports:Kk | 武道用具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1169A (ko) | 2018-12-10 | 2020-06-19 |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어쿠션부가 구비된 헤드기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739752B2 (en) | 2010-06-22 |
EP1790394A1 (en) | 2007-05-30 |
KR20070055344A (ko) | 2007-05-30 |
US20070261152A1 (en) | 2007-11-15 |
AU2006233204B2 (en) | 2010-06-03 |
CN1970120A (zh) | 2007-05-30 |
ES2317406T3 (es) | 2009-04-16 |
EP1790394B1 (en) | 2009-01-14 |
CN1970120B (zh) | 2010-05-12 |
AU2006233204A1 (en) | 2007-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01751Y2 (ja) | 格闘技用安全防具 | |
EP3270724B1 (en) | Protective headgear for sports participants, especially baseball fielders | |
CA2767704C (en) | Protective headpiece | |
US8656520B2 (en) | Athletic helmet | |
US6000062A (en) | Protective headband for soccer players | |
US5101517A (en) | Sports helmet with transparent windows in the side walls | |
KR101110060B1 (ko) | 헤드 기어 | |
KR20000056994A (ko) | 2색 양면 호환 스파링 헤드기어 | |
US20060053521A1 (en) | Baseball catcher's mask | |
US11470905B2 (en) | Soft athletic helmet and rear closure mechanism | |
JP4366367B2 (ja) | ヘッドギャ | |
JP2004321209A (ja) | 武道用具 | |
US20120190481A1 (en) | Athletic training device | |
KR20210106237A (ko) | 안면보호와 호흡이 용이한 헤드기어 | |
CN212631677U (zh) | 一种新型防护头盔 | |
KR102399168B1 (ko) | 격투기용 보호대 | |
CN216986259U (zh) | 一种武术散打头部保护用具 | |
WO2004110571A2 (en) | Takraw padding | |
JP3001872B1 (ja) | 投手用ヘッドギア | |
CN116115986A (zh) | 一种头部辅助防护装置及护具 | |
JP3203321B2 (ja) | ウェットスーツ用フード | |
JPH0658975U (ja) | スポーツ用ヘッドギヤ | |
JP2003250948A (ja) | 競技用防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