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034B1 - 부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부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034B1
KR101110034B1 KR20100010020A KR20100010020A KR101110034B1 KR 101110034 B1 KR101110034 B1 KR 101110034B1 KR 20100010020 A KR20100010020 A KR 20100010020A KR 20100010020 A KR20100010020 A KR 20100010020A KR 101110034 B1 KR101110034 B1 KR 10111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opening
closing member
receiv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313A (ko
Inventor
유필상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to KR2010001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0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03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저장탱크로부터 하나씩 일정한 간격으로 배출되는 막대형 부품을 손상됨이 없이(예를 들어, 부품이 리드스크루(lead screw)인 경우, 이 리드스크루의 수나사가 손상됨이 없이) 수취하여 공급위치로 정확하게 운반하는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ork}
본 발명은 부품으로서 막대형(bar type)으로 형성된 것(반제품을 포함한다), 특히 리드스크루(lead screw)를 한 개씩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량생산방식에서, 리드스크루(도 9 참조)와 같이 막대형으로 형성된 부품에 대한 가공, 불량 평가 등을 행하는 경우, 자동화나 작업성 개선을 위해서는 부품을 하나씩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낱개 공급)하는 전용의 장치가 필요한데, 이전까지의 이와 같은 공급장치는 공급 불량, 공급과정에서의 부품 손상 등이 문제시되고는 하여 해결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리드스크루를 예로 들면, 여기에서 말하는 부품의 손상이라 함은 리드스크루의 외주에 마련된 수나사가 손상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리드스크루는 수나사가 손상되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정확히 전환할 수 없어 불량품으로 취급되므로 손상 없이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하고자 하는 위치에 막대형으로 형성된 부품을 손상됨이 없이 하나씩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막대형 부품이 나란하게 눕혀진 상태로 저장되고 하측에 이 저장된 부품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는 크기의 배출구가 마련된 부품저장탱크와; 이 부품저장탱크의 배출구를 여닫는 개폐기구와; 상기 배출구로부터의 부품을 공급위치로 운반하는 부품반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저장탱크는 기대의 받침판 위에 상기 배출구가 이 받침판과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받침판과 부품저장탱크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면이 상기 배출구에 대한 폐쇄면으로서 기능하는 한편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부품을 하나 수취할 수 있는 수취구를 가져 이 수취구가 상기 배출구와 일치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부재와; 이 개폐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수취구와 배출구를 일치시키거나 불일치시키는 개폐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재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취구가 상기 받침판의 상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받침판 상에서 벗어나 있도록 이동되며, 상기 부품반송기구는 상기 수취구가 상기 받침판 상에서 벗어나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취구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품저장탱크는 그 내부의 바닥이 저장된 부품의 길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경사면의 하단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는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부 크기를 이 내부에 저장된 부품의 길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절기구는 가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부에 부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세워진 조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는 상기 개폐부재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때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벽에 이 부품저장탱크에 저장된 부품을 밀착시키는 부품압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경사면에는 그 경사방향으로 기다란 출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횡 이동되어 상기 경사면의 하단 측 방향으로 횡 이동시키면 상기 수취구가 상기 받침판 상에서 벗어나며, 상기 부품압박기구는 상기 개폐부재에 이 개폐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경사면의 하단 측 방향으로 횡 이동시키면 상기 출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부에 진입되어 저장된 부품에 압박을 가하는 압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반송기구는, 상기 받침판의 하측에 상기 수취구로부터 부품이 낙하되는 낙하위치와 상기 공급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취구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수취홈을 가지는 반송핸드와; 상기 반송핸드를 이동시키는 핸드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송핸드는 상기 수취구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의 양단 부분을 지지하도록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이 갈라진 두 갈래에 각각 상기 수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의 공급 불량(예를 들어, 2개 이상이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공급되는 것) 및 공급과정에서 부품이 손상되어 불량품으로 취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2에 도시된 반송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과 관련하여 너비조절기구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6, 7은 도 2와 관련하여 개폐기구, 부품압박기구 및 부품반송기구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의 요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막대형 부품의 한 종류로서 일반적인 리드스크루(lead screw)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공급장치는 막대형 부품(이하, 부품이라 한다)을 공급하고자 하는 위치(이하, 공급위치라 한다)에 손상됨이 없이 한 개씩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으로, 부품으로는 횡단면이 다각형이나 원형, 또는 일정하지 않은 것일지라도 상관없이 공급대상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이 도 2의 B-B선 단면도로, 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는 기대(機臺)(110) 및 이 기대(110) 위에 설치된 부품저장탱크(120)를 포함한다. 도 2의 도면부호 5는 부품으로, 이하에서는 부품(5)에 대한 도면부호의 병기는 생략하기로 한다.
기대(110)는 평편한 직사각형의 받침판(111) 및 이 받침판(111)을 떠받쳐 설치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다리(112)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다리(112)의 하단 부분에는 이동성을 부여하는 바퀴가 설치될 수 있고, 이 바퀴는 로크수단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부품저장탱크(120)는 받침판(111) 위에 놓인다. 부품저장탱크(120)는 내부를 다량의 부품이 저장되는 부품저장공간(121)으로 한다. 부품저장탱크(120)의 하측에는 부품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부품이 일렬로 들어와서 하나씩 순서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122)가 마련되고, 이 배출통로(122)는 끝을 배출구(123)로 한다. 이러한 부품저장탱크(120)는 부품저장공간(121)의 둘레를 구성하는 벽체(124~127) 및 부품저장공간(121)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128)을 포함한다.
벽체(124~127)는 받침판(111)의 상면에 서로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세워진 앞판(124)과 뒤판(125) 및 이 앞판(124)과 뒤판(125)의 좌우 단부를 연결하는 좌측판(126)과 우측판(127)으로 구성되는바, 부품저장공간(121)을 위쪽에서 보았을 때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으로 한정한다. 이 때, 우측판(127)은 받침판(111)과의 사이에 이동통로(T1)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바닥판(128)은 좌우의 높이가 다른 경사면(128a) 및 우측판(127)과 대향하는 수직면(128b)으로 구성된다. 경사면(128a)은 좌측판(126)에 좌측이 연결되는데, 이 좌측판(126)에 연결된 경사면(128a)의 좌측은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 좌측에서 우측으로 내리막 경사진다. 수직면(128b)은 경사면(128a)의 하단(즉, 우측)에서 끝이 하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우측판(127)과의 사이에 배출통로(122)를 형성한다. 이 때, 경사면(128a)은 받침판(111)과의 사이에 이동통로(T2)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T2의 이동통로는 크기가 T1의 이동통로와 동일하다.
부품은 부품저장공간(121)에 양단이 각각 앞판(124)과 뒤판(125)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로 저장된다. 배출통로(122)는 이렇게 저장되어 서로 나란한 부품이 경사면(128a)에 의하여 그 내부로 들어와 이 내부의 길이를 따라 한 줄로 정렬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부품은 배출구(123)를 통하여 한 개씩 순서대로 배출된다.
제1실시예는 부품저장공간(121)의 너비(전후 폭)를 부품의 길이에 맞게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너비조절기구(130) 및 배출구(123)를 열고 닫는 개폐기구(140)를 더 포함한다.
너비조절기구(130)는 경사면(128a) 상에 부품저장공간(121)을 전후로 구획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 너비조절벽(131)을 포함하는데, 이 너비조절벽(131)은 전후가동수단(132)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부품저장공간(121)의 너비는 너비조절벽(131)을 이동시키면 변경된다. 전후가동수단(13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너비조절벽(131)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조작로드(133) 및 이 조작로드(133)에 의하여 너비조절벽(131)이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너비조절벽(131)의 운동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안내로드(134)를 포함한다.
조작로드(133)는 뒤판(125)에 관통된다. 이러한 조작로드(133)의 양단 중 너비조절벽(131)을 향하는 끝 부분은 베어링, 볼조인트 따위에 의하여 이 너비조절벽(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조작로드(133)의 양단 중 부품저장탱크(120)의 외부에 위치하는 끝 부분에는 사용자가 직접 잡고 조작하는 손잡이가 결합된다. 조작로드(133)의 둘레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뒤판(125)의 조작로드(133) 관통 부분에는 이 조작로드(133)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마련된다.
따라서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면, 조작로드(133)는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너비조절벽(131) 또한 조작로드(133)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부품저장공간(121)은 그 너비가 조절된다. 도 5는 이러한 조작과정에 의하여 부품저장공간(121)의 너비가 도 3의 상태에 비하여 작아지도록 조절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안내로드(134)는, 한쪽 끝 부분은 너비조절벽(131)에 결합되고, 반대쪽은 부싱 따위에 의하여 뒤판(12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된다.
개폐기구(140)는 배출구(123)를 여닫는 개폐부재(141)와 이 개폐부재(141)를 작동시키는 개폐부재 구동수단(143)을 포함한다.
개폐부재(141)는 가이드 등에 의하여 받침판(111)과 부품저장탱크(120) 사이에 좌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개폐부재(141)의 좌우 이동은 이동통로(T1,T2)에 삽입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개폐부재(141)의 우측부분에는 개폐부재(141)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취구(142)가 형성되는데, 이 수취구(142)는 배출구(123)와 일치하도록 위치된 때 이 배출구(123)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을 하나만 수취할 수 있는 크기(바람직하게는, 배출구(123)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된다. 개폐부재(141)는 좌우로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취구(142)가 배출구(123)와 불일치하는 때 상면에 의하여 배출구(123)를 폐쇄한다. 즉, 개폐부재(141)의 상면은 배출구(123)를 폐쇄하는 폐쇄면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살펴본 개폐부재(141)는 개폐부재 구동수단(143)에 의하여 그 수취구(142)가 배출구(123)의 직하에서 이 배출구(123)와 대향하거나 받침판(111)의 직상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된다. 이것에 따르면, 수취구(142)가 받침판(111) 상에 위치하도록 개폐부재(141)가 이동된 경우에는 수취구(142)의 하측개구가 받침판(111)에 의하여 폐쇄되나, 이와 반대로 수취구(142)가 받침판(111) 상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수취구(142)의 하측개구가 개방된다.
개폐부재 구동수단(143)은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실린더는 받침판(111) 상에 그 실린더 하우징이 장착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41)에는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다.
제1실시예는 배출구(123)가 개폐부재(121)에 의하여 폐쇄된 때 부품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부품을 부품저장탱크(120)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부품압박기구(150)를 더 포함하는데, 이 부품압박기구(150)는 바닥판(128)의 하측에서 바닥판(128)의 경사면(128a)을 통과하여 부품저장공간(121)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고, 경사면(128a)에는 이 압박부재가 이와 같이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도록 출입구멍(129)이 형성된다. 출입구멍(129)은 경사면(128a)의 경사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압박부재는 개폐부재(121)에 세워져 있도록 장착되어 이 개폐부재(121)와 마찬가지로 개폐부재 구동수단(143)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취구(142)가 받침판(111) 상으로부터 벗어나 있도록 개폐부재(12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출입구멍(129)을 통하여 부품저장공간(121)으로 진입한다. 이렇게 진입되는 압박부재는 부품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부품을 밀어서 우측판(127)에 밀착시킨다. 부품압박기구(150)는 우측판(127)에 대한 부품의 밀착 정도가 부품이 손상되지 않는 수준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이 같은 부품압박기구(150)를 구비하는 이유는 배출통로(122)의 최하측에 위치한 부품이 그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부품들의 자중에 의하여 배출구(123)를 폐쇄하는 개폐부재(141)와 강하게 접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배출통로(122)의 최하측에 위치한 부품에 다른 부품들이 가하게 되는 하중을 감소시켜 배출통로(122)의 최하측에 위치한 부품이 개폐부재(141)와 접촉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는 수취구(142)가 받침판(111) 상으로부터 벗어나서 수취구(142)의 하측개구가 개방됨에 따라 이 수취구(142)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을 수취하여 공급위치로 운반하는 부품반송기구(16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부품반송기구(160)는 가이드 따위에 의하여 받침판(111)의 하측에 수취구(142)로부터 부품이 낙하되는 낙하위치와 공급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반송핸드(161) 및 이 반송핸드(161)를 이동시키는 핸드구동수단(169)을 포함한다. 참고로, 반송핸드(161)의 이동방향은 공급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여기에서는 공급위치가 낙하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일정한 거리 이격된 것으로 적용하였다. 따라서 반송핸드(161)는 받침판(111)의 하측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4는 반송핸드(161)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핸드(161)는 수취구(142)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수취홈(162)을 가지는바, 핸드구동수단(169)에 의하여 이 수취홈(162)이 낙하위치와 대향하거나 공급위치에 있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반송핸드(161)는 끝(우측) 부분이 2갈래로 갈라진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끝 부분에 포크(164)가 마련되고, 이 포크(164)를 구성하는 두 단위포크의 상부에는 각각 수취홈(162)이 형성된다.
핸드구동수단(169)으로는 개폐부재 구동수단(143)과 마찬가지로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타입을 적용하였다. 핸드구동수단(169)을 구성하는 실린더는 그 실린더 하우징이 받침판(111)의 하측에 설치되고 그 피스톤 로드가 반송핸드(161)에 연결된다.
다음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본다.
개폐부재(141)는 개폐부재 구동수단(143)에 의하여 그 수취구(142)가 배출구(123)와 일치하여 이 배출구(123)와 수취구(142)가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이에 따라 부품압박기구(150)는 압박부재가 부품저장공간(121)으로부터 빠져나와서 바닥판(128)의 하측에 위치된다. 반송핸드(161)는 핸드구동수단(169)에 의하여 수취홈(162)이 부품 낙하위치의 하측에 이 낙하위치와 대향하도록 위치된다.(도 2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부품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부품은 개폐부재(141)의 수취구(142)가 배출구(123)와 일치하여 배출구(123)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 개방된 배출구(123)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 배출된 부품은 받침판(111)이 수취구(142)의 하측개구를 차폐하고 있으므로 이 하측개구가 폐쇄된 수취구(142)에 수용된다. 이 때, 수취구(142)는 부품이 하나만 수취되는 크기를 가지므로, 배출통로(122)에 위치한 부품은 배출구(123)로부터 더 이상 배출되지 못한다.
다음, 개폐부재 구동수단(143)을 작동시키면, 개폐부재(141)는 우측방향으로 이동, 수취구(412)가 받침판(111) 상으로부터 벗어나 낙하위치에 있도록 위치되고, 부품압박기구(150)의 압박부재는 출입구멍(129)을 통하여 부품저장공간(121)에 진입되어 이 부품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부품에 압박을 가한다.(도 6 참조)
이 과정에서, 개폐부재(141)와 관련하여 보면, 배출구(123)는 폐쇄면인 개폐부재(141)의 상면에 의하여 폐쇄되고, 수취구(142)에 수용된 부품은 개폐부재(141)를 따라 이동되며, 받침판(111)에 의하여 폐쇄되었던 수취구(142)의 하측개구는 수취구(142)가 받침판(111) 상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개방되고, 수취구(142)에 수용되었던 부품은 수취구(142)로부터 낙하된다. 이 때, 반송핸드(161)는 이 낙하된 부품을 그 수취홈(162)에 의하여 수취하는바, 수취홈(162)이 포크(164)의 두 단위포크에 마련되어 부품의 양단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수취홈(162)에 의한 부품 수취과정에서 부품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즉, 부품에서, 주요부는 대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바, 이 주요부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
압박부재 관련하여 보면, 부품저장공간(121)에 진입된 압박부재는 이 부품저장공간(121)에 저장된 부품을 우측판(127)에 밀착시켜 위쪽에 위치한 부품들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부품에 가하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배출통로(122)의 최하측에 위치한 부품이 개폐부재(141)와 접촉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핸드구동수단(169)을 작동시키면, 반송핸드(161)는 공급위치를 향하여 우측으로 이동, 공급위치에 부품을 공급한다.(도 7 참조)
한편, 설명한 바도 없고 도면에 도시하지도 않았으나, 수취구(142)와 수취홈(162)에는 수취되는 부품과의 간섭에 의하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품과 간섭되는 부분에 얇은 완충패드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부품저장탱크(120)에는 부품저장탱크(120), 특히 그 중에서도 바닥판(128)에 미세한 진동을 가하여 부품의 배출을 보조하는 바이브레이터가 장착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의 요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공급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반송핸드(161A) 및 그 주변 구성만이 다소 상이한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송핸드(161A)는 부품의 길이에 맞게 두 수취홈(162A)의 전후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반송핸드(161A)의 포크(164A) 중 후방의 단위포크(166A)는 핸드 본체(163A)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전방의 단위포크(165A)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된다. 이를 위하여, 핸드 본체(163A)에는 슬라이드 결합홈(167A)이 마련될 수 있고, 후방의 단위포크(166A)에는 이 결합홈(167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돌기(168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후방의 단위포크(166A)가 전방의 단위포크(165A)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면에도 이렇게 작동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두 수취홈(162A)의 전후간격 조절은 전방의 단위포크(165A)가 후방의 단위포크(166A)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전방의 단위포크(165A)와 후방의 단위포크(166A)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110 : 기대 111 : 받침판
120 : 부품저장탱크 123 : 배출구
128a : 경사면 129 : 출입구멍
130 : 너비조절기구 131 : 너비조절벽
132 : 전후가동수단 140 : 개폐기구
141 : 개폐부재 142 : 수취구
143 : 개폐부재 구동수단 150 : 부품압박기구
160 : 부품반송기구 161, 161A : 반송핸드
162, 162A : 수취홈 169 : 핸드구동수단

Claims (8)

  1. 내부에 막대형 부품이 나란하게 눕혀진 상태로 저장되고, 하측에 이 저장된 부품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는 크기의 배출구가 마련된 부품저장탱크와; 이 부품저장탱크의 배출구를 여닫는 개폐기구와; 상기 배출구로부터의 부품을 공급위치로 운반하는 부품반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저장탱크는 기대의 받침판 위에 상기 배출구가 이 받침판과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받침판과 부품저장탱크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면이 상기 배출구에 대한 폐쇄면으로서 기능하는 한편,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부품을 하나 수취할 수 있는 수취구를 가져 이 수취구가 상기 배출구와 일치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부재와; 이 개폐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수취구와 배출구를 일치시키거나 불일치시키는 개폐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재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취구가 상기 받침판의 상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받침판 상에서 벗어나 있도록 이동되며,
    상기 부품반송기구는 상기 수취구가 상기 받침판 상에서 벗어나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취구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저장탱크는 그 내부의 바닥이 저장된 부품의 길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경사면의 하단 측에 위치된 부품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부 크기를 저장된 부품의 길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기구를 더 포함하는 부품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는 가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부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세워진 조절벽을 포함하는 부품공급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때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벽에, 저장된 부품을 밀착시키는 부품압박기구를 더 포함하는 부품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는 그 경사방향으로 긴 출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횡 이동되어 상기 경사면의 하단 측 방향으로 횡 이동시키면 상기 수취구가 상기 받침판 상에서 벗어나며,
    상기 부품압박기구는 상기 개폐부재에 이 개폐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경사면의 하단 측 방향으로 횡 이동시키면 상기 출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부품저장탱크의 내부에 진입되어 저장된 부품에 압박을 가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부품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반송기구는,
    상기 받침판의 하측에, 상기 수취구로부터 부품이 낙하되는 낙하위치와 상기 공급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취구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수취홈을 가지는 반송핸드와;
    상기 반송핸드를 이동시키는 핸드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부품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송핸드는 상기 수취구로부터 낙하되는 부품의 양쪽 끝 부분을 지지하도록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이 갈라진 두 갈래에 각각 상기 수취홈이 형성된 부품공급장치.
KR20100010020A 2010-02-03 2010-02-03 부품공급장치 KR10111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0020A KR101110034B1 (ko) 2010-02-03 2010-02-03 부품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0020A KR101110034B1 (ko) 2010-02-03 2010-02-03 부품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13A KR20110090313A (ko) 2011-08-10
KR101110034B1 true KR101110034B1 (ko) 2012-02-29

Family

ID=4492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0020A KR101110034B1 (ko) 2010-02-03 2010-02-03 부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059B1 (ko) * 2016-05-24 2017-06-12 주식회사 에스엠지티 피스톤 핀 자동 분리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22U (ko) * 1989-06-05 1991-01-16
JPH0586402U (ja) * 1992-04-28 1993-11-22 村田機械株式会社 丸棒の貯留供給装置
JPH07112827A (ja) * 1993-10-15 1995-05-02 Shimpo Ind Co Ltd 材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22U (ko) * 1989-06-05 1991-01-16
JPH0586402U (ja) * 1992-04-28 1993-11-22 村田機械株式会社 丸棒の貯留供給装置
JPH07112827A (ja) * 1993-10-15 1995-05-02 Shimpo Ind Co Ltd 材料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059B1 (ko) * 2016-05-24 2017-06-12 주식회사 에스엠지티 피스톤 핀 자동 분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13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652B2 (en) Processing station for a processing line having a module platform and withdrawable modul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dule platform
CN104334315B (zh) 机床及加工方法
CN203125100U (zh) 锁螺丝装置
KR101422416B1 (ko) 부품 공급 장치
WO2018130112A1 (zh) 递送装置及其控制装置和自助设备
KR20140121535A (ko) 힌지핀 코킹장치
CN112041130B (zh) 臂型助力装置
KR101110034B1 (ko) 부품공급장치
US4182030A (en) Apparatus for feeding and crimping electrical contacts
SK9695A3 (en) Device for fastening bolt-shaped elements
CN115106775B (zh) 阀体单元及其对应的截止阀组装机
KR101113298B1 (ko) 인서트 사출을 위한 인서트부재 자동 공급장치
KR101183873B1 (ko) 부품회전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전검사기
KR102347570B1 (ko) 부품 자동 슈팅 공급시스템
CN107695274B (zh) 铆接机
KR100965495B1 (ko)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CN210849132U (zh) 一种用于鼻腔喷雾泵的装配检测设备
KR101889493B1 (ko) 리니어 부싱 제조기계의 볼 투입장치
US3266667A (en) Article-feeding apparatus having article trackways with varying clearances
CN108284563B (zh) 电表壳注塑加工系统
CN104624511A (zh) 球轴承自动装配机
KR101488501B1 (ko)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KR101650911B1 (ko) 소재 자동 분배 공급장치
CN104400373B (zh) 一种气动楔块导向式球形物料输送装置
CN110120122B (zh) 自动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