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83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837B1
KR101109837B1 KR1020060116166A KR20060116166A KR101109837B1 KR 101109837 B1 KR101109837 B1 KR 101109837B1 KR 1020060116166 A KR1020060116166 A KR 1020060116166A KR 20060116166 A KR20060116166 A KR 20060116166A KR 101109837 B1 KR101109837 B1 KR 10110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onnecting device
rail groove
connecto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65A (ko
Inventor
히로유키 마츠모토
사토시 가네코
마사요시 고쿠쇼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와 소켓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고 커플링 링을 회전함으로써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분리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러그(1)는, 외통(11)의 내주가 한 쌍의 돌기(11a, 11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돌기(11a, 11b)가 이들 사이의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소켓(2)은 축방향으로 한 쌍의 제1 탄성편(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돌기(11a)와 제1 탄성편(2a) 사이의 맞물림은 플러그(1)와 소켓(2) 사이의 접속을 제공한다. 소켓(2)은 레일 홈(2a)을 포함하고, 외통(11)이 회전될 때, 소켓(2)에서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돌기(11a)는 플러그(1)를 이동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커텍터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에 접속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로부터 이간되는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로부터 분리되는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충전기측 플러그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축전지측 소켓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접속장치(플러그) 2 : 제2 접속장치(소켓)
11 : 외통 11a, 11b : 돌기
12 : 제1 하우징 13 : 제1 단자 그룹
21 : 접속단 21a, 21b : 레일 홈
211 : 제1 직선 레일 홈 22 : 제2 하우징
23 : 제2 단자 그룹
본 발명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 동시에 원형 맞물림부를 갖는 둥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둥근 커넥터는, 제1 접속장치가 소켓(receptacle)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접속장치가 플러그(plug)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공지된 둥근 커넥터 중 하나는, 예컨대, 외통(이른바 커플링 링)을 회전시켜 맞물림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한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이다. 소켓은, 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male-thread)와, 플러그의 외주에 부착되고 이 수나사에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를 형성한 회전 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켓과 플러그를 대향시키면서 회전 링을 회전시키면, 수나사와 암나사가 맞물리게 되어 소켓이 플 러그에 근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켓과 플러그 사이의 전기적?기계적 접속을 제공한다. 회전 링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소켓은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이반되어, 이에 따라 전기적?기계적 접속을 해제한다.
나사에 의한 접속을 제공하는 회전 가이드를 갖는 상술한 커넥터는 회전 링을 회전함으로써 접속 및 분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커넥터는 회전 링의 회전만으로 사용자에게 접속 상태를 충분하게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불충분한 접속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일본국 특개평6-30235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는 전기 접속 상태를 명료하게 도시하고 불충분한 접속 상태의 발생을 억제하는,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는, 외통을 회전시킴으로써 위치결정 돌기와 가이드 홈 사이의 맞물림을 제공하여 충전기측 플러그를, 축전지측 소켓에 인접시키면서 복수의 홈과 플런저 기구에 의해 외통과 내통을 소정 위치 관계로 잠금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이 위치 결정 관계는 플러그와 소켓에서 전원단자와 신호단자 사이의 접속 상태에 대응하는 잠금 위치를 제공하므로, 외부로부터 본 회전 상태에 의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충전기측 플러그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본원의 도 12는 특허문헌 1의 도 1에 대응한다. 도 13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축전지측 소켓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본원의 도 13은 특허문헌 1의 도 2에 대응한다.
도 12에서, 충전기측 플러그(80)는, 원주형 내통(81)의 외주에는 원통형상의 외통(82)이 회전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통(81)은, 일 단부측 개구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81a, 81b)와 충전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단자(82a, 82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80)는, 전원단자(81a, 81b)가 신호단자(82a, 82b)보다 약간 길게 설치되어 있다. 내통(81)의 타단 내부에는 전원단자(81a, 81b)와 신호단자(82a, 82b)를 접속하면서 전선이 연장하고 있다.
전선이 연장하는 내통(81)의 후단부에는 그립부(83)를 구성한다. 그립부(83)를 포함하는 내통(81)의 외주에는 축선방향으로 배열된 세 개의 원형 홈(84a 내지 84c)을 포함한다. 내통(81)의 전단부의 주위에 외통(82)이 설치되고 있다. 이 전단측의 내주면에는, 일단을 해당 외통(82)의 전단으로 개방하는 나선형 가이드 홈(821)을 형성한다. 이 가이드 홈(821)은 대략 90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이 90도의 피치(pitch)는 커넥터의 상호 단속(斷續)에 필요한 길이가 된다.
외통(82)의 후단은 외부로 돌출하는 핑거부(823)를 포함한다. 핑거부(823)의 내부에는 플런저 기구(822)를 포함한다. 플런저 기구(822)는 핑거부(823)에 직경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주면에 연통하는 튜브부와; 이 튜브부에 저장된 볼과; 튜브부에 설치된 볼을 내주면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하 스프링이라 함)으로 구성된다. 볼은 튜브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볼을 홈(84a 내지 84c)에 잠금하도록 하는 직경을 갖는다.
외통(82)의 중간에는, 하면의 반원부에 홈 형상 스프링 레일 홈(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레일 홈 내부에는 스프링을 수용한다. 스프링의 일단은 나사를 통해 스프링 레일 홈의 일단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나사를 통해 내통(81)의 최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내통(81)측은 약 90도 정도의 범위에 형성된 회전 조절 홈(도시생략)을 포함하고, 이에 대해 외통(82)은 회전 조절 홈에 삽입된 팁 단부(tip end)를 갖는 회전 억제 핀(826)을 포함한다. 회전 억제 핀(826)은 회전 조절 홈에서 회전가능한 범위 내에서 스프링 레일 홈의 스프링이 90도의 범위에서 연장 및 후퇴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13에서, 축전지측 소켓(90)은, 평판 형상 새들(91)과, 이 새들(91)로부터 돌출하는 단자부(92)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부(92)의 개구는 전원단자(81a, 81b)와 신호단자(82a, 82b)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원단자(91a, 91b)와 신호단자(92a, 92b)를 포함한다(도 9 참조). 전원단자(91a, 91b)가 신호단자(92a, 92b)보다 약간 길게 이루어지도록 소켓(90)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부(9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원통형 후드부(93)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93)는 전원단자(91a, 91b)와 신호단자(92a, 92b)를 에워싸고 내통(910)에 대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돌출한다. 후드부(93)의 상부측에는, 가이드 홈(821)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결정 돌기(921)가 형성되어 있다. 새들(91)의 상부측에는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고 후드부(93)의 개구를 보호하는 방수 캡(95)이 부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는,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부착되고 전후방향으로 커플링 링을 회전함으로써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 다. 플러그와 소켓은 종래 회전 동작보다 용이하고 간편한 접속을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맞물리도록(또는 접속되도록)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놓여질 수 있다. 예컨대, 이 구조는 또한 플러그가 소켓에 올바르게 접속되는지 여부를 맞물림하는 동안 클릭 느낌(click feeling)에 의해 확인되는지를 하나로서 고려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이반하도록 플러그와 소켓을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커플링 링의 회전이 추종되는 구조는, 상호 신호단자가 맞물림 해제된 후 그리고 상호 전원단자가 맞물림 해제되기 전에, 전원을 OFF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상호 전원단자가 맞물림 해제될 때,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단자의 악화를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 의해, 플러그와 소켓이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서로 접속되고 커플링 링이 회전되어 플러그와 소켓을 이반하도록 이동하는 회전 가이드를 갖는 이런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가이드를 갖는 이런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와 소켓이 축방향으로 서로 근접 이동될 수 있고 커플링 링을 회전함으로써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분리되는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제1 접속장치에 커플링 링의 내주에 돌기를 포함하고 제2 접속장치에 이들 사이의 맞물림을 제공하는 돌기가 축방 향으로 삽입되는 작살(lance)을 포함한다. 제2 접속장치는, 커플링 링이 회전될 때, 플러그가 소켓에서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돌기가 플러그를 이동하는 레일 홈을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자는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회전 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가 서로에 대해서 탈부착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장치는, 원통형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대략 원주형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유지되고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저장되는 제1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장치는,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대략 원통형의 접속단을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접속단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단자 그룹에 접속되는 제2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은, 상기 외통의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접속단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직선 레일 홈을 포함하는 돌기 안내용 레일 홈을 포함하는 접속단의 외주와, 상기 돌기를 잠금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피침형상의 제1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장치가 상기 제2 접속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는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접속하기 위해 제1 탄성편에 잠금되며, 상기 제1 접속장치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접속장치로부터 후퇴될 때, 상기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는 서로 맞물림 해제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제1 접속장치는 원통형 외통과 대략 원주형의 제1 하우징과 제1 단자 그룹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은 외통의 내주에 회전가능하 게 유지된다. 제1 단자 그룹은 제1 하우징에 유지되고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저장되어 있다. 제2 접속장치는 제2 하우징과 제2 단자 그룹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은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대략 원통형의 접속단을 갖는다. 제2 단자 그룹은 접속단에 저장된다. 제2 단자 그룹은 제1 단자 그룹에 접속되어 있다. 이처럼,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는 상호 탈부착가능하다.
제1 접속장치는 플러그가 될 수 있고 제2 접속장치는 소켓이 될 수 있다.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이동가능한 부분이고 케이블 또는 분리가능한 서브어셈블리에 부착된다. 한편, 소켓은 일반적으로 패널, 보드,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고정측이다. 소켓은 패널 부착형 커넥터로 불리운다.
다극성 플러그는 암형 접점에 일반적으로 삽입된다. 예컨대, 암형 접점은 수형 접점을 수용하고 그 내면이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접점으로 정의된다. 암형 접점은 핀 접점에 이음된 소켓 접점(socket contact)과 예컨대 탭 접점에 이음된 소켓 접점으로 분류된다. 한편, 다극성 소켓은 일반적으로 수형 접점에 삽입된다. 예컨대, 수형 접점은 그 외면이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암형 접점에 삽입되는 접점으로 분류된다. 수형 접점은 핀 접점, 포스트(post) 접점, 및 탭(tab) 접점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암형 접점에 삽입된 커넥터는 플러그로서 기능할 수 없고 수형 접점에 삽입된 커넥터는 소켓으로 기능할 수 없다. 예컨대, 플러그는 또한 수형 접점으로 삽입될 수 있고 소켓은 또한 암형 접점으로 삽입될 수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전원단자(접점)와 신호단자(접점)를 포함한다. 이들 전원단자와 신호단자는, 일측이 암형 접점으로 기능하는 반면 타측이 수형 접점으로 기능하고 암형측 또는 수형측이 확인될 수 없는 플레이트 형상 접점이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와 소켓 사이의 접속이 달성된다. 여기서, "접속"이라 함은 기계적?전기적 접속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접속장치는 예컨대 전선에 접속된 둥근 다극성 커넥터일 수 있고 대략 원주형의 제1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2 접속장치는 예컨대 (새시(chassi)를 포함하는) 패널에 부착된 둥근 다극성 커넥터일 수 있고 대략 원통형의 접속단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및 제2 하우징은 절연특성을 가질 수 있고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절연하우징은 소망하는 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재료를 모울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동일한 절연재료 또는 다른 절연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외통은 전도성 금속 또는 비전도성 절연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원통형 외통은 합성수지재료를 모울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경량의 제1 접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외통은 작은 비중을 갖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고 외통은 제1 하우징과 동일한 합성수지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외통의 재료는 제1 하우징과 동일한 절연재료에 제한하지 않는다.
외통의 내주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제1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외통의 내주에 이동가능하지 않게 유지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하우징은 또한 이른바 영구 셋팅(permanet setting)에 의해 외통에 설정될 수 있다. "회전" 또는 "선회"라 함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원형운동을 유발하는 동작을 의 미한다. 제1 하우징이 고정측이고 외통이 회전측이라 가정하면, 외통은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과 맞물리는 위치에서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회전된다. 예컨대, 외통이 소정 각도 이상의 각도로 제1 하우징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의 외주와 외통의 내주는, 외통의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스텝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의 삽입과 후퇴에 사용되는 원통형 외통은 커플링 링으로 불리운다.
예컨대, 외통의 일단은 원형 개구를 갖고 제1 단자 그룹은 이 원형 개구를 갖는 원통형 개구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단자 그룹은 저장된다"라 함은 예컨대 삽입, 유지, 또는 저장에 의해 제1 하우징에 포함되고 제1 단자 그룹의 일단(즉, 제2 단자 그룹에 접속된 부분)이 외통의 공간에 설치된다.
제2 하우징은, 접속단의 외경이 외통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접속단이 예컨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외통에 맞물리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단은 외통의 일단에 삽입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다.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접속단은 접속단의 외주가 레일 홈(이하에 기술함)을 포함하고 레일 홈 이외의 접속단의 외주가 외통의 내주에 미끄럼 이동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접속단의 일단은 개구를 갖고 접속단은 돌출하는 방식으로 제2 단자 그룹의 일부를 내부에 저장한다. 접속단이 패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예컨대, 접속단의 타단은 평판 형상 새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외통이 외통의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속단의 외주는 돌기를 안내하는 레일 홈을 포함한다. 레일 홈은 접속단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직선 레일 홈을 포함한다.
예컨대, 돌기는 원주형상을 갖도록 돌출하는 외통의 일단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사각형 극성 형상을 갖도록 외통의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습니다. 돌기는 외통의 축방향 중심으로 돌출한다. 하나의 돌기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이후에 설명함), 또는 세 개 이상의 돌기는 또한 둘레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돌기가 선회력을 양호한 균형으로 외통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돌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세 개 이상의 돌기는 제2 하우징의 외경에 의존한다. 그러나, 공간적 제약이 발생될 수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레일 홈은 접속단의 단부면의 대향측에서 접속단의 단부면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직선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과 제2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고 접속단의 단부면의 대향측에서 접속단의 단부면까지 연장하는 나선형 홈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일 홈을 포함하는 접속단은 곡선 또는 직선 접촉면을 갖는 캠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돌기가 돌출하는 외통은 캠의 곡선면을 구비한 접점을 갖는 캠 종동부로 고려될 수 있다. 접속단과 외통은 캠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접속단과 외통은 또한 3차원 캠을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3차원 캠은 홈이 캠 축선에 중심을 갖는 회전체의 표면에 곡선을 따라 설치되고 이 홈에 의해 안내된 캠 종동부가 특정 이동을 가질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캠은 회전체가 원통형상을 갖는 이른바 원통형 캠으로 분류된다.
예컨대, 레일 홈은 정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정사각 홈 가이드의 양 측벽은 돌기의 외주를 안내한다. 돌기의 팁 단부는 예컨대, 레일 홈의 바닥면과 인접하면서 미끄럼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돌기의 팁 단부와 레일 홈의 바닥면은 이들 사이에 미세한 갭을 가질 수 있다. (이후에 설명하는) 제1 및 제2 탄성편과 미세한 돌기는 예컨대 레일 홈의 바닥면에서 소정 위치에 제공된다.
예컨대, 돌기는, 커넥터가 이음될 때 한 쌍의 커넥터를 안내하기 위해서 키이 홈과 맞물리는 키이로서 또한 기능한다. 제1 직선 레일 홈은 오삽입을 방지하고 극성을 제공하는 키이 홈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제1 접속장치는 돌기와 제1 직선 레일 홈을 위치 결정함으로써 제2 접속장치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돌기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제1 탄성편을 지나갈 때까지, 제1 직선 레일 홈에 삽입된 돌기는 제1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으로 복구할 수 있다. 특히, 제1 접속장치는 제2 접속장치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돌기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돌기는 나선형 홈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단의 단부면의 대향측에서 접속단의 단부면까지 연장하는 나선형 홈은, 외통을 고정측으로 보면서 외통이 접속단의 단부면의 대향측으로부터 볼 때 접속단의 외주에 외측 나선 암나사(소위 우선선회 나사)가 형성되므로 나선형 홈이 시계방향으로 전진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변형예로, 나선형 홈은, 접속단( 즉, 제2 접속장치)이 고정측이라 가정하고 외통을 개구의 대향측으로부터 볼 때, 외통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나선형 홈은 접속단의 외주에 형성되므로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는 나선형 운동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통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돌기는 나선형 홈에 의해 안내되고 제1 접속장치는 제2 접속장치로부터 이반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는 나선형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수 있다. 돌기가 나선형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까지 돌기는 나선형 홈의 시작점으로 또한 복귀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돌기가 나선형 홈의 종료점(즉, 제2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에 도달할 때, 제1 접속장치는 축방향에 평행한 제2 접속장치로부터 잡아 당겨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돌기를 잠금하기 위해서,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피침 형상(lancet-shaped)의 제1 탄성편을 포함한다.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에 삽입될 때, 돌기는 제1 탄성편에 잠금되고 제1 접속장치는 제2 접속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로 회전되고 후퇴될 때, 제1 접속장치 및 제2 접속장치는 서로 맞물림 해제된다.
예컨대, 제1 탄성편은 제1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에서 종료점까지 돌출하는 슬로프를 포함한다. 이 슬로프는 제1 직선 레일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속하고, 이 슬로프의 팁 단부는 돌기를 잠금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돌기가 제1 탄성편에 인접될 때, 제1 탄성편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편향한다. 돌기가 제1 탄성편을 건너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제1 탄성편은 복귀하고 돌기는 피침형상 의 제1 탄성편에 잠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침 형상의 탄성편은 또한 작살로 불리울 수 있다. 이처럼, 돌기의 역행이 방지될 수 있다.
돌기는 멈춤쇠(detent)로서 고려될 수 있다. (오목형상을 갖는) 제1 탄성편의 후자부에 설치된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은 만입부로 고려될 수도 있다. 이들 멈춤쇠와 만입부는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와 소켓 사이의 올바른 이음 관계가 유지된다.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로 회전되고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후퇴될 때,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는 상호 맞물림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근접 이동함으로써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가 서로 맞물림(또는 접속)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회전 동작에 의한 종래 구조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접속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돌기가 제1 탄성편을 지나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제1 탄성편의 복귀에 의해 클릭음 또는 클릭 느낌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클릭음 또는 클릭 느낌은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에 올바르게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외통의 회전 이후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서로 이반하도록 이동하여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서로에 대해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단자 그룹에 포함된 상호 신호단자가 맞물림 해제된 후 그리고 제1 및 제2 단자 그룹에 포함된 상호 신호단 자가 맞물림 해제되기 이전에, 전원을 OFF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상호 전원단자가 맞물림 해제될 때,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원단자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제1 접속장치 또는 제2 접속장치는 상호 신호 단자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하드웨어 스위치 또는 소프트웨어 스위치가 전원단자에 공급된 전원을 OFF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므로, 소위 자동 전원 차단 동작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서, 상호 신호 단자는 외통의 회전 도중에 분리되고 자동 전원 차단 동작에 필요한 시간은 상호 전원단자를 차단하기 위한 수동 동작에 필요한 시간보다 상당히 짧아진다. 따라서, 상호 전원단자 사이에 기계적 접속이 차단되기 이전에 전원은 OFF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가 서로에 대해서 탈부착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장치는, 원통형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대략 원주형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유지되고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저장되는 제1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장치는,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대략 원통형의 접속단을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접속단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단자 그룹에 접속되는 제2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은, 상기 외통의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접속단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직선 레일 홈을 포함하는 돌기 안내용 레일 홈을 포함하는 접속단의 외주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돌기를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장치가 상기 제2 접속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는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접속하기 위해 쐐기형 릿지부에 잠금되며, 상기 제1 접속장치가 상기 제2 접속장치로 회전되고 후퇴될 때, 상기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는 서로 맞물림 해제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외통의 일단의 내벽에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갖지만,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외통의 일단의 내벽에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갖는 점에서 제2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커넥터 사이의 다른 차이점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돌기를 잠금하기 위한 피침형상의 제1 탄성편을 포함하지만, 제2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돌기를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를 포함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외통의 내벽에 고정된 돌기를 구성하는 멈춤쇠이지만,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외통의 내벽에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만입부로 생각될 수 있다. 다른 차이점으로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제1 탄성편의 후자부에 설치된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이 만입부를 이루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제1 직선 레일 홈에서 돌출하는 쐐기형 릿지부의 후자부에 설치된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 이 만입부를 구성하는 쐐기형상의 구성을 갖는 점에서 상이하다고 생각될 수 있다. 멈춤쇠와 만입부는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예컨대, 외통의 일단의 내벽은 외통의 개구의 대향측으로부터 중심 축방향으로 개구까지 경사져 있는 설편(tongue piece)을 포함한다. 설편의 베이스 단부는 외통의 일단에서 내벽에 의해 캔틸레버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설편의 팁 단부는 돌기를 각각 포함한다.
예컨대, 쐐기형 릿지부는 제1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에서 종료점까지 돌출하는 슬로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슬로프는 제1 직선 레일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속하고 슬로프의 팁 단부는 돌기에 잠금되도록 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돌기가 쐐기형 릿지부에 인접될 때, 설편의 쌍이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편향한다. 돌기가 쐐기형 릿지부를 건너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설편은 복귀하고 돌기는 쐐기형 릿지부의 스텝에 잠금된다. 설편은 또한 작살로 불리운다. 이처럼, 돌기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돌기를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를 포함한다.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에 삽입될 때, 돌기는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에 잠금되고, 이에 따라서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 사이에 접속을 제공한다.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로 회전되고 제1 접속장치가 제2 접속장치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을 따라 후퇴될 때,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는 서로 맞물림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커 넥터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은 상기 접속단의 단면의 대향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의 단면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직선 레일 홈과,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과 제2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고 상기 접속단의 단면의 대향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의 단면까지 연장하는 나선형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나선형 홈의 시작점 부근에 미세한 돌기가 설치된다. 이 미세한 돌기는, 돌기가 제1 직선형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나선형 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미세한 돌기는 나선형 홈의 바닥면에 둑을 제공하기 위해서 반-원주 또는 산맥 형상을 갖도록 돌출한다. 예컨대, 돌기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외통이 선회력을 수납하지 못하는 동안 외통(돌기)은 미세한 돌기에 의해 정지하게 되어,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 사이의 이음 상태를 유지한다. 돌기가 미세한 돌기를 지나도록 강력한 힘으로 외통을 회전함으로써, 돌기는 나선형 홈으로 이동되므로, 제1 접속장치를 제2 접속장치로부터 이반시키도록 분리 이동을 시작한다. 나선형 홈의 시작점과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은 동일 부분에 놓여질 수 있고 돌기의 직선운동은 나선형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통이 선회력을 수납하지 못하는 동안 나선형 홈의 시작점 부근에 설치된 미세한 돌기의 존재는,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 사이의 접합 상태를 유지한다. 이 미세한 돌기의 존재는 또한 외통의 회전이 시작될 때 강력한 토크가 느껴지고 돌기가 미세한 돌기를 지나갈 때 토크의 감소가 느껴짐에 따 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 형태 또는 제4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피침형상의 제2 탄성편은 나선형 홈의 종료점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제2 탄성편은, 돌기가 제2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에 도달할 때, 돌기가 나선형 홈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제2 탄성편은 나선형 홈의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까지 돌출하는 슬로프를 포함한다. 이 슬로프는 나선형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속하고 슬로프의 팁 단부 이후 부분은 돌기를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포함한다. 돌기가 제2 탄성편에 인접될 때, 제2 탄성편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편향한다. 돌기가 제2 탄성편을 지나가 제2 직선형 레일 홈의 시작점에 도달할 때, 돌기가 나선형 홈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탄성편은 복귀한다. 제2 탄성편은 또한 작살로 불리울 수 있다. 나선형 홈의 종료점과 제2 직선형 레일 홈의 시작점이 같은 부분이고 돌기의 나선형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 형태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장치는, 일단이 외통의 타단에 잠금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에 잠금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직선 레일 홈을 향해 회전되도록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은 나선형 홈에 맞물리는 돌기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외통이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의 맞물림 해제 도중에(즉, 돌기의 쌍과 나선형 홈의 쌍의 맞물림 도중에) 느슨하게 완화될 때,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은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이음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커넥터가 제공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은 또한 외통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압축 코일 스프링,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 또는 등간격으로 둘레에 설치된 세 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이 양호한 균형으로 선회력을 외통에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 형태 내지 제6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에서, 상기 제1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1 전원단자와 제1 신호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2 전원단자와 제2 신호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단자는, 이들 사이의 접속이 순차적인 방식으로 해제되도록 배열되고, 나선형 홈에서 돌기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단자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 사이의 접속이 유지되며, 제2 직선 레일 홈에서 돌기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다.
제7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1 전원단자와 제1 신호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2 전원단자와 제2 신호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단자는, 이들 사이의 접속이 순차적인 방식으로 해제되도록 배열된다.
제1 및 제2 전원단자는 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접점일 수 있다. 전원은 제1 및 제2 전원단자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전원은 배터리에 의한 직류전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신호단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자(접점)일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제1 및 제2 신호단자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전기적 신호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전원과 전기적 신호와 같은 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커넥터는 하이브리드 커넥터(Hybrid Connector)라 불리운다.
예컨대, 제1 하우징의 일부는 돌출하는 방식으로 외통에 설치된 접점 공동을 갖는 복수의 사각 극성편을 포함한다. 이 사각 극성편은 예컨대 튜닝-포크 형상 접점(또한 포크형상 접점이라 불리움)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원단자를 내부에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전원단자는 전선에 주름잡혀진 크림프 접점일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의 일부는 사각 극성편에 맞물리고 개구에 설치된 복수의 관상편(tubular piece)을 포함한다. 관상편은 예컨대 핀 접점의 제2 전원단자를 내부에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전원단자는 전선에 주름잡혀진 크림프 접점일 수 있다. 이처럼, 제1 전원단자와 제2 전원단자가 삽입되고 후퇴된다.
예컨대, 제1 하우징의 일부는 돌출하는 방식으로 외통에 포함되는 평판편을 포함한다. 이 평판편은 복수의 평판형상 접점으로 기능하는 제1 신호단자를 그 위에 갖는다. 예컨대, 제1 신호단자의 단부는 평면 케이블로 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하우징의 일부는 개구에 설치된 평판편을 포함한다. 평판편은 복수의 캔틸레버 접점으로 배열된 제2 신호단자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신호단자의 단부 는 평면 케이블로 접속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신호단자와 제2 신호단자가 삽입되고 후퇴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나선형 홈에서 돌기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단자 사이의 접속 상태가 해제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 사이의 접속 상태는 유지된다. 제2 직선 레일 홈에서 돌기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 사이의 접속 상태가 해제된다.
예컨대, 그립부는 제1 및 제2 전원단자 사이의 접속상태와 비접속상태 사이의 차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형태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돌기는 두 개의 돌기부재로 구성되고, 이 돌기부재는 외통의 일측에서 내벽에 대향되도록 쌍으로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가 외통의 일단의 내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열되는 이유는, 외통이 양호한 균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양호한 균형"이라 함은, 예컨대, 외통의 중심축이 뒤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균형된 힘을 포함하고 또한 양호한 균형으로 접속단의 외주에 배열된 돌기의 쌍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홈의 쌍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실행되는 제품에서의 접속단은 3 내지 4cm의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등간격으로 세 개 이상의 레일 홈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대경의 접속단을 갖는 커넥터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세 개 이상의 레일 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형태 내지 제8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타단은 상기 외통의 일단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그립부를 형성한다.
그립부가 축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홈에 의해 손가락이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그립부는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축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하고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회전 동작에 의한 종래 구조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접속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돌기가 제1 탄성편을 지나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제1 탄성편의 복귀에 의한 클릭 느낌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 사이의 올바른 접속이 클릭 느낌으로 확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외통의 회전 이후, 제1 접속장치 및 제2 접속장치가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서로 분리하도록 서로 이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처럼, 제1 및 제2 단자 그룹에 포함된 상호 신호 단자가 맞물림 해제된 후 제1 및 제2 단자 그룹에 포함된 상호 신호 단자가 맞물림 해제되기 이전에, 전원을 OFF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구조는, 상호 전원단자가 맞물림 해제될 때,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원단자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제1 접속장치(이하 플러그라 함)는 제2 접속장치(이하 소켓이라 함)에 대향하도록 제공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와 소켓을 도시하는 전후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소켓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커텍터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접속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면과 다른 방향에 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전후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러그와 소켓이 접속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전후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이간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전후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이간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소켓을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에서, 플러그(1)는, 원통형 외통(11), 대략 원주형상의 제1 하우징(12), 및 제1 단자 그룹(1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2)은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외통(11)의 내주에 유지되어 있다. 제1 단자 그룹(13)은 제1 하우징(12)에 유지되어 있고 외통(11)의 일단의 개구에 저장되어 있다. 소켓(2)은 제2 하우징(22)과 제2 단자 그룹(23)을 포 함한다. 제2 하우징(22)은 외통(11)의 일단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대략 원통형상 접속단(21)을 갖고 있다. 제2 단자 그룹(23)은 접속단(21)에 저장되어 있다. 제2 단자 그룹(23)은 제1 단자 그룹(13)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100)는, 플러그(1)와 소켓(2)이 서로 탈부착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있다.
도 1 또는 도 2에서, 플러그(1)는 전선에 접속되고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12)을 포함하는 둥근 다극성 커넥터이다. 소켓(2)은 예컨대 패널에 부착되고 대략 원통형의 접속단(21)을 갖는 둥근 다극성 커넥터이다. 제1 및 제2 하우징(12, 22)은 절연특성을 가질 수 있고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형상을 갖는 절연 하우징은 합성수지물질을 모울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2) 및 제2 하우징(22)은 동일한 절연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절연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경량의 플러그(1)를 제공하기 위해서, 외통(11)은 제1 하우징(12)과 동일한 합성수지재료로 제조된다.
도 2에서, 제1 하우징(12)은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외통(11)의 내주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고 있다. 외통(11)은 소정 각도로 전후방향으로 순환한다. 제1 하우징(12)이 고정되고 외통(11)이 회전될 때, 외통(11)이 제2 하우징(22)과 맞물리는 위치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위치까지 외통(11)은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서, 외통(11)은 제1 하우징(12)의 외주와 외통(11)의 내주에 스텝을 설치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각도로 제1 하우징(12)을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므로, 이에 따라 외통(1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도 3에서, 외통(11)의 일단은 제1 단자 그룹(13)을 내부에 저장하는 원형 개구를 갖는다. 도 4에서, 제2 하우징(22)은, 접속단(21)의 외경이 외통(11)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이루어지므로, 접속단(21)과 외통(11) 사이의 맞물림이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접속단(21)은 소정 길이를 가지므로 접속단(21)이 외통(11)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접속단(21)의 일단이 개방되고 접속단(21)의 내부에 제2 단자 그룹(23)을 수용하도록 접속단 일부가 돌출한다(도 2 참조). 도 3에서, 접속단(21)의 타단은 또한 평판형상 새들을 포함하므로 접속단(21)은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외통(11)의 일단의 내벽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원주형 돌기(11a, 11b)가 존재한다. 돌기(11a, 11b)는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설명의 편의상 다른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에서, 접속단(21)의 외주는 돌기(11a, 11b)의 쌍을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 홈(21a, 21b)을 포함한다. 레일 홈(21a)은 접속단(21)의 단부면에서 이 단부면의 대향측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직선 레일 홈(211)을 포함한다. 레일 홈(21a)은 접속단(21)의 단부면의 대향측에서 이 접속단(21)의 단부면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직선 레일 홈(212)을 포함한다. 레일 홈(21a)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과 제2 직선 레일 홈(212)의 시작점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는 나선형 홈(213)을 포함한다. 나선형 홈(213)은 접속단(21)의 단부면의 대향측에서 접속단(21)의 단부면까지 연장한다. 레일 홈(21b)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이후에 추가로 설명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레일 홈(21a, 21b)의 쌍을 포함하는 접속단(21)은 곡선 또는 직선 접촉면을 갖는 캠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돌기(11a, 11b)의 쌍이 돌출된 외통(11)은 캠의 절곡면을 구비한 접점을 갖는 캠 종동부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접속단(21)과 외통(11)은 캠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홈(21a)은 정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정사각형 레일 홈(21a)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은 돌기(11a)의 외주를 안내한다(도 2 참조). 돌기(11a)의 팁 단부는, 예컨대 돌기(11a)가 레일 홈(21a)의 바닥면과 이웃하면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돌기(11a)의 팁 단부와 레일 홈(21a)의 바닥면은 미세한 갭을 그 사이에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편(2a, 2b)과 미세한 돌기(2c)는 레일 홈(21a)의 바닥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돌기(11a, 11b)의 쌍은 또한 플러그(1)가 소켓(2)과 결합될 때 플러그(1)와 소켓(2)을 안내하기 위해서 키이 홈과 맞물리는 키이(key)로서 기능한다. 한 쌍의 제1 직선 레일 홈(211)은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고 극성을 제공하는 키이 홈으로 기능할 수 있다. 플러그(1)는 돌기(11a 11b)의 쌍과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쌍을 위치 결정함으로써 소켓(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돌기(11a)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 부근에 설치된 제1 탄성편(2a) 위를 넘어갈 때까지 제1 직선 레일 홈(211)에 삽입된 돌기(11a)는 예컨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시작점으로 복귀할 수 있다. 특히, 플러그(1)는 소켓(2)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돌기(11a)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돌기(11a)는 나선형 홈(213)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나선형 홈(213)은 접속단(21)의 대향측으로부터 접속단(21)의 단부면으로 연장한다. 외통(11)을 고정측에서 보는 동안 외통(11)을 접속단(21)의 단부면의 대향측으로부터 볼 때, 접속단(21)의 외주는 외측 나선 암나사(소위 우선선회(right-handed) 나사)를 포함하고 이 나사를 따라 나선형 홈(213)이 시계방향으로 전진한다. 접속단(21)(즉, 소켓(2))을 고정측에서 보는 동안 외통(11)을 개구의 대향측으로부터 볼 때 그리고 외통(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나선형 홈(213)은 접속단(21)의 외주에 형성되므로 플러그(1)가 소켓(2)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1)는 나선형 운동을 갖는다.
외통(11)이 도 1 및 도 2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돌기(11a, 11b)의 쌍은 한 쌍의 나선형 홈(213)에 의해 안내되고 플러그(1)가 소켓(2)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1)는 나선형 운동을 갖는다. 그리고, 돌기(11a, 11b)의 쌍은 나선형 홈(213)의 쌍의 종료점에 도달할 수 있다. 돌기(11a, 11b)가 나선형 홈(213)의 쌍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까지 돌기(11a, 11b)의 쌍은 또한 나선형 홈(213)의 쌍의 시작점까지 복귀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돌기(11a, 11b)의 쌍이 나선형 홈(213)의 종료점(즉, 제2 직선 레일 홈(212)의 쌍의 시작점)에 도달할 때, 플러그(1)는 축방향에 평행하게 소켓(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2에서, 돌기(11a, 11b)의 쌍을 잠금하도록 하기 위해서, 한 쌍의 피침 형상(lancet-shaped)의 제1 탄성편(2a)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쌍의 종료점에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플러그(1)가 소켓(2)에 삽입될 때, 돌기의 쌍은 제1 탄 성편(2a)의 쌍을 잠금하여 플러그(1)를 소켓(2)에 접속한다(도 5 참조). 플러그(1)가 소켓(2)에 회전되고 플러그(1)가 소켓(2)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후퇴될 때, 플러그(1)와 소켓(2)은 상호 맞물림 해제된다(도 1 참조).
도 2에서, 제1 탄성편(2a)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시작점에서 종료점까지 돌출하는 슬로프(slope)를 포함한다. 이 슬로프는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속한다. 이 슬로프의 팁 단부는 돌기(11a)에 의해 잠금되도록 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돌기(11a)가 제1 탄성편(2a)에 인접될 때, 제1 탄성편(2a)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편향한다. 돌기(2a)가 제1 탄성편(2a)을 건너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제1 탄성편(2a)은 복귀하고 돌기(11a)는 피침 형상의 제1 탄성편(2a)에 잠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침형상의 탄성편은 또한 작살(lance)로 불리울 수 있다. 이처럼, 돌기(11a)의 역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돌기(11a)는 멈춤쇠로서 고려될 수 있다. (오목형상을 갖는) 제1 탄성편(2a)의 후자부에 설치된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은 만곡부로 고려될 수도 있다. 이들 멈춤쇠와 만곡부는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1)와 소켓(2) 사이의 올바른 이음 관계가 유지된다(도 5 참조). 플러그(1)가 소켓(2)으로 회전되고 플러그(1)가 소켓(2)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후퇴될 때, 플러그(1)와 소켓(2)은 상호 맞물림 해제된다(도 1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플러그(1)와 소켓(2)을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플러그(1)와 소켓(2)이 서로 맞물림(또는 접속) 하 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회전 동작에 의한 종래 구조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접속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돌기(11a)가 제1 탄성편(2a)을 지나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제1 탄성편(2a)은 클릭음 또는 클릭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복귀한다. 이처럼, 클릭음 또는 클릭 느낌은 플러그(1)가 소켓(2)에 올바르게 접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미세한 돌기(2c)가 나선형 홈(213)의 시작점 부근에 제공되어 있다. 미세한 돌기(2c)는, 돌기(11a)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돌기(11a)가 나선형 홈(211)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미세한 돌기(2c)는 나선형 홈(213)의 바닥면에 둑(weir)을 제공하기 위해서 반-원주(half-columnar) 또는 산맥 형상을 갖도록 돌출한다.
도 5에서, 돌기(11a)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외통(11)이 선회력을 수납하지 못하는 동안 돌기(11a)는 미세한 돌기(2c)에 의해 정지하게 되어, 플러그(1)와 소켓(2) 사이에 이음 상태를 유지한다. 돌기(11a)가 미세한 돌기(2c)를 지나도록 강력한 힘으로 외통(11)을 회전함으로써, 돌기(11a)는 나선형 홈(213)으로 이동되므로, 플러그(1)를 소켓(2)으로부터 이반시키도록 분리 이동을 시작한다. 나선형 홈(213)의 시작점과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은 동일 부분에 놓여질 수 있고 돌기(11a)의 직선운동은 나선형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통(11)이 선회력을 수납하지 못하는 동안 나선형 홈(213)의 시작점 부근에 설치된 미세한 돌기(2c)의 존재는, 플러그(1)와 소켓(2) 사 이의 접합 상태를 유지한다. 미세한 돌기(2c)의 존재는 또한 외통(11)의 회전이 시작될 때 강력한 토크가 느껴지고 돌기(11a)가 미세한 돌기(2c)를 지나갈 때 토크의 감소가 느껴짐에 따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4에서, 피침형상의 제2 탄성편(2b)은 나선형 홈(213)의 종료점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탄성편(2b)은, 돌기(11a)가 제2 직선 레일 홈(212)의 시작점에 도달할 때, 돌기(11a)가 나선형 홈(213)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서, 제2 탄성편(2b)은 나선형 홈(213)의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까지 돌출하는 슬로프를 포함한다. 이 슬로프는 나선형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속하고 슬로프의 팁 단부 이후 부분은 돌기(11a)를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포함한다. 돌기(11a)가 제2 탄성편(2b)에 인접될 때, 제2 탄성편(2b)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편향한다. 돌기(11a)가 제2 탄성편(2b)을 지나가 제2 직선형 레일 홈(212)의 시작점에 도달할 때, 돌기(11a)가 나선형 홈(213)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탄성편(2b)은 복귀한다. 제2 탄성편은 또한 작살로 불리울 수 있다. 나선형 홈(213)의 종료점과 제2 직선형 레일 홈(212)의 시작점이 같은 부분이고 돌기(11a)의 나선형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2에서, 돌기(11a, 11b)의 쌍이 서로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열된다. 돌기(11a, 11b)가 서로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유는 외통(11)이 양호한 균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양호한 균형"이라 함은, 예컨대, 외통(11)의 중심축이 뒤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균형된 힘을 포함하고 또한 양호한 균형으로 접속단(21)의 외주에 배열된 돌기(11a, 11b)의 쌍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홈(21a, 21b)의 쌍을 포함한다(도 1 또는 도 4 참조). 예컨대, 본 발명이 실행되는 제품에서의 접속단은 3 내지 4cm의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등간격으로 세 개 이상의 레일 홈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대경의 접속단을 갖는 커넥터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세 개 이상의 레일 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또는 도 3에서, 외통(11)의 타단은 외통(11)의 일단보다 큰 외경을 갖는 그립부(11g)를 포함한다. 그립부(11g)는 축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홈(11k)에 의해 손가락이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설계된다(도 3 참조).
플러그(1)는, 일단이 외통(11)의 타단에 잠금되고 타단이 제1 하우징(12)의 타단에 잠금되는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3a, 3b)을 포함한다(도 2 및 도 6 참조). 비록 압축 코일 스프링(3a)과 압축 코일 스프링(3b)이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설명의 편의상 다른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3a, 3b)의 쌍이 나선형 홈(213)의 쌍과 맞물리는 돌기(11a, 11b)의 쌍을 가압하므로 돌기(11a, 11b)는 제1 직선형 레일 홈(211)의 쌍을 향해 회전된다(도 2 및 도 4 참조).
도 5에서, 외통(11)이 플러그(1)와 소켓(2)의 맞물림 해제 도중에(즉, 돌기(11a, 11b)의 쌍과 나선형 홈(213)의 상의 맞물림 도중에) 느슨하게 완화될 때, 압축 코일 스프링(3a, 3b)의 쌍에 의한 가압력은 플러그(1)와 소켓(2)을 이음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커넥터(100)가 제공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3a, 3b)의 쌍은 또한 외통(11)이 제1 하우징(12)으로부터 이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도 2 참조). 선택적으로, 하나의 압축 코일 스프링,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 또는 등간격으로 둘레에 설치된 세 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이 양호한 균형으로 선회력을 외통(11)에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커넥터(100)는, 제1 단자 그룹(13)이 복수의 제1 전원단자(13p)와 복수의 제1 신호단자(13s)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단자 그룹(23)은 복수의 제2 전원단자(23p)와 복수의 제2 신호단자(23s)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원단자(13p, 23p)의 각 팁 단부 위치는 플러그(1)가 삽입되거나 후퇴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신호단자(13s, 23s)의 각 팁 단부 위치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9에서, 제1 및 제2 전원단자(13p, 23p)는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접점일 수 있다. 전원은 제1 및 제2 전원단자(13p, 23p)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전원은 배터리에 의해 직류 전원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신호단자(13s, 23s)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점일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제1 및 제2 신호단자(13s, 23s)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전기적 신호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제1 하우징(12)의 일부는 접점 공동(contact cavity)과 돌출하는 방식으로 외통(11)에 설치되는 네 개의 사각 극성편(12a 내지 12d)을 포함한다. 사각 극성편(12a 내지 12d)은 예컨대 튜닝-포크 형상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원단자(13p)를 내부에 포함한다. 제1 전원단자(13p)는 전선(1w)에 주름잡혀진 크림프 접점(crimp contact)일 수 있고 전선(1w)이 플러그(1)의 타단까지 연장하도록 한다(도 5 참조). 한편, 제2 하우징(22)의 일부는 사각 극성편(12a 내지 12d)에 맞물리고 개구에 설치된 복수의 관상편(22a 내지 22d)을 포함한다. 관상편(22a 내지 22d)은 예컨대 핀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전원단자(23p)를 내부에 포함한다. 제2 전원단자(23p)는 전선(2w)에 주름잡혀진 크림프 접점일 수 있고 전선(2w)이 소켓(2)의 타단까지 연장하도록 한다(도 5 참조). 이처럼, 제1 전원단자(13p)와 제2 전원단자(23p)가 삽입되고 후퇴된다.
도 2에서, 제1 하우징(12)의 일부는 돌출하는 방식으로 외통(11)에 포함되는 평판편(12e)을 포함한다. 이 평판편(12e)은 복수의 평판형상 접점으로 기능하는 제1 신호단자(13s)를 그 위에 갖는다. 예컨대, 제1 신호단자(13s)의 단부는 평면 케이블로 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하우징(22)의 일부는 개구에 설치된 평판편(22e)을 포함한다. 평판편(22e)은 복수의 캔틸레버 접점으로 배열된 제2 신호단자(23s)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신호단자(23s)의 단부는 평면 케이블로 접속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신호단자(13s)와 제2 신호단자(23s)가 삽입되고 후퇴된다.
다음에, 커넥터(100)의 해제 동작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에서, 플러그(1)와 소켓(2)은, 돌기(11a, 11b)의 쌍이 제1 및 제2 전원단자(13p, 23p) 사이에 접속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및 제2 신호단자(13s, 23s) 사이에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탄성편(2a)의 쌍에 잠금되도록 제공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 외통(11)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돌기(11a, 11b)의 쌍은 나선형 홈(213)의 쌍에 의해 안내되고(도 1 참조) 플러그(1)와 소켓(2)이 서로 이반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1)와 소켓(2)이 이동되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를 제공한다. 나선형 홈(213)의 쌍 위의 돌기(11a, 11b)의 쌍의 이동 도중에, 제1 및 제2 신호단자(13s, 23s)의 접속상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되지만 제1 및 제2 전원단자(13p, 23p)의 접속상태는 유지된다.
그리고, 돌기(11a, 11b)의 쌍이 제2 직선 레일 홈(21)의 쌍의 시작점에 도달하고(도 1 참조) 플러그(1)가 축방향에 평행하게 소켓(2)으로부터 후퇴될 때, 제1 및 제2 전원단자(13p, 23p)의 접속상태는 제2 직선 레일 홈(212)의 쌍에서 돌기(11a, 11b)의 쌍의 이동 도중에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외통의 회전이 플러그와 소켓을 서로 이반하도록 이동하여 플러그와 소켓을 서로에 대해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단자 그룹에 포함된 상호 신호단자가 맞물림 해제된 후 그리고 제1 및 제2 단자 그룹에 포함된 상호 신호단자가 맞물림 해제되기 이전에, 전원을 OFF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상호 전원단자가 맞물림 해제될 때,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원단자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에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10)는 외통(11)의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사각형 극성 돌기(11a, 11b)의 쌍을 갖는다. 한편, 도 11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소켓(20)에서, 돌기(11a, 11b)의 쌍을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갖는 한 쌍의 쐐기형 릿지부(2d, 2d)가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제공되어 있다. 플러그(10)가 소켓(20)에 삽입될 때, 돌기(11a, 11b)의 쌍은 쐐기형 릿지부(2d, 2d)의 쌍을 잠금하여 플러그(10)를 소켓(20)에 접속하고 있다.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외통(11)의 일단의 내벽에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돌기(11a, 11b)의 쌍을 갖는 점에서 외통(11)의 일단의 내벽에서 돌출하는 돌기(11a, 11b)의 쌍을 갖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0)와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상이하다(도 2 참조).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0)가 돌기(11a, 11b)의 쌍을 잠금하기 위해서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설치된 피침형상의 제1 탄성편(2a)을 포함하는 반면,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설치된 돌기(11a, 11b)의 쌍을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2d, 2d)를 포함하는 점에서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0)와 또한 상이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0)는 외통(11)의 내벽에 고정된 돌기(11a, 11b)의 쌍을 구성하는 멈춤쇠이지만,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외통(11)의 내벽에서 탄성적으로 돌출하고 돌기(11a, 11b)의 쌍을 구성하는 멈춤쇠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0)는 제1 탄성편(2a)의 뒷부분에설치된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이 만입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반면,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직선 레일 홈(211)으로부터 쐐기형상을 갖도록 돌출하는 쐐기형 릿지부(2d)의 뒷부분에 설치된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이 만입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멈춤쇠와 만입부는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도 10에서, 외통(11)의 일단의 내벽은 한 쌍의 설편(11c, 11d)을 포함한다. 설편(11c, 11d)의 쌍은 외통(11)의 개구의 대향측으로부터 중심 축방향을 향해 개구까지 경사져 있다. 설편(11c, 11d)의 쌍의 베이스 단부는 외통(11)의 일단에서 내벽에 의해 캔틸레버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설편(11c, 11d)의 쌍의 팁 단부는 돌기(11a, 11b)의 쌍을 각각 포함한다.
도 11에서, 쐐기형 릿지부(2d)는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시작점에서 종료점까지 돌출하는 슬로프를 포함한다. 이 슬로프는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속한다. 슬로프의 팁 단부는 돌기(11a)에 잠금되도록 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돌기(11a, 11b)의 쌍이 쐐기형 릿지부(2d, 2d)의 쌍에 인접될 때, 설편(11c, 11d)의 쌍이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편향한다. 돌기(11a, 11b)의 쌍이 쐐기형 릿지부(2d, 2d)의 쌍을 건너 제1 직선 레일 홈(211)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설편(11c, 11d)의 쌍은 복귀하고 돌기(11a, 11b)의 쌍은 쐐기형 릿지부(2d, 2d)의 쌍의 스텝에 잠금된다. 이처럼, 돌기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돌기를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를 포함한다. 플러그(10)가 소켓(20)에 삽입될 때, 돌기는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에 잠금되고, 이에 따라서 플러그(10)와 소켓(20) 사이에 접속을 제공한다. 플러그(10)가 소켓(20)으로 회전되고 플러그(10)가 소켓(2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후퇴될 때, 플러그(10)와 소켓(20)은 서로 맞물림 해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기술되고 도시되지만, 본 발명을 예시하고 제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부가, 생략, 치환, 및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와 소켓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고 커플링 링을 회전함으로써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분리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Claims (9)

  1.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가 서로에 대해서 탈부착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장치는, 원통형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원주형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유지되고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저장되는 제1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장치는,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의 접속단을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접속단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단자 그룹에 접속되는 제2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은, 상기 외통의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접속단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직선 레일 홈을 포함하는 돌기 안내용 레일 홈을 포함하는 접속단의 외주와, 상기 돌기를 잠금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피침형상(lancet-shaped)의 제1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장치가 상기 제2 접속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는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접속하기 위해 제1 탄성편에 잠금되며, 상기 제1 접속장치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접속장치로부터 후퇴될 때, 상기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는 서로 맞물림 해제되고,
    상기 레일 홈은, 상기 접속단의 단면의 대향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의 단면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직선 레일 홈과,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과 제2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고 상기 접속단의 단면의 대향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의 단면까지 연장하는 나선형 홈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홈의 시작점 부근에 미세한 돌기가 설치되고, 이 미세한 돌기는 제1 직선형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돌기가 나선형 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2.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가 서로에 대해서 탈부착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장치는, 원통형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원주형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유지되고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저장되는 제1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장치는, 상기 외통의 일단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의 접속단을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접속단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단자 그룹에 접속되는 제2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은, 상기 외통의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접속단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직선 레일 홈을 포함하는 돌기 안내용 레일 홈을 포함하는 접속단의 외주와,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에 설치된 돌기를 잠금하기 위한 스텝을 갖는 쐐기형 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장치가 상기 제2 접속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는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를 접속하기 위해 쐐기형 릿지부에 잠금되며, 상기 제1 접속장치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접속장치로부터 후퇴될 때, 상기 제1 접속장치와 제2 접속장치는 서로 맞물림 해제되고,
    상기 레일 홈은, 상기 접속단의 단면의 대향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의 단면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직선 레일 홈과, 제1 직선 레일 홈의 종료점과 제2 직선 레일 홈의 시작점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고 상기 접속단의 단면의 대향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의 단면까지 연장하는 나선형 홈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홈의 시작점 부근에 미세한 돌기가 설치되고, 이 미세한 돌기는 제1 직선형 레일 홈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 돌기가 나선형 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피침형상의 제2 탄성편이 나선형 홈의 종료점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편은 제2 직선 나선형 홈의 시작점에 도달할 때 돌기가 나선형 홈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장치는, 일단이 외통의 타단에 잠금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에 잠금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직선 레일 홈을 향해 회전되도록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은 나선형 홈에 맞물리는 돌기를 가압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1 전원단자와 제1 신호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2 전원단자와 제2 신호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단자는, 이들 사이의 접속이 순차적인 방식으로 해제되도록 배열되고,
    나선형 홈에서 돌기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단자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 사이의 접속이 유지되며,
    제2 직선 레일 홈에서 돌기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는 커넥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두 개의 돌기부재로 구성되고, 두 개의 돌기부재는 외통의 일측에서 내벽에 대향되도록 쌍으로 설치되는 커넥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타단은 상기 외통의 일단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그립부를 형성하는 커넥터.
KR1020060116166A 2005-11-25 2006-11-23 커넥터 KR101109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1130 2005-11-25
JP2005341130A JP4711808B2 (ja) 2005-11-25 2005-11-25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65A KR20070055365A (ko) 2007-05-30
KR101109837B1 true KR101109837B1 (ko) 2012-04-04

Family

ID=3803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166A KR101109837B1 (ko) 2005-11-25 2006-11-23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06472B2 (ko)
JP (1) JP4711808B2 (ko)
KR (1) KR101109837B1 (ko)
DE (1) DE102006055357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668A (ko) * 2022-09-29 2024-04-05 조민기 엘이디 모듈용 커넥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3692B3 (de) * 2006-01-26 2007-08-16 Tyco Electronics Amp Gmbh Wickelfeder
JP4816290B2 (ja) * 2006-07-04 2011-1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74962B2 (ja) * 2008-03-10 2012-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US7628632B2 (en) * 2008-04-25 2009-12-08 Casco Products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DE102008050161B4 (de) * 2008-10-01 2017-08-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ybrider Steckverbinder
US8905790B2 (en) * 2008-10-24 2014-12-09 Molex Incorporated Connectors with power and signal contact structures
DE102009004458B3 (de) 2009-01-13 2010-09-09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einrichtung
CN102487166B (zh) * 2010-12-06 2016-03-16 Bks工程公司 用于导体连接系统的多极输出口及其连接系统
CN104604044B (zh) * 2012-09-06 2018-06-05 库帕技术公司 键槽可见对准零件
JP5883366B2 (ja) 2012-09-06 2016-03-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203183B2 (en) * 2013-07-30 2015-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023204B1 (ko) * 2013-09-02 2019-09-2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JP6200321B2 (ja) 2013-12-26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837805B2 (en) 2014-05-09 2017-12-05 Ruggedreel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upling to a cable on a rotatable reel using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KR101965011B1 (ko) * 2014-07-11 2019-04-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US9368911B2 (en) 2014-11-14 2016-06-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losing electrical connector
US9385475B1 (en) 2015-02-06 2016-07-0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Indicating handle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10128613B2 (en) * 2015-10-29 2018-11-13 Puleo International Inc. Pin connector assembly
DE102015119087A1 (de) * 2015-11-06 2017-05-11 Beckhoff Automation Gmbh Hybrid-Steckverbinder
JP6738085B2 (ja) * 2016-08-05 2020-08-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KR101869764B1 (ko) * 2016-11-28 2018-06-21 주식회사 텔콘 멀티 포트 케이블 터미널
KR101802739B1 (ko) * 2017-04-21 2017-11-29 박찬주 정션박스용 케이블 커넥터
CN108847560A (zh) * 2018-07-10 2018-11-20 横店集团得邦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式接插件及其实现方法
US10950975B1 (en) * 2019-10-22 2021-03-16 Arista Networks, Inc. Progressive latch for electrical module
CN112838432B (zh) * 2019-11-07 2022-12-2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源转接器模块
DE102021111619A1 (de) * 2021-05-05 2022-1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Steckverbindung, insbesondere zum Laden von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en, und Ladesystem
CN117276989B (zh) * 2023-11-17 2024-02-06 集度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动力电池组件及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356A (ja) * 1993-04-16 1994-10-28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転ガイド付きコネクタ
JP2001006814A (ja) * 1999-05-21 2001-01-12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l 自動車用プラグ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66925A (en) * 1971-12-30 1975-04-29 Amp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JPS5826177A (ja) * 1981-08-10 1983-02-16 株式会社ナブコ 車両用引戸開閉装置
JPS5953780A (ja) * 1982-09-17 1984-03-28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繊維の表面処理方法
JP3067468B2 (ja) * 1993-04-27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993239A (en) * 1998-07-08 1999-11-30 Osram Sylvania Inc. Positive latch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356A (ja) * 1993-04-16 1994-10-28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転ガイド付きコネクタ
JP2001006814A (ja) * 1999-05-21 2001-01-12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l 自動車用プラグ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668A (ko) * 2022-09-29 2024-04-05 조민기 엘이디 모듈용 커넥트 장치
KR102671279B1 (ko) * 2022-09-29 2024-05-30 조민기 엘이디 모듈용 커넥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49462A (ja) 2007-06-14
DE102006055357A1 (de) 2007-05-31
DE102006055357B4 (de) 2014-01-30
KR20070055365A (ko) 2007-05-30
US7306472B2 (en) 2007-12-11
JP4711808B2 (ja) 2011-06-29
US20070123080A1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837B1 (ko) 커넥터
JP2752032B2 (ja) 給電コネクタ
JP2842145B2 (ja) コネクタ
EP0622869B1 (en) Connector device
JP2879810B2 (ja) コネクタ
EP0416307B1 (en) Coupling confirming mechanism for an electric connector
JP4191725B2 (ja) コネクタ装置
US5490790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assembly
EP1093191B1 (en) Locking mechanism in connector
GB2438478A (en) Connector with lock securing member having a lock releasing portion
US2009002958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5142107A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KR100216000B1 (ko) 스위치를갖는전기커넥터조립체
CN107453125B (zh) 用于电连接器的锁定装置和配备该装置的电连接器
CN102185221A (zh) 搭锁的同轴电缆连接器
WO2009140992A1 (en) Connector
US11279440B2 (en) Driving device for an electric bicycle with pivotable motor connector
EP1024559A2 (en) Handle operated power connector
EP0954061B1 (en) A connector
US9106018B2 (en) Half fitting prevention connector
JP3127287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N113328292A (zh) 连接器
CN110600939B (zh) 供电电路断路装置
JP2003100385A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3013662B2 (ja)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