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410B1 -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410B1
KR101108410B1 KR1020110112042A KR20110112042A KR101108410B1 KR 101108410 B1 KR101108410 B1 KR 101108410B1 KR 1020110112042 A KR1020110112042 A KR 1020110112042A KR 20110112042 A KR20110112042 A KR 20110112042A KR 101108410 B1 KR101108410 B1 KR 10110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unit
acceleration
clutch
lev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호
Original Assignee
정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호 filed Critical 정원호
Priority to KR102011011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410B1/ko
Priority to PCT/KR2012/008520 priority patent/WO20130659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9/00Order telegraph apparatus, i.e. means for transmitting one of a finite number of different orders at the discretion of the user, e.g. bridge to engine room orders in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8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using remote control means, e.g. wireless contro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좌우 운동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레버 작동부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좌우 운동부를 포함하는 가속 레버 작동부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 보드부로 이루어지는 조작 레버 구동장치와;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제어 보드부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무선 리모컨과; 클러치 레버 및 가속 레버가 구비되어 선박 엔진의 동력을 조절하는 조작 레버와; 일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의 좌우 운동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와 연결되는 클러치 케이블과, 일단은 상기 가속 레버 작동부의 좌우 운동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속 레버와 연결되는 가속 케이블로 이루어져,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조작 레버의 클러치 레버 및 가속 레버를 작동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Wireless pilot system for small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좌우 운동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레버 작동부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좌우 운동부를 포함하는 가속 레버 작동부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 보드부로 이루어지는 조작 레버 구동장치와;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제어 보드부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무선 리모컨과; 클러치 레버 및 가속 레버가 구비되어 선박 엔진의 동력을 조절하는 조작 레버와; 일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의 좌우 운동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와 연결되는 클러치 케이블과, 일단은 상기 가속 레버 작동부의 좌우 운동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속 레버와 연결되는 가속 케이블로 이루어져,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조작 레버의 클러치 레버 및 가속 레버를 작동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어선은 조타실에서 어선을 운전하게 되므로, 어선을 항구에 접안시킬때나 접안 상태에서 배를 빼낼 때 선수 또는 선미에 보조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왜냐하면, 조타실에서는 선수 또는 선미의 하부가 보이지 않고, 어선은 자동차와 달리 급가속 및 급제동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조타실에서 혼자 운전하기에는 상당히 곤란하고, 나아가 충돌 또는 파손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소형 어선의 어로 작업은 단독으로 가능할 정도로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전술한 위험성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단독 작업을 하지 않고 2인 이상이 선박에 승선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관계상 별도의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으로 조작 레버를 제어할 수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자동 운전 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008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45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290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8494호 등이 그 예이다.
이들 기술들은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여 선박을 운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보조자의 탑승이 없더라도 선박을 운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건비의 추가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타실에 꼭 위치하지 않더라도 선박의 운항이 가능하며 더욱이 부두 충돌과 같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로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하지만, 이들은 기본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에서 입력되는 운항 제어 신호가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 레버로 전달되는 유선 제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케이블의 사용은 조업 과정에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선박에는 그물 등과 같은 조업 도구들이 산적해 있어 실제 적용 가능한 케이블의 길이는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조업자는 케이블과 그물 등이 상호 간에 얽히지 않도록 항상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조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사용되는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와이어는 일정한 강성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조업자가 원격 제어 장치를 소지한 상태로 선박의 임의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기가 쉽지 않아 당초 의도와는 달리 활동 반경의 제약을 받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008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45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290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84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독으로 선박을 운항하는 경우, 조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동 조작으로 선박을 운항하며, 조업시에는 조업을 하면서 이와 동시에 무선으로 선박을 자동 운항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의 임의 위치에서 조업을 수행하더라도 조업에 방해를 주지 않고 선박의 운항을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부를 통해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 회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병진 운동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레버 작동부와, 구동 모터부를 통해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병진 운동부를 포함하는 가속 레버 작동부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 보드부로 이루어지는 조작 레버 구동장치와;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제어 보드부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무선 리모컨과; 클러치 레버 및 가속 레버가 구비되어 선박 엔진의 동력을 조절하는 조작 레버와; 일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의 병진 운동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와 연결되는 클러치 케이블과, 일단은 상기 가속 레버 작동부의 병진 운동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속 레버와 연결되는 가속 케이블로 이루어져,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조작 레버의 클러치 레버 및 가속 레버를 작동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와 조작 레버 작동부 상호 간은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케이스 중앙부에 대하여 점 대칭으로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 각각의 회동 운동부는, 구동 모터부와 상기 구동 모터부와 축 연결되는 구동판부와, 상기 구동판부와 축 연결되는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 각각의 회동 운동부 단부에는 랙부가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 각각의 병진 운동부에는 피니언부가 구비되어 상기 랙부와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의 피니언부는 상기 클러치 케이블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병진봉과 상기 병진봉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랙부의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속 레버 작동부의 피니언부는 상기 가속 케이블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병진봉과 상기 병진봉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랙부의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구동판부의 일면에는 환형의 금속판부가 구비되며, 상기 각 금속판부와 대향하는 회동부의 단부 일 측에는 환형의 전자석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구동판부의 중앙부에는 복수 개의 세로 홈이 형성되는 돌출단이 구비되며, 상기 각 회동부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각 돌출단의 세로 홈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결합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돌출단에는 삽입단이 구비되며, 상기 각 결합 돌기가 구비되는 회동부의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상기 각 삽입단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홈에는 상기 각 삽입단과 접한 상태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리모컨을 통해 선박의 조타실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 레버를 무선으로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부가 단독으로 조업과 선박의 운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컨과 조작 레버 구동장치 상호 간을 케이블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케이블로 인해 조업 공간이 방해받지 않으며, 조업자는 선박의 어느 위치에서 자유롭게 조업과 선박 운항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컨을 통해 무선으로 선박의 운항을 제어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조작 레버를 직접 조작하여 선박의 운항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황에 따라 선박의 운항 방법을 적절하게 취사 선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무선 운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레버 구동장치에 있어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판부 단부와 회동부 단부의 상세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판부 단부와 회동부 단부의 결합 관계도.
도 5a 내지 도 5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레버 작동부와 클러치 케이블의 작동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 레버 작동부와 가속 케이블의 작동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조작 레버(10)와,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와, 케이블(40)과, 무선 리모콘(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 레버(10)는 미도시된 선박 엔진의 동력과 방향타를 조절하여 선박 운항을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선박의 방향타 장치와 연결되어 선박의 전진, 중립, 후진 제어와 선박의 좌, 우 방향 각각을 제어하는 클러치 레버(120)와, 선박의 엔진과 연결되어 선박의 운항 속도를 제어하는 가속 레버(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 레버(10)는 통상적으로 조타실에 장착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10, 150 각각은 방향타 조절 케이블과 속도 조절 케이블이다.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20)는 조작 레버(10)와 케이블(40)로 연결되어 상기 조작 레버(10)의 클러치 레버(120) 및 가속 레버(160)를 작동하는 구동장치로서, 도 2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22)와, 상기 케이스(22)에 내장되는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와, 무선 리모컨(50)의 송출 신호를 받아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 각각은, 구동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시켜 케이블(40)을 작동시키는 병진 운동부(270, 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 2b에 상세하게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각 회전 운동부는, 구동 모터부(220, 320)와, 상기 구동 모터부(220, 320)와 축 연결되는 구동판부(230, 330), 그리고 상기 구동판부(230, 330)와 축 연결되는 회동부(260, 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병진 운동부(270, 370)는 피니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구동 모터부(220, 320)는 무선 리모컨(50)가 송출하는 신호에 따라 제어 보드부(26)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구동 모터(222, 322)와 상기 각 구동 모터(222, 322)에 축 연결되는 구동축(224, 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동판부(230, 330)는 구동 모터부(220, 320)와 축 연결되어 구동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연결축(234, 334)과 상기 각 연결축(234, 334)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접촉판(232, 3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연결축(234, 334)은 구동 모터부의 각 구동축(224, 324)과 축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각 연결축에는 각 구동축과의 결합을 위하여 길이 방향의 중앙 홈(235, 335)이 구비된다. 상기 각 중앙 홈과 각 구동축의 외형은 타원, 다각형 등과 같이 상호 간에 결합된 상태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239, 339 각각은 구동판부 고정부이다.
상기 각 회동부(260, 360)는, 각 구동판부(230, 330)와 축 연결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을 병진 운동부(270, 370)로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각각의 일 단부는 각 접촉판(232, 332)의 타 단부와 축 연결되며 각각의 타 단부에는 랙부(264, 364)가 구비되는 회동축(262, 3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각 랙부(264, 364)에는 랙 기어(265, 365)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각 구동판부와 회동부 상호 간에 축을 연결함에 있어, 각 구동판부(230, 330) 중앙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접촉판(232, 332)의 일면에 복수 개의 세로 홈(237, 337)이 형성되는 돌출단(236, 336)을 형성하고, 각 회동부(260, 360)의 회동축(262, 362) 일 단부에는 복수 개의 결합 돌기(267, 367)를 형성하여, 상기 각 세로 홈(237, 337)과 결합 돌기(267, 367) 상호 간이 결합되도록 제안한다. 이에 따라 각 구동판부와 회동부는 긴밀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어 회전력을 보다 완전하게 병진 운동부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69, 369 각각은 회동축 고정부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각 구동판부(230, 330)의 일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 돌출단(236, 336) 주위로 환형의 금속판부(240, 340)가 구비되며, 상기 각 금속판부(240, 340)와 대향하는 회동부(260, 360)의 단부 일 측에는 환형의 전자석부(250, 350)가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전자석부(250, 350)의 중앙에는 회동축(262, 362)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전자석부는 회동축 고정부(269, 369)의 일 측에 별도의 체결 볼트(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금속판부(240, 340)는 미도시된 체결 볼트에 의해 각 접촉판(232, 332)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판부가 구비되는 구동판부를 구성함에 있어, 각 구동판부는 고정 결합되는 각 전자석부의 일면과 각 구동 모터의 구동축 사이에서 일정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구동판부의 연결축(234, 334)을 구동 모터부의 각 구동축(224, 324)과 결합함에 있어, 금속판부를 포함하는 각 구동판부의 전체 길이를 각 전자석부의 일면과 각 구동 모터의 상단 사이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고, 각 구동축의 길이는 각 중앙 홈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하여(도 3의 △l 참조), 각 구동판부가 각 구동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각 구동판부와 회동부 상호 간의 축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의 일부이다.
또한, 금속판부와 전자석부의 용이한 작동을 위하여,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각 돌출단(236, 336)에는 삽입단(238, 338)이 구비되며, 상기 각 결합 돌기(267, 367)가 구비되는 각 회동부(260, 360)의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상기 각 삽입단(238, 338)이 삽입되는 홈(266, 366)이 형성되며, 상기 각 홈(266, 366)에는 상기 삽입단(238, 338)과 접한 상태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268, 368)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수단은 전자석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삽입단을 밀게 되며,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 구동판부와 회동부는 상호 간에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탄성 수단에 의해 돌출단의 세로 홈과 회동축의 결합 돌기는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구동판부와 회동부의 축 연결은 끊어지는 것이다. 만일,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석은 금속판을 당기게 되고, 돌출단의 세로 홈과 회동축의 결합 돌기는 결합되어 구동판부와 회동부의 축은 연결되며, 이 과정에서 탄성 수단은 압축된다. 전자석부와 탄성 수단의 적절한 상호 작용을 위해서는 전자석에 의한 인력이 탄성 수단의 척력(밀어내는 힘)보다 조금 크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각 병진 운동부(270, 370)의 피니언부는, 병진봉(272, 3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병진봉(272, 372) 상면에는 랙부(264, 364)의 랙 기어(265, 365)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276, 376)가 구비된다. 랙부(264, 364)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276, 376)에 의해 병진 운동으로 변환되어 병진봉(272, 372)이 왕복 운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각 병진봉과 연결되는 케이블(40)이 왕복 운동하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79, 379 각각은 병진봉 고정부이다.
한편, 조작 레버 구동장치(2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와 조작 레버 작동부(24) 각각은 케이스(22) 내부의 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와 조작 레버 작동부(24) 상호 간이 케이스(22)의 중앙부에 대하여 점 대칭으로 위치하여 설치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면,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 레버 구동장치(20)로 삽입되는 클러치 케이블(420) 및 가속 케이블(460)이 조작 레버 구동장치의 동일한 일 측면으로 삽입됨으로써 선박 내부에 조작 레버 구동장치(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부(26)는 무선 리모컨(50)에서 무선 송출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 각각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보드부의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블(40)은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조작 레버(10)로 전달하여 클러치 레버(120) 또는 가속 레버(160)를 작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일단은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의 병진 운동부(270)와 연결되며 타단은 클러치 레버(120)와 연결되는 클러치 케이블(420)과, 일단은 가속 레버 작동부(24)의 병진 운동부(370)와 연결되며 타단은 가속 레버(160)와 연결되는 가속 케이블(460)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각 병진봉(272, 372)에는 관통 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각 관통 홀을 통해 각 케이블(420, 460)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리모컨(50)은 제어 보드부(26)로 제어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부분으로서, 전원 버튼부(520), 클러치 레버 제어 버튼부(540), 가속 레버 제어 버튼부(560)와 같은 복수 개의 버튼부와, 무선 송출부(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된다. 무선 리모컨에는 선박의 엔진을 작동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시동 버튼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시동 버튼은 전원 버튼부(520)에 부가되거나 또는 별도 버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버튼부(520)는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의 작동을 개시하는 버튼이나, 이후 클러치 레버 제어 버튼부(540) 또는 가속 레버 제어 버튼부(560)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버튼을 작동시키지 않으면,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의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가 동작하지 않는다.
즉, 클러치 레버 제어 버튼부(540) 또는 가속 레버 제어 버튼부(560)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버튼을 작동시켜야, 제어 보드부(26)가 비로소 전자석부(250, 350)를 작동시켜 구동판부(230, 330)와 회동부(260, 360)를 축 연결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력은 병진 운동부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조업자는 조타실에서 조작 레버(10)를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선박을 운항하여 조업지 근처로 접근한 다음, 무선 리모컨(50)의 전원 버튼부(520)를 눌러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 버튼부(520) 조작에 의해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에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각 구동판부의 삽입단(238, 338)은 각 탄성 수단(268, 368)에 의해 척력(미는 힘)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어 돌출단의 세로 홈(237, 337)과 회동축의 결합 돌기(267, 367)는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a 참조). 즉, 선박은 조작 레버(10)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운항이 가능하다.
조업자는 무선 리모컨(50)을 소지한 상태로, 선박의 임의 위치로 이동하며 조업 준비를 하고, 조업을 준비하는 중이거나 또는 조업을 하면서 선박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소지하고 있는 무선 리모컨(50)의 클러치 레버 제어 버튼부(540) 또는 가속 레버 제어 버튼부(560)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버튼을 작동한다. 어느 하나의 버튼이 작동되면, 작동 신호는 무선으로 제어 보드부(26)로 송출되며, 제어 보드부(26)는 수신 신호에 따라 전자석(252, 352) 중의 어느 하나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면 탄성 수단에 의한 척력을 넘어서는 인력이 전자석에 작용하여 전자석은 삽입단과 접한 상태로 삽입단을 밀고 있는 탄성 수단의 척력을 이기면서 금속판(242, 342) 중의 어느 하나의 금속판을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돌출단 세로 홈과 어느 하나의 회동축 결합 돌기는 상호 결합된다. 이로서 구동판부와 회동부 상호 간은 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도 4b 참조).
뒤이어, 제어 보드부(2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력은 구동축을 통해 구동판부, 회동부를 거쳐 랙부로 전달되고, 병진 운동부는 랙부의 회전력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여 병진봉에 전달한다. 병진봉이 병진 운동하면, 병진봉에 단부가 결합된 클러치 케이블 또는 가속 케이블은 일정 거리만큼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되고, 이러한 케이블의 운동이 결국 조작 레버(10)의 레버를 특정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 각각은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의 작동에 따라 랙부(264)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클러치 케이블(420)이 당겨지는 과정을 보여주며, 도 6a 내지 도 6c 각각은 가속 레버 작동부(24)의 작동에 따라 랙부(364)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가속 케이블(460)이 당겨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각 케이블을 본래 위치로 복원시키려면, 각 랙부가 도면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무선 리모컨의 다른 버튼을 간단히 작동시키면 된다.
조업이 완료되면, 무선 리모컨(50)을 소지한 상태로 그물 등과 같은 조업 장비를 정리한 다음에 그 위치에서 무선 리모컨(50)을 이용하여 선박을 무선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조타실로 들어가 무선 리모컨(50)을 임의 위치에 두고 수동으로 조작 레버(10)를 작동하여 부두로 회항한다. 물론, 무선 리모컨(50)의 전원 버튼을 눌러 무선 조작을 완료하지 않더라도 조작 레버(10)는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 리모컨(50)을 소지한 상태로 조작 레버(10)를 작동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조작 레버 20 : 조작 레버 구동장치
22 : 케이스 23 : 클러치 레버 작동부
24 : 가속 레버 작동부 26 : 제어 보드부
40 : 케이블 50 : 무선 리모컨
120 : 클러치 레버 160 : 가속 레버
220, 320 : 구동 모터부 230, 330 : 구동판부
240, 340 : 금속판부 250, 350 : 전자석부
260, 360 : 회동부 270, 370 : 병진 운동부
420 : 클러치 케이블 460 : 가속 케이블

Claims (8)

  1. 구동 모터부(220)를 통해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 회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병진 운동부(270)를 포함하는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와, 구동 모터부(320)를 통해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 운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부의 단부와 치합되는 병진 운동부(370)를 포함하는 가속 레버 작동부(24)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 및 가속 레버 작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 보드부(26)로 이루어지는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와;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의 제어 보드부(26)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무선 리모컨(50)과;
    클러치 레버(120) 및 가속 레버(160)가 구비되어 선박 엔진의 동력을 조절하는 조작 레버(10)와;
    일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의 병진 운동부(270)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클러치 레버(120)와 연결되는 클러치 케이블(420)과, 일단은 상기 가속 레버 작동부(24)의 병진 운동부(370)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속 레버(160)와 연결되는 가속 케이블(460)로 이루어져, 상기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조작 레버(10)의 클러치 레버(120) 및 가속 레버(160)를 작동하는 케이블(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와 조작 레버 작동부(24) 상호 간은 조작 레버 구동장치(20)의 케이스(22) 중앙부에 대하여 점 대칭으로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 각각의 회동 운동부는, 구동 모터부(220)와 상기 구동 모터부(220)와 축 연결되는 구동판부(230)와, 상기 구동판부(230)와 축 연결되는 회동부(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 각각의 회동 운동부 단부에는 랙부(264, 364)가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 및 가속 레버 작동부(24) 각각의 병진 운동부(270, 370)에는 상기 각 랙부(264, 364)와 치합되는 피니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 작동부(23)의 피니언부는 상기 클러치 케이블(420)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병진봉(272)과 상기 병진봉(272)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랙부(264)의 랙 기어(265)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276)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속 레버 작동부(24)의 피니언부는 상기 가속 케이블(460)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병진봉(372)과 상기 병진봉(372)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랙부(364)의 랙 기어(365)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7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판부(230, 330)의 중앙부에는 복수 개의 세로 홈(237, 337)이 형성되는 돌출단(236, 336)이 구비되며, 상기 각 회동부(260, 360)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돌출단(236, 336)의 세로 홈(237, 337)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결합 돌기(267, 36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판부(230, 330)의 일면에는 환형의 금속판부(240, 340)가 구비되며, 상기 각 금속판부(240, 340)와 대향하는 회동부(260, 360)의 단부 일 측에는 환형의 전자석부(250, 35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단(236, 336)에는 삽입단(238, 338)이 구비되며, 상기 각 결합 돌기(267, 367)가 구비되는 각 회동부(260, 360)의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상기 각 삽입단(238, 338)이 삽입되는 홈(266, 366)이 형성되며, 상기 각 홈(266, 366)에는 상기 삽입단(238, 338)과 접한 상태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268, 368)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의 무선 운전 시스템.
KR1020110112042A 2011-10-31 2011-10-31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KR10110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42A KR101108410B1 (ko) 2011-10-31 2011-10-31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PCT/KR2012/008520 WO2013065974A1 (ko) 2011-10-31 2012-10-18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42A KR101108410B1 (ko) 2011-10-31 2011-10-31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410B1 true KR101108410B1 (ko) 2012-01-30

Family

ID=4561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042A KR101108410B1 (ko) 2011-10-31 2011-10-31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8410B1 (ko)
WO (1) WO201306597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42B1 (ko) * 2013-09-06 2014-06-10 이욱창 수직배열 기어구동식 자동 레버장치
KR101482659B1 (ko) 2013-06-19 2015-01-16 이병창 선박용 조이스틱 원격 제어기 및 그에 의한 선박 운항 제어방법
KR20150065388A (ko) * 2013-12-05 2015-06-15 김시화 소형 선박의 무선 제어 장치
KR101762139B1 (ko) * 2015-01-16 2017-07-27 삼영이엔씨 (주) 소형 선박용 원격 엔진 제어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086Y1 (ko) 2000-03-03 2000-07-15 이재균 이동 조타장치
KR20010090086A (ko) * 2001-09-12 2001-10-18 허성구 폐목을 이용한 바둑판
KR200294520Y1 (ko) 2002-08-17 2002-11-11 이태환 선박용 조타장치
KR20020094520A (ko) * 2001-06-12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서 콘택 형성 방법
KR100429067B1 (ko) 2001-05-12 2004-04-28 삼영이엔씨 (주) 선박엔진용 전자 레버 장치
KR100728494B1 (ko) 2006-04-26 2007-06-19 김재희 원격 조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086Y1 (ko) 2000-03-03 2000-07-15 이재균 이동 조타장치
KR100429067B1 (ko) 2001-05-12 2004-04-28 삼영이엔씨 (주) 선박엔진용 전자 레버 장치
KR20020094520A (ko) * 2001-06-12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서 콘택 형성 방법
KR20010090086A (ko) * 2001-09-12 2001-10-18 허성구 폐목을 이용한 바둑판
KR200294520Y1 (ko) 2002-08-17 2002-11-11 이태환 선박용 조타장치
KR100728494B1 (ko) 2006-04-26 2007-06-19 김재희 원격 조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59B1 (ko) 2013-06-19 2015-01-16 이병창 선박용 조이스틱 원격 제어기 및 그에 의한 선박 운항 제어방법
KR101404442B1 (ko) * 2013-09-06 2014-06-10 이욱창 수직배열 기어구동식 자동 레버장치
KR20150065388A (ko) * 2013-12-05 2015-06-15 김시화 소형 선박의 무선 제어 장치
KR102038315B1 (ko) * 2013-12-05 2019-10-30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소형 선박의 무선 제어 장치
KR101762139B1 (ko) * 2015-01-16 2017-07-27 삼영이엔씨 (주) 소형 선박용 원격 엔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5974A1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410B1 (ko)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US9067664B2 (en) Automatic thruster control of a marine vessel during sport fishing mode
JP7117895B2 (ja) 船舶、及び船舶の操船システム
JP4809794B2 (ja) 操船装置
DE602004007228T2 (de) Drahtlose Fernsteuergerät für Yachten
KR100849413B1 (ko) 자율이동 4륜차의 자유로운 주행이 가능한 주행 방향이동장치
WO2009023058A3 (en) Hybrid remotely/autonomous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
US9836048B1 (en) Wireless voice activated control system for bow mounted electric trolling motor
EP2947005A1 (en) Aircraft hybrid flight control system
KR20130107395A (ko) 수납식 스러스터를 구비한 잠수함
KR101205843B1 (ko) 조향장치 및 엔진구동 제어를 위한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KR101686962B1 (ko) 자세 제어장치를 구비한 초소형 부이 로봇
CN106170646B (zh) 用于选出针对变挡变速器的挡级的操作装置及用于限动操作装置的方法
KR101451949B1 (ko)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KR101261867B1 (ko)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N203202352U (zh) 采用步进电机驱动手操阀的遥控装置
NO20140643A1 (no) Sammenstilling for opptrekkbar thruster
CA2460870C (en) Outboard motor shift mechanism
CN214397175U (zh) 一种油门档位集控装置
KR101800368B1 (ko) 전동 릴 장치
JP4365688B2 (ja) ディスエンゲージ装置
KR102038315B1 (ko) 소형 선박의 무선 제어 장치
KR101186340B1 (ko) 선박원격제어장치
CN109958767B (zh) 带有剪叉式伸缩机构的换挡装置使用方法
CN114802684A (zh) 一种油门档位集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