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038B1 -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038B1
KR101107038B1 KR1020100043384A KR20100043384A KR101107038B1 KR 101107038 B1 KR101107038 B1 KR 101107038B1 KR 1020100043384 A KR1020100043384 A KR 1020100043384A KR 20100043384 A KR20100043384 A KR 20100043384A KR 101107038 B1 KR101107038 B1 KR 10110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rona shield
conductor sleeve
heterogeneous power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906A (ko
Inventor
박정기
김현주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03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에서, 상기 도체 슬리브는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로나 쉴드는 상기 도체 슬리브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A Structure of Conductive Sleeve and Corona Shield for Connecting Different Type Power Cables, A Pre-mold Joint Box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necting Different Type Power Cables}
본 발명은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 이종의 케이블 도체를 수용하도록 도체 슬리브의 양측 내경을 상이하게 구성하고, 또한 도체 슬리브의 양측 외경의 단차부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코로나 쉴드가 경사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고무 유닛 내로 삽입할 때 전기적 결함의 원인이 되는 공극 형성을 방지하고, 도체 슬리브 표면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전계 강도가 균일한 값을 가져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일정한 가닥으로 서로 모아서 합성수지로 주절연층을 형성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와 이의 절연을 위한 합성수지층을 형성하여 지중 혹은 지상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전선이다.
상술한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함이 사용된다. 접속함은 종단 접속함(termination)과 중간 접속함(joint)으로 구분된다. 종단 접속함은 기중 종단 접속함, 가스(gas)중 종단 접속함, 및 유(oil) 중 종단 접속함 등으로 구분되며, 중간 접속함은 보통 접속함(normal joint)과 절연 접속함(insulation joint) 등으로 구분된다.
종래 기술의 중간 접속함은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중간 접속함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도체 슬리브는 중간 접속함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이 완전히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중간 접속함은 그 내부에서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을 완전히 절연하기 위해 고무 유닛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 유닛은 전력 케이블의 통전을 위해 사용되는 전원이 고압 또는 초고압이기 때문에 확실한 절연 성능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중간 접속함으로 프리몰드 접속함(pre-mold joint box)이 사용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101)은 각각 도체(124)를 구비한 한 쌍의 케이블(120); 상기 한 쌍의 케이블(120)의 도체(124)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140); 상기 도체 슬리브(140)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케이블(120)의 절연체(122)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로나 쉴드(150); 상기 한 쌍의 케이블(120)을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케이블(120) 및 상기 코로나 쉴드(150)의 외부에 제공되는 절연 유닛(130); 및 상기 절연 유닛(130)의 외부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보호관(102)을 포함한다.
도 1c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의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는 2002년 3월 11일자에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2-0012967호로 출원되어, 2003년 9월 19일자에 공개된 공개 특허공보의 공개 번호 특2003-0073416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101)은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를 사용한다. 이러한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는 초고압 케이블(120)의 절연체(122)가 접속되는 코로나 쉴드(150)와, 초고압 케이블(120)의 도체(124)가 접속되는 도체 슬리브(140)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된다.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는 일정한 길이의 원통 형상으로서 내경이 상기 초고압 케이블(120)의 절연체(122)의 외경과 일치되는 코로나 쉴드(150)와, 일정한 길이의 원통 형상으로 내경이 초고압 케이블의 도체(124)의 외경과 일치되는 도체 슬리브(140)가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된다. 도체 슬리브(140)의 양 단부에 초고압 케이블(120)의 도체(124)가 삽입 및 안착되는 도체 접속부(142)가 각각 형성된다. 코로나 쉴드(150)의 양 단부의 개구부로 초고압 케이블(120)의 절연체(122)가 삽입 및 안착되고, 안착된 초고압 케이블(120)의 도체(224)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코로나 쉴드(150)의 외경에 다수개의 압착 링(152)이 체결된다. 도 1c의 실시예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관(102)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101)에서는,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의 양 개구부로 초고압 케이블(120)의 절연체(122)와 도체(124)가 삽입된다. 다수개의 압착 링(152)을 사용하여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의 외경을 압착하여 상기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의 내부로 삽입 안착된 초고압 케이블(120)의 도체(124)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술한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는 코로나 쉴드(150)와 도체 슬리브(1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프리몰드 접속함(101)의 열전도성이 향상되므로 프리몰드 접속함(101)에서 국부 과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150a)를 사용하여 초고압 케이블(120)을 접속하므로 프리몰드 접속함(101)의 구성 부품의 수효가 감소된다.
그러나,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101)은 모두 서로 접속되는 한 쌍의 케이블(120) 또는 초고압 케이블(120)이 동일한 사이즈 또는 외경을 갖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서로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 케이블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여기서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 케이블은 케이블의 도체 및 절연체의 외경이 서로 상이한 케이블 또는 초고압 케이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종의 케이블로 지칭하기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코로나 쉴드를 사용하여 작은 외경을 갖는 케이블 및 큰 외경을 갖는 케이블과 같은 이종의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 코로나 쉴드와 큰 외경을 갖는 케이블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 코로나 쉴드의 외부에 고무 유닛을 설치하면 고무 유닛과 단차부 사이에 전기적인 취약점을 갖는 공극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공극의 내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면 프리몰드 접속함(101)의 열전도성이 감소되므로 프리몰드 접속함(101)에서 국부 과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극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은 케이블에 고전압 또는 초고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절연 파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도체 슬리브를 사용하여 작은 외경을 갖는 케이블과 큰 외경을 갖는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 도체 접속부의 내경이 작은 외경을 갖는 케이블의 도체의 외경과 동일한 경우에는 큰 외경을 갖는 케이블의 도체를 수용할 수 없으며, 도체 접속부의 내경이 큰 외경을 갖는 케이블의 도체의 외경과 동일한 경우에는 작은 외경을 갖는 케이블의 도체가 도체 접속부와 긴밀하게 접속되지 않아 통전이 이루어지는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734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 이종의 케이블 도체를 수용하도록 도체 슬리브의 양측 내경을 상이하게 구성하고, 또한 도체 슬리브의 양측 외경의 단차부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코로나 쉴드가 경사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고무 유닛 내로 삽입할 때 전기적 결함의 원인이 되는 공극 형성을 방지하고, 도체 슬리브 표면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전계 강도가 균일한 값을 가져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슬리브는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로나 쉴드는 상기 도체 슬리브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은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는 도체 슬리브; 상기 도체 슬리브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로나 쉴드;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코로나 쉴드의 외부에 제공되는 절연 유닛; 및 상기 절연 유닛의 외부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보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은 a)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는 도체 슬리브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 내로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를 각각 수용하는 단계; b) 상기 도체 슬리브를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로나 쉴드 내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절연시키도록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코로나 쉴드의 외부에 절연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2.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이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이루어진다.
3.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한 코로나 쉴드에 의해 코로나 쉴드와 절연 유닛 사이에 공극 형성이 방지되어 프리몰드 접속함의 국부 과열 발생이 방지된다.
4.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한 코로나 쉴드에 의해 국부적인 전계 강도가 균일화되어 코로나 방전과 같은 전기적 성능의 취약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프리몰드 접속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201)은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200)를 제외하고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프리몰드 접속함(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2b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관(202)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201)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200)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슬리브(240)는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도체(224a,224b)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를 구비하고, 상기 코로나 쉴드(250)는 상기 도체 슬리브(240)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절연체(222a,222b)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몰드 접속함(201)은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도체(224a,224b)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를 구비하는 도체 슬리브(240); 상기 도체 슬리브(240)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절연체(222a,222b)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로나 쉴드(250);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을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 및 상기 코로나 쉴드(250)의 외부에 제공되는 절연 유닛(230); 및 상기 절연 유닛(230)의 외부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보호관(2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절연 유닛(230)은 탄성을 구비한 절연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연 재질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및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을 구비한 절연 재질로 구현된 절연 유닛(230)은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절연체(222a,222b)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하도록 제작하여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절연체(222a,222b)에 삽입할 경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절연체(222a,222b)의 양단 표면을 포함한 코로나 쉴드(250)의 표면과 절연 유닛(230)의 내경 사이의 경계면에 일정한 압력을 발생하여 코로나 방전의 원인인 공기 삽입이 억제되므로 프리몰드 접속함(201)의 전기적인 특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프리몰드 접속함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201)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200) 및 이를 구비한 프리몰드 접속함(201)에서는 도체 슬리브(240)가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도체(224a,224b)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를 구비한다. 도 2a 내지 도 2c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체 접속부(242a)가 제 2 도체 접속부(242b)에 비해 더 좁은 내경을 갖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제 1 도체 접속부(242a)가 제 2 도체 접속부(242b)에 비해 더 넓은 내경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체 슬리브(240)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의 외경도 서로 상이하여 중간 부분에 단차부(244)를 갖게 된다. 여기서 도체 슬리브(240)는 압축식 도체 슬리브(240)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 슬리브(240)가 압축식 도체 슬리브(240)로 구현되는 경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도체(224a,224b)는 각각 도체 슬리브(240)의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 내로 삽입된 후 압착 방식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체 슬리브(240)의 외부에 코로나 쉴드(250)가 제공된다. 이 경우 코로나 쉴드(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244)를 갖는 도체 슬리브(240)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용하기 위해 테이퍼진 경사면(25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쉴드(250)의 테이퍼진 경사면(252)은 또한 단차부(244)로 인하여 평평한 표면을 갖지 못하는 도체 슬리브(24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국부적인 전계 강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테이퍼진 경사면(252)을 갖는 코로나 쉴드(250) 및 이를 구비한 프리몰드 접속함(200)은 국부적으로 불균일한 전계 강도에 의해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여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테이퍼진 경사면(252)을 갖는 코로나 쉴드(250) 및 이를 구비한 프리몰드 접속함(200)은 코로나 쉴드(250)의 테이퍼진 경사면(252)과 이를 감싸는 절연 유닛(230)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아 절연 유닛(230)과 테이퍼진 경사면(25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공기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프리몰드 접속함(200)의 국부 과열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코로나 방전과 같은 전기적 성능의 취약성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도 2a 내지 도 2c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300)은 a)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를 구비하는 도체 슬리브(24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 내로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도체(224a,224b)를 각각 수용하는 단계(310); b) 상기 도체 슬리브(240)를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절연체(222a,222b)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로나 쉴드(250) 내로 제공하는 단계(320): 및 c)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을 절연시키도록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 및 상기 코로나 쉴드(250)의 외부에 절연 유닛(230)을 제공하는 단계(330)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300)에서는 상기 도체 슬리브(240)는 중간 부분에 단차부(244)를 구비하고, 상기 코로나 쉴드(250)는 테이퍼진 경사면(252)을 구비하여,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도체 슬리브(240)가 상기 코로나 쉴드(250) 내에 수용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300)에서는 도체 슬리브(240)가 압축식 도체 슬리브(240)로 구현되는 경우 이종의 전력 케이블(220a,220b)의 도체(224a,224b)는 각각 도체 슬리브(240)의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242a,242b) 내로 삽입된 후 압착 방식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에서는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을 가능하고,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이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리몰드 접속함의 국부 과열 발생이 방지되고, 국부적인 전계 강도가 균일화되어 코로나 방전과 같은 전기적 성능의 취약성이 방지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00,200: 프리몰드 접속함 110: 반도전층
112: 차폐 단말 120,220a,220b: (전력) 케이블
122,222a,222b: 절연체 124,224a,224b: 도체
130,230: 고무 유닛/절연 유닛 140,240: 도체 슬리브
150,150a,250: 코로나 쉴드 252: 테이퍼진 경사면
152: 압착 링 160: 시험용 챔버 170: 고압 인가부
201: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242a,242b:도체 접속부 244: 단차부

Claims (14)

  1.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몰드 접속함에 사용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슬리브는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로나 쉴드는 상기 도체 슬리브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도체 슬리브는 중간 부분에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코로나 쉴드는 상기 도체 슬리브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용하기 위해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슬리브는 압축식 도체 슬리브로 구현되는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4. 프리몰드 접속함에 있어서,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는 도체 슬리브;
    상기 도체 슬리브의 외부에 제공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로나 쉴드;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코로나 쉴드의 외부에 제공되는 절연 유닛; 및
    상기 절연 유닛의 외부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보호관
    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 슬리브는 중간 부분에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코로나 쉴드는 상기 도체 슬리브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용하기 위해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프리몰드 접속함.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유닛과 상기 테이퍼진 경사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는 프리몰드 접속함.
  7.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유닛은 탄성을 구비한 절연 재질로 구현되는 프리몰드 접속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재질은 실리콘 고무, EPR, 및 EPDM 중 어느 하나인 프리몰드 접속함.
  9.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슬리브는 압축식 도체 슬리브로 구현되는 프리몰드 접속함.
  10.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에 있어서,
    a)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는 도체 슬리브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 내로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를 각각 수용하는 단계;
    b) 상기 도체 슬리브를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로나 쉴드 내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절연시키도록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코로나 쉴드의 외부에 절연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 슬리브는 중간 부분에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로나 쉴드는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은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도체 슬리브가 상기 코로나 쉴드 내에 수용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유닛과 상기 테이퍼진 경사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 유닛이 상기 테이퍼진 경사면을 감싸는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13.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상기 도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 접속부 내로 삽입된 후 압착 방식으로 접속되는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14.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유닛은 탄성을 구비한 절연 재질로 구현되는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KR1020100043384A 2010-05-10 2010-05-10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KR10110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84A KR101107038B1 (ko) 2010-05-10 2010-05-10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84A KR101107038B1 (ko) 2010-05-10 2010-05-10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906A KR20110123906A (ko) 2011-11-16
KR101107038B1 true KR101107038B1 (ko) 2012-01-25

Family

ID=4539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384A KR101107038B1 (ko) 2010-05-10 2010-05-10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0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5698B2 (en) 2015-11-12 2018-12-25 Kimtron, Inc. Anode terminal for reducing field enhancement
TWI731316B (zh) * 2018-12-07 2021-06-21 南韓商Ls電線有限公司 用於連接不同導體的連接導體和電力電纜的連接結構
WO2023177069A1 (ko) * 2022-03-15 2023-09-21 대한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이경 케이블 접속을 위한 이경 pmj 및 이경 고무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873B1 (ko) 2015-01-15 2022-10-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KR102625958B1 (ko) * 2016-04-22 2024-01-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경 도체 접합 케이블의 중간 접속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830033B1 (ko) * 2017-03-31 2018-0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CN108806886A (zh) * 2018-06-15 2018-11-13 白银有色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中压交联电缆绝缘线芯生产线的开机牵引装置
KR102625954B1 (ko) * 2018-12-05 2024-01-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도체 슬리브, 도체 접속장치 및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함
KR102625957B1 (ko) * 2018-12-07 2024-01-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종 도체 접합을 위한 연결도체, 연결도체 제조방법 및 전력 케이블 중간접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446A (ja) 1996-07-19 1998-02-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ゴム、プラスチック電力ケーブルの異径接続部
JP2002191116A (ja) * 2000-12-19 2002-07-05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接続部
JP2002218641A (ja) 2001-01-23 2002-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030073416A (ko) * 2002-03-11 2003-09-19 엘지전선 주식회사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446A (ja) 1996-07-19 1998-02-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ゴム、プラスチック電力ケーブルの異径接続部
JP2002191116A (ja) * 2000-12-19 2002-07-05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接続部
JP2002218641A (ja) 2001-01-23 2002-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030073416A (ko) * 2002-03-11 2003-09-19 엘지전선 주식회사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5698B2 (en) 2015-11-12 2018-12-25 Kimtron, Inc. Anode terminal for reducing field enhancement
TWI731316B (zh) * 2018-12-07 2021-06-21 南韓商Ls電線有限公司 用於連接不同導體的連接導體和電力電纜的連接結構
WO2023177069A1 (ko) * 2022-03-15 2023-09-21 대한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이경 케이블 접속을 위한 이경 pmj 및 이경 고무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906A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038B1 (ko)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JP2010532550A (ja) アダプタ、アダプタを備える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0521075B (zh) 用于保持屏蔽电缆的保持设备
US94441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ld shrink component
RU23881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чки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двумя электрическими высоковольтными кабелями
US6452102B1 (en) High voltage cable termination
US10236674B2 (en) Insulation termination assembly
JP6262269B2 (ja) 分離可能コネクタ用の複数部品ジャケット
US9219318B2 (en) Jointing assemblies for electrical cables
CA2561526C (en)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7227047B2 (ja) トランジションジョイント
KR101566973B1 (ko) 초고압 전력케이블 프리몰드 접속함의 코로나 쉴드
KR102304368B1 (ko)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US10381817B1 (en) Cable oil barrier systems for oil-filled cable terminations and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JP2019193515A (ja) ケーブル接続部
JP6628245B2 (ja) 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KR20040080131A (ko) 이경 케이블 접속용 고무 슬리브
JP2019193416A (ja) ケーブル接続部
JP6611654B2 (ja) 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ケーブル接続部
KR20030073416A (ko) 도체 슬리브 일체형 코로나 쉴드
JP2002191116A (ja) ケーブル接続部
US11843216B2 (en) Crimp structure
JP6880536B2 (ja) 電力ケーブルの端末構造
JP2002010464A (ja) ケーブル接続部
KR101225361B1 (ko) 코로나 쉴드와 도체간의 접속용 편조선을 내장한 프리몰드 접속함의 도체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