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216B1 - 현관문용 안전고리 - Google Patents

현관문용 안전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216B1
KR101105216B1 KR1020100021929A KR20100021929A KR101105216B1 KR 101105216 B1 KR101105216 B1 KR 101105216B1 KR 1020100021929 A KR1020100021929 A KR 1020100021929A KR 20100021929 A KR20100021929 A KR 20100021929A KR 101105216 B1 KR101105216 B1 KR 101105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door
cover
coupled
fro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754A (ko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조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호 filed Critical 조용호
Priority to KR102010002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2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식의 현관문을 닫은 상태에서 문을 열 수 없도록 고정을 시킬 수 있고, 방문자 확인을 요하는 경우에도 더욱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틀(200)에 부착되며 돌기(26)가 형성된 걸림구(2)와, 문(10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에 결합되어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4)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부(4)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5); 상기 힌지브라켓(5)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26)가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의 작동홈(62)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64)이 형성된 바아(6); 상기 바아(6)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공(64)을 막는 커버(8); 상기 커버(8)가 바아에 결합된 채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관문용 안전고리{DOOR'S SAFETY LINK}
본 발명은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식의 현관문을 닫은 상태에서 문을 열 수 없도록 고정을 시킬 수 있고, 방문자 확인을 요하는 경우에도 더욱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의 현관문에는 방범상태를 유지한 채 외부인을 확인하거나 또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해 약간만 열어놓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현관문용 안전고리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문틀에 부착되는 걸림구(110')와, 문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110')와 걸어 고정되며 일정한 개방구간을 제공하는 걸쇠부(100')로 구성된다.
걸림구(110')는 문틀에 부착되는 브라켓에 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11')는 상하부에 대향되게 형성된다.
걸쇠부(100')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120')과, 상기 힌지브라켓(120')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111')가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의 작동홈(122')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이 형성된 바아(12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바아(121')는 단면이 'H'형상이며, 상,하부에 동일한 길이와 깊이를 갖는 작동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20')과 인접된 부위가 절개되어 상기 돌기(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공(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외부인의 방문시 안전을 위하여 돌기(111')가 바아(121')에 삽입된 상태로 문을 열게되는 경우 돌기(111')가 바아(121')의 말단까지 이동됨으로써 외부의 안전을 확인하고 다시 문을 닫은 후 바아(121')를 회전시켜 돌기(111')의 삽입상태를 해지 후 문을 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외부인이 문이 벌어진 약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끈으로써 바아(121')를 움직인다거나, 문이 벌어진 틈 사이로 판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밀어넣은 후 문을 잡아당겨 바아(121')를 회전시켜서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어 방범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열림방지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에 부착되며 돌기가 형성된 걸림구와, 문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와 걸어 고정되며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로 구성된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의 작동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이 형성된 바아; 상기 바아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공을 막는 커버; 상기 커버가 바아에 결합된 채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는 상기 개구공의 대향면에도 절개되어 절개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과 절개공이 연결되는 측벽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하부가 개구되고, 양측면에 판상으로 된 제1 및 제2막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막음부는 제2막음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막음부의 끝단에는 상기 바아의 절개공을 통해 작동홈으로 삽입되는 걸림편부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편부재는 내측을 향해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진 판상이며,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바아의 끝단과 커버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외부의 침입시도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도 4는 해제상태이고, 도 5는 잠금상태이며, 도 6은 잠금상태에서 문을 열어둘 때를 나타내고, 도 7은 잠금상태에서 커버를 강제로 후진시킬때 걸림편부재의 잠금작동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도 4는 해제상태이고, 도 5는 잠금상태이며, 도 6은 잠금상태에서 문을 열어둘 때를 나타내고, 도 7은 잠금상태에서 커버를 강제로 후진시킬때 걸림편부재의 잠금작동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A)는, 문틀(200)에 부착되며 돌기(26)가 형성된 걸림구(2)와, 문(10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에 결합되어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4)를 포함한다.
상기 걸쇠부(4)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5); 상기 힌지브라켓(5)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26)가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의 작동홈(62)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64)이 형성된 바아(6); 상기 바아(6)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공(64)을 막는 커버(8); 상기 커버(8)가 바아에 결합된 채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7)을 포함한다.
걸림구(2)는 문틀(200)에 볼트결합으로 부착되는 브라켓(22)과, 상기 브라켓(22)의 일측에 돌출된 한 쌍의 돌편(24)과, 상기 돌편(24)의 상,하부에 각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26)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돌기(26)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27)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간극(27)을 통해 걸쇠부(4)의 바아(6)에 형성된 개구공(64)으로 한 쌍의 돌기(26)가 결합될 수 있다.
걸쇠부(4)는 문(100)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5)과, 상기 힌지브라켓(5)에 힌지결합된 일정 길이의 바아(6)와, 상기 바아(6)의 외부에 결합되는 커버(8) 및 상기 커버(8)와 바아(6)를 연결하는 탄성수단(7)을 포함한다.
힌지브라켓(5)은 문(100)에 볼트결합으로 부착되며, 일측에 돌출된 한쌍의 지지편(52)에 축핀(54)이 결합된다.
바아(6)는 일정 길이로 된 금속재이며 그 단면이 'H'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상,하부에 작동홈(62)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평판(63)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힌지브라켓(5)의 축핀(54)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일측벽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개구공(64)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공(64)을 통해 걸림구(2)의 한쌍의 돌기(26)가 삽입된다. 이때 한 쌍의 돌기(26)의 간극(27)은 바아(6)의 평판(63)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아(6)는 상기 개구공(64)의 대향면에도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절개공(6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62)과 절개공(65)이 연결되는 측벽에 걸림턱(66)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공(65)을 통해 후술될 걸림편부재(84)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66)은 걸림편부재(84)와 접촉되는 부위가 경사면이거나 또는 호형의 만곡면을 갖는다. 따라서 걸림턱(66)의 경사면 또는 만곡면에 후술될 커버(8)의 걸림편부재(84)가 지지된 채 구부러질 수 있게 된다.
커버(8)는 금속편을 절곡시키거나 주조시켜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상,하부가 개구되고, 양측면에 판상으로 된 제1 및 제2막음부(81,8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막음부(81)는 제2막음부(82)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막음부(81)가 바아(6)의 개구공(64)을 막을 수 있고, 제2막음부(82)는 절개공(65)을 막도록 한다.
또 상기 제2막음부(82)의 끝단에는 상기 바아(6)의 절개공(65)을 통해 작동홈(62)으로 삽입되는 걸림편부재(84)가 형성된다.
걸림편부재(84)는 일단부가 제2막음부(82)의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특히 내측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66)의 경사면 또는 만곡면에 접촉된다.
걸림편부재(84)는 바아(6)의 중앙에 평판(63)이 형성된 점을 고려하여 평판(63)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어 각기 설치됨으로써 한 쌍을 이루도록 한다.
탄성수단(7)은 바아(6)의 끝단과 커버(8)의 끝단 안쪽면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커버(8)를 후진시킨 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수단(7)의 일단부를 바아(6)의 끝단에 용접시키거나 걸고리 타입으로 걸어서 고정시키고, 마찬가지로 타단부도 커버(8)의 끝단 안쪽면에 용접시키거나 걸고리 타입으로 걸어서 고정시킨다.
따라서 커버(8)가 바아(6)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수단(7)이 압축되어 있고, 커버(8)를 당겨 인출시키면 탄성수단(7)이 늘어남으로써 커버(8)에 항상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 즉 닫히려는 힘이 발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바아(6)의 끝단과 커버(8)의 안쪽면 끝단을 탄성수단(7)으로 연결하여 커버(8)를 바아(6)의 외측에 결합시켜 걸쇠부(4)를 조립한다.
이후 걸림구(2)는 문틀(200)에 설치되고, 걸쇠부(4)는 문(100)에 설치된다. 이는 종래와 대동소이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7을 토대로 본 발명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100)을 닫고 커버(8)를 잡고 후진시키면, 제1막음부(81)가 이동되면서 바아(6)의 개구공(64)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걸림편부재(84)가 걸림턱(66)을 타고 안쪽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호형을 이루면서 커버(8)의 후진은 정지된다.
따라서 제1막음부(81)가 개구공(64)을 개방하더라도 완전히 개방될 정도는 아니며 걸림구(2)의 돌기(26)가 삽입될 정도로만 한정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를 놓으면 탄성수단(7)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8)가 전진하게 되고, 제1막음부(81)가 바아(6)의 개구공(64)을 막아 폐쇄시키게 되며, 걸림편부재(84)는 걸림턱(66)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100)을 열었을때 돌기(26)가 작동홈(62)을 타고 이동될 수 있으므로, 작동홈(62)의 길이만큼 문(100)을 약간만 열 수 있게 된다.
한편 잠금상태는 커버(8)의 제1막음부(81)가 개구공(64)을 폐쇄시킨 상태이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도구(300)를 이용하여 강제로 커버(8)를 밀어 후진시키면, 걸림편부재(84)가 걸림턱(66)을 타고 안쪽으로 구부러지면서 작동홈(62)을 막게 되므로 돌기(26)가 빠져나올 수 없게 되어 외부에서는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커버(8)의 제2막음부(82)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부재(84)가 탄성을 갖고 있어 상기 커버(8)를 당겨 개구공(64)이 열릴때는 걸림턱(66)에 의해 걸림편부재(84)가 작동홈(62)을 차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커버(8)를 놓으면 탄성수단(7)에 의해 개구공(64)이 닫히고, 동시에 걸림편부재(84)의 탄성에 의해 걸림편부재(84)도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집안에서는 커버(8)를 약간만 후진시켜 돌기(26)가 빠져나올 정도로만 개구시키면 해제시킬 수 있어 문(100)을 열 수 있다.
또한 바아(6)를 회전시켜 문(100)과 직각이 되게 한 후 문(100)을 열면 돌기(26)가 작동홈(62)을 타고 이동됨으로써 문(100)을 약간만 걸쳐서 열어놓을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걸림구 4 : 걸쇠부
5 : 힌지브라켓 6 : 바아
7 : 탄성수단 8 : 커버
22 : 브라켓 24 : 돌편
26 : 돌기 52 : 지지편
54 : 축핀 62 : 작동홈
64 : 개구공 65 : 절개공
66 : 걸림턱 81 : 제1막음부
82 : 제2막음부 84 : 걸림편부재

Claims (6)

  1. 문틀(200)에 부착되며 돌기(26)가 형성된 걸림구(2)와, 문(10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에 결합되어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4)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부(4)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5);
    상기 힌지브라켓(5)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26)가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의 작동홈(62)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64)이 형성된 바아(6);
    상기 바아(6)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공(64)을 막는 커버(8);
    상기 커버(8)가 상기 바아(6)에 결합된 채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6)는 상기 개구공(64)의 대향면에 절개공(6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62)과 절개공(65)이 연결되는 측벽에 걸림턱(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는 상,하부가 개구된 것이며,
    양측면에 판상으로 된 제1 및 제2막음부(81,82);
    상기 제2막음부(82)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아(6)의 절개공(65)을 통해 작동홈(62)으로 삽입되는 걸림편부재(84);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막음부(81)는 제2막음부(82)보다 길게 형성되어 바아(6)의 개구공(64)을 막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7)은 바아(6)의 끝단과 커버(8)의 끝단 안쪽면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66)은 경사면 또는 호형의 만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부재(84)는 탄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커버(8)를 당겨 개구공(64)이 열릴때는 걸림턱(66)에 의해 걸림편부재(84)가 작동홈(62)을 차단하며,
    상기 커버(8)를 놓으면 탄성수단(7)에 의해 개구공(64)이 닫히고,
    탄성에 의해 걸림편부재(84)도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20100021929A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1105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29A KR101105216B1 (ko)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29A KR101105216B1 (ko)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54A KR20110102754A (ko) 2011-09-19
KR101105216B1 true KR101105216B1 (ko) 2012-01-13

Family

ID=4495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929A KR101105216B1 (ko)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2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02A (ko) * 2000-04-12 2001-01-05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8028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프레시 동작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방법
JP2005009083A (ja) 2003-06-16 2005-01-13 Yuji Watanabe ドアガード
JP2005213759A (ja) 2004-01-27 2005-08-11 Guard Lock:Kk ドアガード装置
KR200448028Y1 (ko) 2009-07-08 2010-03-09 김준상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02A (ko) * 2000-04-12 2001-01-05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8028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프레시 동작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방법
JP2005009083A (ja) 2003-06-16 2005-01-13 Yuji Watanabe ドアガード
JP2005213759A (ja) 2004-01-27 2005-08-11 Guard Lock:Kk ドアガード装置
KR200448028Y1 (ko) 2009-07-08 2010-03-09 김준상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54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US6185871B1 (en) Door structure
US4103949A (en) Safety door latch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KR100877568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US20190360240A1 (en) Hasp with Cylindrical Lock
KR101105216B1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0832263B1 (ko)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331895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01249214B1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0720192B1 (ko) 도어 로크장치
KR100309144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0648574B1 (ko) 2중 물림 빗장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200435383Y1 (ko) 창문 양방향 잠금장치
KR101105217B1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0789225B1 (ko) 도어록용 래치볼트
JP4167821B2 (ja) シリンダ錠の鍵孔シャッター
US20160356062A1 (en) Latching System and Handle for Enclosures
KR200164849Y1 (ko)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