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217B1 - 현관문용 안전고리 - Google Patents

현관문용 안전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217B1
KR101105217B1 KR1020100021930A KR20100021930A KR101105217B1 KR 101105217 B1 KR101105217 B1 KR 101105217B1 KR 1020100021930 A KR1020100021930 A KR 1020100021930A KR 20100021930 A KR20100021930 A KR 20100021930A KR 101105217 B1 KR101105217 B1 KR 10110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mber
door
front door
safety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755A (ko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조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호 filed Critical 조용호
Priority to KR102010002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21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식의 현관문을 닫은 상태에서 문을 열 수 없도록 고정을 시킬 수 있고, 방문자 확인을 요하는 경우에도 더욱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틀에 부착되며 일측에 돌출된 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22)에 헤드(24)가 형성된 걸림구(2); 문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와 걸어 고정되며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4);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부(4)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5); 상기 힌지브라켓(5)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구(2)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1작동슬릿(61)이 형성된 외통부재(6); 상기 외통부재(6) 내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구(2)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2작동슬릿(72)이 형성된 내통부재(7); 상기 내통부재(7)가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외통부재(6) 내에 설치되며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관문용 안전고리{DOOR'S SAFETY LINK}
본 발명은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식의 현관문을 닫은 상태에서 문을 열 수 없도록 고정을 시킬 수 있고, 방문자 확인을 요하는 경우에도 더욱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의 현관문에는 방범상태를 유지한 채 외부인을 확인하거나 또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해 약간만 열어놓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현관문용 안전고리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문틀에 부착되는 걸림구(110')와, 문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110')와 걸어 고정되며 일정한 개방구간을 제공하는 걸쇠부(100')로 구성된다.
걸림구(110')는 문틀에 부착되는 브라켓에 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11')는 상하부에 대향되게 형성된다.
걸쇠부(100')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120')과, 상기 힌지브라켓(120')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111')가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의 작동홈(122')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이 형성된 바아(12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바아(121')는 단면이 'H'형상이며, 상,하부에 동일한 길이와 깊이를 갖는 작동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20')과 인접된 부위가 절개되어 상기 돌기(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공(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외부인의 방문시 안전을 위하여 돌기(111')가 바아(121')에 삽입된 상태로 문을 열게되는 경우 돌기(111')가 바아(121')의 말단까지 이동됨으로써 외부의 안전을 확인하고 다시 문을 닫은 후 바아(121')를 회전시켜 돌기(111')의 삽입상태를 해지 후 문을 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외부인이 문이 벌어진 약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끈으로써 바아(121')를 움직인다거나, 문이 벌어진 틈 사이로 판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밀어넣은 후 문을 잡아당겨 바아(121')를 회전시켜서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어 방범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열림방지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에 부착되며 일측에 돌출된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에 헤드가 형성된 걸림구; 문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와 걸어 고정되며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부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구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1작동슬릿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개구공이 형성된 외통부재; 상기 외통부재 내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구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2작동슬릿이 형성된 내통부재; 상기 내통부재가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외통부재 내에 설치되며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는 상기 헤드가 목부 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통부재는 상기 제1작동슬릿의 일측 단부에 상방으로 확개된 제1확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부재는 상기 제2작동슬릿의 양단부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확개된 제2확개공 및 제3확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확개공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확개공은 상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내통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을 열어서 걸어두었을때 외부에서 침입을 시도하더라도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없으므로 견고하고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D-D'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를 나타낸 'D-D'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용 안전고리(A)는, 문틀에 부착되며 일측에 돌출된 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22)에 헤드(24)가 형성된 걸림구(2); 문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와 걸어 고정되며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4);를 포함한다.
상기 걸쇠부(4)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5); 상기 힌지브라켓(5)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구(2)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1작동슬릿(61)이 형성된 외통부재(6); 상기 외통부재(6) 내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구(2)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2작동슬릿(72)이 형성된 내통부재(7); 상기 내통부재(7)가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외통부재(6) 내에 설치되며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8)을 포함한다.
걸림구(2)는 문틀에 볼트결합으로 부착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의 일측에 돌출된 목부(22)와, 상기 목부(22)의 끝단에 형성된 헤드(2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헤드(24)가 목부(22)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목부(22)의 상부, 즉 목부(22)와 헤드(24)가 이어지는 부위에 단턱(26)이 형성된다.
외통부재(6)는 내부가 비어 있고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파이프로써 일단부는 상기 힌지브라켓(5)과 축핀(51)으로 결합되는 힌지결합부(5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구(2)의 헤드(24)가 삽입된 채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제1작동슬릿(61)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내통부재(7)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공(64)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1작동슬릿(61)에는 힌지결합부(52)와 인접된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파여져 제1확개공(6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확개공(62)에 대향되는 부위에는 제1작동슬릿(61)보다 하방으로 파내어 요부(6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상방 및 하방은 도 2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요부(6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슬릿(61)과 이어지는 부위에 형성되며,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즉, 제1확개공(62)과 요부(63)를 통해 걸림구(2)의 헤드(24)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상기 걸림구(2)의 목부(22)가 부드럽게 제1작동슬릿(6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내통부재(7)는 외통부재(6)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써 상기 걸림구(2)의 목부(22)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제2작동슬릿(7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슬릿(72)의 양단부에는 상반되는 방향으로 제2확개공(74) 및 제3확개공(76)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확개공(74)이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확개공(76)은 상방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통부재(6)에 결합된 내통부재(7)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수단(8)이 장착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하면 내통부재(7)가 하방으로만 회전된다.
즉 내통부재(7)를 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돌린 후 놓으면 탄성수단(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있던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탄성수단(8)으로는 태엽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외통부재(6)의 개구공(64)을 통해 내통부재(7)를 삽입하여, 제2확개공(74)이 제1확개공(62)에 일치되도록 한 후 탄성수단(8)의 일단은 내통부재(7)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외통부재(6)에 고정시켜 걸쇠부(4)를 조립한다.
이후 외통부재(6)의 힌지브라켓(5)을 문에 장착하고, 문틀에는 걸림구(2)를 장착한다.
이후 걸림구(2)와 걸쇠부(4)의 잠금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부재(7)의 후단을 파지한 채 상방으로 약간만 회전시켜 제2확개공(74)과 제1확개공(62)이 일치되도록 한 후 헤드(24)를 끼워 넣는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부재(7)를 놓으면 탄성수단(8)의 복원력에 의해 내통부재(7)가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작동슬릿(72)의 상단이 목부(22)의 단턱(26)에 지지된다(F-F 단면도 참조).
이때는 제1작동슬릿(61)과 제2작동슬릿(72)이 일치된 상태이므로 걸림구(2)의 헤드(24) 및 목부(22)가 이동 가능하므로 문을 약간 열어 놓을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2)의 목부(22) 및 헤드(24)가 일치된 제1작동슬릿(61)과 제2작동슬릿(72)을 따라 이동하여 타단부에 위치되면, 내통부재(7)가 하방으로 더 회전되면서 제3확개공(76)의 상단이 목부(22)의 단턱(26)에 닿게되고, 제2작동슬릿(72)의 상부면이 제1작동슬릿(61)을 막아 차폐시키게 되므로 걸림구(2)의 목부(22) 및 헤드(24)는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내통부재(7)를 상방으로 약간 회전시켜 제1작동슬릿(61)과 제2작동슬릿(72)이 일치되도록 한 후 이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1 및 제2확개공(62,74)이 일치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걸림구(2)를 빼내면 해제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걸림구 4 : 걸쇠부
5 : 힌지브라켓 6 : 외통부재
7 : 내통부재 8 : 탄성수단
22 ; 목부 24 : 헤드
26 ; 단턱 52 : 힌지결합부
62 : 제1확개공 63 : 요부
64 ; 개구공 72 : 제2작동슬릿
74 : 제2확개공 76 : 제3확개공

Claims (7)

  1. 문틀에 부착되며 일측에 돌출된 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22)에 헤드(24)가 형성된 걸림구(2);
    문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와 걸어 고정되며 일정한 작동거리를 제공하는 걸쇠부(4);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부(4)는,
    문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5);
    상기 힌지브라켓(5)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구(2)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1작동슬릿(61)이 형성된 외통부재(6);
    상기 외통부재(6) 내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구(2)가 삽입된 채 이동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2작동슬릿(72)이 형성된 내통부재(7);
    상기 내통부재(7)가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외통부재(6) 내에 설치되며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2)는
    상기 헤드(24)가 목부(22)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목부(22)와 헤드(24)가 이어지는 부위에 단턱(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6)는
    상기 제1작동슬릿(61)의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파여져 제1확개공(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개공(62)에 대향되는 부위에는 제1작동슬릿(61)보다 하방으로 파여져 요부(6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7)는
    상기 제2작동슬릿(72)의 양단부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제2확개공(74) 및 제3확개공(7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개공(74)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확개공(76)은 상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8)은 내통부재(7)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발휘하는 태엽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20100021930A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1105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30A KR101105217B1 (ko)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30A KR101105217B1 (ko)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55A KR20110102755A (ko) 2011-09-19
KR101105217B1 true KR101105217B1 (ko) 2012-01-13

Family

ID=4495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930A KR101105217B1 (ko) 2010-03-11 2010-03-11 현관문용 안전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2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02A (ko) * 2000-04-12 2001-01-05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8028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프레시 동작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방법
JP2005009083A (ja) 2003-06-16 2005-01-13 Yuji Watanabe ドアガード
JP2005213759A (ja) 2004-01-27 2005-08-11 Guard Lock:Kk ドアガード装置
KR200448028Y1 (ko) 2009-07-08 2010-03-09 김준상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02A (ko) * 2000-04-12 2001-01-05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8028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프레시 동작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방법
JP2005009083A (ja) 2003-06-16 2005-01-13 Yuji Watanabe ドアガード
JP2005213759A (ja) 2004-01-27 2005-08-11 Guard Lock:Kk ドアガード装置
KR200448028Y1 (ko) 2009-07-08 2010-03-09 김준상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55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0536A (en) Combined casement window latch with locking means
KR101331892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JP4777136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100877568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20090098943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1105217B1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0720192B1 (ko) 도어 로크장치
US20170335599A1 (en) Guard for a latch to prevent opening
KR100309144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0648574B1 (ko) 2중 물림 빗장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200435383Y1 (ko) 창문 양방향 잠금장치
JP2013231499A (ja) 安全フック
US3468142A (en) Key-actuated latch for casement windows
KR102064641B1 (ko) 환기 및 방범 기능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0307419Y1 (ko) 미서기창에 사용되는 자물쇠 일체형 잠금장치
KR101105216B1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1024304B1 (ko) 출입문용 안전 고리
KR101359907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용 언록킹구
KR200164849Y1 (ko)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140229B1 (ko) 여닫이 도어의 안전잠금이
KR101656669B1 (ko)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회전구속기구
JP4167821B2 (ja) シリンダ錠の鍵孔シャッター
KR200190963Y1 (ko) 도어용 보조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