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037B1 -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037B1
KR101104037B1 KR1020090094378A KR20090094378A KR101104037B1 KR 101104037 B1 KR101104037 B1 KR 101104037B1 KR 1020090094378 A KR1020090094378 A KR 1020090094378A KR 20090094378 A KR20090094378 A KR 20090094378A KR 101104037 B1 KR101104037 B1 KR 10110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nulin
dextrin
derivativ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102A (ko
Inventor
추정한
노영혜
박현욱
한은실
장순희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94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투명도와 광택을 가지며, 휘발성 용해제를 포함한 경우 이의 휘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덱스트린, 이눌린, 점증제, 화장료, 젤

Description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Composition for oil thickener containing dextrin and inulin}
본 발명은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특히 젤 아이라이너와 같은 조성물은 피부에 색상을 부여하여 아름답고 건강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왁스, 오일, 필름 형성 중합제, 색소, 충전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향료 및 기타 영양 성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왁스는 실온(25˚C) 및 대기압(760 mmHg, 즉 105 Pa)에서 고체로 존재하는 지질을 의미한다. 이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왁스이며, 특히 미네랄, 동물, 식물 또는 합성 유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화수소 왁스, 실리콘 왁스, 플루오로 왁스 및 이들의 수소화, 이성화, 에스테르화 또는 히드록시화 된 형태가 독립되어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놀린 왁스, 레몬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몬탄 왁스, 밀랍, 베리 왁스, 셀락 왁스, 알파 왁스, 오렌지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오조케라 이트 왁스, 옻나무 왁스, 왕겨 왁스, 일본 왁스, 중국 곤충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해바라기 왁스 및 이들의 수소화, 이성화, 에스테르화 또는 히드록시화 된 형태가 독립되어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실온(25˚C) 및 대기압(760 ㎜Hg, 즉 105 Pa)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지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오일은 점도가 0.5 내지 300,000 cps,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00 cps,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00 cps 이다. 상기 오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오일이며, 특히 미네랄, 동물, 식물 또는 합성 유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특성을 지니는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 플루오로 오일이 독립되어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퀴드 파라핀, 스쿠알렌, 하이드로스쿠알렌, 팜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세사미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부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세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텐, 수첨폴리이소부텐, 각종 폴리올,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젖산 미리스틸, 옥틸 도데칸올,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실리콘오일 등이 독립되어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색소 및 충전제 성분으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안료, 예를 들어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모,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티탄피복 운모, 알루미늄 파 우더, 산화철, 카본블랙, 황산바륨, 실리카, 제올라이트, 나일론, PMMA, 폴리스틸렌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셀룰로오스 파우더 등의 무기 또는 유기 파우더 등이 독립되어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등의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의 유기 안료 및 진주 안료 등이 독립되어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덱스트린(dextrin)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inulin) 또는 그의 유도체가 우수한 지용성 점증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어, 이에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지용성 점증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과 차별화된 투명도 및 우수한 광택을 가진다. 특히 화장료 조성물이 휘발성 용해제를 함유하는 경우, 이의 휘발을 억제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하게 보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지용성 점증제"는 지질 성분의 점도 또는 경도를 증가시켜 주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지용성 점증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지용성 점증제이고, 구체적으로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지용성 점증제이며, 특히 미네랄, 동물, 식물 또는 합성 유래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부분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제형의 안정적인 경도를 확보하기 위해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들은 일반적으로 왁스의 결정화 현상에 의해 장기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에 변화가 생기거나 수축이 일어나거나 표면이 갈라지는 경우가 있으며, 왁스를 함유함으로써 화장료의 투명도와 광택이 저하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들은 화장료를 피부 또는 모발에 도포한 후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휘발성 용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기존의 조성물에서는 휘발성 용해제가 휘발되어 용기 내의 화장료가 단기간 내에 감소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지용성 점증제로 이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또는 모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와 광택을 증가시키며, 특히 화장료 조성물이 휘발성 용해제를 함유한 경우 휘발성 용해제의 휘발을 억제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 양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이 러한 효과는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 중 어느 하나만을 함유하는 경우보다 뛰어나다.
본 명세서의 "덱스트린"은 녹말을 산·열·효소 등으로 가수분해시킬 때 녹말에서 말토스에 이르는 중간 단계에서 생기는 여러 가지 가수분해 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무용 풀, 수성도료, 제과의 조합용이나 약품의 부형제 등으로 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널리 덱스트린으로 분류될 수 있는 화합물을 통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아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Figure 112009060938492-pat00001
상기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40인 탄화수소의 1가 아실(acyl)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40 인 방향족 탄화수소의 아실(acyl)기이고; n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의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1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40인 탄화수소의 1가 아실기는 메타노일(methanoyl)기, 에타노일(ethanoyl)기, 프로파노일(propanoyl)기, 이소프로파노일(isopropanoyl)기, 부타노일(butanoyl)기, 이소부타노일(isobutanoyl)기, t-부타노일(t-butanoyl)기, 펜타노일(pentanoyl)기, 헥사노일(hexanoyl)기, 옥타노일(octanoyl)기, 데카노일(decanoyl)기, 도데카노일(dodecanoyl)기 또는 옥타데카노일(octadecanoyl)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수 7 내지 40인 방향족 탄화수소 아실기는 페닐메타노일(phenylmethanoyl, benzoyl)기, 페닐에타노일(phenylethanoyl)기, 페닐프로파노일(phenylpropanoyl)기, 나프틸메타노일(naphtylmethanoyl)기, 나프틸에타노일(naphtylethanoyl)기 또는 나프틸프로파노일(naphtylpropanoyl)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일실시예에서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카프릴릴, 카프로일, 라우로일, 미리스틸, 팔미틸, 스테아릴, 에이코사닐, 도코사노일, 이소발레릴, 2-에칠부티릴, 에칠메칠아세틸, 이소헵타닐, 2-에칠헥사닐, 이소노나닐, 이소데카닐, 이소트리데카닐, 이소미리스틸, 이소팔미틸, 이소스테아릴, 이소헥사닐, 데세닐, 도데세닐, 테트라데세닐, 미리스토일, 헥사데세노일, 팔미톨레일, 올레일, 에이코세닐, 솔빌, 리놀레일, 리놀레닐, 아라키도닐, 또는 스테아로일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치바 플라우어 밀링사(Chiba Flour Milling Co., Ltd.)의 Rheopearl KL 및 Rheopearl TT, 니코 케미칼사(Nikko Chemicals Co., Ltd.)의 Nikkol Dextrin Palmitate, Nikkol Nikkowax LM 및 Nikkol Wood Wax, 오리엔탈 스타스 엘엘씨사(Orient Stars LLC)의 Oristar DTP 등의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 언급한 물질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효과가 미비하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이눌린"은 국화과의 땅속 줄기나 달리아의 알뿌리 등에 콜로이드상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당류의 일종이다. 그 성질은 전분과는 달리 온수에 녹고, 그 구조는 수크로오스의 프룩토오스 측에 D-프룩토플라노오스가 β-(2->1) 결합으로 순차적으로 탈수 중합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널리 이눌린으로 분류될 수 있는 화합물을 통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아래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며
Figure 112009060938492-pat00002
상기에서 R1 내지 R1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40인 탄화수소의 1가 아실(acyl)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40인 방향족 탄화수소의 아실(acyl)기이고; n은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의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1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40인 탄화수소의 1가 아실기는 메타노일(methanoyl)기, 에타노일(ethanoyl)기, 프로파노일(propanoyl)기, 이소프로파노일(isopropanoyl)기, 부타노일(butanoyl)기, 이소부타노일(isobutanoyl)기, t-부타노일(t-butanoyl)기, 펜타노일(pentanoyl)기, 헥사 노일(hexanoyl)기, 옥타노일(octanoyl)기, 데카노일(decanoyl)기, 도데카노일(dodecanoyl)기 또는 옥타데카노일(octadecanoyl)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수 7 내지 40인 방향족 탄화수소 아실기는 페닐메타노일(phenylmethanoyl, benzoyl)기, 페닐에타노일(phenylethanoyl)기, 페닐프로파노일(phenylpropanoyl)기, 나프틸메타노일(naphtylmethanoyl)기, 나프틸에타노일(naphtylethanoyl)기 또는 나프틸프로파노일(naphtylpropanoyl)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실시예에서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이눌린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눌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카프릴릴, 카프로일, 라우로일, 미리스틸, 팔미틸, 스테아릴, 에이코사닐, 도코사노일, 이소발레릴, 2-에칠부티릴, 에칠메칠아세틸, 이소헵타닐, 2-에칠헥사닐, 이소노나닐, 이소데카닐, 이소트리데카닐, 이소미리스틸, 이소팔미틸, 이소스테아릴, 이소헥사닐, 데세닐, 도데세닐, 테트라데세닐, 미리스토일, 헥사데세노일, 팔미톨레일, 올레일, 에이코세닐, 솔빌, 리놀레일, 리놀레닐, 아라키도닐, 또는 스테아로일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치바 플라우어 밀링사(Chiba Flour Milling Co., Ltd.)의 Rheopearl INS 및 Rheopearl ISK, 비에이에스에프사(BASF)의 Lifidrem INST 등의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 언급한 물질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효과가 미비하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용성 화장료 조성물의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가열, 혼합, 교반 등의 처리를 거침으로써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젤,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멀티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젤, 스프레이, 클렌져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휘발성 용해제, 농축제, 젤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점증제, 왁스,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필름 형성 중합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의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휘발성 용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아이크림, 아이 에센스,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립스틱, 립글로즈, 립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클렌져,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젤 아이라이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점증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연·경질 캅셀제, 산제, 세립제, 분제, 액제, 유탁제(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점증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주사제, 점적제, 로션, 연고, 젤, 크림,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2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mg/kg/일 내지 2.5mg/kg/일이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
(1) 조성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휘발성 용해제를 함유하는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왁스를 함유하고 덱스트린 및 이눌린은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 비교예 2 내지 3은 왁스 및 이눌린은 함유하지 않고 덱스트린을 함유한 조성물, 비교예 4 내지 5는 왁스 및 덱스트린은 함유하지 않고 이눌린을 함유한 조성물 이다. 실시예 1은 왁스는 함유하지 않고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덱스트린으로는 덱스트린팔미테이트 또는 덱스트린미리스테이트를 사용하였고, 이눌린으로는 스테아로일이눌린 또는 팔미토일이눌린을 사용하였다.
성분명(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이소도데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흑색산화철 25 25 25 25 25 25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20 20 20 20 20 2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 15 15 15 15 15
폴리에칠렌 5 - - - - -
덱스트린팔미테이트 - 5 - - - 5
덱스트린미리스테이트 - - 5 - - -
스테아로일이눌린 - - - 5 - 5
팔미토일이눌린 - - - - 5 -
바륨설페이트 3 3 3 3 3 3
실리카 3 3 3 3 3 3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3 3 3 3 3 3
폴리이소부텐 2 2 2 2 2 2
프로필렌카보네이트 1 1 1 1 1 1
향료 및 보존제 충분량 충분량 충분량 충분량 충분량 충분량
(2) 제조방법
상기 성분 모두를 90˚C에서 3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탈기하고 여과한 후 적절한 용기에 충전하여,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투명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의 투명도를 유브이-비저블 스펙트로미터(UV-Visibl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을 측정셀에 샘플링하고 빛(600nm)을 조사하였을 때의 투과된 양을 측정하여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값이 높을수록 투과도(투명도)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투과도(%) 58 78 76 75 72 92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의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과 같이 왁스를 함유한 비교예 1 및 각각 덱스트린 또는 이눌린을 함유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에 비해, 덱스트린과 이눌린을 모두 함유한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었다. 즉, 덱스트린과 이눌린을 모두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지 않거나 이들 중 하나만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과 차별화되는 우수한 투명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광택도 평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5 및 실시예 1에 따른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의 광택을 광택계(glossmeter)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광택 측정지에 비교예 1 내지 5 및 실시예 1에 의한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을 일정한 힘으로 3회 왕복 도포한 후 광택계(Gardner사)를 이용하여 60도의 반사 각도로 도포 면에 빛을 쏘았을 때의 반사량을 측정하여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5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수치가 높을수록 광택도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광택도 57.3 86.9 85.8 83.0 82.2 92.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과 같이 왁스를 함유한 비교예 1 및 각각 덱스트린 또는 이눌린을 함유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에 비해, 덱스트린과 이눌린을 모두 함유한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광택도를 나타내었다. 즉, 덱스트린과 이눌린을 모두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지 않거나 이들 중 하나만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뛰어난 광택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휘발 억제 효능 평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5 및 실시예 1에 따른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의 휘발성을 오픈 테스트(open test)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일반 젤 아이라이너 용기에 비교예 1 내지 5 및 실시예 1에 의한 젤 아이라이너 조성물을 동일한 양으로 충전시킨 후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실온(25˚C) 및 대기압(760 ㎜Hg, 즉 105 Pa)에서 30일 간 보관하였고, 휘발에 따른 건조감량을 조성물의 중량 변화로써 평가하였다. 하기 표 4의 결과에 나타낸 중량 변화율(%)의 수치가 적을수록 휘발성 용해제가 휘발되지 않고 조성물 내에 안정하게 보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30일 후 중량변화율(%) 7.2 2.9 3.4 5.0 5.7 1.1
상기 표 4 에서 알 수 있듯이, 왁스를 함유하는 비교예 1 및 각각 덱스트린또는 이눌린을 함유하는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에서 관찰되는 휘발 억제 효과에 비해 덱스트린과 이눌린을 모두 함유하는 실시예 1의 휘발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즉, 덱스트린과 이눌린을 모두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지 않거나 이들 중 하나만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더욱 탁월하게 휘발성 용해제를 안정하게 보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시험예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과 같이 왁스를 함유한 조성물,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한 조성물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한 조성물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예인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께 함유한 조성물은 차별화되는 뛰어난 투명도를 가졌고, 광택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휘발성 용해제를 함유한 경우 이의 휘발을 억제하여 감량을 개선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한 조성물,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한 조성물과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께 함유한 조성물을 비교해 볼 때, 후자는 전자들에 비해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Claims (15)

  1. 덱스트린(dextrin)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눌린(inulin) 또는 그의 유도체를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5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아이라이너(eye liner)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아래 구조를 가지며
    Figure 112011041202465-pat00003
    상기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40인 탄화수소의 1가 아실(acyl)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40인 방향족 탄화수소의 아실(acyl)기이고; n은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의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1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인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카프릴릴, 카프로일, 라우로일, 미리스틸, 팔미틸, 스테아릴, 에이코사닐, 도코사노일, 이소발레릴, 2-에칠부티릴, 에칠메칠아세틸, 이소헵타닐, 2-에칠헥사닐, 이소노나닐, 이소데카닐, 이소트리데카닐, 이소미리스틸, 이소팔미틸, 이소스테아릴, 이소헥사닐, 데세닐, 도데세닐, 테트라데세닐, 미리스토일, 헥사데세노일, 팔미톨레일, 올레일, 에이코세닐, 솔빌, 리놀레일, 리놀레닐, 아라키도닐, 또는 스테아로일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아래 구조를 가지며
    Figure 112011041202465-pat00004
    상기에서 R1 내지 R1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40인 탄화수소의 1가 아실(acyl)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40인 방향족 탄화수소의 아실(acyl)기이고; n은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의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1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인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이눌린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눌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카프릴릴, 카프로일, 라우로일, 미리스틸, 팔미틸, 스테아릴, 에이코사닐, 도코사노일, 이소발레릴, 2-에칠부티릴, 에칠메칠아세틸, 이소헵타닐, 2-에칠헥사닐, 이소노나닐, 이소데카닐, 이소트리데카닐, 이소미리스틸, 이소팔미틸, 이소스테아릴, 이소헥사닐, 데세닐, 도데세닐, 테트라데세닐, 미리스토일, 헥사데세노일, 팔미톨레일, 올레일, 에이코세닐, 솔빌, 리놀레일, 리놀레닐, 아라키도닐, 또는 스테아로일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눌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삭제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형 아이라이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094378A 2009-10-05 2009-10-05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 KR10110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78A KR101104037B1 (ko) 2009-10-05 2009-10-05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78A KR101104037B1 (ko) 2009-10-05 2009-10-05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02A KR20110037102A (ko) 2011-04-13
KR101104037B1 true KR101104037B1 (ko) 2012-01-09

Family

ID=4404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378A KR101104037B1 (ko) 2009-10-05 2009-10-05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868A1 (en) * 2016-12-12 2018-06-21 M-I L.L.C. Wax modifier in hydrocarbon flu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886B1 (ko) * 2014-01-02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9628A (ja) * 2006-12-28 2008-08-07 Kose Corp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9628A (ja) * 2006-12-28 2008-08-07 Kose Corp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868A1 (en) * 2016-12-12 2018-06-21 M-I L.L.C. Wax modifier in hydrocarbon flu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647906B2 (en) 2016-12-12 2020-05-12 M-I L.L.C. Wax modifier in hydrocarbon flu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02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7471B2 (ja) 機能性粉体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KR20090034915A (ko) 피부 외용 주름 방지제
KR20150057919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9298765A (ja) 美肌用遺伝子発現促進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保湿用組成物及び美肌用組成物
JP4624831B2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KR102429854B1 (ko)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KR20180036232A (ko)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JP5931223B2 (ja) 皮膚外用剤
KR101104037B1 (ko)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함유하는 지용성 점증제 조성물
JP2003300856A (ja) 化粧料組成物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KR101626471B1 (ko) 천연색소 변색방지용 조성물
JP4672328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18035127A (ja) 水中油型化粧料
JP2004131401A (ja) 皮膚化粧料
PL192218B1 (pl) Produkt kosmetyczny zawierający szelak i sposób jego wytwarzania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JP3953387B2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JP6144536B2 (ja) 美白剤
KR20140099176A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JP2005187466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04224785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05145929A (ja)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03238381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