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902B1 -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 Google Patents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902B1
KR101103902B1 KR1020090117279A KR20090117279A KR101103902B1 KR 101103902 B1 KR101103902 B1 KR 101103902B1 KR 1020090117279 A KR1020090117279 A KR 1020090117279A KR 20090117279 A KR20090117279 A KR 20090117279A KR 101103902 B1 KR101103902 B1 KR 101103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lifting device
coupled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640A (ko
Inventor
이강
박수열
이태관
함성일
조준범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9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하나의 보 또는 적층된 보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격된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부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보가 안착되는 하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와, 일측이 상부 회전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하부 회전부 또는 지지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부와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부 회전부 및 상부 회전부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보뿐만 아니라 적층된 복수의 보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양중장치, 보, 지지플레이트, 회전부, 다중보

Description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LIFTING DEVICE HAVING A MULTIPLE-BEAM HOLDER USING GRAVIT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건설용 보 양중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다중보를 양중시킬 수 있는 다중 보 양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 양중장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묶고 풀거나,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나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보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보 양중장치 중 전기를 이용하는 보 양중장치가 타워크레인과 같이 상당한 높이를 갖는 크레인에 적용되는 경우, 크레인과 양중장치 사이의 거리가 매우 길어 양중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이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개별적인 보뿐만 아니라 적층된 복수의 보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보의 자체 하중을 이용하여 개별적인 보뿐만 아니라 적층된 복수의 보를 지지하여 양중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보의 양중과정에서 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넸째, 작업자의 지원작업 없이 개별적인 보 또는 적층된 복수의 보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에 사용되는 보 미끄럼 방지부는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보를 운반하는 경우,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에서 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하나의 보 또는 적층된 보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격된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부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보가 안착되는 하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와, 일측이 상부 회전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하부 회전부 또는 지지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하부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절개구가 형성되고,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부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절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회전부는 일측이 지지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가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본체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타측이 상기 보와 맞닿아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접촉부재와, 접촉부재가 지지플레이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에는 지지플레이트 외부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보와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재의 타측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부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회전부는 일측이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접촉부재가 보에 맞아 회전하는 경우,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회전되어, 본체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재와, 안착부재가 지지플레이트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안착부재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형성되어, 안착부재가 보와 이격되는 경우, 안착부재의 타측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는 일단이 상부 연장부재와 결합되며, 타단이 하부 연장부재 또는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의 타단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와 결합되는 경우, 상부 연장부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촉부재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연결부의 타단이 하부 연장부재와 결합되는 경우, 상부 연장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 하부 연장부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는 일단이 상부 연장부재와 결합되는 연결스트립과, 연결스트립의 타단에 결합되어 하부 연장부재 또는 지지플레이트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부재의 일측면에는 보가 안착되는 경우, 보와 안착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미끄러짐방지패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연장부재와 하부 연장부재의 일측에는 지지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부 회전부의 스토퍼는 상부 회전부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하부 회전부의 스토퍼는 하부 회전부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하나의 보(beam) 또는 적층된 보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격된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부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보가 안착되는 하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와,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부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가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부는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와, 제1 구동모터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 회전부에 결합되는 연결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가변연결부는 하부 회전부 또는 상부 회전부 중 일 회전부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와, 제2 구동모터에 결합되고, 타 회전부에 결합되는 연결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모터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보의 웨브(web)에 대응되는 길이로 신축가능한 지지부; 및 지지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웨브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flange)와 맞닿는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보 미끄럼 방지부가 더 구비되며, 보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보의 양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회전부에 맞닿아 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부는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프식 접철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부와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부 회전부 및 상부 회전부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보뿐만 아니라 적층된 복수의 보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와 맞닿아 회전하는 하부 회전부를 이용하여, 하부 회전부에 가해지는 자체 하중을 이용하여 보를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하부 회전부에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운반 중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내에서 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구동부와 가변연결부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지원작업 없이 개별적인 보 또는 적층된 보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에 사용되는 보 미끄럼 방지부는 보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결합되어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보를 운반하는 경우,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에서 보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의 설명에 앞서 내측과 외측의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내측'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 사이의 공간을 내측이라 하며, 내측의 바깥 공간을 외측이라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중보'는 각각의 보가 상측방향으로 적층되어 쌓인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이하 '양중장치'라 함)에 관하여 도 1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크레인(도면 미도시)과 연결된다. 또한, 보(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격된 지지플레이트(1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도록 대략 평형하게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의 간격'은 H보 등 다양한 형태의 보들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에 대응되는 간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회전부(20)는 지지플레이트(11)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 회전부(20)는 회전각도에 따라 보(100)가 안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회전부(30)는 하부 회전부(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지 지플레이트(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40)의 일측은 상부 회전부(30)에 결합되며, 타측은 하부 회전부(20) 또는 지지플레이트(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결합된다'는 의미는 작업단계에 따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부 회전부(30)와 지지플레이트(11)를 연결부(40)로 연결시키거나 상부 회전부(30)와 하부 회전부(20)를 연결부(40)로 연결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11)는 연결플레이트(12)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지지플레이트(11)와 연결플레이트(12)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플레이트(12)는 본체부(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크레인(미도시)과 연결된다.
지지플레이트(11)는 보(100)가 삽입되고, 상부 회전부(30)와 하부 회전부(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플레이트(12)의 저면 양측에 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부(10)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2 및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
Figure 112009073919675-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플레이트(12)의 저면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는 연결플레이트(12)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등 다양한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보(100)를 양중시키는 작업 중에 보(100)가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보(100)의 플랜지(102)의 폭에 대응되도록 평행하게 이격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1의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11)의 하부에는 하부절개구(11b)와 상부절개구(11a)가 형성된다.
하부절개구(11b)와 상부절개구(11a)는 하부 회전부(20) 및 상부 회전부(30)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회전부(20)와 상부 회전부(30)는 하부절개구(11b)와 상부절개구(11a)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이용하여 지지플레이트(11)에 결합된다.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절개구(11a)에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30)는 접촉부재(31)와 상부 연장부재(32)로 이루어진다.
접촉부재(31)는 일측이 상부절개구(11a)의 내부에서 지지플레이트(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접촉부재(31)는 지지플레이트(11) 사이에 보(100)가 삽입된 후, 연결부(40)의 타측이 지지플레이트(1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부(10)를 상승시키는 경우, 내측에 삽입된 보(100)와 맞닿아 회전하게 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상부 연장부재(32)는 지지플레이트(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부 재(31)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 즉 접촉부재(31)가 지지플레이트(11)와 수직상태에 있는 경우, 지지플레이트(1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지지플레이트(11)에 결합된 상부 회전부(20)를 기준으로 대략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연장부재(32)는 연결부(40)의 타측이 지지플레이트(11)에서 분리된 경우, 상부 연장부재(32)의 자체 하중에 의해 접촉부재(31)의 타측을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으로 회전시킨다(도 5 및 도 6 참조).
하부절개구(11b)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부(20)는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에 삽입되는 보(10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21)와 안착부재(21)에 연장형성되는 하부 연장부재(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착부재(21)와 하부 연장부재(22)로 이루어진 하부 회전부(20)는 안착부재(21)와 하부 연장부재(22)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보(100)의 양중작업 중 보(100)를 안전하게 운반시키기 위해, 하부 회전부(20)는 좌측 지지플레이트(11)에 결합된 하부 회전부(20)를 기준으로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3참조).
안착부재(21)는 일측이 하부절개구(11b)의 내부에서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안착부재(21)는 지지플레이트(11) 사이에 보(100)가 삽입된 후, 연결부(40)의 타측이 하부 회전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10)를 상승시키는 경우, 내측에 삽입된 보(100)의 플랜지(102)와 맞닿게 된다(도 7 및 도 8 참조).
하부 연장부재(22)는 안착부재(21)가 지지플레이트(11)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형성되어, 본체부(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착부재(21)가 보(100)와 이격되는 경우, 하부 연장부재(22)의 자체 중량에 의해 안착부재(21)의 타측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방법으로 부연하면, 하부 연장부재(22)는 안착부재(21)가 보(100)를 양중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절곡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연장부재(22)가 절곡된 각도로 인해 보(100)가 지지플레이트(11)에 불삽입 되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앞에서 살펴본 상부 회전부(30)에는 하부 회전부(20) 또는 지지플레이트(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부(40)가 결합된다.
연결부(40)의 일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부(30)의 상부 연장부재(32)와 결합되며, 연결부(40)의 타단은 작업단계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1)의 상부 또는 하부 회전부(20)의 하부 연장부재(22)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연결부(40)의 타단이 지지플레이트(11)의 상부와 결합된 경우, 연결부(40)는 상부 연장부재(32)를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상부 방향으로 견인하여, 상부 연장부재(32)를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1 내지 도 5 참조).
상부 연장부재(32)가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부 연장부재(32)와 일체로 형성된 접촉부재(31)는 상부 연장부재(3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접촉부재(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절개구(11a) 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40)의 타단이 지지플레이트(11)에서 분리된 경우, 상부 회전부(30)는 상부 연장부재(32)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1)에서 분리된 연결부(40)를 하부 회전부(20)에 결합시키고, 상부 연장부재(32)를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부 연장부재(32)에 결합된 연결부(40)는 하부 연장부재(22)를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상부 연장부재(32)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스트립(41)과 후크(42)로 이루어진다.
연결스트립(41)은 양중장치가 양중시키는 보의 무게에 따라 체인, 로프 등 다양한 재질 및 형태를 채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스트립(41)의 일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연장부재(32)에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공(32b)에 결합되며, 타단은 후크(42)와 결합된다.
후크(42)는 지지플레이트(11) 또는 하부 연장부재(22)와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11)의 상부와 하부 연장부재(22)에는 후크(42)와 체결되는 체결공(11c, 22b)이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11)에 형성된 체결공(11c)의 하부, 지지플레이트(11) 상에는 연결스트립(41)이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연결스트립(41)이 삽입되는 가이드공(11d)이 형성된다.
안착부재(2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1) 사이에 보(100)가 삽입된 후, 연결부(40)의 타측이 하부 회전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10)를 상승시키는 경우, 내측에 삽입된 보(100)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보(100)를 양중시키는 작업 중에 보(100)가 안착부재(21)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착부재(21)의 일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안착부재(21)와 보(100)가 맞닿는 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00)와 안착부재(21)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미끄럼방지패드(21a)가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하부 연장부재(22)와 상부 연장부재(32)에는 하부 회전부(20)와 상부 회전부(30)가 회전시 하부 연장부재(22)와 상부 연장부재(32)가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22a, 32a)가 설치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스토퍼(22a, 32a)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연장부재(22)와 상부 연장부재(32)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부 회전부(20) 및 상부 회전부(30)의 회전시 하부절개구(11b) 및 상부절개구(11a)에 맞닿을 수 있도록 바(bar) 형상의 스토퍼(22a, 32a)가 형성된다.
하부 회전부(20)의 안착부재(21)가 보(100)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을 정도로 넓은 면적을 갖고 형성되는 경우, 하부 회전부(20)는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보다 안정적으로 보(100)를 안착시켜 양중시키기 위하여, 하부 회전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1) 상에 동일한 높이를 갖고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부 회전부(20)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지지플레이트(11)에는 상부 회전부(30)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회전부(20)와 상부 회전부(30)가 지지플레이트(11)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하부 회전부(2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하부 회전부(20)의 스토퍼(22a)는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부 회전부(3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부 회전부(30)의 스토퍼(32a)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양중장치가 보의 상승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하부 회전부(20) 및 상부 회전부(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는 보(100)의 플랜지(102)와 플랜지(102)가 맞닿아 적층된 상태에서 양중장치가 적층된 보(100)의 상부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상부 회전부(30)에 결합된 연결부(40)는 지지플레이트(11)의 체결공(11c)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회전부(30)의 접촉부재(31)는 상부절개구(11a)내에 위치된다.
또한, 하부 회전부(20)는 안착부재(21)는 하부 연장부재(22)의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절개구(11b) 내부에 위치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면으로 적층된 보(100)가 삽입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본체부(10)는 지지플레이트(11)에 결합된 상부 회전부(30)의 높이가 적층된 복수의 보(100) 중 최하단에 위치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 높이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1)에 결합된 연결부(40)를 지지플레이트(11)와 분리시킨 뒤, 하부 회전부(2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회전부(30)는 상부 연장부재(32)의 자체 중량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 방향, 즉 도 6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11)에 설치된 상부 회전부(30)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부(10)를 상승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부(30)의 접촉부재(31)는 최하단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와 맞닿아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좌측 지지플레이트(11)에 결합된 상부 회전부(3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부(30)의 접촉부재(31)가 최하단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에 맞닿아 상부 회전부(30)가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 회전부(30)에 연결된 연장부(40)는 하부 회전부(20)를 견인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장부(40)에 의해 견인된 하부 회전부(20)는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본체부(10)가 상승되면,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한 하부 회전부(20)의 안착부재(21)는 최하단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의 저면과 맞닿게 된다.
안착부재(21)가 최하단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에 맞닿은 상태에서 본체부(10)를 계속 상승시키면, 최하단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는 안착부재(21)에 안착된 상태로 상승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가 보를 하강시키는 경우의 작동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00)가 놓일 장소로 양중장치를 이동시키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부 회전부(20)의 안착부재(21)는 상부 플랜지(102)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하부 회전부(20)는 하부 회전부(20)의 하부 연장부재(22)의 자체 중량에 의해 지지부재(1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본체부(1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회전부(30)의 접촉부재(31)는 도 12와 같이 중간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와 맞닿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31)가 중간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와 맞닿게 되면, 상부 회전부(30)는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회전부(30)와 연결부(40)로 연결된 하부 회전부(20)는 지지플레이트(1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를 상승시키면, 하부 회전부(20)의 안착부재(21)는 중간에 적층된 보(100)의 상부 플랜지(102)에 맞닿게 되어 중간에 적층된 보(100)를 최하단에 적층된 보(1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앞에서 살펴본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 적층된 복수의 보(100)를 각각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및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적층된 복수의 보(100)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하나의 보를 운반하는 경우에도 양중장치는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본체부(10)의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보(beam)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격된 지지플레이트(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회전부(20)는 지지플레이트(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회전부(20)는 회전각도에 따라 보(100)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회전부(30)는 하부 회전부(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50)는 상부 회전부(30)와 지지플레이트(11)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회전부(3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연결부(60)는 상부 회전부(30)와 하부 회전부(20)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회전부(30)와 하부 회전부(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킨다.
양중장치의 지지플레이트(11)가 형성된 본체부(10), 하부 회전부(20) 및 상부 회전부(30)는 위에서 설명된 양중장치와 동일한 기능 및 형상을 갖고 형성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 구동부(60) 및 가변연결부(60)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구동부(50)는 상부 회전부(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51)와, 제1 구동모터(51)와 상부 회전부(30)에 결합되는 연결스트립(52)으로 이루어진다.
연결스트립(52)은 일단은 제1 구동모터(51)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회전부(30)에 결합되어 제1 구동모터(51)가 구동되어 연결스트립(52)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부 회전부(30)를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가변연결부(60)는 하부 회전부(20) 또는 상부 회전부(30) 중 일 회전부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61)와 제2 구동모터(6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타 회전부에 결합되는 연결스트립(6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부(30)에 제2 구동모터(61)가 설치되고, 연결스트립(62)의 타단은 하부 회전부(20)에 결합이 되었으나, 하부 회전부(20)에 제2 구동모터(61)가 설치되고, 연결스트립(62)의 타단이 상부 회전부(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구동모터(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보(100)가 지지플레이트(11) 사이로 삽입될 때, 상부 회전부(30)가 지지플레이트(11)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스트립(52)를 잡아당긴다.
이때, 가변연결부(60)의 연결스트립(62)은 하부 회전부(20)와 상부 회전부(30) 사이에서 장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연결스트립(62)을 충분하게 풀어준다.
지지플레이트(11) 사이에 적층된 보(100)가 삽입된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부(50)의 제1 구동모터(51)는 연결스트립(52)이 장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풀어준다.
또한, 가변연결부(60)의 제2 구동모터(61)는 연결스트립(62)을 장력이 발생되는 상태까지 팽팽하게 잡아당겨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작업과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적층된 보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50)의 제1 구동모터(51)와 가변연결부(60)의 제2 구동모터(61)는 본체부와 연결된 견인장치, 예를 들어 크레인의 조정부와 연결되어 크레인의 내부에서 제어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장 외부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에 사용되는 보 미끄럼 방지부의 사용상태도이다.
앞에서 살펴본 반자동 또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는 하부 회전부(20)에 보(100)를 안착된 상태로 양중시키므로, 보(100)의 양중작업 중 하부 회전부(20)에서 보(100)가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보(100)의 웨브(web, 101)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102) 사이에는 보(100)의 웨브(101)에 대응되는 길이로 신축가능한 지지부(80)와, 신축가능한 지지부(80)의 양단에 설치되어 플랜지(102)와 맞닿는 미끄럼방지패드(90)로 이루어지는 양중장치에 사용되는 보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양중장치에 사용되는 보 미끄럼 방지부의 지지부(80)는 내경과 외경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인출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된 텔레스코프식 접철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의 보 상승시 작동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의 보 하강시 작동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에 사용되는 보 미끄럼 방지부의 사용상태도이다.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 : 지지플레이트
11a : 상부절개구 11b : 하부절개구
11c : 체결공 11d : 가이드공
12 : 연결플레이트 20 : 하부 회전부
21 : 안착부재 21a : 미끄럼방지패드
22 : 하부 연장부재 22a : 스토퍼
22b : 체결공 30 : 상부 회전부
31 : 접촉부재 32 : 상부 연장부재
32a : 스토퍼 32b : 고정공
40 : 연결부 41 : 연결스트립
42 : 후크 50 : 구동부
51 : 제1 구동모터 52 : 연결스트립
60 : 가변연결부 61 : 제2 구동모터
62 : 연결스트립 80 : 지지부
90 : 미끄럼방지패드 100 : 보
101 : 웨브 102 : 플랜지

Claims (15)

  1. 하나의 보(beam) 또는 적층된 보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격된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보가 안착되는 하부 회전부;
    상기 하부 회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 및
    일측이 상기 상부 회전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 회전부 또는 지지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절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절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타측이 상기 보와 맞닿아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접촉부재와, 접촉부재가 지지플레이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에는 지지플레이트 외부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보와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재의 타측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부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보에 맞아 회전하는 경우,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재와, 안착부재가 지지플레이트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보와 이격되는 경우,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상부 연장부재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부 연장부재 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상부 연장부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접촉부재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상기 하부 연장부재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상부 연장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하부 연장부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상부 연장부재와 결합되는 연결스트립과, 상기 연결스트립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연장부재 또는 지지플레이트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보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보와 상기 안착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미끄러짐방지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장부재와 하부 연장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상부 회전부의 스토퍼는 상기 상부 회전부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하부 회전부의 스토퍼는 상기 하부 회전부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11. 하나의 보(beam) 또는 적층된 보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격된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보가 안착되는 하부 회전부;
    상기 하부 회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상부 회전부와 상기 하부 회전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회전부와 하부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가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와, 제1 구동모터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회전부에 결합되는 연결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연결부는 상기 하부 회전부 또는 상부 회전부 중 일 회전부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와, 제2 구동모터에 결합되고, 타 회전부에 결합되는 연결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14.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보의 웨브(web)에 대응되는 길이로 신축가능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웨브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flange)와 맞닿는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보 미끄럼 방지부가 더 구비되며,
    보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보의 양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회전부에 맞닿아 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프식 접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KR1020090117279A 2009-11-30 2009-11-30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KR101103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279A KR101103902B1 (ko) 2009-11-30 2009-11-30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279A KR101103902B1 (ko) 2009-11-30 2009-11-30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640A KR20110060640A (ko) 2011-06-08
KR101103902B1 true KR101103902B1 (ko) 2012-01-12

Family

ID=4439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279A KR101103902B1 (ko) 2009-11-30 2009-11-30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9111A (zh) * 2019-01-14 2019-05-14 武汉华工图像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松紧度可调的复合涂料及其涂布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85A (ja) * 1992-06-23 1994-01-14 Toray Ind Inc 定着器
JPH06271246A (ja) * 1993-03-16 1994-09-27 Mitsui Constr Co Ltd 建築資材用揚重リフ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85A (ja) * 1992-06-23 1994-01-14 Toray Ind Inc 定着器
JPH06271246A (ja) * 1993-03-16 1994-09-27 Mitsui Constr Co Ltd 建築資材用揚重リ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640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2395T3 (es) Método y aparato de cableado
US20150166297A1 (en) Cable reel trailer
CN104641522B (zh) 抓线器
JP5179481B2 (ja) ハッチカバーにおける装置
KR102038334B1 (ko)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치와 포설공법 및 이에 사용된 스네이크대차
CN101723277A (zh) 升降装置
CN107018455B (zh) 扬声器箱的连接装置,悬置在彼此下面的扬声器箱的布置,以及安装该布置的方法
JP5421745B2 (ja) 充電機能付き駐車装置
EP3498655B1 (en) Crane assembling method
JP6408601B2 (ja) 長さ調整可能な引っ張り部材
KR101103902B1 (ko)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장치
KR102437980B1 (ko) 파일 인양 장치
JP2011251834A (ja) クレーン装置
KR20100135379A (ko) 경계석 고정집게
EP2870101B1 (en) Forestry skyline and a driving assembly of such skyline
JP6391460B2 (ja) ウインチドラム
JP5216300B2 (ja) 昇降チェーン交換装置、及び、昇降チェーン交換装置の使用方法
ES2801057T3 (es) Conjunto y método para entregar una pila de paneles de cubierta de tejado en una ubicación de uso
JP6714980B2 (ja) 羽根付き鋼管杭等の長尺構造物の吊り具
CN110790151B (zh) 车辆搭载型起重机用回转柱
CN217627134U (zh) 一种变截面预制桩用起吊设备
JP5854748B2 (ja) 走行クレーンの免震支持装置
KR101202661B1 (ko) 블록 축조방법
JP6082286B2 (ja) チェーン揺動装置、搬送装置、立体駐車装置
KR20130092917A (ko) 포크레인 장착 굴착저면 중량물 적치 크레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