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235B1 -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235B1
KR101103235B1 KR1020107010819A KR20107010819A KR101103235B1 KR 101103235 B1 KR101103235 B1 KR 101103235B1 KR 1020107010819 A KR1020107010819 A KR 1020107010819A KR 20107010819 A KR20107010819 A KR 20107010819A KR 101103235 B1 KR101103235 B1 KR 10110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roove
tire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033A (ko
Inventor
유끼히로 기와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10007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60C11/0309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11/132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a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74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Abstract

블록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을 억제하여, 에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킴으로써 제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센터 리브(16)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둘레 방향 가는 홈(18)을 개재하여, 복수의 센터 블록(24)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을 배치하고, 숄더 리브(26)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둘레 방향 얕은 홈(28)을 개재하여, 복수의 숄더 블록(32)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을 배치한다.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는, 노면과의 마찰에 의해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이 말려 올라가려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센터 블록(24)은 센터 리브(16)에 인접하고 있고, 숄더 블록(32)은 숄더 리브(26)에 인접하고 있고, 센터 리브(16)는 센터 블록(24)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작용하고, 숄더 리브(26)는 숄더 블록(32)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므로, 각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이 억제되어,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도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 타이어, 특히 에지 효과에 의해 제동 성능을 확보 가능한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타이어에서는, 에지 효과를 출현시킴으로써 우수한 제동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개의 둘레 방향 주 홈과 대략 폭 방향의 러그 홈을 트레드에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블록을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9-328003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홈의 배치 형태를 채용한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는, 습윤 노면 등의 마찰 계수가 작은 소위 저μ로(低μ路)에 있어서는, 블록의 에지를 효과적으로 작용시켜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지만,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는, 노면과의 마찰에 의해, 블록의 축출측에 있어서의 러그 홈 에지 부분에서 블록이 말려 올라가, 충분한 제동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블록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을 억제하여, 에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킴으로써 우수한 제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 타이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름 저항을 저감 가능한 공기 타이어의 제공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둘레 방향 주 홈과, 이들의 상기 둘레 방향 주 홈 사이, 및 가장 외측의 둘레 방향 주 홈과 트레드 접지 단부 사이의 각각으로 구획되는 랜드부열에, 상기 둘레 방향 주 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러그 홈을 트레드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랜드부열 내에서, 둘레 방향 주 홈과, 이 둘레 방향 주 홈에 인접시켜 형성한, 그 둘레 방향 주 홈보다 얕은 둘레 방향 얕은 홈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함과 함께, 그 랜드부열의 잔부를,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이 공기 타이어에서는, 습윤 노면 등의 저μ로에 있어서는, 종래의 공기 타이어와 마찬가지로, 블록의 축출측에서 러그 홈의 에지가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입력시, 예를 들어 제동시에 있어서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는, 노면과의 마찰에 의해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이 말려 올라가려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에는, 둘레 방향 주 홈보다 얕은 둘레 방향 얕은 홈을 개재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인접시켜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가 블록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므로,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이 억제되어,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도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입력이 있는 경우, 블록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하지만, 블록에 인접한 리브가 블록의 타이어 폭 방향의 변형을 억제하므로, 블록을 구성하는 고무의 내부 마찰에 기인하는 발열이 저감되어,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져, 차량의 저연비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이 공기 타이어에서는, 급가속시에 있어서도,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둘레 방향 주 홈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 사이, 및 가장 외측의 둘레 방향 주 홈과 트레드 접지 단부 사이의 각각으로 구획되는 랜드부열에, 상기 둘레 방향 주 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러그 홈을 트레드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랜드부열 내에서, 둘레 방향 주 홈과, 이 둘레 방향 주 홈에 인접시켜 형성한, 그 둘레 방향 주 홈보다 폭이 좁은 둘레 방향 가는 홈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함과 함께, 그 랜드부열의 잔부를,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로 하여 이루어지고, 이 블록열의 블록 및 상기 리브가 접지하여 압축 변형된 자세에서, 상기 블록의 측면과, 상기 리브의 측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둘레 방향 가는 홈의 홈 폭을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이 공기 타이어에서는, 습윤 노면 등의 저μ로에 있어서는, 종래의 공기 타이어와 마찬가지로,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가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입력시, 예를 들어 제동시에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는, 노면과의 마찰에 의해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이 말려 올라가려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블록 및 리브가 접지하였을 때에는, 블록 및 리브가 압축 변형되어 블록의 측면과 리브의 측면이 접촉하므로, 리브가 블록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작용하여,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이 억제되어,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도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입력이 있는 경우, 블록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하지만, 블록에 인접한 리브가 블록의 타이어 폭 방향의 변형을 억제하므로, 블록을 구성하는 고무의 내부 마찰에 기인하는 발열이 저감되어,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져, 차량의 저연비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에서는, 급가속시에 있어서도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러그 홈의 각도가 4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타이어에서는, 트레드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러그 홈의 각도를 45°이상으로 함으로써, 러그 홈으로 구획되는 블록의 러그 홈측 에지에 대하여, 제동시 등에 러그 홈측 에지와 직각 방향의 힘(제동시의 입력 등)이 작아져,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제동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러그 홈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의 상한값은 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그 홈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70°를 초과하면, 블록 강성이 저하되어, 예를 들어 조종 안정성, 편마모 등의 악화의 원인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는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블록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을 억제하여, 에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킴으로써 제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블록의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져, 차량의 저연비화에도 공헌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는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동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의 평면도이며, 도 1의 (B)는 트레드의 타이어 회전축을 따른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측 윤곽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둘레 방향 얕은 홈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예에 관한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의 트레드(12)에는, 타이어 적도면(CL) 상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둘레 방향 주 홈(14)이 배치되고, 이 제1 둘레 방향 주 홈(14)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각각의 랜드부열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센터 리브(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12E는 트레드(12)의 접지 단부이다.
이 접지 단부(12E)는 공기 타이어(10)를 JATMA YEAR BOOK(2007년도 판, 일본 자동차 타이어 협회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표준 림에 장착하고, JATMA YEAR BOOK에서의 적용 크기ㆍ플라이 레이팅(ply rating)에 있어서의 최대 부하 능력(내압-부하 능력 대응표의 굵은 글씨 하중)에 대응하는 공기압(최대 공기압)의 100%의 내압을 충전하고, 최대 부하 능력을 부하하였을 때의 것이다.
사용지 또는 제조지에 있어서, TRA 규격, ETRTO 규격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규격에 따른다.
센터 리브(16)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둘레 방향 가는 홈(18)이 형성되고, 이들의 가는 홈(18)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둘레 방향 주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 가는 홈(18)과 제2 둘레 방향 주 홈(20) 사이에는,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둘레 방향 가는 홈(18)과 제2 둘레 방향 주 홈(20)의 양자에 개구하는 센터 러그 홈(22)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센터 블록(24)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둘레 방향 주 홈(14), 제2 둘레 방향 주 홈(20), 및 센터 러그 홈(22)은 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트레드(12)에 있어서 가장 깊은 홈이며, 접지시에 홈이 폐쇄되지 않도록 홈 폭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둘레 방향 가는 홈(18)은, 제1 둘레 방향 주 홈(14), 및 제2 둘레 방향 주 홈(20)보다 홈 폭이 좁고, 타이어의 부하 구름 이동에 있어서, 트레드(12)가 접지하여 센터 리브(16), 및 센터 블록(24)이 각각 압축 변형된 상태에서는, 센터 리브(16)의 측면과, 센터 블록(24)의 측면이 접촉하도록 그의 홈 폭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는 홈(18)은 홈 바닥으로부터 답면측의 홈 개구 부분에 걸쳐 대략 일정한 홈 폭으로 되어 있다. 가는 홈(18)의 홈 폭은, 예를 들어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는 홈(18)의 깊이는 제1 둘레 방향 주 홈(14), 및 제2 둘레 방향 주 홈(20)의 홈 깊이의 50 내지 100%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센터 러그 홈(22)의 경사 각도 θ는 45 내지 70°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둘레 방향 주 홈(20)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랜드부열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숄더 리브(26)가 배치되어 있고, 숄더 리브(26)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둘레 방향 얕은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 얕은 홈(28)은, 제1 둘레 방향 주 홈(14) 및 제2 둘레 방향 주 홈(20)보다 홈 깊이가 얕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둘레 방향 얕은 홈(28)의 홈 깊이는, 제1 둘레 방향 주 홈(14) 및 제2 둘레 방향 주 홈(20)의 홈 깊이의 20 내지 50%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얕은 홈(28)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는, 얕은 홈(28)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숄더 러그 홈(30)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숄더 블록(32)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둘레 방향 얕은 홈(28)의 단면 형상은 대략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숄더 리브(26)측의 홈 벽면(28A)의 답면(12A)에 대한 각도 θ1은 직각에 가깝고, 숄더 블록(32)측의 홈 벽면(28B)은, 답면에 대한 각도 θ2가 홈 벽면(28A)의 각도 θ1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센터 블록(24)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간 부분에, 센터 러그 홈(22)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져 블록(24)을 완전히 가로지르는 사이프(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숄더 리브(26)에는, 숄더 리브(26)를 가로지르도록, 제1 둘레 방향 주 홈(14) 및 제2 둘레 방향 주 홈(20)보다 얕은 사이프(36)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숄더 블록(32)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간 부분, 예를 들어 중앙 부분에, 숄더 러그 홈(30)과 대략 평행한 사이프(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사이프라 함은, 접지시에 폐쇄되어 홈 폭이 0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작용)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에서는, 예를 들어 습윤 노면 등의 저μ로에 있어서는, 종래의 공기 타이어와 마찬가지로, 센터 블록(24)의 러그 홈측의 에지 및 숄더 블록(32)의 러그 홈측의 에지가 효과적으로 작용하므로,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는, 노면과의 마찰에 의해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이 말려 올라가려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센터 블록(24)은 센터 리브(16)에 인접하고 있고, 숄더 블록(32)은 숄더 리브(26)에 인접하고 있고, 센터 리브(16)는 센터 블록(24)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작용하고, 숄더 리브(26)는 숄더 블록(32)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므로, 각 블록의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이 억제되어, 고입력시 혹은 건조로에 있어서도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러그 홈(22)은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가 45°내지 70°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센터 러그 홈(22)으로 구획되는 센터 블록(24)의 러그 홈측 에지에 대하여, 제동시 등에 러그 홈측 에지와 직각 방향의 힘(제동시의 입력 등)이 작아져, 센터 러그 홈측의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제동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러그 홈(22)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가 45°미만에서는, 제동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센터 러그 홈(22)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가 70°를 초과하면, 센터 블록(24)의 강성이 저하되어, 예를 들어 조종 안정성, 편마모 등의 악화의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트레드(12)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입력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코너링시에 있어서는, 차량의 선회 반경 방향 외측의 숄더 블록(32)의 입력이 가장 크고, 이 숄더 블록(32)이 타이어 폭 방향 내측(타이어 적도면측)으로 변형하려고 하지만, 숄더 블록(32)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인접한 숄더 리브(26)가 숄더 블록(32)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므로, 숄더 블록(32)을 구성하는 고무의 내부 마찰에 기인하는 발열이 저감되어, 구름 저항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져, 차량의 저연비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 중앙측의 센터 블록(24)에 있어서도, 센터 리브(16)가 타이어 폭 방향의 변형을 억제하므로, 센터 블록(24)의 발열을 저감할 수 있어, 차량의 저연비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에서는, 급가속시에 있어서도 센터 블록(24)의 축출측에 있어서의, 러그 홈 에지 부분 및 숄더 블록(32)과 같은 러그 홈 에지 부분의 말려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 방향 얕은 홈(28)의 단면 형상을 대략 V자 형상으로 하였지만, 숄더 리브(26)가 숄더 블록(32)의 변형을 억제하면, 그 얕은 홈(28)의 단면 형상은 V자 형상 이외여도 된다.
(시험예)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종래예의 공기 타이어 및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의 공기 타이어를 준비하고, 각 공시 타이어에 대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시험,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시험을 실시함과 함께, 구름 저항값의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의 공기 타이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트레드 패턴을 갖는 공기 타이어이다.
종래예의 공기 타이어: 도 3에 도시한 트레드 패턴을 갖는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부호 100은 트레드, 부호 102, 104는 둘레 방향 주 홈, 부호 106, 108, 110은 러그 홈, 부호 112, 114는 블록, 부호 116, 118은 사이프이며, 둘레 방향 주 홈(102, 104)은 실시예의 둘레 방향 홈과 대략 같은 홈 깊이, 홈 폭을 갖고 있다.
여기서, 각 공시 타이어는 크기 195/65R15의 섬머 타이어이며, 림 폭 6J-15의 림에 장착하고, 일본제 차 세단에 각 공시 타이어를 장착하고, 드라이버의 체중에 600N을 가한 하중 조건 하에서, 차량 지정 내압을 충전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제동 시험에 있어서는, ABS 기능을 발휘한 상태에서 시속 100km/h로부터의 감속도를 측정하였다.
평가는, 종래예의 공기 타이어를 장착하였을 때의 감속도를 100으로 하는 지수 표시로 하고, 지수의 수치가 클수록 감속도가 크고 제동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름 저항값의 측정은, 타이어 단체(單體)를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 회전시켰을 때의 구름 저항값을 시험기로 측정하였다.
평가는, 종래예의 공기 타이어의 구름 저항의 역수를 100으로 하는 지수 표시로 하고, 지수의 수치가 클수록 구름 저항이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0031679382-pct00001
시험의 결과,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의 공기 타이어는 종래예의 공기 타이어에 비교하여,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대폭 향상됨과 함께, 구름 저항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10: 공기 타이어
12: 트레드
14: 제1 둘레 방향 주 홈
16: 센터 리브
18: 둘레 방향 가는 홈
20: 제2 둘레 방향 주 홈
22: 센터 러그 홈
24: 센터 블록
26: 숄더 리브
28: 둘레 방향 얕은 홈
30: 숄더 러그 홈
32: 숄더 블록

Claims (3)

  1.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둘레 방향 주 홈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 사이, 및 가장 외측의 둘레 방향 주 홈과 트레드 접지 단부 사이의 각각으로 구획되는 랜드부열에, 상기 둘레 방향 주 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러그 홈을 트레드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타이어이며,
    상기 랜드부열 내에서, 둘레 방향 주 홈과, 이 둘레 방향 주 홈에 인접시켜 형성한, 그 둘레 방향 주 홈보다 얕은 둘레 방향 얕은 홈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함과 함께, 그 랜드부열의 잔부를,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2.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둘레 방향 주 홈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 사이, 및 가장 외측의 둘레 방향 주 홈과 트레드 접지 단부 사이의 각각으로 구획되는 랜드부열에, 상기 둘레 방향 주 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러그 홈을 트레드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타이어이며,
    상기 랜드부열 내에서, 둘레 방향 주 홈과, 이 둘레 방향 주 홈에 인접시켜 형성한, 그 둘레 방향 주 홈보다 폭이 좁은 둘레 방향 가는 홈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함과 함께, 그 랜드부열의 잔부를,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열로 하여 이루어지고,
    이 블록열의 블록 및 상기 리브가 접지하여 압축 변형된 자세에서, 상기 블록의 측면과, 상기 리브의 측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둘레 방향 가는 홈의 홈 폭을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러그 홈의 각도가 4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KR1020107010819A 2007-10-19 2008-09-01 공기 타이어 KR101103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2938A JP5275610B2 (ja) 2007-10-19 2007-10-19 空気入りタイヤ
JPJP-P-2007-272938 2007-10-19
PCT/JP2008/065687 WO2009050949A1 (ja) 2007-10-19 2008-09-01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033A KR20100076033A (ko) 2010-07-05
KR101103235B1 true KR101103235B1 (ko) 2012-01-05

Family

ID=4056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819A KR101103235B1 (ko) 2007-10-19 2008-09-01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43120A1 (ko)
EP (1) EP2213482B1 (ko)
JP (1) JP5275610B2 (ko)
KR (1) KR101103235B1 (ko)
CN (3) CN103381740B (ko)
WO (1) WO2009050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8241B2 (ja) * 2009-12-25 2014-04-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5623824B2 (ja) * 2010-08-25 2014-11-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WO2012098895A1 (ja) * 2011-01-19 2012-07-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CN103253088B (zh) * 2012-02-20 2015-12-30 建大橡胶(中国)有限公司 全地型越野用轮胎
JP5345721B2 (ja) * 2012-04-16 2013-11-2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2927025B1 (en) 2012-11-30 2021-03-17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JP5482938B1 (ja) * 2013-05-14 2014-05-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D738816S1 (en) 2013-07-02 2015-09-15 Bridgestone Corporation Tread portion of an automobile tire
USD737200S1 (en) 2013-07-02 2015-08-25 Bridgestone Corporation Tread portion of an automobile tire
USD738817S1 (en) 2013-07-02 2015-09-15 Bridgestone Corporation Tread portion of an automobile tire
JP2017024659A (ja) * 2015-07-27 2017-02-0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7052330A (ja) * 2015-09-07 2017-03-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6653578B2 (ja) 2016-01-13 2020-02-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428799B2 (ja) * 2017-01-17 2018-11-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3378678B1 (en) * 2017-03-24 2021-01-2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JP6996401B2 (ja) * 2018-04-06 2022-01-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1607A (ja) * 1990-11-30 1992-07-2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3503266A (ja) 1999-06-30 2003-01-28 ピレリ・プネウマティチ・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自動車用高性能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9806A (ja) * 1988-06-07 1989-12-14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US5833780A (en) * 1995-06-21 1998-11-10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s
US5733393A (en) * 1996-01-17 1998-03-3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having good diverse properties
JP3717617B2 (ja) * 1996-02-02 2005-1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3542687B2 (ja) 1996-06-11 2004-07-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6112787A (en) * 1996-07-04 2000-09-05 Sumito Rubber Industries, Ltd. Heavy duty pneumatic tire including narrow rib
JPH10236112A (ja) * 1997-02-27 1998-09-08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加硫金型
JPH1199809A (ja) * 1997-09-30 1999-04-13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EP1029712B1 (de) * 1999-02-20 2004-05-06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JP4439658B2 (ja) * 2000-02-14 2010-03-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410453B2 (ja) * 2002-03-28 2010-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20216992U1 (de) * 2002-11-04 2003-01-16 Goodyear Dunlop Tires Germany Fahrzeugluftreifen, insbesondere Sommerreifen für Personenkraftwagen
JP4369734B2 (ja) * 2003-12-09 2009-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6027498A (ja) * 2004-07-20 2006-02-0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4581732B2 (ja) * 2005-02-16 2010-11-1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969874B2 (ja) * 2006-03-06 2012-07-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1607A (ja) * 1990-11-30 1992-07-2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3503266A (ja) 1999-06-30 2003-01-28 ピレリ・プネウマティチ・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自動車用高性能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01740A (ja) 2009-05-14
CN103625220A (zh) 2014-03-12
US20100243120A1 (en) 2010-09-30
KR20100076033A (ko) 2010-07-05
EP2213482A1 (en) 2010-08-04
CN101827716B (zh) 2014-03-12
EP2213482B1 (en) 2013-02-27
CN103381740B (zh) 2016-01-20
CN101827716A (zh) 2010-09-08
CN103381740A (zh) 2013-11-06
JP5275610B2 (ja) 2013-08-28
EP2213482A4 (en) 2011-06-22
WO2009050949A1 (ja)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235B1 (ko) 공기 타이어
KR101259261B1 (ko) 공기 타이어
US20170368888A1 (en) Pneumatic tire
US9421826B2 (en) Pneumatic tire
JP5771398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471778B2 (en) Pneumatic tire
US10369847B2 (en) Heavy duty tire
JP4589680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511567B2 (en) Tyre
JP6828386B2 (ja) タイヤ
US8887779B2 (en) Pneumatic tire
JP6759929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9311353B (zh) 轮胎
JP4750524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232670B2 (en) Pneumatic tire
US11865871B2 (en) Tire
CN111619290B (zh) 轮胎
JP7298369B2 (ja) タイヤ
JP5829719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7103445B2 (ja) タイヤ
US20230271453A1 (en) Tire
JP2022170431A (ja) 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