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564B1 - 방청피막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방청피막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564B1
KR101102564B1 KR1020090102265A KR20090102265A KR101102564B1 KR 101102564 B1 KR101102564 B1 KR 101102564B1 KR 1020090102265 A KR1020090102265 A KR 1020090102265A KR 20090102265 A KR20090102265 A KR 20090102265A KR 101102564 B1 KR101102564 B1 KR 10110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reheating
drying
area
late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616A (ko
Inventor
이규선
김무근
Original Assignee
(주)건홍지오메트
이규선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홍지오메트, 이규선,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건홍지오메트
Priority to KR102009010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5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5/00Erosion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Abstract

본 발명은 피도금물의 표면에 방청피막을 코팅하기 위한 방청피막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건조로, 가열장치, 열풍순환장치, 폐열회수장치와 잠열회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건조로는 방청제가 코팅되어 있는 피도금물을 반입하기 위한 입구와 피도금물을 반출하기 위한 출구를 가지며,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예열부, 본열부, 냉각부가 연이어 구성되어 있고, 예열부는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방청제의 건조를 위한 건조영역과 피도금물의 예열을 위한 예열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본열부와 냉각부 사이에 피도금물로부터 잠열을 회수하기 위한 잠열회수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가열장치는 본열부에 방청제의 경화에 의하여 방청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한다. 열풍순환장치는 예열영역으로부터 열풍을 배출하고, 예열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예열영역과 건조영역에 공급한다. 폐열회수장치는 열풍순환장치와; 건조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열을 회수하여 열풍순환장치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에 공급한다. 잠열회수장치는 잠열회수영역에 피도금물로부터 잠열을 회수하여 열풍순환장치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에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로의 예열부가 건조영역과 예열영역으로 구획되어 결로현상에 의한 액 맺힘 불량과 피도금물의 산화가 방지되고,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청피막 처리장치{APPARATUS FOR COATING RUST PROOFING FILM ON WORKPIECES}
본 발명은 방청피막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도금물의 표면에 방청피막을 코팅하기 위한 방청피막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목건축, 전기전자, 자동차, 선박 등 모든 산업분야에서 금속소재의 녹을 방지하기 위한 방청처리(Rust-proofing)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방청제의 일례로 아연-알루미늄 복합피막(Zinc-aluminum complex film)용 코팅액(Coating fluid)이 있다. 아연-알루미늄 복합피막용 코팅액은 아연 박편(Zinc flake), 알루미늄 박편(Aluminum flake), 금속산화물 및 유기물로 조성된 수용액이다. 아연-알루미늄 복합피막용 코팅액은 고내식성이며,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이 적어 작업 환경이 양호하고, 4대 중금속(Pb, Hg, Cd, Cr6+)이 없어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피도금물의 표면에 코팅된 아연-알루미늄 복합피막용 코팅액은 건조로(Bake oven)에서 가열되어 경화된다. 건조로는 피도금물을 예열하는 예열부, 피도금물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액을 가열에 의하여 경화시키는 본열부와 피도금물을 냉각하는 냉각부로 구획되어 있다. 예열부의 분위기 온도는 180~200℃로 유지되고 있으며, 본열부의 분위기 온도는 350~370℃로 유지되고 있다. 피도금물은 약 15분 동안 예열부를 거쳐 약 25분 동안 본열부에서 가열되고 있다.
피도금물은 약 20℃의 온도로 건조로의 예열부에 투입된다. 그러나 피도금물의 온도가 예열부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결로현상으로 인하여 코팅액이 건조되기 전 일시적으로 점도가 낮아져 피도금물로부터 흘러내리면서 액 맺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코팅액이 결로현상에 의하여 흘러내릴 경우, 피도금물, 예를 들어 철(Fe)의 표면은 일부분 노출되고, 노출된 철의 표면은 수분,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Fe2O3)로 된다. 특히, 고온다습한 예열부의 분위기는 산화를 촉진시켜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코팅액은 예열부에서의 예열에 의하여 증발된다. 증발되는 코팅액의 증기에 의하여 예열부의 절대습도가 증가된다. 예열부의 절대습도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예열부에 공급하여 제어할 수 있으나, 온도 제어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증기의 공급원이 되는 피도금물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고 있으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열부에서 피도금물을 가열한 버너의 열풍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액 맺힘 불량과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순환되는 열풍 중 상당량을 대기 중으로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의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로현상에 의한 액 맺힘 불량과 피도금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방청피막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열부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청피막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열회수에 의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청피막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방청제가 코팅되어 있는 피도금물을 반입하기 위한 입구와 피도금물을 반출하기 위한 출구를 가지며,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예열부, 본열부, 냉각부가 연이어 구성되어 있고, 예열부는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방청제의 건조를 위한 건조영역과 피도금물의 예열을 위한 예열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본열부와 냉각부 사이에 피도금물로부터 잠열을 회수하기 위한 잠열회수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건조로와; 본열부에 방청제의 경화에 의하여 방청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장치와; 예열영역으로부터 열풍을 배출하고, 예열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예열영역과 건조영역에 공급하는 열풍순환장치와; 건조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열을 회수하여 열풍순환장치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에 공급하는 폐열회수장치와; 잠열회수영역에 피도금물로부터 잠열을 회수하여 열풍순환장치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에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잠열회수장치를 포함하는 방청피막 처리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는, 건조로의 예열부가 건조영역과 예열영역으로 구획되어 결로현상에 의한 액 맺힘 불량과 피도금물의 산화가 방지되고, 예열부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로의 본열부를 가열하는 열풍을 예열부로 순환시키고, 폐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는 피도금물(1)에 코팅되어 있는 방청제, 예를 들어 아연-알루미늄 복합피막용 코팅액의 경화를 위하여 피도금물(1)을 가열하는 건조로(10)를 구비한다. 건조로(10)는 피도금물(1)의 반입을 위한 입구(11)와 피도금물(1)의 반출을 위한 출구(12)를 갖는다. 건조로(10)의 내부는 입구(11)로부터 출구(12)를 향하여 예열부(20), 본열부(30)와 냉각부(40)가 연이어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예열부(20)와 본열부(30)는 예열부(20)와 본열 부(30)를 연결하는 제1 스로트(Throat: 13a)를 갖는 제1 격벽(13)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본열부(30)와 냉각부(40)는 본열부(30)와 냉각부(40)를 연결하는 제2 스로트(14a)를 갖는 제2 격벽(14)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예열부(20)는 입구(11)로부터 출구(12)를 향하여 코팅액의 건조를 위한 건조영역(20a)과 피도금물(1)의 예열을 위한 예열영역(20b)으로 구획되어 있다.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은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을 연결하는 제3 스로트(15a)를 갖는 제3 격벽(15)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제1 열풍입구(21)와 제2 열풍입구(22)가 열풍의 공급을 위하여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의 바닥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열풍입구(21, 22)는 제1 격벽(13)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열풍출구(23)와 제2 열풍출구(24)가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으로부터 열풍을 배출하기 위하여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의 천장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의 분위기 온도 분포도가 균일하도록 열풍의 흐름을 분산하는 복수의 제1 열풍분산판(25)들과 복수의 제2 열풍분산판(26)들이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의 하층과 상층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열풍입구(31)가 열풍의 공급을 위하여 본열부(30)의 천장에 형성되어 있다. 열풍출구(32)가 본열부(30)로부터 열풍을 배출하기 위하여 본열부(30)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열풍출구(32)는 열풍입구(31)보다 본열부(30)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본열부(30)의 분위기 온도 분포도가 균일하도록 열풍의 흐름을 분산하는 복수의 제3 열풍분산판(33)들과 복수의 제2 열풍분산 판(34)들이 본열부(30)의 상층과 하층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피도금물(1)의 잠열을 회수하기 위한 잠열회수영역(41)이 본열부(30)와 냉각부(40)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잠열회수영역(41)은 제2 스로트(14a)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50)는 입구(11)의 상류로부터 출구(12)의 하류로 피도금물(1)의 운반을 위하여 입구(11)와 출구(12)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피도금물(1)은 컨베이어(50)의 메시벨트(Mesh belt: 51)에 실려 입구(11)의 상류로부터 출구(12)의 하류로 운반된다. 메시벨트(51)는 제1 및 제2 열풍분산판(25, 26)들, 제3 및 제4 열풍분산판(33, 34)들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는 예열부(20)를 거친 피도금물(1)의 가열을 위하여 본열부(30)에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장치(60)를 구비한다. 가열장치(60)는 버너(61), 제1 덕트(62), 송풍기(63)와 제2 덕트(64)로 구성되어 있다.
버너(61)는 본열부(30)에 열풍의 공급을 위하여 건조로(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버너(61)는 연료를 연소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연소실(61a)을 갖는다. 제1 덕트(62)는 연소실(61a)로부터 열풍을 본열부(30)에 수송하도록 열풍입구(31)와 연소실(61a)에 연결되어 있다. 송풍기(63)는 연소용 공기의 송풍을 위하여 연소실(61a)과 연결되도록 건조로(10)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덕트(64)는 열풍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연소실(61a)에 수송하도록 열풍출구(32)와 송풍기(63)에 연결되어 있다. 버너(61)의 작동에 의하여 연소실(61a)에서 발생되는 열풍은 제1 덕트(62)와 열풍입구(31)를 통하여 본열부(30)의 상층에 공급된다. 본열 부(30)의 열풍은 송풍기(63)의 구동에 의하여 열풍출구(32)와 제2 덕트(64)를 통하여 배출된 후 연소실(61a)로 공급되면서 순환된다.
도 1, 도 2,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는 피도금물(1)에 코팅되어 있는 방청제의 예열을 위하여 예열영역(20b)으로부터 열풍을 배출하여 건조영역(20a)과 예열영역(20b) 각각에 공급하는 열풍순환장치(70)를 구비한다. 열풍순환장치(70)는 송풍기(71), 제1 덕트(72), 제2 덕트(73)와 제3 덕트(74)로 구성되어 있다. 열풍의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71)는 건조로(10)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덕트(72)는 예열영역(20b)으로부터 열풍을 배출하도록 제1 열풍출구(23)와 송풍기(7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덕트(73)는 송풍기(71)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예열영역(20b)에 수송하도록 제1 열풍입구(21)와 송풍기(71)에 연결되어 있다. 제3 덕트(74)는 건조영역(20a)에 열풍을 수송하도록 제2 덕트(73)로부터 분기되어 제2 열풍입구(22)와 제2 덕트(73)에 연결되어 있다.
송풍기(71)의 작동에 의하여 예열영역(20b)의 열풍은 제1 덕트(71)를 통하여 배출된 후 제2 덕트(73)와 제3 덕트(74)를 통하여 예열영역(20b)과 건조영역(20a)에 각각 공급된다. 열풍순환장치(70)는 송풍기(71)의 작동에 의하여 송풍되는 열풍의 승온을 위하여 보조버너(75)를 구비한다. 보조버너(75)의 연소실(75a)은 제1 덕트(72)와 연결되어 있다. 보조버너(75)의 연소실(75a)은 필요에 따라 제1 열풍입구(21)와 송풍기(71) 사이의 제2 덕트(73)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버너(75)는 필요에 따라 삭제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는 건조영역(20a)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열을 회수하여 열풍순환장치(70)에 공급하는 폐열회수장치(80)를 구비한다. 폐열회수장치(80)는 배풍기(81), 제1 덕트(82), 제2 덕트(83)와 열교환기(84)로 구성되어 있다. 배풍기(81)는 건조로(10)의 상부에 공기의 배풍력을 발생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덕트(82)는 배풍기(81)의 작동에 의하여 건조영역(20a)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수송하도록 제2 열풍출구(24)와 배풍기(8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덕트(83)의 일단은 건조로(10)의 입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을 도입하여 배풍기(81)로 수송하도록 입구(1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타단은 제1 덕트(82)에 연결되어 있다.
열교환기(84)는 외부관(85)과 외부관(74)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관(86)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관(85)은 열풍의 도입을 위하여 배풍기(81)와 연결되어 있는 입구(85a)와 열풍을 대기 중으로 배출을 위한 출구(85b)를 갖는다. 내부관(86)은 연소용 공기의 도입을 위한 입구(86a)와 연소용 공기의 배출을 위하여 제1 덕트(72)에 연결되어 있는 출구(86b)를 갖는다. 내부관(86)의 출구(86b)는 필요에 따라 송풍기(71)에 직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84)는 외부관(85)의 내부에 내부관(86)이 삽입되어 있는 이중관식 열교환기(Double-pipe heat exchanger)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열교환기는 사관식 열교환기(Submerged-pipe coil heat exchanger), 원통 다관식 열교환기(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재킷식 열교환기(Jacket type heat exchanger)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폐열회수장치(80)는 내부관(86)의 입구(86a)에 대기 중으로부터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87)를 더 구비한다. 제습장치(87)는 대기 중의 습도, 예를 들어 50% 이상이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는 잠열회수영역(41)에 설치되어 피도금물(1)과 컨베이어(50)의 잠열을 회수하는 잠열회수장치(90)를 구비한다. 잠열회수장치(90)는 냉각팬(Cooling fan: 91), 후드(Hood: 92)와 덕트(93)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팬(91)은 피도금물(1)의 하방에서 피도금물(1)과 컨베이어(50)로부터 잠열을 방출하는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잠열회수영역(41)에 장착되어 있다. 후드(92)는 잠열회수영역(41)으로부터 잠열을 흡수한 공기의 방출을 유도하도록 잠열회수영역(41)의 상방에 장착되어 있다. 덕트(93)는 후드(9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기(71)로 수송하도록 후드(92)와 송풍기(71)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팬(91)의 구동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컨베이어(50)와 컨베이어(50)에 실린 피도금물(1)을 냉각하면서 피도금물(1)과 컨베이어(50)의 잠열을 흡수한다. 잠열을 흡수한 공기는 후드(92)와 덕트(92)를 통하여 송풍기(71)에 공급된다. 덕트(91)는 필요에 따라 보조버너(75)의 연소실(75a)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는 피도금물(1)을 냉각하도록 냉각부(40)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장치(100)를 구비한다. 냉각장치(100)는 복수의 냉각팬(101)들과 후드(102)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팬(101)들은 공기의 송풍을 위하여 컨베이어(50)의 하방에 장착되어 있다. 후드(102)는 냉각부(40)로부터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냉각부(40)의 상방에 장착되어 있다. 냉각팬(101)들의 구동에 의하여 송 풍되는 공기는 컨베이어(50)에 실린 피도금물(1)을 냉각한 후, 후드(102)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피도금물(1)의 표면에 방청제, 예를 들어 아연-알루미늄 복합피막용 코팅액을 코팅한 후, 코팅액이 코팅되어 있는 피도금물(1)을 컨베이어(50)에 싣는다. 피도금물(1)은 컨베이어(50)의 작동에 의하여 건조로(10)의 입구(11)를 통하여 건조로(10)에 투입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버너(60)의 작동에 의하여 연소실(61a)에서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진다. 송풍기(63)의 구동에 의하여 연소실(61a)에 공급되는 공기는 연소실(61a)에서 가열되어 열풍으로 된다. 열풍은 제1 덕트(62)와 열풍입구(31)를 통하여 본열부(30)의 상층에 공급된 후, 제3 열풍분산판(33)들에 의하여 본열부(30)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제3 열풍분산판(33)들을 지난 열풍은 컨베이어(50)에 실려 운반되는 피도금물(1)과 코팅액을 가열하여 코팅액을 경화시킨 후, 제4 열풍분산판(34)들, 열풍출구(32)와 제2 덕트(64)를 지나 송풍기(63)로 다시 공급된다.
열풍은 열풍입구(31)를 통하여 본열부(30)에 공급된 후, 열풍출구(32)를 통하여 배출되는 하강기류를 형성하면서 피도금물(1)과 코팅액을 효율적으로 가열한다. 따라서 피도금물(1)의 표면에 우수한 품질의 방청피막이 형성된다. 본열부(30)의 열풍이 송풍기(60)의 구동에 의하여 순환되는 구조에 의하여 본열부(30)의 분위 기 온도, 예를 들어 350~370℃를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연료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본열부(30)의 열풍은 제1 스로트(13a)를 통하여 예열영역(20b)으로 흐르면서 예열영역(20b)의 분위기 온도를 높인다. 냉각팬(91)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가 송풍되면, 본열부(30)를 거치면서 가열되었던 피도금물(1)과 컨베이어(50)가 냉각되고, 피도금물(1)과 컨베이어(50)의 잠열을 흡수한 열풍은 후드(92)와 덕트(93)를 통하여 송풍기(71)에 공급된다.
송풍기(71)의 구동에 의하여 잠열회수장치(9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은 제2 덕트(73)와 제1 열풍입구(21)를 통하여 예열영역(20b)에 공급된 후, 제1 열풍분산판(25)들에 의하여 예열영역(20b)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제1 열풍분산판(25)들을 지난 열풍은 컨베이어(50)에 실려 운반되는 피도금물(1)과 코팅액을 예열시킨 후, 제2 열풍분산판(26)들, 제1 열풍출구(23)와 제1 덕트(72)를 지나 송풍기(71)로 다시 공급된다.
또한, 송풍기(71)의 구동에 의하여 송풍되는 열풍은 제2 덕트(73), 제3 덕트(74)와 제2 열풍입구(22)를 통하여 건조영역(20a)에 공급된 후, 제1 열풍분산판(25)들에 의하여 건조영역(20a)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건조영역(20a)에 공급되는 열풍은 컨베이어(50)에 실려 운반되는 코팅액을 건조시킨 후, 배풍기(81)의 구동에 의하여 제2 열풍분산판(26)들, 제2 열풍출구(24), 제1 덕트(82)를 통하여 건조영역(20a)으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코팅액의 건조에 의하여 다량의 증기가 발생되며, 열풍의 절대습도가 높아진다. 증기는 배풍기(81)의 구동에 의하여 열풍과 함께 제2 열풍출구(24)와 제1 덕트(82)를 통하여 외부관(85)의 입구(85a)에 공급된 후, 출구(85b)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열풍은 제2 열풍입구(22)를 통하여 건조영역(20a)의 하층에 공급된 후, 제2 열풍출구(24)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건조영역(20a)으로부터 증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킨다. 내부관(86) 속을 흐르는 공기는 외부관(85) 속을 흐르는 열풍과 증기에 의하여 가열되어 제1 덕트(72)에 공급된다. 건조영역(20a)의 열풍 중 일부는 입구(11)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입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은 배풍기(81)의 흡입력에 의하여 제2 덕트(83)를 통하여 흡입되고, 제2 덕트(83)를 따라 제1 덕트(82)에 수송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내부관(86)의 입구(86a)에 공급되는 공기는 제습장치(87)의 제습을 거친 후, 열교환기(80)를 거치면서 열풍과 증기의 폐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제1 덕트(72), 제1 열풍입구(21)를 통하여 예열영역(20b)에 공급된다. 따라서 예열영역(20b)의 절대습도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코팅액의 액 맺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너(61)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풍이 본열부(30)에 사용되고, 잠열회수영역(41)으로부터 회수되는 열에 의하여 예열부(20)의 분위기 온도를 예를 들어 70~100℃로 제어하는 것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보조버너(75)는 건조로(10)의 초기 가동 시 예열부(20)의 승온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잠열회수영역(41)을 거친 피도금물(1)은 컨 베이어(50)에 의하여 냉각부(40)로 보내진다. 냉각팬(101)들의 구동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컨베이어(50)에 실려 운반되는 피도금물(1)을 냉각한다. 공기는 피도금물(1)의 냉각 후 후드(102)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작업자는 출구(12)를 통하여 반출되는 피도금물(1)을 컨베이어(50)로부터 내린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에서 예열부, 열풍순환장치와 열풍회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에서 본열부, 냉각부, 가열장치, 잠열회수장치와 냉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에서 열풍순환장치와 열풍회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청피막 처리장치에서 가열장치와 잠열회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도금물 10: 건조로
20: 예열부 20a: 건조영역
20b: 예열영역 30: 본열부
40: 냉각부 41: 잠열회수영역
50: 컨베이어 60: 가열장치
61: 버너 63: 송풍기
70: 열풍순환장치 71: 송풍기
75: 보조버너 80: 열풍회수장치
81: 배풍기 84: 열교환기
87: 제습장치 90: 잠열회수장치
91: 냉각팬 92: 후드
100: 냉각장치 101: 냉각팬
102: 후드

Claims (5)

  1. 방청제가 코팅되어 있는 피도금물을 반입하기 위한 입구와 상기 피도금물을 반출하기 위한 출구를 가지며,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를 향하여 예열부, 본열부, 냉각부가 연이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예열부는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를 향하여 상기 방청제의 건조를 위한 건조영역과 상기 피도금물의 예열을 위한 예열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본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상기 피도금물로부터 잠열을 회수하기 위한 잠열회수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건조로와;
    상기 본열부에 상기 방청제의 경화에 의하여 방청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예열영역으로부터 열풍을 배출하고, 상기 예열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예열영역과 상기 건조영역에 공급하는 열풍순환장치와;
    상기 건조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열을 회수하여 상기 열풍순환장치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에 공급하는 폐열회수장치와;
    상기 잠열회수영역에 상기 피도금물로부터 잠열을 회수하여 상기 열풍순환장치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에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잠열회수장치를 포함하는 방청피막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와 상기 본열부는 제1 스로트를 갖는 제1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고, 상기 본열부와 상기 냉각부는 제2 스로트를 갖는 제2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영역과 상기 예열영역은 제3 스로트를 갖는 제3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고, 상기 예열영역의 바닥과 천장에 열풍의 공급을 위한 제1 열풍입구와 열풍의 배출을 위한 제1 열풍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영역의 바닥과 천장에 열풍의 공급을 위한 제2 열풍입구와 열풍의 배출을 위한 제2 열풍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청피막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장치는,
    상기 건조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열풍의 순환을 위한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와;
    상기 예열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송풍기로 수송하도록 상기 예열영역의 천장을 관통하여 상기 예열영역과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덕트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상기 예열영역으로 수송하도록 상기 예열영역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예열영역과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덕트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영역으로 수송하도록 상기 건조영역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건조영역과 상기 제2 덕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3 덕트로 이루어지는 방청피막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회수장치는,
    상기 건조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건조영역으로부터 열풍의 배출을 위한 배풍력을 발생하는 배풍기와;
    상기 건조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배풍기로 수송하도록 상기 건조영역의 천장을 관통하여 상기 건조영역과 상기 배풍기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덕트와;
    상기 입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을 도입하여 상기 배풍기로 수송하도록 일단이 상기 입구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1 덕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덕트와;
    상기 열풍순환장치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열풍순환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상기 열풍순환장치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를 제습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제습장치로 이루어지는 방청피막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열회수장치는,
    상기 피도금물의 하방에서 상기 피도금물로부터 잠열을 방출하기 위한 공기를 송풍하도록 상기 잠열회수영역에 장착되어 있는 냉각팬과;
    상기 잠열회수영역으로부터 잠열을 흡수한 공기의 방출을 유도하도록 상기 잠열회수영역의 상방에 장착되어 있는 후드와;
    상기 열풍순환장치에 의하여 상기 예열영역에 공급되는 열풍에 잠열을 흡수 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열풍순환장치와 상기 후드에 연결되어 있는 덕트로 이루어지는 방청피막 처리장치.
KR1020090102265A 2009-10-27 2009-10-27 방청피막 처리장치 KR10110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265A KR101102564B1 (ko) 2009-10-27 2009-10-27 방청피막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265A KR101102564B1 (ko) 2009-10-27 2009-10-27 방청피막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616A KR20110045616A (ko) 2011-05-04
KR101102564B1 true KR101102564B1 (ko) 2012-01-03

Family

ID=4424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265A KR101102564B1 (ko) 2009-10-27 2009-10-27 방청피막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99B1 (ko) * 2019-01-28 2020-08-26 (주)쓰리에이씨 필터 지지체 코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140A (ko) * 1992-07-03 1994-02-16 히로세 유끼하루 저점도 액체용 복합용기와 그 제조방법
KR20020048321A (ko) * 2002-03-22 2002-06-22 유성산업 주식회사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처리방법 및 그 표면처리 장치
KR100724722B1 (ko) 2006-01-21 2007-06-04 오승환 유리제품의 대기압 유기열분해 연소장치
KR100737952B1 (ko) 2006-06-09 2007-07-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어 부품의 자동 세척과 방청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140A (ko) * 1992-07-03 1994-02-16 히로세 유끼하루 저점도 액체용 복합용기와 그 제조방법
KR20020048321A (ko) * 2002-03-22 2002-06-22 유성산업 주식회사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처리방법 및 그 표면처리 장치
KR100724722B1 (ko) 2006-01-21 2007-06-04 오승환 유리제품의 대기압 유기열분해 연소장치
KR100737952B1 (ko) 2006-06-09 2007-07-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어 부품의 자동 세척과 방청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616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0518B (zh) 惰化板式干燥器以及干燥溶剂型涂层的方法
JP2009092374A (ja) 被印刷材料の乾燥を実施するための熱風乾燥装置および方法
EP3717851B1 (en) Sheet drying method and arrangement
JP2007247922A (ja) 排気ガス処理システム
US8286365B2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objects from a coating device
KR101102564B1 (ko) 방청피막 처리장치
US6135765A (en) Pyrocleaning furnace and thermal oxidizer system
EP3540349B1 (en) Coating dry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7429970B (zh) 带有干燥区域的干燥设备
EP1788332B1 (en) Thermal treatment plant with energy recovery for light alloy elements
JP2005177632A (ja) 塗装方法およびフラッシュオフ装置
CN111356889A (zh) 用于处理工件的处理设备和方法
US5018966A (en) Strip drying or curing oven
US4136636A (en) Solvent vapor collector
JP5274417B2 (ja) 電着塗装設備
JP2007313488A (ja) 塗装焼付乾燥炉
WO2013061411A1 (ja) 塗装乾燥装置
JP7151680B2 (ja) 塗装システム
JP2021179300A (ja) 製品乾燥装置
JP2017176937A (ja) 塗膜乾燥方法および塗膜乾燥炉
JP2011196654A (ja) 連続炉
JP2014145587A (ja) 連続炉
JP2006118784A (ja) 焼付乾燥炉
JP6315551B2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製造装置
JP4003186B2 (ja) 塗装用乾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