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836B1 -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836B1
KR101101836B1 KR1020090073567A KR20090073567A KR101101836B1 KR 101101836 B1 KR101101836 B1 KR 101101836B1 KR 1020090073567 A KR1020090073567 A KR 1020090073567A KR 20090073567 A KR20090073567 A KR 20090073567A KR 101101836 B1 KR101101836 B1 KR 10110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s
extract
white ginseng
content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059A (ko
Inventor
최재을
한진수
박용준
강선주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8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특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삼 물 추출액, 진세노사이드 함량, 갈변, 환원당, 당도, 라디칼 소거활성

Description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Method for increasing ginsenosides content in white ginseng water extract}
본 발명은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특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삼 제품은 소비자의 섭취 편리성에 따라 분말, 절편, 타블렛, 농축액, 파우치 형태로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Park et al. 2007. Food Sci . Ind. 40(2): 30-45), 그 중에서 파우치 형태 제품은 가내가공이 가능하고 먹기가 편리하여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수삼은 70%∼8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유통 과정 중에 부패하거나 손상이 일어나므로 (Park et al. 2001. J. Ginseng Res. 25(1): 37-40) 저장성이 좋은 백삼, 홍삼, 태극삼 등으로 가공하게 된다. 백삼은 수삼을 그대로 또는 표피를 벗기고 말린 것으로, 외형적 가공 형태에 따라 직삼, 반곡삼, 곡삼으로 구분되며 (한국인삼사 편집위원회. 2002. 한국인삼사(하권) 동일 문화사: 16-167), 한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백삼을 이용한 탕액이나 농축액의 제조 과정에서 열처리가 가해지면 추출과정에서 열에 불안정한 malonyl-ginsenosides은 malonic acid 기가 이탈되어 각각의 neutral ginsenosides로 변환이 일어나고, 사포닌의 부분적 가수 분해 반응에 의해 홍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의 분해 산물들이 생성될 수 있다 (Nam, K. Y., 2005. J. Ginseng Res., 29(1): 1-18). Ko 등(2003.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536-539)은 백삼과 홍삼에서 추출한 엑기스의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한 결과 총 사포닌 함량은 홍삼 농축액보다 백삼 농축액에서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b1, Rb2, Rg1 함량은 홍삼 농축액에 비해 3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고 하였다.
한국특허등록 제0899837호에는 진세노사이드 Rg1 또는 Rg3 를 고농도 함유하는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0841656호에는 인삼의 가용성분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0762965호에는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0161748호에는 증가된 사포닌 함량을 갖는 인삼 엑기스(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백삼의 물 추출액의 사포닌(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높이고 품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특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높이고,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74~76℃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세근은 5cm 내외로 자르는데, 예를 들면, 4~6cm, 바람직하게는 4.5~5.5cm, 더욱 바람직하게는 5cm로 절단할 수 있으며, 동체, 지근, 세 근을 7:2:1의 중량비로 1kg 정량하여 20ℓ의 생수가 들어 있는 50ℓ의 추출기에 넣고 열수 추출을 한다.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은 진세노사이드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총 진세노사이드의 최대 추출 조건은 74~76℃에서 17~19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에서 18시간일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f, Rg1 또는 Rh1 의 최대 추출 조건은 74~76℃에서 17~19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에서 18시간일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2 또는 Rg3 의 최대 추출 조건은 74~76℃에서 35~37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에서 36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84~86℃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1kg 정량하여 20ℓ의 생수가 들어 있는 50ℓ의 추출기에 넣고 열수 추출을 한다.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은 진세노사이드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총 진세노사이드의 최대 추출 조건은 84~86℃에서 5~7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에서 6시간일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또는 Rg1 의 최대 추출 조건은 84~86℃에 서 5~7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에서 6시간일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2, Rg3 또는 Rh1 의 최대 추출 조건은 84~86℃에서 35~37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에서 36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94~96℃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1kg 정량하여 20ℓ의 생수가 들어 있는 50ℓ의 추출기에 넣고 열수 추출을 한다.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은 진세노사이드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총 진세노사이드의 최대 추출 조건은 94~96℃에서 5~7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에서 6시간일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f, Rg1, Rg2 또는 Rh1 의 최대 추출 조건은 94~96℃에서 5~7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에서 6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74~76℃에서 17~19시간 가열하여 백삼 물 추출액을 얻는 제1단계; 및
상기 백삼 물 추출액을 94~96℃에서 가열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고 품질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75℃에서 18시간 가열하여 백삼 물 추출액을 얻는 제1단계; 및
상기 백삼 물 추출액을 95℃에서 가열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백삼 물 추출액을 제조할 때, 1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낮게 하여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높이고, 2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높게 하여 백삼 물 추출액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다. 추출액의 환원당, 갈변도, 당도, 라디칼 소거활성은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백삼 재료
5년근 원료 수삼을 세척한 후 건조기 내에서 1차 건조(60±5℃), 2차 건조(50±5℃), 3차 건조(45±5℃) 후, 일광 건조하여 피부직삼으로 제조하였으며, 백삼의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본 발명에 이용된 백삼의 특성
Figure 112009048806054-pat00001
동체, 지근의 평균 길이는 13.20±0.87㎝, 6.6±0.63㎝ 였으며, 동체, 지근, 세근의 평균 직경은 19.47±0.95㎝, 5.84±0.84㎝, 2.44±0.34㎝였다. 동체, 지근의 각 개체당 평균 무게는 20.70±2.14g, 1.5±1.38g이었다.
백삼 추출액 제조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 내외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 : 2 : 1의 비율로 1kg 정량하여 면 주머니에 넣은 다음 20ℓ의 생수가 들어 있는 추출기(용남산업, 50ℓ용)에 넣고 75℃, 85℃, 95℃로 가열하였으며, 6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0시간, 36시간 후에 각각 300㎖씩 채취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진세노사이드 분석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였다(Hu et al. 2008. Food Sci. Biotechnol. 17: 430-433).
추출액 특성 조사
백삼 추출액의 pH(MP 220; Mettler. Korea) 및 당도(PR-100; Atago. Japan)를 측정하였으며, 수용성 갈변 물질은 UV Spectrophotometer(DU 730; Beckman Culter, USA)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당은 DNS법(Miller, 1959. Anal . Chem . 31: 426-428)으로 글루코스를 정량하여 추출액의 발색량을 분광광도계로 546nm에서 측정하였다. 라디컬 소거 활성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을 이용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Blois M. S., 1958. Nature., 181: 1199-1202).
실시예 1: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백삼 추출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백삼을 75℃, 85℃, 95℃에서 시간별로 추출한 백삼 추출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표 2와 같다.
표 2. 다양한 조건하에 추출된 백삼 물 추출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Figure 112009048806054-pat00002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75℃에서 6시간 추출한 백삼 추출액은 4.81mg/10㎖, 12시간 추출액 6.89mg/10㎖, 18시간 추출액 8.32mg/10㎖, 24시간 추출액 6.96mg/10㎖, 30시간 추출액 6.74mg/10㎖, 36시간 추출액 6.63mg/10㎖으로 18시간까지 증가하다가 18시간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f, Rg1, Rh1 함량은 18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Rg3와 Rg2 함량은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백삼을 85℃로 추출하였을 때,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6시간 추출한 백삼액은 5.93mg/10㎖, 12시간 추출액 5.66mg/10㎖, 18시간 추출액 5.36mg/10㎖, 24시간 추출액 4.80mg/10㎖, 30시간 추출액 4.88mg/10㎖, 36시간 추출액 4.86mg/10㎖으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g1, Rh1 함량은 추출 6시간에서 최대치를 보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Re, Rg1은 30시간 추출액에서, Rc, Re, Rg1은 36시간 추출액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진세노사이드 Rg3는 6시간 추출액에서 0.67mg/10㎖, 36시간 추출액에서 3.13mg/10㎖으로 증가하였으며, Rg2는 6시간 추출액 0.32mg/10㎖, 36시간 추출액 1.01mg/10㎖으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백삼을 95℃로 추출하였을 때,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6시간 추출액 4.92mg/10㎖, 12시간 추출액 4.78mg/10㎖, 18시간 추출액 4.65mg/10㎖, 24시간 추출액 4.43mg/10㎖, 30시간 추출액 3.65mg/10㎖, 36시간 추출액 3.22mg/10㎖으로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g1은 6시간 추출액에서 검출되었지만, 12시간 추출액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진세노사이드 Rg3 함량은 6시간 추출액 2.05mg/10㎖, 24시간 추출액 3.56mg/10㎖으로 증가하였지만, 30시간 추출액 2.79mg/10㎖, 36시간 추출액 2.5mg/10㎖으로 추출시간이 길어질 수록 점점 감소하였다. Rg2 , Rf, Rh1의 함량은 6시간 추출액에서 최고치를 나타냈지만,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감소하였다.
혈당강하에 효과가 있는 진세노사이드 Rb2와 Re (Attele et al. 2002. Diabetes, 51: 1851-1858)의 최고 함량은 75℃에서 18시간 추출액 0.89mg/10㎖, 0.87mg/10㎖, 85℃ 6시간 추출액 0.65mg/10㎖, 0.69mg/10㎖, 95℃ 6시간 추출액 0.15mg/10㎖, 0.41mg/10㎖이었으며, 추출 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항암 작용 (Keum et al. 2000. Cancer Lett. 150: 41-48)이 있는 Rg3의 함량은 75℃ 36시간 추출액 1.67mg/10㎖, 85℃ 36시간 추출액 3.13mg/10㎖, 95℃ 24시간 추출액 3.56mg/10㎖이었으며, 75℃와 85℃에서는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95℃ 추출시 24시간 이후 점점 감소하였다.
실시예 2: 추출액의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추출액의 이화학성 조사
백삼을 75℃, 85℃, 95℃에서 추출 시간별 추출액의 이화학성을 조사한 결과는 도 1과 같다. 백삼을 75℃에서 6시간 추출한 백삼액의 pH는 5.07, 36시간 추출액 4.75, 85℃ 6시간 추출액은 4.90, 36시간 추출액 4.67, 95℃ 6시간 추출액 4.73, 36시간 추출액 4.54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pH는 점점 낮아졌으며, 같은 시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낮았다 (도 1A).
추출액의 갈변도를 상대적인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 75℃ 6시간 추출액 12.3%, 36시간 추출액 78.2%, 85℃ 6시간 추출액 33.6%, 36시간 추출액 99.9%, 95 ℃ 6시간 추출액은 80.0%, 36시간 추출액은 100.0%로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갈변화 반응은 빠르게 나타났다 (도 1B).
추출액의 당도는 75℃에서 6시간 추출한 백삼액 1.8%, 36시간 추출액 2.85%, 85℃ 6시간 추출액은 1.8%, 36시간 추출액 3.8%, 95℃ 6시간 추출액 2.6%, 36시간 추출액 3.8%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도 1C).
환원당은 75℃에서 6시간 추출한 백삼액 6.80mg/ml, 36시간 추출액 14.24mg/ml, 85℃ 6시간 추출액 7.25mg/ml, 36시간 추출액 15.61mg/ml, 95℃ 6시간 추출액 13.29mg/m, 36시간 추출액 29.70mg/ml으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며, 온도가 높을수록 같은 시간대에서 함량이 높았다 (도 1D). 당도와 환원당이 고온 추출과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원인은 백삼 물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비환원성 고분자 다당류나 환원력이 없는 수크로스 등이 고온이 지속됨에 따라 분해가 일어나 환원력이 있는 저분자 당류로 변화하여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Choi et al. 1981. J. Korean Agr. Chem. Soc. 24(1): 50-58).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지표로 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작용을 검토한 결과,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추출액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같은 시간대에서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도 1E).
도 1은 추출 시간 및 온도에 따른 백삼 물 추출액의 pH(A), 갈변도(B), 당도(C), 환원당(D) 및 라디칼 소거활성(E)의 변화를 보여준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0.5cm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74~76℃에서 17~19시간 가열하여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f, Rg1 또는 Rh1 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4.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0.5cm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74~76℃에서 35~37시간 가열하여 진세노사이드 Rg2 또는 Rg3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0.5cm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84~86℃에서 5~7시간 가열하여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또는 Rg1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8.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0.5cm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84~86℃에서 35~37시간 가열하여 진세노사이드 Rg2, Rg3 또는 Rh1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백삼의 동체와 지근을 1~2cm, 세근은 5cm±0.5cm로 잘라서 동체, 지근, 세근을 7:2:1의 중량비로 물이 들어 있는 추출기에 넣고, 94~96℃에서 5~7시간 가열하여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f, Rg1, Rg2 또는 Rh1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12. 삭제
KR1020090073567A 2009-08-11 2009-08-11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10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567A KR101101836B1 (ko) 2009-08-11 2009-08-11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567A KR101101836B1 (ko) 2009-08-11 2009-08-11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059A KR20110016059A (ko) 2011-02-17
KR101101836B1 true KR101101836B1 (ko) 2012-01-05

Family

ID=4377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567A KR101101836B1 (ko) 2009-08-11 2009-08-11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37B1 (ko) * 2015-06-02 2017-08-29 주식회사 천부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3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107B1 (ko) * 2004-12-24 2006-09-20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g2의 제조방법
KR20100005828A (ko) * 2008-07-08 2010-01-18 (주)모닝팜 홍삼 농축액의 사포닌 함량 증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107B1 (ko) * 2004-12-24 2006-09-20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g2의 제조방법
KR20100005828A (ko) * 2008-07-08 2010-01-18 (주)모닝팜 홍삼 농축액의 사포닌 함량 증대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20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37B1 (ko) * 2015-06-02 2017-08-29 주식회사 천부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3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059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2924B (zh) 增强机体免疫力的保健露酒及其制作方法
KR101447486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8991215A (zh) 一种滇橄榄果脯及其制备方法
CN109247560A (zh) 一种发酵型调味玫瑰花料酒及其制备方法
CN103653104A (zh) 具有消脂及保护心血管作用的石榴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01836B1 (ko) 백삼 물 추출액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513240B1 (ko) 생약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CN103907681B (zh) 一种功能性花生奶及其制备方法
CN112159485B (zh) 一种山楂果胶提取工艺及山楂制品
CN101352192A (zh) 无花果果茶及生产方法
KR101607452B1 (ko) 벤조피렌 함량이 저감되고 침출 효율이 높은 흑편삼의 제조방법
CN107593979A (zh) 一种药制黑茶以及药制黑茶的加工方法
CN107712845A (zh) 火棘果提取物在制备提高视觉敏感度保健食品与药品中的用途
CN106900916A (zh) 一种当归茱萸明目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741046B (zh) 一种酸角水晶啤酒糕及其制备方法
CN108617951B (zh) 一种铁皮石斛保健挂面产品
CN106721848A (zh) 一种降血压脱脂小麦胚芽袋泡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097664B1 (ko)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CN109907144A (zh) 一种具有控制血糖功效的蓝莓荨麻茶及其制备方法
CN104839622A (zh) 一种灵芝辣椒酱
CN103976221B (zh) 一种蓝莓冻糕及其制备方法
KR102151846B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식 면 및 그 제조방법
CN107460100A (zh) 一种谷果叶固态发酵茶的制备方法及谷果叶固态发酵茶
CN108004096A (zh) 一种灵芝养生中药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