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354B1 -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 Google Patents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354B1
KR101101354B1 KR1020090107854A KR20090107854A KR101101354B1 KR 101101354 B1 KR101101354 B1 KR 101101354B1 KR 1020090107854 A KR1020090107854 A KR 1020090107854A KR 20090107854 A KR20090107854 A KR 20090107854A KR 101101354 B1 KR101101354 B1 KR 10110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ransfer
carrier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339A (ko
Inventor
김흥곤
Original Assignee
김흥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곤 filed Critical 김흥곤
Priority to KR102009010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3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urning or jiggering in moulds or moulding surfaces on rotatable suppor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86Multiple-twist arrangements, e.g. two-for-one twisting devices ; Threading of yarn; Devices in hollow spindl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06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with spool carriers moving always in the same direction in endless 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에 관한 것으로, 체결력과 유연성 및 강도와 진원도가 높은 봉합사를 얻을 수 있고 원사를 절약할 수 있는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 기능이 구비된 편조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원사피동기어와, 상부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노치가 형성되고 하부의 측면에는 이송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원사피동기어로부터 연동되는 다수 개의 이송구와 2개의 이송홀이 교차형성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중앙 안내판과 외측 안내판 사이의 공간이 이송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내부와 하부에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판의 회동으로 이송홀을 따라 이동되는 원사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원사꼬임부와, 상기 원사꼬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사꼬임부로부터 제조된 사가 권취되는 권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사꼬임부의 원사캐리어는 하부에 원통 형상으로 결합되는 자전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안내판에 상기 자전패드와 접촉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원사캐리어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공전하면서 상기 자전패드가 상기 마찰부재와 접촉시 자전이 되므로 원사자체의 꼬임이 가능하며, 원사자체의 꼬임으로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꼬을 때에도 더욱 규칙적인 형태로 꼬을 수 있고 그 강도, 체결력, 유연성 및 진원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편조, 캐리어, 자전, 공전,심사

Description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a braiding machine having a carrier turning on its own axis}
본 발명은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꼬아 한 가닥의 사로 만드는 편조기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의 하부에 자전패드를 부착시켜 마찰부재와의 접촉으로 캐리어의 자전이 되도록 함으로 상기 캐리어에 권취된 한 가닥의 원사 자체가 꼬이도록 하며, 그 원사 자체가 꼬인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꼬을 때에도 더욱 규칙적인 형태로 꼬을 수 있도록 한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편조기는 구동장치, 전달장치, 캐리어의 경로인 이송홀을 가진 이송판과 이송홀을 따라 캐리어가 동작되게 하는 안내부와 원사가 권취된 다수 개의 캐리어로 구성되며, 캐리어의 이동으로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꼬아 한 가닥의 사를 만드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편조기의 원사꼬임장치를 나태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기는 베이스(21)와,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커버(22)와, 상기 베이스에 수납된 전달장치(23)와, 상기 전달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커버에 위치한 복수의 노치(29)를 갖는 복수의 이송판(24)과, 상기 이송판에 의해 구동되고, 캐리어(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기구(32)와 타측에 배치되는 편조 기구(31)를 갖고, 상기 지지기구가 상기 이송판의 상하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캐리어(25)와, 커버 위에 장착되고 중앙 안내부재(27) 및 외측 안내부재(28)를 포함하는 안내장치(26)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판(22)이 상기 중앙 안내부재(27)와 외측 안내부재(28)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캐리어(30) 중앙 안내부재(27)와 외측 안내부재(28)가 맞물린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 편조기의 경우 여러 가닥의 원사는 캐리어 내에서 꼬임이 없이 캐리어 내에 장착된 보빈에서 풀려나와 편조됨으로 봉합사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며 유연성이 없는 봉합사가 생산되었으며 사의 진원도 역시 완전하지 못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캐리어 내에 장착된 원사를 안정적이고 고른 배열로 꼬아서 체결력과 유연성 및 강도와 진원도가 더욱 높은 봉합사를 얻을 수 있는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봉합사의 체결력과 유연성 및 높은 강도와 진원도를 얻고자 더 많은 가닥의 원사를 꼬으는 것이 아닌 원사 자체의 꼬임으로 해결함으로써 원사의 비용도 절약이 가능한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달하는 원사피동기어와, 상부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노치가 형성되고 하부의 측면에는 이송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연동되는 다수 개의 이송구와, 상기 이송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2개의 이송홀이 교차형성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중앙 안내판과 외측 안내판 사이의 공간이 이송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내부와, 하부에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구의 회동으로 이송홀을 따라 이동되는 원사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원사꼬임부와 상기 원사꼬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사꼬임부로부터 제조된 사가 권취되는 권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사꼬임부의 원사캐리어는 하부에 원통 형상으로 결합되는 자전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안내판에 상기 자전패드와 접촉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원사캐리어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공전하면서 상기 자전패드가 상기 마찰부재와 접촉시 자전이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외측 안내판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거치되며, 내주면이 상기 이송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는, 내주면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원사꼬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여러 가닥의 원사를 공전 및 자전으로 꼬아 심사를 만드는 심사꼬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사꼬임부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하부면의 중심에 형성된 홈에 고정축이 삽입되며, 외주면에 심사피동기어가 형성되어 심사구동기어에 의하여 회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원형상으로 수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기어가 연동되도록 장착되는 연동체를 통해 자전이 가능하게 제작되는 다수 개의 회전체와 상기 기어와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원사가 권취되는 심사캐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심사의 외주면에 원사 자체가 꼬인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꼬아 한 가닥의 사로 만듦으로 봉합사의 강성, 체결력, 유연성 및 진원도가 높아진다.
또한, 심사의 외주면에 원사 자체가 꼬인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꼴 때 각각의 원사가 나선형으로 꼬여 여러 가닥의 원사가 비틀려지며 생긴 골 사이로 다른 원사가 결합되어 규칙적인 배열의 사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두 가지를 접목시켜, 심사도 자체가 꼬인 원사로 만들어져 강도, 체결력, 유연성 및 진원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심사위로 자체가 꼬인 여러 가닥의 원사가 감긴 사도 강도, 체결력, 유연성 및 진원도가 더욱 높아지며 규칙적인 배열을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적은 수의 원사로 더 높은 강성, 체결력, 유연성 및 진원도를 얻음으로 원사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등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구동부(100)와 원사꼬임부(200), 권취부(300) 및 심사꼬임부(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구동부(10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100)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102), 동력전달축(120) 및 구동 기어(14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모터(102)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120) 상에는 구동기어(14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140)는 원사꼬임부(200)와 치합되고 권취부(300)는 동력전달축(120)에 의해 치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는 상부에 원사꼬임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원사꼬임부(200)의 하부에 심사꼬임부(400)가 설치된 실시예이다.
다만, 상기 심사꼬임부(400)는 공전과 자전 기능이 없이 단순히 심사만 제공할 수도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사꼬임부(200)는 일측은 상기 구동기어(140)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측은 이송구(220)와 결합되는 원사피동기어(210)가 상기 이송구(220)를 회전시켜 상기 이송구(220)에 거치되는 원사캐리어(260)를 이송판(2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송홀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된 심사의 외주면을 따라 원사를 꼬을 수 있다.
상기 권취부(300)는 상기 원사꼬임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사꼬임부(200)에서 제조된 사를 취합한다.
상기 심사꼬임부(400)는 상기 원사꼬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베이 스(420)와 상기 베이스(420)의 내부에 결합되는 회전체의 상부에 심사캐리어(490)가 결합되는데 상기 베이스(4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심사피동기어와 결합되는 심사구동기어(미도시)를 별도의 모터로 작동시켜 상기 베이스를 회전시킴으로 상기 심사캐리어(490)의 공전 및 자전이 되어 심사가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심사꼬임부(400)는 상기 원사꼬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꼬아 심사를 만들며 상기 심사꼬임부(400)에서 제작된 심사를 상부에 위치하는 원사꼬임부(200)의 중심에서 상향으로 위치시켜 고정한 후 상기 심사의 외주면에 원사를 편조할 수 있게 제작된다.
또한, 이미 제작된 심사를 원사꼬임부(200)의 중심에서 상향으로 위치시켜 고정한 후 상기 심사의 외주면에 원사를 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도 2에 언급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원사꼬임부(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사꼬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이송구와 원사캐리어의 구성과 결합을 나태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사꼬임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사캐리어의 이송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사캐리어가 이송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부분적으로 나눈 단면도이다.
상기 원사꼬임부(200)는 원사피동기어(210), 이송구(220), 이송판(230), 안내부(240) 및 원사캐리어(260)로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꼬임 부(200)는 상기 구동기어(140)와 같은 축상에 원사피동기어(210)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이송구(220)에 전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구(220)는 이송 기어(224), 원판플레이트(226), 상기 이송 기어(224)와 원판플레이트(226)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5)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 기어(224)의 상부에 원판플레이트(226)가 설치된다.
상기 원판플레이트(226)의 측면으로 반원 형상의 노치(222)가 원주면을 따라 90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원판플레이트(226)와, 연결프레임(225), 이송기어(224)의 중심부에는 관통홀(223)이 형성되어, 체결구(미도시)를 통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이송구(220)가 상호 연동되도록 기어가 결합되어 프레임(2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구(220)와 이송구(220)의 사이에는 원사캐리어(260)가 거치된다.
상기 원사 캐리어(260)는 편조부(268)와 지지대(26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262)는 체결부(264)와 제1거치판(261), 제2거치판(263), 제3거치판(265)과 제1지지축(267), 제2지지축(269)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판의 상부면에 거치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거치판(261)은 상기 이송판(230)의 상면에 거치되며, 상기 제1지지축(267)은 상기 제1거치판(261)과 상기 제2거치판(263)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홀(232)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거치판(263)은 상기 이송 판(230)의 하부면과 상기 원판플레이트(226)의 상부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거치판(265)은 상기 원판플레이트(226)의 하부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거치판(263)과 제3거치판(265)은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흔들리지 않고 직립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제2지지축(269)은 상기 제2거치판(263)과 상기 제3거치판(265)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노치(222)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3개의 거치판은 2개의 축이 거치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데 제1지지축(267)은 직경이 이송홀(232)의 간격보다는 작으나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정도여야 하며, 제2지지축(269)은 높이가 제2거치판(263)과 제3거치판(265)이 원판플레이트(226)의 상하부에 근접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여야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264)는 일측에 상기 편조부(268)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자전패드(26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전패드(266)의 재질은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고무,실리콘,우레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편조부(268)는 상부의 외주면에 원사가 권취되는데, 종래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꼬임부(200)는 피동기어(미도시)와 프레임(221), 상기 프레임(221)의 내부에 결합된 이송구(220), 상기 프레임(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송판(230), 상기 이송판(2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판(230)은 상면에 상기 이송구(220)에 형성되는 관통홀(223)과 대응되는 체결홀(234)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판(23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234)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구(220)의 관통홀(223)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구(미도시)가 상기 프레임(221)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구(22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송판(230)은 상면에 상기 체결홀(234)를 중심으로 상기 2개의 이송홀(232)이 교차되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이송홀(232)은 '∞'형상이 원 형으로 형성되도록 360도 회전되어 교차된다.
또한, 상기 이송판(2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안내부(240)와 나사결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240)는 중앙 안내판(242)과 외측 안내판(2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안내판(244)을 따라 복수 개의 마찰부재(280)가 결합된다.
상기 외측 안내판(244)의 내주면과 상기 중앙 안내판(242)의 외주면은 상기 이송홀(232)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 안내판(244)은 상기 원사캐리어(260)의 제1거치판(261)이 상기 이송홀(232)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거치판(261) 직경의 1/2정도의 공간만큼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앙 안내판(242)역시 상기 제1거치판(261) 직경의 1/2정도의 공간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안내판(244)의 높이는 상기 자전패드(266)의 높이와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안내판(242)의 높이는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회전시 상기 편조부(268)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안내판(244)의 높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280)는 상기 외측 안내판(244)에 결합되는 지지판(286)과, 상기 지지판에 거치되고 상기 원사캐리어(260)의 자전패드(266)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이송홀(232)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284)와, 상기 지지판(286)과 상기 슬라이더(284)의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28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86)은 성냥갑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로 상기 슬라이더(284)를 삽입 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84)와 상기 지지판(286)의 외각면 사이에 탄성체(282)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체(282)는 상기 슬라이더(284)의 양측면에 각 1개씩의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수량에 있어서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스프링이 아닌 탄성을 지닌 고무 및 발포성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86)에 거치되는 상기 슬라이더(284)의 접촉면은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회전시 상기 자전패드(266)와의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안내판(244)의 내주면보다 다소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구(22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원사캐리어(260)의 이동방향이 결정되는데, (여기서, ←:원사캐리어(260)의 이동경로, <--:이송구(220)의 회전방향을 나타냄) 상기 원사캐리어(260)는 상기 이송구(220)의 회 전방향에 따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홀(232)따라 이동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사캐리어는(260)는 a->b->c->d순서로 이동하는데, 도 a, 도 b, 도 c, 도 d의 원사캐리어의 위치를 각각 a지점, b지점, c지점, d지점이라 하겠다.
a지점에서는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한 개의 이송구(220)의 노치(222)를 통하여 이동하며 외측안내판(244)에 결합된 마찰부재(280)와 접촉을 하여 자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구(220)의 회동으로 b지점을 지나 c지점에 위치하면 이동되며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상기 이송구(220)의 노치(222)에서 상기 이송구(220)와 연동되게 위치하는 인접한 이송구(220)의 노치(222)로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이동을 하고 d의 지점을 통과하여 상기의 작동과 동일하게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이송홀(232)을 이동한다.
또한, a지점에 위치하는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고 a지점과 대칭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다른 원사캐리어(260)는 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
다음으로 권취부(300)는 상기 원사꼬임부(200)에서 생산되어 나오는 사를 권취시키는 장치는 연을 날릴 때의 장비인 보빈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며 종래의 기술을 그대로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권취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다음으로 심사꼬임부(4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심사꼬임부(4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사꼬임부(400)는 베이스(420)와, 상기 베이스(420)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는 회전체(440)와, 상기 베이스(4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480)와, 상기 회전체(440)의 일측에 결합되는 심사캐리어(490)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베이스(42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외주면에 심사피동기어(424)가 형성되며, 하부면의 중심에 형성된 홈에 원형의 고정축(422)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축(422)의 외주면은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420)는 심사구동기어(미도시)와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440)는 상기 베이스(420)의 내부에 상기 고정축(422)을 중심으로 원 형상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420)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440)는 상기 베이스(420)의 하부면에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에 상기 회전체(440)를 결합하여 회동이 되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에 회전체(440)가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닌 원기둥형상의 축을 결합하여 상기 축에 끼움결합이 될 수 있는 중공된 회전체(440)를 제작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420)의 하부면에 원기둥 형상의 홈을 파서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게 하단에 상기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축을 결합시킨 회전체(440)를 제 작하여 상기 회전체(440)를 상기 홈에 결합시, 상기 회전체(44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상기 홈 또는 상기 축에 윤활유를 첨가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420)가 회전하면 상기 고정축(422)과 상기 베이스(420)에 회동되도록 고정된 회전체(440)가 상기 고정축(422)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여 상기 고정축(422)과 상기 회전체(440)를 연결한 벨트(460)에 장력이 발생하는데, 상기 회전체(440)와 상기 벨트(460)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일측은 장력이 증가하고 타측은 장력이 감소하여 장력이 증가된 방향으로 회전체(440)가 회동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440)에 권취된 벨트(460)의 장력을 조절하여 더욱 자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풀리(42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체(440) 3개당 1개의 장력조절장치(426)와 1개의 벨트(460)가 구비되나 당업자의 재량에 따라 수량은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480)는 상기 베이스(42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440)와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심사캐리어(490)는 결합지지부(미도시)와 편조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지지부(미도시)는 일측은 편조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체(400)의 일측과 결합하고, 상기 편조부는 상기 원사캐리어(260)의 편조부와 동일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는 구동부(100), 원사꼬임부(200), 권취부(300), 심사꼬임부(4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구동모터(10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원사구동기어(140)와 상기 원사 구동기어(140)와 같은 축 상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원사피동기어(210)를 통해 상기 원사피동기어(210)와 맞물려 연동되게 작동되는 복수 개의 이송구(220)가 맞물려 회동을 한다. 상기 이송구(220)의 노치(222)에 삽입되는 원사캐리어(260)의 편조부(268)에는 원사가 권취되고 하부의 결합부(264)에는 자전패드(266)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구(220)가 회동을 하여 상기 이송구(220)의 노치(222)에 삽입된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이동을 하는데 그 경로는 이송판(230)에 형성되는 이송홀(232)을 따라 움직이는, 즉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공전을 하여 심사의 둘레를 여러가닥의 원사가 감긴다.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상기 이송홀(232)을 따라 움직이며 외측안내판(244)에 결합된 마찰부재(280)와 상기 원사캐리어(260)에 구비되는 자전패드(266)가 접촉을 하며 자전되는데, 즉 상기 상기 원사캐리어(260)에 권취된 1가닥의 원사 자체가 꼬인다.
상기 원사캐리어(260)가 이송홀(232)을 따라 공전을 하는 것과 동시에 자전을 하여 상기 원사캐리어(260)의 편조부(268)에 권취되는 원사가 심사의 외주면에 꼬여 감긴다.
위의 작동으로 상기 원사꼬임부(200)에서 제작되는 사는 상부에 위치한 권취부(300)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원사꼬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심사꼬임부(400)는 사를 꼬아 심사를 제작하는 장치로써,
상기 베이스(420)의 외주면에는 심사피동기어(424)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420)가 회전을 하면 상기 고정축(422)과 회전체(440)를 연결한 벨트(460)에 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회전체(440)가 회동을 하고, 상기 회전체(440)의 상부에 결합된 사가 권취된 심사캐리어(490)도 상기 베이스(420)의 회전과 상기 회전체(440)의 회동으로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되어 여러 가닥의 사가 꼬여 심사가 제작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의 규칙적인 배열과 높은 강도를 제공하는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 - 종래 편조기의 원사꼬임장치를 나타태는 사시도.
도2 -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의 측면도.
도3 - 본 발명에 따른 원사꼬임부의 측면도.
도4 - 본 발명에 따른 이송구와 원사캐리어의 결합 사시도.
도5 - 본 발명에 따른 원사꼬임부의 분해 사시도.
도6 - 본 발명에 따른 원사캐리어의 이동경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7 - 본 발명에 따른 원사캐리어의 이동경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8 - 본 발명에 따른 심사꼬임부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구동부 120...동력전달축
140...원사구동기어 200...원사꼬임부
210...원사피동기어 220...이송구
222...노치 224...이송기어
226...원판플레이트 230...이송판
232...이송홀 240...안내부
242...중앙안내판 244...외측안내판
260...원사캐리어 262...지지대
266...자전패드 280...마찰부재
282...탄성체 284...슬라이더
286...지지판 300...권취부
400...심사꼬임부 420...베이스
422...고정축 424...심사피동기어
440...회전체 460...벨트
480...커버 490...심사캐리어

Claims (5)

  1. 구동부(100);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달하는 원사피동기어와, 상부는 원형 플레이트로 제작되며 하부는 측면에 이송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원사피동기어로부터 연동되는 다수 개의 이송구와, 상기 이송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2개의 이송홀이 교차형성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중앙 안내판과 외측 안내판 사이의 공간이 이송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내부와, 하부에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구의 회동으로 이송홀을 따라 이동되는 원사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원사꼬임부(200);
    상기 원사꼬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사꼬임부로부터 제조된 사가 권취되는 권취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사캐리어의 지지대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결합되는 자전패드(266)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안내판에 상기 자전패드와 접촉되는 마찰부재(280)가 구비되어, 상기 원사캐리어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공전하면서 상기 자전패드가 상기 마찰부재와 접촉시 자전이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자전 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외측 안내판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거치되며, 원사캐리어의 자전패드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이송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원사캐리어의 자전패드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자전 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꼬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여러 가닥의 원사를 꼬아 심사를 만드는 심사꼬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꼬임부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하부면의 중심에 형성된 홈에 고정축이 삽입되며, 외주면에 심사피동기어가 형성되어 심사구동기어에 의하여 회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원 형상으로 수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기어가 연동되도록 장착되는 벨트를 통해 자전이 가능하게 제작되는 다수 개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원사가 권취되는 심사캐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KR1020090107854A 2009-11-10 2009-11-10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KR10110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54A KR101101354B1 (ko) 2009-11-10 2009-11-10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54A KR101101354B1 (ko) 2009-11-10 2009-11-10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339A KR20110051339A (ko) 2011-05-18
KR101101354B1 true KR101101354B1 (ko) 2012-01-02

Family

ID=4436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854A KR101101354B1 (ko) 2009-11-10 2009-11-10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9324A (zh) * 2017-12-08 2018-03-23 徐州恒辉编织机械有限公司 一种调捻扭绳机的无级调捻装置
CN107869080A (zh) * 2017-12-08 2018-04-03 徐州恒辉编织机械有限公司 一种无级调捻扭绳机
JP7325047B2 (ja) * 2020-01-17 2023-08-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導波管外導体用の丸組紐製紐機および可撓性導波管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0084A (en) 1990-08-17 1996-05-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raided suture products
US6360644B1 (en) 2000-03-31 2002-03-26 American Metric Corporation Braiding machine
KR20040007291A (ko) * 2002-07-11 2004-01-2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단 결합을 이용하는 강판 접합 설비
KR200407291Y1 (ko) 2005-11-10 2006-01-26 밍-첸 첸 안내 장치를 갖는 편조장치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0084A (en) 1990-08-17 1996-05-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raided suture products
US6360644B1 (en) 2000-03-31 2002-03-26 American Metric Corporation Braiding machine
KR20040007291A (ko) * 2002-07-11 2004-01-2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단 결합을 이용하는 강판 접합 설비
KR200407291Y1 (ko) 2005-11-10 2006-01-26 밍-첸 첸 안내 장치를 갖는 편조장치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339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354B1 (ko) 캐리어의 자전기능이 구비된 편조기
CN103052586A (zh) 升降机钢索张力自动均衡装置
KR101764373B1 (ko) 커버링 원사 제조장치
WO2011104887A1 (ja) ワイヤロープ製造装置
US4034643A (en) Bobbin drive mechanism for a rotary braider
KR880000586B1 (ko) 탄성 커버링(covering)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20060277891A1 (en) Fore-for-one twisting spindle for twisting machines or similar
JP3909440B1 (ja) ブレードマシン
US8596159B2 (en) Deceleration mechanism
CN110678396A (zh) 具有旋转平台的包装机
JP5203887B2 (ja) ワイヤロープ製造装置
US6131841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textile machines
CN105579375A (zh) 用于在缠绕机中缠绕塑料膜的机动化卷轴组
US20090320626A1 (en) Actuator
CN112935155A (zh) 一种钢丝编织机
CN112843791B (zh) 一种低热容色谱柱及其生产装置
TWI461580B (zh) 包紗裝置
JP2603825B2 (ja) コイル巻線装置
JP3159583U (ja) 片軸受リール
US868726A (en) Machine for making rope.
CN117005225A (zh) 用于捻线打轴机的短摆臂高速度装置和使用方法及应用
KR200462343Y1 (ko) 장식사 제조장치
KR100936248B1 (ko) 트윈 드럼 와인더
JP4726615B2 (ja) 丸編機の積極給糸手段の駆動伝達装置
US20220024714A1 (en) Transfer device for maintaining an electrical or optical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