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298B1 - 활송 사다리 - Google Patents
활송 사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9298B1 KR101099298B1 KR1020090078268A KR20090078268A KR101099298B1 KR 101099298 B1 KR101099298 B1 KR 101099298B1 KR 1020090078268 A KR1020090078268 A KR 1020090078268A KR 20090078268 A KR20090078268 A KR 20090078268A KR 101099298 B1 KR101099298 B1 KR 1010992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dder
- scaffold
- chute
- present
- sl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6—Non-ski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통 때는 통상적인 사다리의 형태를 하고 있다가 무거운 물건을 옮길 때에는 미끄럼 형식의 활송면을 형성하고 그 위로 물건이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물건의 이송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활송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는 사다리가 본래 가지고 있는 스텝을 이용하여 활송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물건 이동의 신속 및 안정성, 중량 절감 등의 효과를 이끌어 낸 새로운 개념의 활송 사다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뻗은 사다리측면부재; 사다리측면부재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사다리발판; 사다리발판의 전방 좌우 끝단과 각각 결합하면서 상하로 길게 뻗은 링크부재; 최상부에 위치한 사다리발판과 기어에 의하여 연결되는 핸들 및; 사다리발판 아래에서 사다리발판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사다리발판을 지지하거나 사다리발판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다리, 활송 사다리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통 때는 통상적인 사다리의 형태를 하고 있다가 무거운 물건을 옮길 때에는 미끄럼 형식의 활송면을 형성하고 그 위로 물건이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물건의 이송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활송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활송 사다리(CHUTE LADDER)는 난간에 판(PLATE)을 부착하고 있다가 무거운 물건을 옮길 때 판을 펼쳐서 미끄럼 형식의 활송면을 만든 다음 그 위로 물건이 미끄러지게 하여 아래로 이동시킨다(도 11). 이때 판은 스텝(계단) 주위에서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활송 사다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우며 활송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내리면서 난간에 판을 부착하고 있는 고리를 일일이 제거해야 하므로 활송면을 만드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1인의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활송면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둘째, 기존의 사다리에 사다리 크기만큼의 판이 추가로 붙으므로 자재소모 및 중량증가로 인한 경제력이 저하된다. 셋째, 활송 사다리의 경사각이 클 경우 물건의 빠른 이 송(하강)속도에 의하여 물건이 파손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작업의 편리성, 물건 이동의 신속 및 안정성, 중량 절감을 고려한 새로운 개념의 활송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뻗은 사다리측면부재; 사다리측면부재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사다리발판; 사다리발판의 전방 좌우 끝단과 각각 결합하면서 상하로 길게 뻗은 링크부재; 최상부에 위치한 사다리발판과 기어에 의하여 연결되는 핸들 및; 사다리발판 아래에서 사다리발판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사다리발판을 지지하거나 사다리발판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활송 사다리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는 활송면을 만들기 위한 별도의 판을 사용하지 않고 사다리가 본래 가지고 있는 스텝을 이용하여 활송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를 기어 방식의 핸들로 간단하게 조작하므로 작업의 편리성 및 신속성, 중량 절감에 따른 경제성 증가 등의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는 경사각을 완만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건이 사다리를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지면과 충돌하여 파손될 위험성이 상당히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는 사다리측면부재(10), 사다리발판(20), 링크부재(30), 핸들(40) 및 스토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는 활송면을 만들기 위한 별도의 판을 사용하지 않고 사다리가 본래 가지고 있는 스텝(본 발명의 사다리발판(20))을 이용하여 활송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를 기어 방식의 핸들(40)의 조작을 통해 사다리발판(20)을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활송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여기서 ‘활송면’이란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울어진 평면으로서, 작업자들은 이러한 활송면 위로 무거운 물건이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물건을 위에서 아래로 손쉽고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a는 사다리발판(20)이 회전하지 않고 계단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가 통상의 사다리처럼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의 b는 사다리발판(20)이 회전하여 활송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사다리측면부재(10)는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주된 몸체이자 뼈대를 이루는 부재로서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뻗은 형상을 하고 있다.
사다리발판(20)은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계단을 이루는 판상의 부재인데, 이러한 사다리발판(20)의 형상에 대하여 본 발명은 특별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지만 공간의 활용이나 안전성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다리발판(20)은 다수 개가 사다리측면부재(10)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사다리발판(20)의 좌우 측면의 전방 및 후방 끝단에는 돌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후방 돌출구(도 1 및 도 2의 c)는 사다리측면부재(1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끼워진다. 물론 이러한 홈(미도시)은 사다리발판(20)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후방 돌출구(도 1 및 도 2의 c)는 홈(미도시)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홈(미도시) 안에서 헛돌게 된다. 이로써 사다리발판(20)은 사다리측면부재(1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기준(지지점)으로 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운동(즉, 피벗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함).
한편, 사다리발판(20)의 전방 돌출구(도 1 및 도 2의 d)는 링크부재(3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끼워진다.
링크부재(30)는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좌우 측면에서 상하로 길게 뻗은 부재이다.
링크부재(30)에는 길이 방향으로 사다리발판(20)과 동일한 간격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미도시) 안으로 사다리발판(20)의 전방 돌출구(도 1 및 도 2의 d)가 끼워짐으로써 링크부재(30)와 사다리발판(20)은 상호 결합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링크부재(30)의 하부 끝단은 제일 아래에 위치한 사다리발판(도 1의 e)과, 링크부재(30)의 상부 끝단은 제일 위에 위치한 사다리발판(도 1의 f)과 결합한 상태를 이룬다.
링크부재(30)와 사다리발판(20)의 결합으로 인하여 사다리발판(20)은 링크부 재(30)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모두가 일괄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전방 돌출구(도 1 및 도 2의 d)는 링크부재(30)의 홈(미도시)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홈(미도시) 안에서 헛돌게 된다. 그 결과 링크부재(30)가 위로 당겨져 올라가면 사다리발판(20)은 사다리측면부재(1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기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사다리발판(20)이 위로 접혀지면서 서서히 활송면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도 3의 ① → ② → ③ → ④ 과정). 반대로 링크부재(30)가 아래로 내려가면 사다리발판(20)은 사다리측면부재(1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기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사다리발판(20)이 펴지면서 서서히 본래의 계단 모양으로 복귀하는 것이다(도 3의 ④ → ③ → ② → ① 과정).
이때, 작업자는 핸들(40)의 조작을 통해 링크부재(30)를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들(40)은 손잡이가 달린 봉 형상의 부재인데, 몸체의 하부 끝단이 제일 위에 위치한 사다리발판(도 1의 f)과 기어에 의하여 연결된다. 도 4에는 이러한 연결 관계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핸들(40)의 하부 끝단은 사다리발판(20)과 평행을 이루도록 굽어진 상태로 사다리측면부재(10) 상에 부착되며, 사다리발판(20)의 좌우 너비만큼의 간격을 두고 기어(g, 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일 위에 위치한 사다리발판(f)의 좌우 측면의 후방 끝단에도 역시 기어(g‘, h’)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어(g, h, g‘, h’) 사이에는 1개 이상의 기어가 추가로 삽입되어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1개의 기어가 추가로 삽입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4에서, 작업자가 핸들(40)을 후방으로 당기면 사다리발판(f)의 좌우 측면의 후방 끝단에 형성된 기어(g‘, h’)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다리발판(f)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링크부재(30)가 위로 당겨져 올라가면서 사다리발판(20) 모두가 사다리측면부재(1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기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핸들(40)을 전방으로 밀면 사다리발판(f)의 좌우 측면의 후방 끝단에 형성된 기어(g‘, h’)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다리발판(f)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링크부재(30)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사다리발판(20) 모두가 사다리측면부재(1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기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1명의 작업자라 할지라도 핸들(40) 조작만으로 손쉽게 활송면을 만들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활송면을 만들기 위하여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달라붙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 내에 활송면을 만들 수 있어 물건 이송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스토퍼(50)는 사다리발판(20) 아래에서 사다리발판(20)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스토퍼(50)는 사다리발판(20)을 지지하거나 사다리발판(20)의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50)는 사다리측면부재(10) 사이에 꽉 끼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
도 5에는 스토퍼(50)의 형상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6에는 스토퍼(50)와 사다리발판(20) 간의 상호관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스토퍼(50)는 몸체 상면(51)이 평평하게 지면과 평행을 이루고 있어 사다리발판(20)의 하면을 수평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2에는 사다리발판(20)이 회전하지 않고 통상의 계단을 형성하고 있을 때 스토퍼(50)에 의하여 수평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스토퍼(50)는 사다리발판(20)이 흔들리지 않도록 받쳐주는 받침대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써 작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를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50)는 몸체 전면에 직각의 단(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단(52)은 회전하는 사다리발판(20)의 전방 끝단과 접촉하여 사다리발판(2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링크부재(30)가 위로 당겨져 올라가면 사다리발판(20)은 사다리측면부재(1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기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서히 활송면을 만들게 된다고 하였는데, 이때 사다리발판(20)이 계속 회전만 하게 되면 활송면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활송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다리발판(20)이 상호 연이어져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여야 하며, 이처럼 사다리발판(20)이 상호 연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발판(20)의 회전을 어느 순간 차단하여 사다리발판(2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되도록 차단할 도구가 필요하다. 이때, 이러한 역할을 스토퍼(50)가 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에는 스토퍼(50)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 사다리발판(20)이 상호 연이어져서 전체로서 하나의 활송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사다리발판(20) 은 스토퍼(50)의 단(52)에 걸려 회전이 차단되며 이러한 상태의 사다리발판(20)이 스토퍼(50)를 매개로 하여 상호 연이어져서 전체로서 하나의 활송면을 형성하게 된다. 스토퍼(50)는 이 상태에서도 역시 사다리발판(20)이 흔들리지 않도록 받쳐주는 받침대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써 작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활송면 위로 무거운 물건이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물건을 손쉽고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활송면 위로 무거운 물건이 미끄러져 내려오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경사가 너무 급하다 보면 물건이 미끄러져 내려오는 속도가 너무 높아져 자칫하면 물건이 바닥에 착지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는 필요한 경우 그 경사를 완만하게 조절함으로써 미끄러져 내려오는 물건의 손상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연장부재(61)를 돌출함으로써 활송 사다리 전체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경사조절대(60)를 활송 사다리의 하면에 부착한다.
도 7은 경사조절대(6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경사를 완만하게 조절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의 a에는 경사조절대(60)를 활용하지 않아서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가 지면과 5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반면에 도 7의 b에는 경사조절대(60)를 활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가 지면과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즉, 경사조절 대(60)를 활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경사가 완만하게 조절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경사가 완만하게 조절되는 것은 길이연장부재(61)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전체 길이가 연장된 데에 기인한다. 즉, 길이연장부재(61)는 경사조절대(60)의 몸체 상에서 활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작업자는 필요한 경우 길이연장부재(61)를 아래로 당겨서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아래로 돌출시킬 수 있는데, 이처럼 길이연장부재(61)가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아래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며,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전체 길이가 연장된 만큼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를 도 7의 b처럼 더욱 비스듬하게 눕힐 수 있는 것이다(활송 사다리의 경사각 조절).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대(60)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경사조절대(60)는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뒷면에서 지면과 가까운 위치에 부착된다. 길이연장부재(61)는 경사조절대(60)의 몸체에 길게 형성된 홈(i)에 끼워져 활주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8의 a는 경사조절대(6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도 8의 b는 경사조절대(60)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b에서 길이연장부재(61)는 경사조절대(60) 상에서 아래로 활주하여 내려온 상태에 있다. 도 8의 a처럼 경사조절대(6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부재(j)를 이용하여 길이연장부재(61)가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잠가둔다.
이러한 잠금부재(j)는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는데, 도 9에는 그 중의 일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 9에는 잠금부재(j)의 끝단에 고리처럼 길게 돌출한 탭(k)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탭(k)이 길이연장부재(61)를 받쳐서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작업자가 잠금부재(j)의 손잡이를 돌려서 탭(k)이 길이연장부재(61)를 받치고 있던 상태를 해제하면 길이연장부재(61)는 아래로 활주하여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길이연장부재(61)가 바닥에 닿으면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자중(누르는 힘)에 의하여 길이연장부재(61)가 바닥 쪽으로 눌리어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된다.
한편, 길이연장부재(61)의 하부 끝단에는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든 미끄럼방지탭(62)을 부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가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탭(62)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미끄럼방지탭(62)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사다리발판이 계단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사다리발판, 링크부재 및 스토퍼 상호간의 결합 관계를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사다리발판이 회전하면서 점차적으로 활송면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핸들과 사다리발판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스토퍼의 형상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사다리발판이 활송면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사다리발판, 링크부재 및 스토퍼 상호간의 결합 관계를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경사조절대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사다리의 경사를 완만하게 조절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대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탭(62)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종래의 활송 사다리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사다리측면부재 40 : 핸들
20 : 사다리발판 50 : 스토퍼
30 : 링크부재 60 : 경사조절대
Claims (6)
- 삭제
-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뻗은 사다리측면부재(10); 사다리측면부재(10)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사다리발판(20); 사다리발판(20)의 전방 좌우 끝단과 각각 결합하면서 상하로 길게 뻗은 링크부재(30); 최상부에 위치한 사다리발판(20)과 기어에 의하여 연결되는 핸들(40) 및; 사다리발판(20) 아래에서 사다리발판(20)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사다리발판(20)을 지지하거나 사다리발판(20)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50);를 포함하는 활송 사다리.
- 제 2 항에 있어서,스토퍼(50)는 몸체 상면(51)이 평평하게 지면과 평행을 이루고 있어 사다리발판(20)의 하면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송 사다리.
- 제 2 항에 있어서,스토퍼(50)는 회전하는 사다리발판(20)의 전방 끝단과 접촉하여 사다리발판(2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직각의 단(52)이 몸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송 사다리.
- 제 2 항에 있어서,길이연장부재(61)를 돌출함으로써 활송 사다리 전체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경사조절대(60)를 활송 사다리의 하면에 추가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송 사다리.
- 제 5 항에 있어서,길이연장부재(61)의 하부 끝단에는 미끄럼방지탭(62)을 추가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송 사다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8268A KR101099298B1 (ko) | 2009-08-24 | 2009-08-24 | 활송 사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8268A KR101099298B1 (ko) | 2009-08-24 | 2009-08-24 | 활송 사다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0583A KR20110020583A (ko) | 2011-03-03 |
KR101099298B1 true KR101099298B1 (ko) | 2011-12-26 |
Family
ID=4392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8268A KR101099298B1 (ko) | 2009-08-24 | 2009-08-24 | 활송 사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929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5186B1 (ko) * | 2017-02-28 | 2018-11-05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철식 계단형 사다리 |
KR20230035892A (ko) | 2021-09-06 | 2023-03-14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사다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0149A (ja) | 1997-02-10 | 1998-08-18 | Maruta Kaihatsu Kk | 梯 子 |
KR200161442Y1 (ko) | 1997-12-11 | 1999-11-15 | 유철진 | 철도차량 작업용 사다리 |
JP2002285771A (ja) | 2001-03-27 | 2002-10-03 | Sankyu Inc | 梯 子 |
-
2009
- 2009-08-24 KR KR1020090078268A patent/KR1010992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0149A (ja) | 1997-02-10 | 1998-08-18 | Maruta Kaihatsu Kk | 梯 子 |
KR200161442Y1 (ko) | 1997-12-11 | 1999-11-15 | 유철진 | 철도차량 작업용 사다리 |
JP2002285771A (ja) | 2001-03-27 | 2002-10-03 | Sankyu Inc | 梯 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5186B1 (ko) * | 2017-02-28 | 2018-11-05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철식 계단형 사다리 |
KR20230035892A (ko) | 2021-09-06 | 2023-03-14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사다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0583A (ko) | 201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798652A (en) | Mobile ladders and platforms | |
CA2699556C (en) |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 |
JP5355230B2 (ja) | 昇降式足場台 | |
KR101099298B1 (ko) | 활송 사다리 | |
KR102202449B1 (ko) |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 |
US3276542A (en) | Self-propelled scaffold | |
CN201738222U (zh) | 一种踏梯装置及摊铺机 | |
CN205713057U (zh) | 一种斜坡用稳固防滑脚手架 | |
CN104763131A (zh) | 粉墙用支撑装置 | |
CN204419012U (zh) | 防倾倒人字梯 | |
KR200463126Y1 (ko) | 모터를 이용하여 발판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계단 | |
KR100821668B1 (ko) | 접이식 비계 | |
CN205577376U (zh) | 一种双导架施工升降平台 | |
KR200384963Y1 (ko) |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 |
JP2002285771A (ja) | 梯 子 | |
CN209908379U (zh) | 一种多功能梯子 | |
CN205604692U (zh) | 一种建筑施工稳定装置 | |
CN211850709U (zh) | 一种房建用简易脚手架 | |
CN112575643A (zh) | 建筑工地推车用辅助爬行缓台装置 | |
CN209354054U (zh) | 浅底坑用爬梯 | |
JP6375434B1 (ja) | タラップ | |
JP2010196314A (ja) | トラック荷役作業に用いる昇降兼退避用架台 | |
JP3044915U (ja) | 折畳式角変昇降階段 | |
JP2010229726A (ja) | 昇降式移動足場 | |
CN204436245U (zh) | 一种伸缩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