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862B1 -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 Google Patents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862B1
KR101098862B1 KR1020090048157A KR20090048157A KR101098862B1 KR 101098862 B1 KR101098862 B1 KR 101098862B1 KR 1020090048157 A KR1020090048157 A KR 1020090048157A KR 20090048157 A KR20090048157 A KR 20090048157A KR 101098862 B1 KR101098862 B1 KR 10109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or
casing
heat
resistant stee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547A (ko
Inventor
윤병선
정운필
조광훈
Original Assignee
(주)건일
(주)이알지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 (주)이알지서비스 filed Critical (주)건일
Priority to KR102009004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27D1/06Composite bricks or blocks, e.g. panels,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27D1/06Composite bricks or blocks, e.g. panels, modules
    • F27D1/08Bricks or blocks with internal reinforcement or metal b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클링커의 부착에 의한 내화벽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화격자에 인접한 내화벽돌을 대체하여 설치되는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열강 블럭은 배면측이 개방된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100)과, 케이싱 내측 공간에 내화재로서 충진된 캐스타블(101)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노출되는 정면에는 복수개의 구멍(102)들이 형성되어 소각로 운전온도에서의 열팽창 및 캐스타블로 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소각로의 고온의 운전온도에서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클링커가 부착되지 않거나 자체 하중에 의해 탈락되어 종래 소각로 내화벽에 부착되는 클링커 제거 및 내화벽 보수유지를 위한 소각로 정지등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내화벽 보수유지 작업 간격이 길어져 소각로 운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소각로, 내화벽돌, 내열강 블럭

Description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Heat Resisting Steel Blocks For Incinerator}
본 발명은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 및 고정 화격자들로 구성된 계단식 소각로의 내화블럭으로 이루어진 벽체에서 클링커 부착에 의한 내화벽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표면에 클링커가 부착되지 않고 열변형이 방지되는 개선된 내열강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생활 쓰레기나 산업 폐기물 처리방법으로서 매립할 수 없고 소각가능한 것은 대부분 소각시켜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소각은 다이옥신발생을 방지하도록 850도 이상의 고온에서 처리되고 있으며, 경유와 LNG등의 연료로 버너를 점화시켜 소각로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승온한 다음에 버너를 정지하고 호퍼를 통해 폐기물을 투입하면 승온된 소각로 내부 온도에 의해 발화되고 연소되며, 상기 폐기물은 연소단에서 램푸셔에 의해 가동되는 화격자에 의해 이동되면서 완전히 연소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처리용 소각로의 한 예로서 계단식 소각로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소각로(1)의 호퍼(2)로 투입되는 연소가능한 폐기물을 화격자장치(3)로 이동시키면서 연소버너(4)로 소각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격자장치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화격자(6)와 고정화격자(7)가 교대로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구성되며, 가동화격자가 램푸셔(8)에 의해 수평이동하면서 고정화격자 위에 있는 폐기물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소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소각로에서 플라스틱류가 완전연소되지 않은 경우 폐기물중 금속이나 유리성분등과 혼합되어 발생하는 소각생성물이나, 석탄이나 목탄등 폐기물의 소각 및 탄화시 클링커라 불리우는 소각생성물이 발생되며, 이러한 소각생성물이 소각로 벽체를 구성하는 내화벽돌에 반응하여 견고하게 부착됨에 따라 가동화격자의 작동에 방해가 되고 있고, 고장을 일으키게 되므로 소각로 가동을 중지하고 소각로 벽체로 부터 클링커를 제거하고 손상된 내화벽돌을 교체하는 등의 보수유지 작업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클링커로 인한 소각로 가동정지는 가동일수의 감소 및 재가동시 승온과정에서의 연료 소비에 따른 막대한 비용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같이 소각로에서 클링커가 내화벽돌에 부착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금속판을 소각로 내부의 내화벽돌 표면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부착하거나, 수냉재킷을 설치하고 냉각수를 순환시켜 회분의 자기질 클링커와 온도차가 발생되어 내화벽 표면에 클링커가 일체화되게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 크기가 되면 자체의 하중에 의해 탈락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금속판을 내화벽돌에 부착하는 방법은 소각로의 850도 내지 1200도에 달하는 고온에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기 쉬우며, 이경우 폐기물 및 화격자의 이동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수냉재킷을 사용하는 방법은 시설비용이 과도하고 부식에 의해 수냉재킷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각로를 정지하고 보 수해야 하는데 따른 보수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소각로에서의 내화벽돌 손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제10-0859588호의 "소각로의 내화벽돌 대체 라이너"에는 도 3에 분해도로 도시된, 내화벽에 매입되는 고정부재(10)에 결합수단(11)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립 플레이트(12)를 구비한 내화벽돌 대체 라이너(13)로 대체하며, 상기 슬립 플레이트(12)가 내화벽과 도일 평면을 이루거나 미소 간격만큼 돌출되게 설치하여 화격자와 상기 슬립플레이트(12)가 접촉되도록 하고, 이로써 내화벽돌과 화격자가 접촉하여 마모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슬립 플레이트 마모시에는 고정부재(10)로 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슬립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내화벽돌 대체를 위한 슬립플레이트(12)와 라이너(13)는 조립결합구조로 되어 내부에 내화재를 충입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가 빈 박스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단열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열팽창에 의해 노출된 정면부가 부풀려짐에 따라 화격자와 과도하게 접촉되어 마모가 과도하게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되거나 화격자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소각로의 내열벽돌을 대체하는 블럭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열특성이 양호하고 소각과정의 열팽창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화격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은,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클링커의 부착에 의한 내화벽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화격자에 인접한 내화벽돌을 대체하여 설치되는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에 있어서, 상기 내열강 블럭은 배면측이 개방된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 내측 공간에 내화재로서 충진된 캐스타블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노출되는 정면에는 복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소각로 운전온도에서의 열팽창 및 캐스타블로 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은 크롬 15 - 28중량부에 대하여 니켈 11 - 37 중량부, 탄소 0.20 - 0.7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불순물로서 함유되는 실리콘, 망간, 인 및 황은 실리콘 2.50 중량부, 망간 2.00 중량부, 인 0.040 중량부, 황 0.040 중량부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대향된 내측 측면들에는 앵커가 대향되게 접합되어 캐스타블과 케이싱을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은 내열특성이 양호한 내부가 비워져 있고 배면측이 개방되고 노출되는 정면에 구멍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에 캐스타블이 앵커에 의해 일체화되게 충입되어 구성됨으로써, 소각로의 고온의 운전온도에서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클링커가 부착되지 않거나 자체 하중에 의해 탈락되어 종래 소각로 내화벽에 부착되는 클링커 제거 및 내화벽 보수유지를 위한 소각로 정지등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내화벽 보수유지 작업 간격이 길어져 소각로 운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열강 블럭의 케이싱(100)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배면에서 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열강 블럭은 내열강으로 이루어진 배면측이 개방된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100)과, 케이싱 내측 공간에 단열재로서 충진되어 소성된 캐스타블(101)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은 소각로 내화벽에 조립될 때 노출되는 정면에 구멍(102)이 복수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곳의 모서리부분과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고온의 소각운전중 열팽창과, 내부에 충입된 캐스타블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중앙부가 부풀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변형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정면에 구멍 대신에 슬리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은 1200도 이상의 소각로 운전온도에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내열강으로 성형되며, 이를 위한 내열강 조성물은 크롬 15 - 28중량부에 대하여 니켈 11 - 37 중량부, 탄소 0.20 - 0.7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불가피하게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로서 실리콘과 망간 및 인, 황등의 성분들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크롬 15 - 28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2.50 중량부, 망간 2.00 중량부, 인 0.040 중량부, 황 0.040 중량부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조성된 내열강은 우수한 내산화성 및 표준 인장시험에 따른 인장강도 45 - 60 kgf/mm2, 신장율 7 - 9.9%를 보임으로써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1은 크롬 18중량부에 대하여 니켈 34 중량부, 탄소 0.4 중량부, 실리콘 1.6중량부, 망간 1.4 중량부, 인 0.03 중량부, 황 0.02 중량부로 이루어진 내열강 조성물 시편(X1)과, 크롬 17중량부에 대하여 니켈 36 중량부, 탄소 0.5 중량부, 실리콘 1.4중량부, 망간 1.5 중량부, 인 0.02 중량부, 황 0.04 중량부로 이루어진 내열강 조성물 시편(X2)에 대하여 표준 인장시험결과를 보여주며, 본 발명에 의한 내열강 조성물로 된 케이싱은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표 1. 내열강 조성물 테스트 결과
품명 (Brand Name)

항목 (Items)
내열강 조성물
X1 X2 평 균
신장율 (%) 9 9.8 9.4
인장강도 (Kg/mm2) 58 56 57
내 력 (Kg/mm2) 28 27 27.5
화학성분 (%)
Chemical Composition
C 0.4 0.5 0.45
Si 1.6 1.4 1.5
Mn 1.4 1.5 1.45
P 0.03 0.02 0.025
S 0.02 0.04 0.03
Ni 34 36 35
Cr 18 17 17.5
상기한 케이싱내에는 내화물로서 캐스타블이 충진되며, 상기 캐스타블은 1200도 이상의 소각로 운전온도에서 충분한 단열성 및 내화성, 열간 용적안정성과 전온도 영역에서 높은 강도를 갖는 고알루미나질 단열 캐스타블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캐스타블은 상기한 성분들의 분말상의 혼합물을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앵커(110)를 대향되게 용접된 케이싱(100) 내부에 충입한 다음 소성시켜 제조한다. 이때, 케이싱의 전면에 구멍들을 형성하여 소각로 운전시 케이스타블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어 케이싱의 변형이 방지되고 앵커에 의해 케이싱과 캐스타블이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캐스타블이 충입된 내열강 블럭의 설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각로의 벽체에서 화격자와 인접한 2층개의 내화벽돌들을 제거한 다음, 해당 위치에 본 발명의 내열강 블럭을 배치하고, 인접한 내화벽돌과의 틈새에 상기한 캐스타블 몰탈로 채워서 마감한다.
본 발명의 내열강 블럭은 소각로 벽체에서 화격자와 인접한 위치의 내화벽돌 들을 대신하여 설치됨으로써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클링커가 표면에 부착되기 어렵고 근접하여 작동하는 화격자에 의해 쉽게 탈락되므로 종래와 같이 클링커에 의한 화격자의 손상 또는 가동중지의 문제와 내화벽돌의 손상에 따른 단열서 저하의 문제가 방지된다.
도 1은 소각로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격자에 의한 폐기물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종래 내화벽에 설치하기 위한 내화벽돌 대체 라이너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열강 블럭 케이싱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내열강 블럭 케이싱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내열강 블럭 케이싱에 캐스타블이 충입되고 앵커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내열강 블럭을 소각로 내화벽에 시공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4)

  1.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클링커의 부착에 의한 내화벽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화격자에 인접한 내화벽돌을 대체하여 설치되는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으로서 상기 내열강 블럭은 배면측이 개방된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100)과, 케이싱 내측 공간에 내화재로서 충진된 캐스타블(101)로 구성된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크롬 15 - 28중량부에 대하여 니켈 11 - 37 중량부, 탄소 0.20 - 0.70 중량부, 실리콘 2.50 중량부, 망간 2.00 중량부, 인 0.040 중량부, 황 0.040 중량부로 된 내열강 조성물로 형성되고, 소각로 운전온도에서의 열팽창 및 캐스타블로 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노출되는 정면에는 복수개의 구멍(102)들이 형성되며, 케이싱(100)의 대향된 내측 측면들에는 앵커(110)가 대향되게 접합되어 캐스타블과 케이싱을 일체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48157A 2009-06-01 2009-06-01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KR10109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57A KR101098862B1 (ko) 2009-06-01 2009-06-01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57A KR101098862B1 (ko) 2009-06-01 2009-06-01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47A KR20100129547A (ko) 2010-12-09
KR101098862B1 true KR101098862B1 (ko) 2011-12-27

Family

ID=4350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57A KR101098862B1 (ko) 2009-06-01 2009-06-01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8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989A (ja)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リンカ付着防止構造用のフェライト系耐熱合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989A (ja)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リンカ付着防止構造用のフェライト系耐熱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47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46874U (zh) 一种炉箅炉条及包括该炉箅炉条的焚烧炉炉箅或冷却炉箅
KR101139941B1 (ko) 내열강 블럭을 사용한 소각로용 내화벽 시공방법
AU2006300385B2 (en) Rotary hearth furnace
KR101098862B1 (ko) 소각로용 내열강 블럭
JP5308847B2 (ja) 水冷式ストーカ炉
EP1288569A2 (en) Ash Melting Device
JP6512605B2 (ja) 耐火物被覆火格子
JPH02302508A (ja) 焼却炉等に用いる水管保護材及び水管保護壁
JP4015409B2 (ja) 廃棄物燃焼炉におけるクリンカ付着防止炉壁構造
JP3950349B2 (ja) ストーカ式焼却炉の水冷壁構造
JP2019183216A (ja) 耐熱性鋳鋼並びにこれを用いた焼却炉及び焼却炉火格子
JP4223459B2 (ja) 廃棄物熱処理炉におけるクリンカ付着防止炉壁構造
JP2021063628A (ja) 循環流動層ボイラのシールポットの補修方法
KR200452693Y1 (ko) 소각로용 에어노즐 라이너
KR102522883B1 (ko) 유동층 보일러의 전열관
JP7363592B2 (ja) コークス炉蓄熱室ピラーウォールの補修方法
JP4285755B2 (ja) クリンカ付着防止構造用のフェライト系耐熱合金
JP2019203617A (ja) 小型焼却溶融炉
JP2003227603A (ja) 直接溶融炉
KR200409442Y1 (ko) 소각로의 1차 연소실 내화축로형 구조
US6571721B1 (en) Ash melting apparatus
JP5350838B2 (ja) 廃棄物焼却用ストーカ炉
KR20070016031A (ko) 소각로
CN207797065U (zh) 一种危险废物回转窑窑尾耐热装置
JP2003254502A (ja) ボイラの水冷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