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22B1 -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 Google Patents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422B1
KR101098422B1 KR1020100032657A KR20100032657A KR101098422B1 KR 101098422 B1 KR101098422 B1 KR 101098422B1 KR 1020100032657 A KR1020100032657 A KR 1020100032657A KR 20100032657 A KR20100032657 A KR 20100032657A KR 101098422 B1 KR101098422 B1 KR 10109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eam
bracket
bracket body
door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323A (ko
Inventor
정준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to KR102010003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4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팩트 빔의 각 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을 갖는 브라켓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임팩트 빔의 각 단부를 삽입홀에 끼운 상태로 임팩트 빔의 각 단부에 형성된 홀에 고정핀을 끼우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하여 임팩트 빔과의 결합력을 강화하며, 상기 브라켓 몸체를 압출 성형으로 제작된 성형품을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단가를 최소화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BEAM BRACKET FOR DOOR IMPACT BEAM}
본 발명은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도어 아웃터 패널의 침입량을 최대한 억제하는 임팩트 빔을 도어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10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3)의 인너패널(109) 내부에 횡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상대 차량 혹은 충돌물의 침입을 최대한 억제하여 승차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 임팩트 빔(101)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환봉 형상의 빔(105)과, 상기 빔(105)의 양단을 도어 인너패널(109)의 양측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빔 브라켓(10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빔 브라켓(107)은 빔(105)의 양단에 각각 상호 용접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빔 브라켓(107)은 그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면(111)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면(111)에 빔(105)의 단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빔(105)의 양측과 용접(W)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107)은 고가의 프레스 장비에 의해 성형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상기 빔(105)과의 연결을 위하여 별도의 용접공정을 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격력에 의해 상기 빔(105)과 빔 브라켓(107)의 용접부(W)가 먼저 파손되어 상기 빔(105)의 단부가 도어(103)의 내측으로의 침입하는 등, 승차자의 상해치를 가중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임팩트 빔의 각 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을 갖는 브라켓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임팩트 빔의 각 단부를 삽입홀에 끼운 상태로 임팩트 빔의 각 단부에 형성된 홀에 고정핀을 끼우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하여 임팩트 빔과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브라켓 몸체를 압출 성형으로 제작된 성형품을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단가를 최소화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은 임팩트 빔을 도어 패널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중앙에 원형의 삽입홀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체결홀을 갖는 장착단이 형성되는 브라켓 몸체; 상기 브라켓 몸체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임팩트 빔의 각 단부에 끼워져 상기 브라켓 몸체와 상기 임팩트 빔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몸체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재를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임팩트 빔의 단부에 형성되는 홀에 끼워져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몸체의 삽입부 일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임팩트 빔의 단부 홀을 통하여 그 내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그 내주면을 파고들어 빠지지 않도록,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빔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삽입부 일측면과 상기 고정핀의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 몸체와 고정핀을 상호 접착하는 접착링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에 의하면, 임팩트 빔의 각 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을 갖는 브라켓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임팩트 빔의 각 단부를 삽입홀에 끼운 상태로 임팩트 빔의 각 단부에 형성된 홀에 고정핀을 끼우는 것으로, 걸이돌기가 상기 임팩트 빔의 내주면을 파고들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조립이 간편하며, 임팩트 빔이 브라켓 몸체에 삽입홀을 통하여 조립됨으로 상호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브라켓 몸체를 압출 성형으로 제작된 성형품을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프레스 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최소화하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빔 브라켓이 적용된 도어 패널의 배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브라켓이 적용한 도어 패널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의 조립 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의 조립 후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1)은 임팩트 빔(3)을 도어의 인너 패널(5)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1)의 구성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몸체(11)와 고정핀(13) 및 접착링(15)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브라켓 몸체(11)는 그 중앙에 원형의 삽입홀(21)을 갖는 삽입부(23)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체결홀(25)을 갖는 장착단(27)이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 몸체(11)는 동일한 모양의 알루미늄 압출 성형재를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체결홀(25)은 별도의 피어싱 공정을 통하여 가공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21)의 내경(d1)은 상기 임팩트 빔(3)의 외경(d2)과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더 작게 설계되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3)은 상기 임팩트 빔(3)의 일단이 상기 브라켓 몸체(11)의 삽입홀(2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임팩트 빔(3)의 단부에 형성된 홀(H)에 끼워져 상기 브라켓 몸체(11)와 상기 임팩트 빔(3)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핀(13)은 상기 임팩트 빔(3)의 단부에 형성되는 홀(H)에 끼워져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끼움부(31)와, 상기 끼움부(3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몸체(11)의 삽입부(23) 일측면에 대응하여 지지되는 원형의 지지부(33)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31)에는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이돌기(3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돌기(35)는 상기 임팩트 빔(3)의 단부에 형성된 홀(H)을 통하여 그 내주면(F)에 끼워진 상태로 그 내주면(F)을 파고들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걸이돌기(35)는 상기 끼움부(31)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임팩트 빔(3)의 내주면(F)에 대하여 빠지는 방향으로 그 내주면(F)을 파고들도록 날부(37)가 세워져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 몸체(11)의 삽입부(23) 일측면과 상기 고정핀(13)의 지지부(33) 사이에는 양면이 접착력을 갖는 상기한 접착링(15)이 개재된 상태로 조립된다.
즉, 본 실시예의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1)은 상기 브라켓 몸체(11)의 삽입홀(21)에 끼워진 임팩트 빔(3)의 단부 홀(H)에 상기 고정핀(13)을 설치하면, 상기 고정핀(13)의 끼움부(31)는 상기 임팩트 빔(3)의 단부 홀(H)에 끼워져 임팩트 빔(3)과 고정핀(13)이 상호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착링(15)은 상기 브라켓 몸체(11)의 삽입부(21) 일측면에 대하여 상기 고정핀(13)의 지지부(33)를 접착하여 상기 임팩트 빔(3)에 대하여 브라켓 몸체(11)의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11)은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인너패널(5) 내부에 임팩트 빔(3)을 횡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로, 임팩트 빔(3)의 양단을 고정하여 아웃터 패널(미도시)에 대향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로, 외부 충돌물이 차체 측면에 충돌하게 되면, 임팩트 빔(3)의 양 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도어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그 강성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1)은 조립을 위한 브라켓 몸체(11)를 알루미늄 압출 성형재로 제작함으로써 한번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생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임팩트 빔(3)의 양단을 원터치 타입의 고정핀(13)을 이용하여 브라켓 몸체(11)에 한번에 고정함으로 조립이 간편하며, 이로 인해 종전의 용접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현재로서 실질적이라 고려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빔 브라켓 3: 임팩트 빔
5: 도어 인너 패널 11: 브라켓 몸체
13: 고정핀 15; 접착링
23: 삽입부 27: 장착단
31: 끼움부 33: 지지부
35: 걸이돌기 37: 날부

Claims (5)

  1. 임팩트 빔을 도어 패널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중앙에 원형의 삽입홀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체결홀을 갖는 장착단이 형성되는 브라켓 몸체;
    상기 브라켓 몸체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임팩트 빔의 각 단부에 끼워져 상기 브라켓 몸체와 상기 임팩트 빔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2. 제1항에서,
    상기 브라켓 몸체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재를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3. 제1항에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임팩트 빔의 단부에 형성되는 홀에 끼워져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몸체의 삽입부 일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4. 제3항에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임팩트 빔의 단부 홀을 통하여 그 내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그 내주면을 파고들어 빠지지 않도록,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이돌기가 형성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5. 제3항에서,
    상기 빔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삽입부 일측면과 상기 고정핀의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 몸체와 고정핀을 상호 접착하는 접착링을 더 포함하는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KR1020100032657A 2010-04-09 2010-04-09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KR10109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57A KR101098422B1 (ko) 2010-04-09 2010-04-09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57A KR101098422B1 (ko) 2010-04-09 2010-04-09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23A KR20110113323A (ko) 2011-10-17
KR101098422B1 true KR101098422B1 (ko) 2011-12-23

Family

ID=4502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57A KR101098422B1 (ko) 2010-04-09 2010-04-09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07A (ko) 2017-05-16 2018-11-26 동원금속 (주) 롤 포밍 도어 임팩트 빔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07A (ko) 2017-05-16 2018-11-26 동원금속 (주) 롤 포밍 도어 임팩트 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23A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3172B2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JP6206387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接合方法
KR101137256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CN102472348A (zh) 冲击吸收部件及冲击吸收结构
JP5634896B2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JP5915258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WO2008038957A1 (en) Pole for mesh fence
CN107054477A (zh) 车辆横档
US20130249203A1 (en) Chassis frame assembly structure for electrical vehicle for disabled person
JP6581645B2 (ja) 車体構造
KR101098422B1 (ko) 도어 임팩트 빔용 빔 브라켓
KR101518577B1 (ko)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구조 및 그 제작방법
JP2008085757A (ja) 車両用アンテナ装置
KR101286678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EP3015298B1 (en) Attachment structure of door impact bar
KR20170073130A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볼트
CA2970001A1 (en) Fram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KR101553239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제조방법
KR101829196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볼트
JP4366099B2 (ja) 車両のカウルパネル構造
KR101603143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EP3927598B1 (en) Multi-piece rear trunk lid
JP5551572B2 (ja) スポイラ
CN209870522U (zh) 车身结构和具有它的车辆
CN112823114B (zh) 用于机动车辆的发动机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