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936B1 - 패널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패널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936B1
KR101097936B1 KR1020080127853A KR20080127853A KR101097936B1 KR 101097936 B1 KR101097936 B1 KR 101097936B1 KR 1020080127853 A KR1020080127853 A KR 1020080127853A KR 20080127853 A KR20080127853 A KR 20080127853A KR 101097936 B1 KR101097936 B1 KR 10109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ushing
unit
rodless cylind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218A (ko
Inventor
이희철
김학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Priority to KR102008012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9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6Pushing shoes o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패널배출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배출시스템은 전단에 조립이 완성된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를 이송하는 제1및 제2대차가 각각 도킹되는 제1및 제2도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널을 배출하는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패널배출시스템은 상기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가 안착되고, 상기 파레트를 수평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 상기 수평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승시킨 후 상기 수평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수직이송부, 및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기 제1 및 제2대차 중 어느 하나가 모두 적재될 때까지 배출시킨 후, 다른 하나의 대차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패널배출시스템{Panel output system}
본 발명은 패널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립이 완료된 패널을 짧은 시간 내에 대차에 적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패널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C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패널은 글래스(glass)에 여러가지 공정을 수행한 후 완제품으로 조립된다. 최종 공정에서 완제품으로 조립된 패널들은 파레트(pallet)에 안착되어 하나씩 에이징(aging)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인라인 방식, 즉 컨베이어를 이용해서 파레트가 하나씩 이송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를 하나씩 이송시키는 방식은 패널의 배출에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생산율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이 완료된 패널을 대차에 복수개를 적층시켜 한번에 여러개씩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패널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배출시스템은 전단에 조립이 완성된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를 이송하는 제1및 제2대차가 각각 도킹되는 제1및 제2도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널을 배출하는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패널배출시스템은 상기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가 안착되고, 상기 파레트를 수평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 상기 수평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승시킨 후 상기 수평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수직이송부, 및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기 제1 및 제2대차 중 어느 하나가 모두 적재될 때까지 배출시킨 후, 다른 하나의 대차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이송부는 상기 파레트를 수평이송시키는 제1로드리스실린더 및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1푸싱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푸싱부는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를 따라 상기 파레트를 상기 수직이송부로 이송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제1푸싱부는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1푸싱부재, 상기 제1푸싱부재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설치된 베어링을 수용하고 하방으로 탄성을 가지는 래치가 장착되는 하우징들을 구비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제1푸싱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새로운 파레트의 하부로 이동할때에 탄성에 의하여 하방으로 상기 새로운 파레트에 의해서 눌려진다.
상기 수평이송부는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의 양 옆에 배치되며, 상기 파레트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들을 더 구비한다.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수평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를 상승시키는 상승롤러부 및 상기 파레트를 상기 수평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푸싱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승롤러부는 상기 파레트의 양측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승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승부 각각은, 상기 파레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롤러들의 배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롤러들, 상기 제2롤러들을 둘러싸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롤러들을 포함하는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제2푸싱부는 상기 상승롤러부의 일측에, 상기 제2롤러들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로드리스실린더 및 상기 제2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ㄱ"자 형상의 제2푸싱부재를 구비한다.
배출부는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기 제1 및 제2대차 중 하나로 배출시키는 대차전송부 및 상기 대차전송부 하부에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와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대차전송부가 상기 제1및 제2대차 사이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로드리시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대차전송부는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제3롤러들, 상기 한쌍의 제3롤러들의 내측에 상기 제3롤러들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로드리스실린더 및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3푸싱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3푸싱부는,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3푸싱부재로서,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푸싱암과 상기 푸싱암 하부에서 상기 푸싱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상기 제3푸싱부재,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제3푸싱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인트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대차전송부는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양측에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와 동일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존인트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및 제2도킹부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및 제2대차가 접근하여 고정가능한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 상기 제1및 제2대차가 고정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및 제2대차의 걸이부에 고정포크를 삽입하여 상기 제1및 제2대차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싱부는 일측에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핀이 장착되어 상기 제1대차 또는 제2대차가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면 타측의 상기 핀이 돌출되는 볼부 시(ball bush) 및 상기 핀이 접촉하면 센싱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하로 운동하는 고정실린더 및 상기 고정실린더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실린더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상기 걸이부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포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배출시스템은 조립이 완료된 패널을 대차에 복수개를 적층시켜 한번에 여러개씩 이송시킴으로써 라인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생산률을 증대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배출시스템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패널배출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및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배출시스 템(100)은 전단에 조립이 완성된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미도시)를 이송하는 제1및 제2대차(미도시)가 각각 도킹되는 제1및 제2도킹부(170, 190)를 구비하여, 패널을 배출하는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패널배출시스템(100)은 수평이송부(110), 수직이송부(130) 및 배출부(150)를 구비한다. 수평이송부(110)는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가 안착되고, 파레트를 수평이송시킨다. 수직이송부(130)는 수평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된 파레트를 상승시킨 후 수평이송부(110)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파레트를 이송시킨다. 배출부(150)는 수직이송부(130)로부터 이송된 파레트를 제1 및 제2대차 중 어느 하나가 모두 적재될 때까지 배출시킨 후, 다른 하나의 대차로 배출시킨다.
좀 더 설명하면, 일련의 조립 공정을 마친 PDP 완제품(패널)을 바라만(미도시)을 통해 수평이송부(110)의 앞단에 위치한 파레트위에 안착시킨다. 패널이 안착되어 있는 파레트는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의 제1푸싱부(111)에 의해서 수직이송부(130) 까지 이송된다.
제1로드리스실린더(RC1)는 풀 스트로크(Full Stroke) 전진 후에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평이송부의 앞단에 위치한 패널 로딩(Loading) 위치에 새로운 파레트를 미리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수직이송부(130)까지 이동한 패널의 흐름과는 무관하게 다음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작업의 라인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다.
제1로드리스실린더(RC1)를 따라 움직이는 제1푸싱부(111)는 안티백유니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새로운 파레트가 미리 올려져 있어도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문 제가 없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수직이송부(130)까지 이동한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는 상승롤러부에 의해서 일정한 높이만큼 상승한 후 제2푸싱부(149)에 의해서 배출부(150)로 이송된다. 배출부(150)로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가 도착하면 제1대차 및 제2대차 중에서 먼저 패널배출시스템(100)에 도킹(docking)되어 있는 대차에 순차적으로 파레트가 배출된다.
바람직하기로는, 하나의 대차에 5개의 파레트가 순차적으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하나의 대차에 5개의 파레트가 적재되면, 배출부(150)의 대차전송부(151)가 다른 하나의 대차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하나의 대차로 5개의 파레트를 배출한다.
이때, 물류 작업자는 5개의 파레트가 모두 적재되어 있는 첫번째 대차를 에이징(Aging) 공정으로 가져가고, 비어있는 새로운 대차를 패널배출시스템(100)에 도킹시킨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배출시스템(100)은 기존의 라인 사이클 타임이 약 35초 정도 였던것이 약 10초정도 단축되며 따라서 약 30% 정도의 생산율 증대효과를 가져온다.
도 2는 도1의 수평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평이송부(110)는 파레트를 수평이송시키는 제1로드리스실린더(RC1) 및 제1로드리스실린더(RC1)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1푸싱부(111)를 구비한다.
수평이송부(110)는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의 양 옆에 배치되며, 파레트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들(R1)을 더 구비한다. 제1롤러들(R1)은 도1(a)에 도시된 것처럼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파레트의 하면에서 파레트가 이동하는 것을 보조한다. 제1롤러들(R1)은 플라콘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롤러들(R1)은 제1로드리스실린더(RC1)가 끝난 지점을 지나서 수직이송부(130)로 표시된 부분까지도 배치되어 파레트가 완전하게 수직이송부(130)로 안착되도록 한다.
제1푸싱부(111)는 제1로드리스실린더(RC1)를 따라 상기 파레트를 수직이송부(130)로 이송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원위치란 도1(a)에 도시된 것처럼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의 한쪽 끝 부분으로서 제1푸싱부(111)가 처음 놓여지는 위치이다.
제1푸싱부(111)가 원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수직이송부(130)로 이송된 파레트와 별도로 새로운 파레트가 수평이송부(110)의 최초 로딩 위치에 놓여지면, 제1푸싱부(11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새로운 파레트의 하면에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제1푸싱부(111)는 이와같이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탄성을 이용한다. 즉, 제1푸싱부(111)는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의 상면에 설치되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1푸싱부재(113)와 제1푸싱부재(113)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설치된 베어링(B)을 수용하고 하방으로 탄성을 가지는 래치(115)가 장착되는 하우징들(117)을 구비한다. 래치(115)는 하우징(117)에 힌지(HG)에 의하여 한쪽끝이 고정된다.
도2에 도시된것처럼,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1푸싱부재(113)의 끝단 양측에는 하우징(117)이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은 래치(115)를 둘러싸고 있으며, 래치(115)의 상면에는 베어링(B)이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고, 래치(115)의 하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따라서, 래치(115)는 제1푸싱부(111)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새로운 파레트의 하부를 지날때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려지게되고, 상면의 베어링(B)이 새로운 파레트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부드럽게 제1푸싱부(111)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3(a)는 수직이송부의 상승롤러부의 상승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승부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수직이송부의 제2푸싱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제2푸싱부의 사시도이다.
수직이송부(130)는, 수평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레트를 상승시키는 상승롤러부 및 파레트를 수평이송부(110)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푸싱부(149)를 구비한다.
도 1(a)에서 알수 있듯이, 수평이송부(110)는 파레트를 평면도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시키고, 수직이송부(130)는 수평이송부(110)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파레트를 이송시킨다.
상승롤러부는 파레트의 양측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승부(131)를 구비한다. 도3에는 한쌍의 상승부 중에서 하나의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승부(131)는 파레트의 하면과 접촉하며, 제1롤러들(R1)의 배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롤러들(R2), 제2롤러들(R2)을 둘러싸는 하부프레임(133) 및 하부프레임(133)의 하면에 장착되어 제2롤러들(R2)을 포함하는 하부프레임(133)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실린더(135)를 구비한다.
제2롤러들(R2)은 파레트를 수평이송부(110)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제1롤러들(R1)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2롤러들(R2)도 플라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롤러들(R2)은 하부프레임(133)에 의하여 둘러싸여 보호된다. 하부프레임(133)은 하부에 장착된 제1실린더(135)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한다. 제2롤러들(R2)에 의하여 파레트가 이송할때 제2롤러들(R2)의 높이가 한쌍의 상승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제1롤러들(R1)과 동일하면 파레트의 이송이 제1롤러들(R1)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롤러들(R2)은 제1실린더(135)에 의해서 일정한 높이만큼 상승된다. 배출부(150)의 제3롤러들(R3)을 제1롤러들(R1)보다 일정한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고, 제2롤러들(R2)은 제3롤러들(R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만큼 상승한다.
제1실린더(135)의 양측에는 하부프레임(133)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136)가 설치되며, 지지부(136))와 제1실린더(135)는 바닥판(138)에 고정된다. 지지부(136)은 볼부시(ball bush)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닥판(138) 아래의 샤프트들(137)이 지지부(136)의 내측을 통해서 하부프레임(133)에 연결되어 있어 제1실린더(135)에 의해서 하부프레임(133)이 상승할 때 샤프트(137)가 함께 상승한다.
제2푸싱부(149)는 상승롤러부의 일측에, 제2롤러들(R2)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로드리스실린더(RC2) 및 제2로드리스실린더(RC2)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파레트를 밀어주는 "ㄱ"자 형상의 제2푸싱부재(143)를 구비한다.
도4(a)및 도4(b)에서 알 수 있듯이, 제2푸싱부재(143)는 제2로드리스실린더(RC2)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부재(140)와 제1부재(140)에 연결되어 파레트를 골고루 밀어주기 위한 제2부재(141)로 구성된다. 제1부재(140)의 수평이송부(110) 방향 측단에는 파레트가 이동하는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스토퍼(145)가 형성된다. 또한, 제2로드리스실린더(RC2)의 일측에 제2푸싱부재(143)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샤프트(LMS1)가 설치된다.
제2푸싱부재(143)는 수평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된 파레트를 제2로드리스실린더(RC2)를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부(150)로 이송시킨다.
도5(a)는 배출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5(b)는 배출부의 평면도이다.
배출부(150)는 수직이송부(130)로부터 이송된 파레트를 제1 및 제2대차(미도시) 중 하나로 배출시키는 대차전송부(151) 및 대차전송부(151) 하부에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와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대차전송부(151)가 제1및 제2대차 사이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로드리스실린더(RC3)를 구비한다.
대차전송부(151)가 도1(a)의 현재 위치에 있으면 제1도킹부(170))에 도킹되어 있는 제1대차(미도시)로 파레트를 배출한다. 제1대차에 파레트가 모두 적재되면 대차전송부(151)는 제3로드리스실린더(RC3)를 따라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도킹 부(190)에 도킹되어 있는 제2대차(미도시)의 앞에 정지하고 파레트를 배출한다.
대차전송부(151)는 수직이송부(130)로부터 이송된 파레트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면서 제1로드리스실린더(RC1)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제3롤러들(R3)과, 한쌍의 제3롤러들(R3)의 내측에 제3롤러들(R3)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로드리스실린더(RC4) 및 제4로드리스실린더(RC4)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3푸싱부(153)를 구비한다.
제3롤러들(R3)은,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제2롤러들(R2)에 이어서 일렬로 배열되며 플라콘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3롤러들(R3)은 제2롤러들(R2)보다 좀 더 높이 상승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파레트가 수직이송부(130)에서 배출부(150)로 원활하게 이송되기 위하여, 제2롤러들(R2)은 제1실린더(135)에 의해서 제3롤러들(R3)과 동일한 높이로상승한다. 제4로드리스실린더(RC4)는 제3롤러들(R3)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3롤러들(R3)의 내측에 배열된다.
제3푸싱부(153)는 제4로드리스실린더(RC4)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수직이송부(130)로부터 이송된 파레트를 밀어서 제1대차 또는 제2대차로 보내주는 푸싱암(155)과 푸싱암(155) 하부에서 푸싱암(155)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159)를 구비하는 제3푸싱부재(156) 및 제4로드리스실린더(RC4)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한쌍의 제3푸싱부재(156)를 이동시키는 조인트플레이트(157)를 구비한다.
푸싱암(155)이 파레트를 밀어줄 때는 제2실린더(159)에 의해서 약간 상승하며 파레트를 밀어준다. 푸싱암(155)이 파레트를 끝까지 민 후에 다시 원래위치로 복귀할 경우 푸싱암(155)은 제2실린더(159)에 의해서 하강하여 이동한다. 제2실린 더(159)는 공기에 의해서 제어되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푸싱암(155)은 조인트플레이트(157)에 의해서 이동된다. 조인트플레이트(157)는 제4로드리스실린더(RC4)와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상으로서, 제4로드리스실린더(RC4)를 따라 이동하면서 푸싱암(155)의 한쪽 끝단을 밀어줌에 의해서 푸싱암(155)이 파레트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해준다. 푸싱암(155)의 한쪽 끝단에 조인트플레이트(157)가 이동하면서 걸리도록 홈을 형성하는 등 조인트플레이트(157)가 푸싱암(155)을 밀어주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대차전송부(151)는 제4로드리스실린더(RC4)의 양측에 제4로드리스실린더(RC4)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조인트플레이트(15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163)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163)는 LM가이드 일 수 있다.
제3푸싱부(153)가 제1도킹부(170)에 고정된 대차로 파레트를 모두 적재시키면, 대차전송부(151) 전체는 제3로드리스실린더(RC3)를 따라서 제2도킹부(19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3로드리스실린더(RC3)의 양 측면에 대차전송부(151)의 이동을 보조하는 가이드샤프트(LMS2)가 설치된다. 제3로드리스실린더(RC3)를 따라 이동한 대차전송부(151)는 제2도킹부(190)에 도킹된 대차(미도시)에 파레트를 배출한다.
이와같이, 배출부(150)의 대차전송부(151)는 수직이송부(130)에서 이송되는 파레트를 받아서 바로 제1도킹부(170)의 대차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3로드리스실린더(RC3)를 따라 수평이동하여 제2도킹부(190)의 대차로 파레트를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널배출시스템(100)의 앞단에 설치되어 제1및제2대차를 고정시 키는 제1및제2도킹부(170, 19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된다.
도 6(a)는 패널배출시스템의 앞단과 앞단에 연결된 대차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6(b)는 패널배출시스템의 정면 중 특히 제1및 제2도킹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는 제1도킹부(170)의 구조가 설명되어 있는데, 제1도킹부(170)와 제2도킹부(190)의 구조는 동일하다.
제1및 제2도킹부(170, 190)는 각각 대응되는 제1및 제2대차(200, 210)가 접근하여 고정가능한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센싱하여 센싱신호(미도시)를 발생하는 센싱부(181), 제1및 제2대차(200, 210)가 고정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면 제1및 제2대차(200, 210)의 걸이부에 고정포크(미도시)를 삽입하여 제1및 제2대차(200, 2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71) 및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고정부(17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도 6(b)에는 대차가 패널배출시스템(100)에 고정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쿠션(CU)과 대차를 안내하는 가이드(DG)가 함께 도시된다.
제어부는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고정부(17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패널배출시스템(100)의 전기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와같은 제어부의 동작 및 구조는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제1및제2대차(200, 210) 위에는 각각 패널 이 장착된 파레트(PLT)가 5개씩 얹혀질 수 있으며, 5개의 파레트(PLT)가 모두 얹혀지면 작업자는 대차를 패널배출시스템(100)에서 분리하여 에이징(aging) 공정으로 가지고 가고 새로운 대차를 도킹시킨다. 제1대차(200)에 5개의 파레트(PLT)가 모두 얹혀지면 제1대차(200)가 이동되고 제2대차(210)에 5개의 파레트(PLT)가 적재된다. 제2대차(210)에 파레트(PLT)가 적재되는 동안 제1도킹부(170)에는 새로운 제1대차가 도킹된다.
도 6(a)에는 제1및제2대차(200, 210)에 적재되는 파레트(PLT)가 5개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는 센싱부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센싱부의 평면도이다.
센싱부(181)는 패널배출시스템(100)에 고정되어 대차가 접근하면 핀이 돌출되어 센서(SS)에 접촉하는 볼부시(183), 및 센서(SS)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볼부시(183)는 일측에는 스프링(185)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핀(187)이 장착되어 제1대차(200) 또는 제2대차(210)가 접근하여 스프링(185)을 압박하면 타측의 핀(187)이 돌출되어 센서(SS)와 접촉한다.
볼부시(183)는 부시하우징(189)에 의하여 패널배출시스템(100)에 고정된다. 센서(SS)는 핀(187)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어 센서브라켓(191)에 의하여 패널배출시스템(100)에 고정되어 있는데, 핀(187)이 이동하여 센서(SS)에 접촉하면, 센서(SS)는 대차가 접근했음을 표시하는 센싱신호(미도시)를 발생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는 것이다. 만일 대차가 떨어져나가면 핀도 떨어져나가고 센서(SS)는 센싱신호를 발생하지 않게되고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대차가 떨어져나갔음을 인지한다.
도 8(a)는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고정부(171)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대차가 접근하면 고정포크(173)를 이용하여 대차를 고정시킨다. 고정부(171)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상하로 운동하는 고정실린더(175) 및 고정실린더(175)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실린더(175)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대차의 걸이부(미도시)로 삽입되는 고정포크(173)를 구비한다.
제어부가 센싱신호에 응답하여 대차가 접근했음을 인지하면 제어부는 고정실린더(175)를 제어하여 고정포크(173)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고정포크(173)는 얇은 2개의 판이 하부로 뻗어있는 형상으로서 판 부분이 걸이부로 삽입되어 대차를 고정한다. 고정실린더(175)와 고정포크(173) 사이에는 대차가 고정부(171)에 부딪히는 경우 고정부(171)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 완화부(177)가 설치되며 충격완화부(177)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대차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배출시스템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패널배출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1의 수평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a)는 수직이송부의 상승롤러부의 상승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승부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수직이송부의 제2푸싱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제2푸싱부의 사시도이다.
도5(a)는 배출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5(b)는 배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패널배출시스템의 앞단과 앞단에 연결된 대차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6(b)는 패널배출시스템의 정면 중 특히 제1및 제2도킹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센싱부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센싱부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Claims (13)

  1. 전단에 조립이 완성된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를 이송하는 제1및 제2대차가 각각 도킹되는 제1및 제2도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널을 배출하는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장착된 파레트가 안착되고, 상기 파레트를 수평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 ;
    상기 수평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승시킨 후 상기 수평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수직이송부 ; 및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기 제1 및 제2대차 중 어느 하나가 모두 적재될 때까지 배출시킨 후, 다른 하나의 대차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이송부는,
    상기 파레트를 수평이송시키는 제1로드리스실린더 ; 및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1푸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푸싱부는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를 따라 상기 파레트를 상기 수직이송부로 이송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제1푸싱부는,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1푸싱부재 ;
    상기 제1푸싱부재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설치된 베어링을 수용하고 하방으로 탄성을 가지는 래치가 장착되는 하우징들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제1푸싱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새로운 파레트의 하부로 이동할때에 탄성에 의하여 하방으로 상기 새로운 파레트에 의해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이송부는,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의 양 옆에 배치되며, 상기 파레트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수평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를 상승시키는 상승롤러부 ; 및
    상기 파레트를 상기 수평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푸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롤러부는,
    상기 파레트의 양측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승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승부 각각은,
    상기 파레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롤러들의 배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롤러들 ;
    상기 제2롤러들을 둘러싸는 하부프레임 ;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롤러들을 포함하는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실린더를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푸싱부는,
    상기 상승롤러부의 일측에, 상기 제2롤러들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로드리스실린더 ; 및
    상기 제2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ㄱ"자 형상의 제2푸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패널배출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배출부는,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를 상기 제1 및 제2대차 중 하나로 배출시키는 대차전송부 ; 및
    상기 대차전송부 하부에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와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대차전송부가 상기 제1및 제2대차 사이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로드리시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전송부는,
    상기 수직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레트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로드리스실린더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제3롤러들 ;
    상기 한쌍의 제3롤러들의 내측에 상기 제3롤러들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로드리스실린더 ; 및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제3푸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패널배출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푸싱부는,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3푸싱부재로서, 상기 파레트를 밀어주는 푸싱암과 상기 푸싱암 하부에서 상기 푸싱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상기 제3푸싱부재 ;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제3푸싱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인트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전송부는,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의 양측에 상기 제4로드리스실린더와 동일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인트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도킹부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및 제2대차가 접근하여 고정가능한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 ;
    상기 제1및 제2대차가 고정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및 제2대차의 걸이부에 고정포크를 삽입하여 상기 제1및 제2대차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 및
    상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일측에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핀이 장착되어 상기 제1대차 또는 제2대차가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면 타측의 상기 핀이 돌출되는 볼부시(ball bush) ; 및
    상기 핀이 접촉하면 센싱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하로 운동하는 고정실린더 ; 및
    상기 고정실린더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실린더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상기 걸이부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포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배출시스템.
KR1020080127853A 2008-12-16 2008-12-16 패널배출시스템 KR10109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853A KR101097936B1 (ko) 2008-12-16 2008-12-16 패널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853A KR101097936B1 (ko) 2008-12-16 2008-12-16 패널배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218A KR20100069218A (ko) 2010-06-24
KR101097936B1 true KR101097936B1 (ko) 2011-12-23

Family

ID=4236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853A KR101097936B1 (ko) 2008-12-16 2008-12-16 패널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413A (ko) * 2021-12-24 2023-07-03 이동원 조립식 샌드위치 판넬과 우레탄 보드의 4단 자동 적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42B1 (ko) * 2016-01-22 2016-10-07 이동국 목재 파레트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413A (ko) * 2021-12-24 2023-07-03 이동원 조립식 샌드위치 판넬과 우레탄 보드의 4단 자동 적재장치
KR102647391B1 (ko) 2021-12-24 2024-03-12 이동원 조립식 샌드위치 판넬과 우레탄 보드의 4단 자동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218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251B1 (ko) 팔레트 오토 체인저
CN102105385A (zh) 包括两个负载托架的工业载重车
CN110560374A (zh) 一种双向翻板式分拣机构
KR20160133585A (ko) 로봇 자동 충전 장치 및 이를 갖는 로봇 자동 충전 시스템
KR101097936B1 (ko) 패널배출시스템
FI127494B (fi) Laitteisto kuormatilan tyhjentämiseksi kuormalavoille järjestetystä lastista
KR101097192B1 (ko) 팔레트 수하물 센터링 머신
JP2000052287A (ja) 長尺物積載装置
KR20180033051A (ko) 물품 반송차
KR20150087915A (ko) 물품 이송장치 및 방법
CN217229012U (zh) 一种具有将货物承托件实时居中功能的板链运输机
US20220371836A1 (en)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with pallets in transverse direction
CN109911490B (zh) 一种丝饼仓库转运系统
CN210655996U (zh) 一种重型轮胎胶的垂直和水平多向输送设备
JP4943773B2 (ja) フロアリフト
JP4269221B2 (ja) センタリング装置
JP2011111273A (ja) 物品位置決め装置および物品位置決め方法
JP5693838B2 (ja) 計量装置
CN218320583U (zh) 一种可升降的装卸货装置
CN214878240U (zh) 一种钢架
CN214494452U (zh) 一种滚筒式输送机
CN221294891U (zh) 具有破碎防护效果的仓储装置
CN218200277U (zh) 货物转运设备及货物仓储系统
CN219488684U (zh) 一种车门下线接驳运送装置
CN216827300U (zh) 一种具有自动分拣功能的物流供应链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