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918B1 -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 Google Patents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918B1
KR101097918B1 KR1020090049975A KR20090049975A KR101097918B1 KR 101097918 B1 KR101097918 B1 KR 101097918B1 KR 1020090049975 A KR1020090049975 A KR 1020090049975A KR 20090049975 A KR20090049975 A KR 20090049975A KR 101097918 B1 KR101097918 B1 KR 10109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ipe
cover
air cleaner
side cov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202A (ko
Inventor
김정민
피광현
이석태
이명헌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91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8Air cleaner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particles or liquids from cleaners; with means for indicating clogging; with by-pass means; Regeneration of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크리너에 설치되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에어크리너에 일측이 직결되어 외부의 외기를 에어크리너로 공급하는 경질의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타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차량의 흡입행정에 의해 고압으로 외부의 외기를 흡기하며, 플랙시블한 흡음재로 이루어져서 고압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흡기소음을 감쇠시키는 흡기관 및; 상기 흡기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흡기관을 차폐하여 흡기관의 형상을 설정된 형태로 유지시키는 경질의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흡기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차폐하고, 흡기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발산시키는 소음공을 갖는 관형태의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삽입된 상기 흡기관의 단부를 상기 커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 및 상기 커버의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여, 흡기관에서 발산되는 소음을 감쇠시키는 방음챔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형상유지부재에 의해 흡기관의 형상이 유지되므로 흡기관을 차체에 고정시키지 않고 엔진룸에 설치된 장치들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된다.
차량, 외기, 흡기, 유동, 고정

Description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 ACOUSTIC DUCT FOR AIRCLEANER }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크리너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 하게는 흡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면서 덕트의 형상을 설정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혼합기를 실린더 내로 흡입하고, 압축, 착화, 배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을 실시한다. 이러한 자동차는 엔진이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면서 그 폭발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자동차는 엔진에 혼합기의 흡입과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흡배기장치가 설치된다.
흡기장치는 에어클리너, 그리고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는 스로틀 바디 및 혼합기를 저장하는 서지 탱크, 엔진의 실린더내로 혼합기를 분배하는 흡기 매니폴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흡기장치들 중에서 에어클리너는 실린더 내로 흡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흡기계통에서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에어크리너는 덕트가 연결되어 덕트를 통해 외부의 외기를 유입한다. 따라서, 엔진은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공 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크리너에 연결되는 덕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재 공급관(1)이 미도시된 에어크리너에 연결된다. 이러한 공급관(1)은 엔진의 흡입행정시 발생되는 고압의 흡입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연결된 섬유재 흡기관(12)을 통해 공기를 흡기한다. 이때, 흡기관(12)은 엔진의 흡입력에 의해 고압으로 공기가 흡기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는 동시에 발산시키면서 소음을 감쇠시킨다. 따라서, 덕트(10)는 소음을 저감시키면서 공기를 흡기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덕트(10)는 흡기관(12)이 섬유재로 구성됨에 따라 흡기관(12)이 유동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덕트(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12)의 단부에 나팔형태의 플라스틱재 플랜지날개(14a)를 연결한 후, 미도시된 볼트로 플랜지날개(14a)를 엔진룸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즉, 일반적인 덕트(10)는 플랜지날개(14a)를 통해 흡기관(12)이 차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흡기관(12)은 엔진룸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외기를 흡기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덕트(10)는 흡기관(12)을 통해서만 소음을 감쇠시키므로 엔진이 3,000rpm 이상으로 구동할 경우 소음을 원활하게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흡기관(12)을 고정시키기 위해 플랜지날개(14a)를 별개로 제조해야 할 뿐만 아니라, 볼트로 플랜지날개(14a)를 일일이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흡기관(12) 및 플랜지날개(14a)를 연결시키거나 흡기관(12) 및 공급 관(1)을 연결시키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밴드클램프(BC)를 준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밴드클램프(BC)를 클램핑하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기를 고압으로 흡기하는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기관에 결합되어 흡기관을 지지하면서 흡기관의 형상을 설정된 형태로 유지시키는 부재가 마련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흡기관을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로 공급관에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부재를 조립식으로 흡기관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는, 차량의 에어크리너에 설치되는 덕트에 있어서, 상기 에어크리너에 일측이 직결되어 외부의 외기를 에어크리너로 공급하는 경질의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타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차량의 흡입행정에 의해 고압으로 외부의 외기를 흡기하며, 플랙시블한 흡음재로 이루어져서 고압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흡기소음을 감쇠시키는 흡기관 및; 상기 흡기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흡기관을 차폐하여 흡기관의 형상을 설정된 형태로 유지시키는 경질의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흡기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차폐하고, 흡기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발산시키는 소음공을 갖는 관형태의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삽입된 상기 흡기관의 단부를 상기 커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 및 상기 커버의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여, 흡기관에서 발산되는 소음을 감쇠시키는 방음챔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기관은, 상기 공급관의 타측에 일단부가 확관되면서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되고, 스크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커버는 예컨대, 상기 흡기관의 일측면 형상에 대응형성되어 흡기관의 일측면에 배치되면서 흡기관의 일측면을 차폐하고,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날개를 가지며, 상기 소음공이 형성된 일측커버; 상기 일측커버와 대향하면서 상기 흡기관의 타측면 형상에 대응형성되어 흡기관의 타측면에 배치되면서 흡기관의 타측면을 차폐하고, 일측커버의 상기 테두리날개와 밀착되는 테두리날개를 가지며, 상기 소음공이 형성된 타측커버 및; 상기 타측커버 및 일측커버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예컨대, 상기 일측커버의 테두리날개에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타측커버의 테두리날개에 걸림공을 형성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공에 체결되면서 상기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를 밀착상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가 성형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에 마련된 상기 테두리날개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예컨대, 상기 흡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면서 흡기관의 단부에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되는 끼움링; 상기 끼움링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끼움 링을 상기 흡기관에 설정된 길이만큼 삽입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기 커버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이격상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링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끼움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예컨대, 상기 공급관의 단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 돌기홈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홈에 스플라인결합되면서 상기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는, 형상유지부재에 의해 흡기관의 형상이 유지되므로 흡기관을 차체에 고정시키지 않고 엔진룸에 설치된 장치들의 상부에 안착시켜도 공기를 원활하게 흡기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흡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이나 고정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소음을 차단하는 상태에서 소음공을 통해 일부의 소음만을 발산시키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삭제
또한, 커버가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로 분할구성되어 후크 및 걸림공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식으로 결합되므로 커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에 보강리브가 마련됨에 따라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가 성형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의 조립시 일측커버 및 타측커버에 형성된 테두리날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끼움링이 끼움돌기에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끼움링을 조립식으로 커버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공급관 및 커버에 돌기 및 돌기홈으로 이루어진 회전방지수단이 형성됨에 따라 커버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IV)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50), 흡기관(60), 커버(70) 및 끼움링(80)을 포함한다.
공급관(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공급관(50)은 플라 스틱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제조된다. 즉, 공급관(50)은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급관(50)은 일측이 미도시된 에어크리너에 연결되고, 타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흡기관(60)에 연결된다. 공급관(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이 연결되는 타측에 흡기관(60)의 진입을 제한하는 플랜지(52)를 갖는다.
흡기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50)의 타측에 억지끼움으로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흡기관(60)은 울(Wool)이나 면직물과 같이 섬유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흡기관(60)은 소음의 흡음효과나 발산효과가 우수한 포러스(Porous) 또는 마이크로포러스(Microporous)와 같은 섬유재로 이루어진다.
커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형성되어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로 구성된다. 즉, 커버(70)는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성형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배치된다.
일측커버(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의 일측면 형상에 대응형성된다. 일측커버(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날개(72c)가 형성된다. 또, 일측커버(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공(HL)을 갖는다. 이러한 소음공(HL)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며, 전체의 크기를 합산할 경우 일측커버(72)의 전체면적에 약 25% 내지 65%의 면적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소음공(HL)들의 합산된 면적, 즉 소음공(HL)들이 모두 모일 경우의 소음공(HL) 크기는 일측커버(72) 전체면적의 약 25% 내지 65%의 면적에 해당한다. 이러한 소음공(HL)들의 전체 면적은 일측커버(72)의 전체면적에 대해 약 30%의 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소음공(HL)들의 전체 면적은 30% 이상이 될 경우 흡기관(6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외부로 과도하게 발산시키고, 30% 이하가 될 경우 흡기관(6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미흡하게 발산시키기 때문이다.
일측커버(72)는 도면상의 확대도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날개(72c)에 후크(72a)가 형성된다. 후크(7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타측커버(74)의 테두리날개(74c)를 향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을 중심으로 일측커버(72)와 대향한다.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의 타측면 형상에 대응형성되어 흡기관(60)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커버(72)의 테두리날개(72c)와 밀착되는 테두리날개(74c)를 갖는다. 또,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공(HL)을 갖는다. 이러한 소음공(HL)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커버(7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측커버(74)는 도면상의 확대도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날개(74c)에 걸림공(74a)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공(7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측커버(72)의 후크(72a)에 대응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끼움링(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플랜지형태의 스토퍼(82)를 갖는다. 끼움링(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의 단부에 끼워진다.
한편, 일측 및 타측커버(74)는 도면상의 확대도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내측으로 형성된 내향플랜지형태의 끼움돌기(70z)가 형성된다. 또, 일측 및 타측커버(7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내향플랜지형태의 끼움돌기(70z)와 이격되는 삼각형 형태의 또 다른 끼움돌기(PO)가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70z, PO)는 전술한 끼움링(80)에 형성된 스토퍼(82)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된다.
또 한편, 공급관(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이 끼워지는 단부에 돌기(5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 및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돌기(54b)에 대응하는 돌기홈(72b, 74b)이 단부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 일측 및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SC)가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SC)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50)과 인접하는 타측커버(74)의 일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체결되는 스크류(SC)는 타측커버(74) 및 흡기관(60)을 관통한 후 공급관(50)의 단부에 체결된다. 따라서, 흡기관(60)은 공급관(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타측커버(74)도 스크류(SC)에 의하여 공급관(50)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스크류(SC)는 일측커버(72)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크류(SC)는 끼움링(80)과 인접하는 타측커버(74)의 단부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체결되는 스크류(SC)는 타측커버(74)를 관통하여 끼움링(80)에 체결된다. 따라서, 끼움링(80)은 타측커버(74)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이와 같은 스크류(SC)는 끼움링(80)을 커버(70)에 고정하는 요소이다. 물론, 스크류(SC)는 일측커버(72)의 단부에도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일측 및 타측커버(74)는 도면상의 확대도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날개(72c, 74c)를 따라서 보강리브(74d)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리브(74d)는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의 성형시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테두리날개(72c, 74c)의 강성을 보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날개(72c, 74c)가 밀착됨에 따라 일체로 결합되면서 원통형을 형성한다. 이때,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전술한 흡기관(6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차폐한다. 즉,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흡기관(6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차폐한다.
이러한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도면상의 확대도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2a)가 걸림공(74a)에 끼워져서 걸림에 따라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즉,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보강리브(74d)는 서로 밀착되는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테두리날개(72c, 74c)의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면서 원활하게 결합된다.
한편,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의 결합시 공급관(50)에 마련된 돌기(54b)는 도면상의 확대도 "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에 형성된 돌기홈(72b, 74b)에 스플라인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흡기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50)의 타측에 일단부가 확관되면서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된다. 또, 흡기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확관되면서 끼움링(80)에 끼워진다. 즉, 끼움링(80)은 흡기관(60)의 타다부를 확관시키면서 흡기관(60)의 타단부에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된다. 이때, 끼움 링(80)은 스토퍼(82)에 의해 더 이상 흡기관(60)에 삽입되지 못한다.
이러한 끼움링(8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형태의 스토퍼(82)가 일측 및 타측커버(72, 74)에 형성된 끼움돌기(PO, 70z)의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끼움링(80)은 일측 및 타측커버(72, 74)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끼움링(80)은 일측 및 타측커버(72, 74)의 단부에 조립식으로 고정된다. 물론, 흡기관(60)은 일단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관(50)의 단부에 압입고정되고, 타단부가 끼움링(80)을 통해 일측 및 타측커버(72, 74)의 단부에 고정되므로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일단부가 공급관(50)의 플랜지(52)에 지지됨에 따라 공급관(50)에 설정된 깊이만큼만 끼워진다. 즉,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플랜지(52)에 의해 삽입깊이가 제한된다.
다른 한편,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흡기관(60)과 이격된다. 따라서, 일측 및 타측커버(72, 74)의 내주면과 흡기관(60)의 사이에는 방음챔버(70a)가 형성된다. 즉, 일측 및 타측커버(72, 74)의 내주면과 흡기관(6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결합되면서 전술한 흡기관(60)을 차폐한다. 이때,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확 대도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2a)가 걸림공(74a)에 걸림에 따라 조립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확대도 "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50)의 돌기(54b)가 돌기홈(72b, 74b)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이 방지된다. 즉, 돌기(54b) 및 돌기홈(72b, 74b)은 커버(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한편, 일측 및 타측커버(72, 74)는 스크류(SC)에 의해 공급관(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흡기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차량의 흡입행정에 의해 발생되는 고압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기한다. 이때, 흡기관(60)은 흡기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재질특성에 의해 흡음하면서 일부를 외부로 발산한다.
흡기관(60)에서 발산되는 소음은 방음챔버(70a)가 제공하는 공간에서 관류되면서 감쇠된 후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에 형성된 소음공(HL)을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한편,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60)을 차폐하여 흡기관(60)을 보호하는 동시에 흡기관(6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흡기관(60)에서 발산되는 소음을 외부와 차단시킨 상태에서 소음공(HL)을 통해서만 일부의 소음을 발산시킨다. 따라서, 흡기관(60)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저감되어 발산된다.
이러한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소음공(HL)을 통해 적당량의 소음이 유출됨에 따라 공명현상이 방지된다. 즉,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소음이 발산되지 않을 경우 공명현상이 발생하여 더 큰 소음을 유발시킨다. 하지만,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는 소음공(HL)을 통해 소음이 발산되므로 소음이 증폭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공급관(50)은 흡기관(60)으로 흡기되는 공기를 미도시된 에어크리너에 공급한다. 따라서, 에어크리너는 순수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IV)는 도면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능특성을 보인다. 여기서, 도면의 (a) 및 (b)는 종래의 일반적인 덕트(1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IV)의 성능특성을 1,500cc 차량용 및 3,000cc 차량용으로 실험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IV)는 도시된 바와 같이 3,000rpm 이하의 구간에서는 종래의 덕트(10)와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3,000rpm 이상의 구간에서는 종래의 덕트(10) 보다 낮은 소음특성을 보인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IV)는 대형 차량에서 보다 낮은 소음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IV)는 종래의 덕트(10)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는, 커버(70)가 흡기관(60)의 형상이 유지하면서 보호하므로 흡기관(60)을 차체에 고정시 킬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는 커버(70)를 엔진룸의 내부에 설치된 장치들의 상부에 올려놓아도 원활하게 외기를 흡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는 종래와 같이 흡기관(60)을 고정시키는 부품이나 고정작업이 필요 없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는 3,000rpm 이상의 고속주행시나 엔진의 과부하시 우수한 소음저감특성을 나타낸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크리너용 덕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종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의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공급관
60 : 흡기관
70 : 커버
72 : 일측커버
74 : 타측커버
80 : 끼움링
82 : 스토퍼
HL : 소음공
SC : 스크류

Claims (11)

  1. 차량의 에어크리너에 설치되는 덕트에 있어서,
    상기 에어크리너에 일측이 직결되어 외부의 외기를 에어크리너로 공급하는 경질의 공급관(50);
    상기 공급관(50)의 타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차량의 흡입행정에 의해 고압으로 외부의 외기를 흡기하며, 플랙시블한 흡음재로 이루어져서 고압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흡기소음을 감쇠시키는 흡기관(60); 및
    상기 흡기관(6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흡기관(60)을 차폐하여 흡기관(60)의 형상을 설정된 형태로 유지시키는 경질의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흡기관(6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차폐하고, 흡기관(6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발산시키는 소음공(HL)을 갖는 관형태의 커버(70); 및
    상기 커버(70)에 삽입된 상기 흡기관(60)의 단부를 상기 커버(7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60) 및 상기 커버(70)의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여, 흡기관(60)에서 발산되는 소음을 감쇠시키는 방음챔버(70a)를 더 포함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60)은,
    상기 공급관(50)의 타측에 일단부가 확관되면서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되고, 스크류(SC)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상기 흡기관(60)의 일측면 형상에 대응형성되어 흡기관(60)의 일측면에 배치되면서 흡기관(60)의 일측면을 차폐하고,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날개(72c)를 가지며, 상기 소음공(HL)이 형성된 일측커버(72);
    상기 일측커버(72)와 대향하면서 상기 흡기관(60)의 타측면 형상에 대응형성되어 흡기관(60)의 타측면에 배치되면서 흡기관(60)의 타측면을 차폐하고, 일측커버(72)의 상기 테두리날개(72c)와 밀착되는 테두리날개(74c)를 가지며, 상기 소음공(HL)이 형성된 타측커버(74); 및
    상기 타측커버(74) 및 일측커버(72)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일측커버(72)의 테두리날개(72c)에 후크(72a)를 형성하고, 상기 타측커버(74)의 테두리날개(74c)에 걸림공(74a)을 형성하여, 상기 후크(72a)가 상기 걸림공(74a)에 체결되면서 상기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를 밀착상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상기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가 성형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측커버(72) 및 타측커버(74)에 마련된 상기 테두리날개(72c, 74c)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74d)를 더 포함하는 것을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흡기관(60)의 단부를 확관시키면서 흡기관(60)의 단부에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되는 끼움링(80);
    상기 끼움링(8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끼움링(80)을 상기 흡기관(60)에 설정된 길이만큼 삽입시키는 스토퍼(82); 및
    상기 스토퍼(82)를 상기 커버(7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커버(70)의 내주면에 이격상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링(80)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82)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끼움돌기(PO, 70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공급관(50)의 단부에 돌기(54b)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70)에 돌기홈(74b)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54b)가 돌기홈(72b, 74b)에 스플라인결합되면서 상기 커버(7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11. 삭제
KR1020090049975A 2009-06-05 2009-06-05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KR10109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75A KR101097918B1 (ko) 2009-06-05 2009-06-05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75A KR101097918B1 (ko) 2009-06-05 2009-06-05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02A KR20100131202A (ko) 2010-12-15
KR101097918B1 true KR101097918B1 (ko) 2011-12-26

Family

ID=4350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975A KR101097918B1 (ko) 2009-06-05 2009-06-05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7014C1 (ru) * 2020-05-29 2020-11-2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впуска воздуха
RU2767126C1 (ru) * 2021-06-29 2022-03-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Система впуска поршневого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3433B (zh) * 2019-09-05 2024-02-27 上海索菲玛汽车滤清器有限公司 空气过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918A (ja) 1998-08-17 2000-03-0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
JP2003343373A (ja) 2002-03-19 2003-12-03 Nihon Sekiso Industries Co Ltd 吸気ダクト
JP2008063970A (ja) 2006-09-05 2008-03-21 Toyota Boshoku Corp 吸気ダク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918A (ja) 1998-08-17 2000-03-0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
JP2003343373A (ja) 2002-03-19 2003-12-03 Nihon Sekiso Industries Co Ltd 吸気ダクト
JP2008063970A (ja) 2006-09-05 2008-03-21 Toyota Boshoku Corp 吸気ダク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7014C1 (ru) * 2020-05-29 2020-11-2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впуска воздуха
RU2767126C1 (ru) * 2021-06-29 2022-03-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Система впуска поршневого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02A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0712B (zh) 消音管
KR101178961B1 (ko) 필터 흡음기
JP5793422B2 (ja) 吸気ダクト
RU2606463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я, имеющего нагнетатель,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ую систему
RU2457344C2 (ru) Шумоглуш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шения шума в вертолетном газотурбинном двигателе и двигатель, снабженный эт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5649205B2 (ja) 音を減衰させる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含む自動車
US20090151308A1 (en) Intake duct system for an engine
KR102594139B1 (ko) 차량용 소음저감 장치
US20080230306A1 (en) Muffle chamber duct
KR101097918B1 (ko) 에어크리너용 어코스틱 덕트
KR101405197B1 (ko) 소음장치의 테일 파이프
JP2008031918A (ja) 吸気装置
CN106523211A (zh) 车辆用空气导管
US7849960B2 (en) Silencer
EP2863029B1 (en) Exhaust gas discharge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US20190242335A1 (en) Air cleaner connecting tube structure
KR101207803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어셈블리
JP2010285871A (ja) 通気ダクト
KR20210099319A (ko)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BR112017014721B1 (pt) Membro atenuador de ruído, unidade de atenuação de ruído e método para produzir de um membro de atenuação de ruído
KR100957142B1 (ko)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KR100876201B1 (ko)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JP5959156B2 (ja) ダクト連結部の製造方法
KR100680352B1 (ko) 자동차 흡기계의 에어 덕트 구조
KR100758103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