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872B1 - 튜브 헤드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헤드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872B1
KR101097872B1 KR1020110061713A KR20110061713A KR101097872B1 KR 101097872 B1 KR101097872 B1 KR 101097872B1 KR 1020110061713 A KR1020110061713 A KR 1020110061713A KR 20110061713 A KR20110061713 A KR 20110061713A KR 101097872 B1 KR101097872 B1 KR 10109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block
unit
discharg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석
윤영종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윤영종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종, 윤영석 filed Critical 윤영종
Priority to KR102011006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29C2045/0058Shaping remov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2045/14459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injecting se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헤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튜브 바디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튜브 바디의 배출 과정에서 튜브 바디 및 튜브 헤드의 손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튜브 헤드에 노즐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드릴 모듈을 통해 노즐홀을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특히 노즐홀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절삭칩과 같은 이물질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어 더욱 청결하고 정확한 노즐홀 가공이 가능하며, 튜브 바디를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튜브 바디를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하며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이러한 튜브 바디를 공급하는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작 및 제어 방법이 용이한 튜브 헤드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 헤드 성형 장치{Tube Head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튜브 헤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튜브 바디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튜브 바디의 배출 과정에서 튜브 바디 및 튜브 헤드의 손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튜브 헤드에 노즐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드릴 모듈을 통해 노즐홀을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특히 노즐홀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절삭칩과 같은 이물질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어 더욱 청결하고 정확한 노즐홀 가공이 가능하며, 튜브 바디를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튜브 바디를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하며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이러한 튜브 바디를 공급하는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작 및 제어 방법이 용이한 튜브 헤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치약 등의 각종 젤 상품을 담기 위한 튜브는 원통형의 튜브 바디를 준비하여 그 선단을 기준 치수에 맞추어 절단하고, 그 선단에 튜브 헤드를 사출 성형한 후, 노즐홀이 형성되도록 부분 컷팅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튜브는 튜브 헤드의 노즐홀을 통한 내용물의 유실을 막기 위해 얇은 필름을 접착하는 탑실링 공정과, 튜브 헤드의 나사부에 뚜껑을 조립하는 캡핑 공정을 거치며, 이후 튜브 헤드의 후방으로 내용물을 충진한 다음 그 후방 끝단을 다시 영구 접착시키는 후방 실링 공정을 거쳐 최종 제품으로 완성된다.
통상 튜브 헤드 성형 장치는 튜브 바디에 튜브 헤드를 사출 성형하고 노즐홀을 형성하는 공정까지 수행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360°를 90°씩 4분할 회전하는 4방향 인덱스부와, 4방향 인덱스부에 튜브 바디를 공급하는 튜브 바디 공급부와,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된 튜브 바디에 튜브 헤드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와, 튜브 헤드에 발생한 사출 비드를 제거하는 비드 제거부와, 튜브 헤드에 사출 비드가 제거된 이후 튜브 바디를 배출하는 튜브 바디 배출부와, 이들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튜브 헤드 성형 장치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가 원활하지 못하여 불량률이 매우 높고, 제작 과정 중에 동작 오류로 인한 동작 정지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아직까지 그 기술 수준이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튜브 바디를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튜브 바디 및 튜브 바디 공급부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튜브 바디를 배출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튜브 헤드에 손상이 발생되어 불량률을 크게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튜브 바디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튜브 바디의 배출 과정에서 튜브 바디 및 튜브 헤드의 손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 헤드에 노즐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드릴 모듈을 통해 노즐홀을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특히 노즐홀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공칩과 같은 이물질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어 더욱 청결하고 정확한 노즐홀 가공이 가능한 튜브 헤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튜브 바디를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튜브 바디를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하며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이러한 튜브 바디를 공급하는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작 및 제어 방법이 용이하며, 튜브 바디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360°를 4분할 회전하는 4방향 인덱스부와,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튜브 바디를 공급하는 튜브 바디 공급부와,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된 튜브 바디에 튜브 헤드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와, 튜브 헤드에 발생한 사출 비드를 제거하는 비드 제거부와, 튜브 헤드에 사출 비드가 제거된 이후 튜브 바디를 배출하는 튜브 바디 배출부와, 이들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바디 배출부는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고정 지지된 튜브 바디를 파지하여 상기 4방향 인덱스부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중간 파지부; 상기 중간 파지부로부터 튜브 바디를 공급받고 공기 흡입 또는 공기 토출을 통해 튜브 바디를 고정 또는 배출하는 흡입 토출부; 및 상기 흡입 토출부로부터 배출되는 튜브 바디를 지지 가이드하는 배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튜브 바디 배출부는 상기 흡입 토출부에 공급되어 흡입 고정된 튜브 바디의 튜브 헤드에 노즐홀을 드릴링하는 드릴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릴링부에 의한 드릴링 가공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은 상기 흡입 토출부의 공기 흡입에 의해 흡입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파지부는 파지 케이스; 상기 파지 케이스 내부에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작동 로드; 상기 파지 케이스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직선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튜브 바디를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는 바이스 블록; 상기 작동 로드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파지 케이스를 상기 4방향 인덱스부를 향해 전후 이동시키는 파지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부는 별도의 제 1 드릴링 구동부를 통해 직선 이동하며 상기 흡입 토출부에 흡입 고정된 튜브 바디를 고정하는 드릴링 고정 블록; 별도의 제 2 드릴링 구동부를 통해 직선 이동하며 상기 드릴링 고정 블록에 고정된 튜브 바디의 튜브 헤드에 관통홀을 드릴링하는 드릴 모듈; 및 상기 드릴 모듈을 회전 구동하는 드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파지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토출부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블록; 튜브 바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브 블록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삽입 배출 블록; 튜브 바디가 상기 삽입 배출 블록에 고정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수단; 튜브 바디가 상기 삽입 배출 블록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에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 수단; 상기 베이스 블록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베이스 구동부; 및 상기 서브 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서브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지지부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탄성 편의되게 결합되는 지지 로드;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흡입 토출부를 향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배출 구동부를 포함하고, 튜브 바디는 상기 흡입 토출부의 삽입 배출 블록으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로드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지지 블록의 직선 이동에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바디 공급부는 별도의 공급대에 제 1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튜브 바디를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 2 간격으로 간격 변화시키며 특정 장소로 직선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 이송부는 메인 실린더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되며, 일측에는 튜브 바디를 파지할 수 있는 제 1 메인 흡착부가 형성되는 제 1 메인 이동 블록; 및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튜브 바디를 파지할 수 있는 제 2 메인 흡착부가 형성되는 제 2 메인 이동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은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이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흡착부와 제 2 메인 흡착부가 상기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일정 구간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에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메인 이동 블록에는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은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 가이드되며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일정 구간 상대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맞물림됨으로써 서로 연동하여 일체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이송부는 각각의 일측에는 튜브 바디을 파지할 수 있는 보조 흡착부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2 메인 이동 블록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이동 블록을 더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보조 이동 블록은 각각의 상기 보조 흡착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 2 메인 흡착부로부터 시작하여 각각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 실린더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각각 간격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실린더는 각각의 상기 보조 이동 블록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양측단부에 각각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흡착부와 상기 보조 흡착부는 흡착 이송 실린더; 상기 흡착 이송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흡착 블록; 및 튜브 바디을 흡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착 블록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는 흡착 로드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튜브 바디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튜브 바디의 배출 과정에서 튜브 바디 및 튜브 헤드의 손상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 헤드에 노즐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드릴 모듈을 통해 노즐홀을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특히 노즐홀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공칩과 같은 이물질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어 더욱 청결하고 정확한 노즐홀 가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 바디를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튜브 바디를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하며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이러한 튜브 바디를 공급하는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작 및 제어 방법이 용이하며, 튜브 바디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중간 파지부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드릴링부 및 흡입 토출부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흡입 토출부 및 배출 지지부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 장치는 튜브 바디에 튜브 헤드를 사출 성형하고 노즐홀을 형성한 후 배출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를 90°씩 4분할 회전하는 4방향 인덱스부(50)와, 4방향 인덱스부(50)에 튜브 바디(T1)를 공급하는 튜브 바디 공급부(10)와, 4방향 인덱스부(50)에 공급된 튜브 바디(T1)에 튜브 헤드(T2)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20)와, 튜브 헤드(T2)에 발생한 사출 비드를 제거하는 비드 제거부(30)와, 튜브 헤드(T2)에 사출 비드가 제거된 이후 튜브 바디(T1)를 배출하는 튜브 바디 배출부(40)와, 이들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4방향 인덱스부(5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인덱스 테이블(51)과, 튜브 바디(T1)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인덱스 테이블(51)의 각 면에 각각 장착되는 튜브 지지부(52)로 구성되며, 별도의 인덱스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90°씩 4분할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튜브 지지부(52)는 인덱스 테이블(51)의 각 면에 다수개씩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4개씩 장착되어 한번에 4개의 튜브 바디(T1)가 동시에 해당 작업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4방향 인덱스부(50)의 각 튜브 지지부(52)에는 각각 튜브 바디 공급부(10), 사출 성형부(20), 비드 제거부(30) 및 튜브 바디 배출부(40)가 대응되게 배치되어 4방향 인덱스부(5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의 공정이 수행된다.
튜브 바디 공급부(10)는 4방향 인덱스부(50)에 튜브 바디(T1)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별도의 공급대(미도시)로부터 다수개의 튜브 바디(T1)를 흡착하여 안착 보드(13)로 이송하는 흡착 이송부(11)와, 튜브 바디(T1)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삽입된 튜브 바디(T1)를 기준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는 위치 정렬부(15)와, 위치 정렬부(15)를 향해 직선 이동하며 안착 보드(13)에 안착된 튜브 바디(T1)를 위치 정렬부(15)로 삽입시키는 인서트부(12)와, 위치 정렬부(15)에 삽입된 튜브 바디(T1)를 기준 치수에 맞게 절단하는 바디 커팅부(14)와, 위치 정렬부(15)에 삽입된 튜브 바디(T1)를 파지하여 위치 정렬부(15)로부터 분리 이탈시킨 후, 4방향 인덱스부(50)의 튜브 지지부(52)에 삽입시키는 홀드부(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홀드부(16)는 4방향 인덱스부(50)를 향해 직선 이동하며 튜브 바디(T1)를 튜브 지지부(52)에 삽입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 정렬부(15)는 인서트부(12)를 통해 튜브 바디(T1)를 삽입 공급받은 상태에서 홀드부(16)와 직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홀드부(16)에 의해 튜브 바디(T1)가 분리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튜브 바디 공급부(10)에 의해 인덱스 테이블(51)의 어느 한 면에 위치한 튜브 지지부(52)로 공급된 튜브 바디(T1)는 인덱스 테이블(51)의 회전에 따라 90°회전하며 사출 성형부(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사출 성형부(20)는 튜브 바디(T1)의 일단에 튜브 헤드(T2)를 사출 성형하는 장치로서, 사출 원료를 믹싱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젝션 수단(21)과, 튜브 바디(T1)의 일단에 튜브 헤드(T2)가 형성되도록 인젝션 수단(21)의 전방에 위치하는 몰드 금형(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사출 성형부(20)을 통해 튜브 바디(T1)의 일단에 튜브 헤드(T2)가 사출 성형된다.
이와 같이 튜브 헤드(T2)가 사출 성형되면, 4방향 인덱스부(50)가 또 다시 분할 회전하게 되고, 튜브 헤드(T2)가 사출 성형된 튜브 바디(T1)는 비드 제거부(30)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부(20)를 통해 형성된 튜브 헤드(T2)에는 사출 성형 과정에서 사출 비드가 발생하게 되는데, 비드 제거부(30)는 이러한 튜브 헤드(T2)의 사출 비드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비드 제거부(30)는 튜브 헤드(T2)를 고정 지지하는 부시(31)와, 부시(31)에 의해 고정 지지된 튜브 헤드(T2)의 사출 비드를 절단하는 절단 칼날(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단 칼날(32)에 의해 사출 비드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튜브 헤드(T2)에는 작은 크기의 노즐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드 제거부(30)에 의해 튜브 헤드(T2)의 사출 비드가 제거되면, 4방향 인덱스부(50)가 또 다시 분할 회전하게 되고, 튜브 바디(T1)는 튜브 바디 배출부(40)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튜브 바디 배출부(40)는 4방향 인덱스부(50)의 튜브 지지부(52)에 삽입 고정된 튜브 바디(T1)를 손상없이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4방향 인덱스부(50)에 고정 지지된 튜브 바디(T1)를 파지하여 4방향 인덱스부(50)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중간 파지부(41)와, 중간 파지부(41)로부터 튜브 바디(T1)를 공급받고 공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토출하여 튜브 바디(T1)를 고정 또는 배출하는 흡입 토출부(42)와, 공기 토출에 의해 흡입 토출부(42)로부터 배출되는 튜브 바디(T1)를 지지 가이드하는 배출 지지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튜브 바디 배출부(40)는 흡입 토출부(42)에 공급되어 흡입 고정된 튜브 바디(T1)의 튜브 헤드(T2)에 노즐홀(T3)을 드릴링하는 드릴링부(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드릴링부(43)에 의한 드릴링 가공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은 흡입 토출부(42)의 공기 흡입에 의해 흡입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 장치는 튜브 바디 공급부(10)를 통해 4방향 인덱스부(50)에 안정적으로 튜브 바디(T1)를 공급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바이스에 의해 4방향 인덱스부(50)로부터 인출하는 배출 방식이 아니라 튜브 바디 배출부(40)에 의해 공기 토출 방식으로 튜브 바디(T1)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튜브 바디(T1)의 배출 과정에서 튜브 바디(T1) 및 튜브 헤드(T2)의 손상이 방지되어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 장치의 세부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중심으로 튜브 바디 공급부(10)의 흡착 이송부(11)에 대한 구성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공급부의 흡착 이송부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이송부(11)는 공급대(17)에 제 1 간격(X)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튜브 바디를 4방향 인덱스부(5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 2 간격(Y)으로 간격 변화시키며 안착 보드(13)로 직선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은 메인 실린더(113)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되며, 일측에는 튜브 바디(T1)를 파지할 수 있는 제 1 메인 흡착부(101)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에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가이드부(111)가 형성되며, 돌출 가이드부(111)의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112)가 형성된다.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은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튜브 바디를 파지할 수 있는 제 2 메인 흡착부(102)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에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부(121)가 형성되며, 슬라이드 가이드부(121)에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122)이 길게 형성된다.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은 슬라이드 돌기(112)가 슬라이드 홀(122)에 삽입되어 맞물림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 홀(122)이 슬라이드 돌기(112)보다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돌기(112)는 슬라이드 홀(122)을 따라 가이드되며 일정 구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은 슬라이드 돌기(112)가 슬라이드 홀(122)에 삽입 가이드되며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일정 구간 서로 상대 이동하고, 이후, 슬라이드 돌기(112)가 슬라이드 홀(122)에 맞물림됨으로써, 서로 연동하여 일체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은 슬라이드 이동 방식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제 1 메인 흡착부(101)와 제 2 메인 흡착부(102)가 서로 제 1 간격(X) 또는 제 2 간격(Y)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이송부(11)는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이동 블록(130,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이동 블록(130,140)의 일측에는 각각 튜브 바디(T1)를 파지할 수 있는 보조 흡착부(103,104)가 장착되고, 다수개의 보조 이동 블록(130,140)은 각각의 보조 흡착부(103,104) 사이의 간격이 제 2 메인 흡착부(102)로부터 시작하여 각각 제 1 간격(X) 또는 제 2 간격(Y)을 이룰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 실린더(131,141)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각각 간격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의 전방에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 및 제 2 보조 이동 블록(140)이 순차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고,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은 제 1 보조 실린더(131)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과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고, 제 2 보조 이동 블록(140)은 제 2 보조 실린더(141)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과의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 및 제 2 보조 이동 블록(140)은 각각 제 1 보조 흡착부(103)와 제 2 보조 흡착부(104) 사이 간격이 제 1 간격(X) 또는 제 2 간격(Y)을 이루도록 간격 조절된다.
한편, 보조 이동 블록(130,140)을 이동시키며 간격을 조절하는 보조 실린더(131,141)는 각각의 보조 이동 블록(130,14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양측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보조 이동 블록(130,140)이 편향되지 않고 정확하게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튜브 바디(T1)에 대한 간격 조절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이동 블록(130,140) 또는 보조 실린더(131,141)의 편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메인 이동 블록(110,120)에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메인 흡착부(101,102)와, 보조 이동 블록(130,140)에 각각 장착된 보조 흡착부(103,104)는 각각 튜브 바디(T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튜브 바디(T1)를 흡착하는 방식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튜브 바디(T1)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튜브 바디(T1)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메인 흡착부(101,102)와 보조 흡착부(103,104)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인 이동 블록(110,120)과, 보조 이동 블록(130,140)에 각각 장착되는 흡착 이송 실린더(P1)와, 흡착 이송 실린더(P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흡착 블록(P2)과, 튜브 바디(T1)를 흡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흡착 블록(P2)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는 흡착 로드(P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바디(T1)를 흡착하기 위해 흡착 이송 실린더(P1)에 의해 흡착 블록(P2)과 흡착 로드(P3)가 하향 이동하고, 흡착 로드(P3)를 통해 흡착 방식으로 튜브 바디(T1)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 바디(T1)를 파지한 후에는 다시 흡착 이송 실린더(P1)에 의해 흡착 블록(P2)과 흡착 로드(P3)가 상향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 및 보조 이동 블록(130,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가이드 로드(150)에 관통 결합되며, 가이드 로드(150)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로드(150)는 별도의 베이스 프레임(16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이송부(11)의 동작 상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기준 상태에서는 도 3의 (a)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흡착부(101,102) 및 보조 흡착부(103,104)가 각각 튜브 바디(T1)의 사이 간격과 동일한 제 1 간격(X)으로 배치되도록 각 메인 이동 블록(110,120) 및 보조 이동 블록(130,140)이 간격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흡착부(101,102) 및 보조 흡착부(103,104)에 의해 튜브 바디(T1)를 파지한 후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흡착부(101,102) 및 보조 흡착부(103,104)의 각 사이 간격이 제 2 간격(Y)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메인 실린더(113)에 의해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이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은 제 1 보조 실린더(131)에 의해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2 보조 이동 블록(140)은 제 2 보조 실린더(141)에 의해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의 (a) 상태와 비교하여 도 3의 (b) 상태는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은 그대로 위치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를 중심으로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 및 제 2 보조 이동 블록(140)이 각각 후방 및 전방으로 직선 이동한 상태이다. 이러한 위치 이동에 따라 각 메인 흡착부(101,102) 및 보조 흡착부(103,104) 사이의 간격은 제 2 간격(Y)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의 슬라이드 돌기(112)는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의 슬라이드 홀(122)에 맞물림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c) 및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실린더(113)가 계속 작동하여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이 후방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면,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의 슬라이드 돌기(112)가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의 슬라이드 홀(122)에 맞물림된 상태이므로,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과 함께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이 동일 간격(제 2 간격(Y))을 유지하며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이 이동하게 되면, 일단이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에 결합된 제 1 보조 실린더(131)와 함께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이 동일 간격(제 2 간격(Y))을 유지하며 후방으로 이동하고, 마찬가지로, 일단이 제 1 보조 이동 블록(130)에 결합된 제 2 보조 실린더(141)와 함께 제 2 보조 이동 블록(140)이 동일 간격(제 2 간격(Y))을 유지하며 후방으로 이동한다.
즉, 제 1 보조 실린더(131)는 제 1 보조 흡착부(103)와 제 2 메인 흡착부(102)와의 사이 간격이 제 1 간격(X) 또는 제 2 간격(Y)을 이루도록 간격 조절 역할을 수행하고, 마찬가지로 제 2 보조 실린더(141)는 제 2 보조 흡착부(104)와 제 1 보조 흡착부(103)와의 사이 간격이 제 1 간격(X) 또는 제 2 간격(Y)을 이루도록 간격 조절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메인 실린더(113)는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을 이동시켜 제 1 메인 흡착부(101)와 제 2 메인 흡착부(102)와의 사이 간격이 제 1 간격(X) 또는 제 2 간격(Y)을 이루도록 간격 조절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1 메인 이동 블록(110)과 함께 제 2 메인 이동 블록(120), 제 3 및 제 4 보조 이동 블록(130,140)을 모두 후방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메인 실린더(113)는 간격 조절 역할 뿐만 아니라 튜브 바디(T1)를 공급대(17)에서부터 안착 보드(13)로 이동시키는 역할까지 아울러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이송부(11)는 하나의 메인 실린더(113)를 통해 메인 흡착부(101,102)에 대한 사이 간격 조절 기능과 함께 공급대(17)에서 안착 보드(13)로 튜브 바디(T1)를 이송시키는 기능 또한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제어 방법이 매우 용이한 구조이다.
이상에서는 보조 이동 블록(130,140)이 2개 더 구비된 형태로 한번에 4개의 튜브 바디(T1)를 동시에 이송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이송부(11)는 보조 이동 블록(130,140)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메인 이동 블록(110,120) 만으로 한번에 2개의 튜브 바디(T1)를 동시에 이송하게 된다. 또한, 보조 이동 블록(130,140)이 3개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더 많은 튜브 바디(T1)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보조 이동 블록의 개수는 4방향 인덱스부(5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중간 파지부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드릴링부 및 흡입 토출부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의 흡입 토출부 및 배출 지지부에 대한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바디 배출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파지부(41)와, 흡입 토출부(42)와, 배출 지지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노즐홀(T3)을 드릴링하는 드릴링부(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간 파지부(4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베이스 블록(412)에 결합되는 파지 케이스(410)와, 파지 케이스(410) 내부에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작동 로드(411)와, 파지 케이스(410)의 전단에 힌지축(41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 로드(411)의 직선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튜브 바디(T1)를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는 바이스 블록(414)과, 작동 로드(411)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액츄에이터(415)와, 파지 케이스(410)를 4방향 인덱스부(50)를 향해 전후 이동시키는 파지 구동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액츄에이터(415)는 작동 로드(411)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파지부(41)는 파지 구동부(416)에 의해 4방향 인덱스부(50)를 향해 전진 이동하고,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 바이스 블록(414)에 의해 4방향 인덱스부(50)에 삽입 고정된 튜브 바디(T1)를 파지한 후, 다시 4방향 인덱스부(50)로부터 후진 이동함으로써, 튜브 바디(T1)를 4방향 인덱스부(50)로부터 분리 이탈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중간 파지부(41)는 다시 전진 이동하여 튜브 바디(T1)를 흡입 토출부(42)에 삽입시킨다.
흡입 토출부(42)는 별도의 가이드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블록(421)과, 베이스 블록(421)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블록(423)과, 튜브 바디(T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서브 블록(423)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기 유로(424a)가 관통 형성되는 삽입 배출 블록(424)과, 튜브 바디(T1)가 삽입 배출 블록(424)에 고정되도록 공기 유로(424a)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수단(425)과, 튜브 바디(T1)가 삽입 배출 블록(424)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공기 유로(424a)에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 수단(426)과, 베이스 블록(421)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베이스 구동부(420)와, 서브 블록(42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서브 구동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서브 블록(423)에는 삽입 배출 블록(424)의 내부 공기 유로(424a)와 연통되도록 별도의 공기 유로(423a)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공기 흡입 수단(425) 및 공기 배출 수단(426)이 삽입 배출 블록(424)의 내부 공기 유로(424a)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토출부(42)는 중간 파지부(41)가 튜브 바디(T1)를 파지한 상태로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 중간 파지부(41)의 전후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좌우 이동하며,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중간 파지부(41)가 전진 이동하여 흡입 토출부(42)의 삽입 배출 블록(424)에 튜브 바디(T1)를 삽입시키고 파지 상태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흡입 토출부(42)의 서브 블록(423)은 서브 구동부(422)에 의해 하향 이동한다. 서브 블록(423)이 하향 이동하면, 중간 파지부(41)의 하부에 위치하는 드릴링부(43)가 전진 이동하며 삽입 배출 블록(424)에 삽입된 튜브 바디(T1)의 튜브 헤드(T2)에 노즐홀을 드릴링한다.
이때, 흡입 토출부(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 수단(245)을 통해 삽입 배출 블록(424)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에 따라 삽입 배출 블록(424)에 삽입된 튜브 바디(T1)는 진공압에 의해 삽입 배출 블록(424)에 밀착되며 결합 고정된다.
드릴링부(43)는 별도의 제 1 드릴링 구동부(433)를 통해 직선 이동하며 흡입 토출부(42)에 흡입 고정된 튜브 바디(T1)를 고정하는 드릴링 고정 블록(430)과, 별도의 제 2 드릴링 구동부(434)를 통해 직선 이동하며 드릴링 고정 블록(430)에 고정된 튜브 바디(T1)의 튜브 헤드(T2)에 관통홀을 드릴링하는 드릴 모듈(431)과, 드릴 모듈(431)을 회전 구동하는 드릴 모터(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드릴 모듈(431)은 드릴링 척(431a) 및 드릴링 척(431a)에 삽입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드릴링 날(4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1 드릴링 구동부(433)를 통해 드릴링 고정 블록(430)이 전진 이동하며 삽입 배출 블록(424)에 삽입된 튜브 바디(T1)를 고정하고, 이후 제 2 드릴링 구동부(434)를 통해 드릴 모듈(431)이 전진 이동하며 튜브 바디(T1)의 튜브 헤드(T2)에 노즐홀을 형성한다. 이때, 삽입 배출 블록(424) 내부의 공기 유로(424a)에서는 공기 흡입 수단(425)을 통한 공기 흡입 상태가 유지되므로, 드릴링을 통한 노즐홀 형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칩과 같은 이물질은 삽입 배출 블록(424)의 공기 유로(424a)를 통해 모두 흡입 제거된다. 따라서, 더욱 청결하고 정확한 노즐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드릴링 작업이 완료되면, 드릴링부(43)는 다시 후진 이동하고, 이후 흡입 토출부(42)는 베이스 블록(421) 및 서브 블록(423)이 이동하며 배출 지지부(44)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배출 지지부(44)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440)에 결합되는 지지 블록(441)과, 별도의 스프링(444)에 의해 지지 블록(441)의 전방으로 탄성 편의되게 결합되는 지지 로드(442)와, 지지 블록(441)이 흡입 토출부(42)를 향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배출 구동부(4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배출 지지부(44)는 지지 로드(442)가 흡입 토출부(42)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 블록(441)이 전진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흡입 토출부(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 수단(426)에 의해 공기 유로(424a)로 공기를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 배출에 의해 튜브 바디(T1)는 삽입 배출 블록(424)으로부터 지지 로드(442) 방향으로 배출 이동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튜브 바디(T1)가 지지 로드(442)에 의해 가압 탄성 지지되며 더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이후, 지지 로드(442)가 지지 블록(441)과 함께 후진 이동하게 되면, 튜브 바디(T1)는 공기 배출 압력에 의해 계속해서 지지 로드(442)와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삽입 배출 블록(424)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 진행되면, 최종적으로 튜브 바디(T1)는 삽입 배출 블록(424)으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튜브 바디(T1)는 지지 로드(442)에 의해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배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튜브 바디(T1)는 별도의 저장대(45)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는 흡입 토출부(42)에 의한 공기 흡입 및 공기 배출을 통해 튜브 바디(T1)를 배출 가이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이스와 같은 물리적 접촉이 필요한 부품 없이도 용이하게 튜브 바디(T1)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튜브 바디(T1) 및 튜브 헤드(T2)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튜브 바디 공급부 11: 흡착 이송부
20: 사출 성형부 30: 비드 제거부
40: 튜브 바디 배출부 41: 중간 파지부
42: 흡입 토출부 43: 드릴링부
44: 배출 지지부 50: 4방향 인덱스부

Claims (11)

  1. 삭제
  2. 360°를 4분할 회전하는 4방향 인덱스부와,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튜브 바디를 공급하는 튜브 바디 공급부와,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된 튜브 바디에 튜브 헤드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와, 튜브 헤드에 발생한 사출 비드를 제거하는 비드 제거부와, 튜브 헤드에 사출 비드가 제거된 이후 튜브 바디를 배출하는 튜브 바디 배출부와, 이들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바디 배출부는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고정 지지된 튜브 바디를 파지하여 상기 4방향 인덱스부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중간 파지부;
    상기 중간 파지부로부터 튜브 바디를 공급받고 공기 흡입 또는 공기 토출을 통해 튜브 바디를 고정 또는 배출하는 흡입 토출부;
    상기 흡입 토출부로부터 배출되는 튜브 바디를 지지 가이드하는 배출 지지부; 및
    상기 흡입 토출부에 공급되어 흡입 고정된 튜브 바디의 튜브 헤드에 노즐홀을 드릴링하는 드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링부에 의한 드릴링 가공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은 상기 흡입 토출부의 공기 흡입에 의해 흡입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파지부는
    파지 케이스;
    상기 파지 케이스 내부에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작동 로드;
    상기 파지 케이스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직선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튜브 바디를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는 바이스 블록;
    상기 작동 로드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파지 케이스를 상기 4방향 인덱스부를 향해 전후 이동시키는 파지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링부는
    별도의 제 1 드릴링 구동부를 통해 직선 이동하며 상기 흡입 토출부에 흡입 고정된 튜브 바디를 고정하는 드릴링 고정 블록;
    별도의 제 2 드릴링 구동부를 통해 직선 이동하며 상기 드릴링 고정 블록에 고정된 튜브 바디의 튜브 헤드에 관통홀을 드릴링하는 드릴 모듈; 및
    상기 드릴 모듈을 회전 구동하는 드릴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파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토출부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블록;
    튜브 바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브 블록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삽입 배출 블록;
    튜브 바디가 상기 삽입 배출 블록에 고정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수단;
    튜브 바디가 상기 삽입 배출 블록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에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 수단;
    상기 베이스 블록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베이스 구동부; 및
    상기 서브 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서브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지지부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탄성 편의되게 결합되는 지지 로드;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흡입 토출부를 향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배출 구동부
    를 포함하고, 튜브 바디는 상기 흡입 토출부의 삽입 배출 블록으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로드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지지 블록의 직선 이동에 따라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바디 공급부는
    별도의 공급대에 제 1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튜브 바디를 상기 4방향 인덱스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 2 간격으로 간격 변화시키며 특정 장소로 직선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 이송부는
    메인 실린더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되며, 일측에는 튜브 바디을 파지할 수 있는 제 1 메인 흡착부가 형성되는 제 1 메인 이동 블록; 및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튜브 바디을 파지할 수 있는 제 2 메인 흡착부가 형성되는 제 2 메인 이동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은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이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흡착부와 제 2 메인 흡착부가 상기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일정 구간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에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메인 이동 블록에는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메인 이동 블록과 제 2 메인 이동 블록은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 가이드되며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일정 구간 상대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맞물림됨으로써 서로 연동하여 일체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이송부는
    각각의 일측에는 튜브 바디을 파지할 수 있는 보조 흡착부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2 메인 이동 블록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이동 블록을 더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보조 이동 블록은 각각의 상기 보조 흡착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 2 메인 흡착부로부터 시작하여 각각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 실린더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각각 간격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린더는 각각의 상기 보조 이동 블록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양측단부에 각각 2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흡착부와 상기 보조 흡착부는
    흡착 이송 실린더;
    상기 흡착 이송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흡착 블록; 및
    튜브 바디을 흡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착 블록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는 흡착 로드
    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헤드 성형 장치.
KR1020110061713A 2011-06-24 2011-06-24 튜브 헤드 성형 장치 KR10109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13A KR101097872B1 (ko) 2011-06-24 2011-06-24 튜브 헤드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13A KR101097872B1 (ko) 2011-06-24 2011-06-24 튜브 헤드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872B1 true KR101097872B1 (ko) 2011-12-23

Family

ID=4550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713A KR101097872B1 (ko) 2011-06-24 2011-06-24 튜브 헤드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81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로딩장치
KR101822483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KR101949095B1 (ko) 2018-08-23 2019-02-15 박종철 인서트부재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97B1 (ko) * 2001-12-27 2004-07-02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 헤드 성형장치
KR100530586B1 (ko) 2004-02-27 2005-11-23 천효원 튜브 헤더부 성형장치
KR100811858B1 (ko) 2006-12-01 2008-03-10 김남균 튜브 헤드의 성형방법 및 장치
KR100841720B1 (ko) 2007-12-21 2008-06-26 주식회사 아이팩 이종물질 튜브용기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97B1 (ko) * 2001-12-27 2004-07-02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 헤드 성형장치
KR100530586B1 (ko) 2004-02-27 2005-11-23 천효원 튜브 헤더부 성형장치
KR100811858B1 (ko) 2006-12-01 2008-03-10 김남균 튜브 헤드의 성형방법 및 장치
KR100841720B1 (ko) 2007-12-21 2008-06-26 주식회사 아이팩 이종물질 튜브용기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81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로딩장치
KR101822483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KR101949095B1 (ko) 2018-08-23 2019-02-15 박종철 인서트부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1619B (zh) 一种精雕机全自动上下料设备
JP6243756B2 (ja) スパウト取付用袋の供給方法及び装置
KR101097872B1 (ko) 튜브 헤드 성형 장치
US76995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label to pseudo-core in in-mold labeling system
KR101439376B1 (ko) 사출물 절단장치
KR101785572B1 (ko) 콘택트 렌즈 성형용 듀얼 레이어 자동 몰드 인쇄시스템
JP6109975B1 (ja) 基板切断装置
KR20150014159A (ko) 사출 렌즈의 컷팅 및 적재장치
JP3760197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用プリフォームのゲートカット装置
JP2008302965A (ja) 包装袋の供給装置
JP2021022641A (ja) 切断装置及び切断品の製造方法
KR101576582B1 (ko) 렌즈 사출물 커팅 장치
KR20160115087A (ko) 사출물 프레스 절단장치
JP2005178801A (ja) 容器箱詰めシステム及び箱詰め方法
CN108321106A (zh) 半导体封装一体机的自动合片装置
TWI704585B (zh) 轉子鐵芯加工裝置及其加工方法
JP3749236B2 (ja) インサート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203387841U (zh) 水平滑轨顶置式插件机
CN103338623B (zh) 水平滑轨顶置式插件机
CN209641627U (zh) 规正机构以及汇流条上料装置
JP3114629U (ja) レンズ切断加工機
CN208375883U (zh) 闪光灯镜片生产装置
JP5882077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JP3153470B2 (ja) 成形品の搬送及びゲート切断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H0780895A (ja) 成型部材のゲートカ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