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894B1 -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894B1
KR101096894B1 KR1020050039753A KR20050039753A KR101096894B1 KR 101096894 B1 KR101096894 B1 KR 101096894B1 KR 1020050039753 A KR1020050039753 A KR 1020050039753A KR 20050039753 A KR20050039753 A KR 20050039753A KR 101096894 B1 KR101096894 B1 KR 10109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olymer film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041A (ko
Inventor
오전근
박은성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894B1/ko
Priority to US11/913,567 priority patent/US20080187828A1/en
Priority to PCT/KR2006/001732 priority patent/WO2006121281A1/en
Priority to EP06757673.6A priority patent/EP1886365A4/en
Priority to JP2008511052A priority patent/JP5299621B2/ja
Priority to CNB2006800163394A priority patent/CN100546073C/zh
Publication of KR2006011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894B1/ko
Priority to US13/628,292 priority patent/US893686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꺼운 형태의 탭을 사용하는 경우에 탭 주변에서 밀봉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탭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탭에 부착되는 고분자 필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탭의 발열량을 줄이기 위해 약 200 ㎛ 이상의 두께를 갖는 탭이 적용된 리튬이차전지의 경우에도 탭과 고분자 필름(즉, 탭과 외장재) 사이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리튬이차전지 외부로부터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또는 전지 내부로부터 전해액 등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튬이차전지, 탭, 고분자 필름, 외장재, 밀봉

Description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Li secondary battery for improving bondability of tab to polymer film}
도 1은 일반적인 리튬이차전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 그리고
도 7b 및 7c는 도 7a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튬이차전지 20 : 전극 조립체
30, 30', 32, 34, 36, 38 : 탭
40, 42 : 고분자 필름 42a : 상부 필름
42b : 하부 필름 44, 44a, 44b : 돌기부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꺼운 형태의 탭을 사용하는 경우에 탭 주변에서 밀봉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차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이차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리튬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 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수 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튬이차전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을 참조하여 리튬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리튬이차전지(10)는 파우치(pouch)형 리튬이차전지로써, 전극 조립체(20; 또는 '전지본체'라고도 한다)의 일 측면에 금속성 탭(30)이 돌출되고 전극 조립체(20) 및 탭(30)의 일부가 파우치라 불리는 외장재(50)에 의해 둘러싸여 밀봉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외장재(50)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하부(52)와 그에 대응되는 상부(54)로 구성되며, 탭(30)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20) 및 탭의 잔여 부분을 감싸 밀봉한다. 덧붙여, 탭과 외장재 사이에는 고분자 필름(40)이 개재됨으로써 탭과 외장재를 접착하여 밀봉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리튬이차전지에서, 외장재의 밀봉(sealing)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며, 외부로부터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여 전극 조립체, 탭, 외장재의 부식을 촉진하거나 또는 정극/부극의 활물질에도 손상을 주는 등 성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탭의 두께는 주로 50 내지 200 ㎛의 두께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수분 침투나 전해액 누수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위와 같은 리튬이차전지에 있어서, 전지의 출력이 커짐에 따라 탭의 저항 및 발열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다음의 수식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R = r * l / s
Q = i2 * R
여기서, R은 탭의 저항, r은 비저항(specific resistance), l은 탭의 길이, s는 탭의 단면적, Q는 탭의 발열량, 그리고 i는 전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지의 출력을 증가시키면서 탭의 발열량을 줄이기 위하여, 탭의 단면적을 키우는 방안이 고려되었으나, 이는 탭의 두께의 증가를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외장재와 탭 사이의 밀봉 저하라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도 2a는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탭(30')과 고분자 필름(40)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탭(30')의 두께(d)가 소정의 값, 예컨대 200 ㎛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에 탭을 감싸는 고분자 필름(40)이 탭의 측면과 밀착되지 못하게 되어 공극(A)을 생성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외장재(50)와 탭(30')이 완전히 밀봉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이 공극(A)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거나 또는 내부로부터 전해액 등이 누설되는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탭의 발열량을 낮추기 위하여 탭의 두께를 증가시킨 구조의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탭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탭 주변부의 밀봉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와; 탭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 및 전극 조립체를 감싸 밀봉하는 외장재; 및 외장재 및 탭이 접촉하는 부분에 개재되어 접착성을 높이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있어서, 탭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 탭의 단면은 상하면 중 적어도 한 면과 인접한 측면이 이루는 내각이 둔각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의 소정의 두께는 대략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의 단면은 단면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거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이거나, 또는 단면의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의 단면은 대응하는 상하면을 연결하는 볼록한 원호 형상의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와; 탭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 및 전극 조립체를 감싸 밀봉하는 외장재; 및 외장재 및 탭이 접촉하는 부분에 개재되어 접착성을 높이며, 탭의 상하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있어서, 탭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 한 쌍의 고분자 필름은 그 대향면에서 각각 상기 탭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됨으로써 탭과 한 쌍의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 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의 소정의 두께는 대략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 도면은 탭과 고분자 필름 사이의 밀착된 구조를 중심으로 도시되었으며,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전반적인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32)의 두께(d)가 약 200 ㎛ 이상으로 두껍게 하여 발열량을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시에 리튬이차전지가 평행사변형 단면의 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탭(32)과 고분자 필름(40)이 밀착하여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외장재(50)와 탭(32)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밀봉 성능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즉, 탭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하면에서 엇갈리는 방향에서 각각 상하면과 상하면에 인접한 측면이 이루는 내각(θ)이 둔각을 형성한 것이며, 이는 동시에 탭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 구조를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의 발열량을 줄이기 위하여 탭의 두께가 대략 200 ㎛ ∼ 500 ㎛ 의 범위로 형성되며, 이때 탭의 단면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탭과 고분자 필름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분자 필름의 외측에서 접착되는 외장재와 탭의 접합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다만, 고분자 필름(40)의 좌우 높이가 탭의 두께(d)만큼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열 압착과 같은 접합 공정에서 변형되거나 또는 누설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탭과 고분자 필름을 밀착시킨다는 점에서 종래의 공극(A; 도 2 참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외장재는 히트시일층(heat seal layer), 배리어층(barrier layer) 및 기재층(base layer)의 적층체로 구성되며, 특히 히트시일층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고, 금속성 탭과의 접합을 위하여 열 접착이 가능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고분자 필름은 폴리올레핀층/접착성 TPX층/산변성 폴리올레핀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층은 외장재의 히트시일층 측면에 그리고 산변성 폴리올레핀층은 금속성 탭 측면으로 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외장재와 탭의 접합을 돕는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튬이차전지(10; 도 1 참조)로써 직육면체 형상의 전극 조립체를 감싸는 형태의 외장재가 기술되고 있으나, 이는 실시예로써 주어진 것이며, 형태 및 크기에 관계없이 외장재로부터 금속성 탭이 돌출되는 모든 구조의 리튬이차전지에 본 발명의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34)의 두께(d)가 약 200 ㎛ 이상으로 두껍게 하여 발열량을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시에 리튬이차 전지가 사다리꼴 단면의 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탭(34)과 고분자 필름(40)이 밀착하여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외장재(50)와 탭(34)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밀봉 성능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즉, 탭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면의 양 측면에서 각각 상면과 상면에 인접한 측면이 이루는 내각(θ)이 둔각을 형성한 것이며, 이는 동시에 탭 단면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를 이룬다. 또한 도 4에서는 상면이 하면보다 짧은 형상의 사다리꼴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면이 하면보다 긴 형상의 사다리꼴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탭과 고분자 필름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분자 필름의 외측에서 접착되는 외장재와 탭의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탭의 상하면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탭에 부착되는 고분자 필름의 소모량이 달라지게 되어 이로 인하여 고분자 필름의 가공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탭과 고분자 필름을 밀착시킨다는 점에서 종래의 공극(A; 도 2 참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36)의 두께(d)가 약 200 ㎛ 이상으로 두껍게 하여 발열량을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시에 리튬이차 전지가 길게 늘어진 육각형 형상 단면의 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탭(36)과 고분자 필름(40)이 밀착하여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외장재(50)와 탭(36)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밀봉 성능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즉, 탭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하면 각각의 양 측면에서 각각 상하면과 상하면에 인접한 측면이 이루는 네 개의 내각(θ)이 모두 둔각을 형성한 것이며, 이는 동시에 탭 단면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를,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그리고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 구조를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의 단면이 길게 늘어진 육각형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탭과 고분자 필름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분자 필름의 외측에서 접착되는 외장재와 탭의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앞서 기술된 실시예들과 달리, 고분자 필름의 좌우 높이가 동일하고 동시에 탭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고분자 필름의 소모량이 동일하게 되어 최적화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탭과 고분자 필름을 밀착시킨다는 점에서 종래의 공극(A; 도 2 참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38)의 양 측면이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고 형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탭(38)과 고분자 필름(40)이 밀착하여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외장재(50)와 탭(38)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밀봉 성능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즉, 탭의 단면 중 양 측면이 볼록한 원호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수직한 측면에 비하여 보다 탭과 고분자 필름을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탭과 고분자 필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b는 탭과 고분자 필름의 분해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탭(30')의 두께(d)가 약 200 ㎛ 이상으로 두껍게 하여 발열량을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시에 고분자 필름(42)에 탭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부들(44a 및 44b)을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탭(30')과 고분자 필름(42)이 밀착하여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외장재(50)와 탭(30')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밀봉 성능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필름(42a)과 하부 필름(42b)이 탭(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될 때, 서로 마주보는 면상에 형성된 돌기부들(44a, 44b)이 서로 접촉하여 맞물림으로써 공극(도 2의 A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44)이 채워져 밀봉된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소정의 두께, 예컨대 약 200 ㎛ 이상의 두께를 갖는 탭(30')에 대하여 탭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돌기부들(44a, 44b)이 형성된 상부/하부 필름(42a, 42b)으로 구성된 한 쌍의 고분자 필름(42)을 제공함으로써, 탭과 고분자 필름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분자 필름의 외측에서 접착되는 외장재와 탭의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 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탭의 발열량을 줄이기 위하여 약 200 ㎛ 이상의 두께의 탭을 구비한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며, 탭과 외장재(고분자 필름)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탭의 단면을 예컨대,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또는 원호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탭과 외장재(고분자 필름)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고분자 필름 내측에 소정의 돌기부들을 형성함으로서 탭과 고분자 필름 사이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탭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탭에 부착되는 고분자 필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탭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에도 탭과 고분자 필름(즉, 탭과 외장재) 사이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리튬이차전지 외부로부터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또는 전지 내부로부터 전해액 등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일 측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
    상기 탭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싸 밀봉하는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 및 탭이 접촉하는 부분에 개재되어 접착성을 높이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탭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탭의 단면은 상하면 중 적어도 한 면과 인접한 측면이 이루는 내각이 둔각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탭과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두께는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의 단면은 상기 탭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의 단면은 상기 탭의 단면의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의 단면은 대응하는 상하면을 연결하는 볼록한 원호 형상의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7. 일 측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
    상기 탭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싸 밀봉하는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 및 탭이 접촉하는 부분에 개재되어 접착성을 높이며, 상기 탭의 상하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탭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고분자 필름은 그 대향면에서 각각 상기 탭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탭과 상기 한 쌍의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두께는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20050039753A 2005-05-12 2005-05-12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KR10109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53A KR101096894B1 (ko) 2005-05-12 2005-05-12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US11/913,567 US20080187828A1 (en) 2005-05-12 2006-05-09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Improving Bondability of Tab to Polymer Film
PCT/KR2006/001732 WO2006121281A1 (en) 2005-05-12 2006-05-09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improving bondability of tab to polymer film
EP06757673.6A EP1886365A4 (en) 2005-05-12 2006-05-09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IMPROVING THE SOIL CAPACITY OF A LASH TO POLYMER FILM
JP2008511052A JP5299621B2 (ja) 2005-05-12 2006-05-09 高分子フィルムに対するタブの接合性を向上させた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B2006800163394A CN100546073C (zh) 2005-05-12 2006-05-09 用于提高极耳与聚合物膜的粘接性的锂二次电池
US13/628,292 US8936866B2 (en) 2005-05-12 2012-09-27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improving bondability of tab to polymer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53A KR101096894B1 (ko) 2005-05-12 2005-05-12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041A KR20060117041A (ko) 2006-11-16
KR101096894B1 true KR101096894B1 (ko) 2011-12-21

Family

ID=3739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753A KR101096894B1 (ko) 2005-05-12 2005-05-12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80187828A1 (ko)
EP (1) EP1886365A4 (ko)
JP (1) JP5299621B2 (ko)
KR (1) KR101096894B1 (ko)
CN (1) CN100546073C (ko)
WO (1) WO20061212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63A (ko) 2017-08-21 2019-03-04 에스피텍 주식회사 밀착력이 향상된 릴투릴 제조방법
KR102491677B1 (ko) 2021-10-05 2023-01-27 (주)풍산디에이케이 2단 경사부를 갖는 이차전지용 리드 메탈 및 이를 포함하는 리드 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2523A1 (de) * 2009-07-10 2011-01-20 Li-Tec Battery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US20110052969A1 (en) * 2009-09-01 2011-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ell tab joining for battery modules
DE102010014700A1 (de) * 2010-04-12 2011-10-13 Ke-Tec Gmbh Folienableiter für Flachzell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142840B2 (en) 2011-10-21 2015-09-22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reducing tabbing volume required for external connections
US10446828B2 (en) 2011-10-21 2019-10-15 Blackberry Limited Recessed tab for higher energy density and thinner batteries
JP6606834B2 (ja) * 2015-03-05 2019-11-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リード端子
JP2017004883A (ja) * 2015-06-15 2017-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池
CN108123090B (zh) * 2016-11-30 2021-02-1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的外极耳及其电池
US20190020000A1 (en) 2017-07-11 2019-01-17 Apple Inc. Battery cell tabs with a unitary seal
US10446803B2 (en) 2017-08-29 2019-10-15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Llc Lead tab for battery terminal
JP2020053238A (ja) * 2018-09-26 2020-04-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蓄電素子、蓄電素子の製造方法
CN110190206B (zh) * 2019-05-17 2020-10-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EP4164038A4 (en) * 2020-07-02 2023-09-20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WO2022000422A1 (zh) * 2020-07-02 2022-01-06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用电装置
US11811097B2 (en) * 2020-11-03 2023-1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tab desig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1537B1 (en) 1998-03-10 2001-06-26 Samsung Display Devices, Ltd. Secondary battery with sealing materials coated onto electrode tab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090A (ja) * 1998-01-07 1999-07-30 Toshiba Battery Co Ltd シート形電池
JP2000285903A (ja) * 1999-03-31 2000-10-13 Sanyo Electric Co Ltd 薄型電池
JP2002075327A (ja) * 2000-09-05 2002-03-15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 池
JP5084989B2 (ja) * 2001-03-19 2012-11-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被覆帯を設けた電池用リード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KR100424263B1 (ko) * 2001-11-16 2004-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6660429B2 (en) * 2002-01-17 2003-12-09 Ngk Spark Plug Co., Ltd. Battery leads for use in a multi-layer ce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440933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JP2003242961A (ja) * 2002-02-20 2003-08-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池用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本体の包装材料
JP3758629B2 (ja) * 2002-09-26 2006-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1537B1 (en) 1998-03-10 2001-06-26 Samsung Display Devices, Ltd. Secondary battery with sealing materials coated onto electrode tab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63A (ko) 2017-08-21 2019-03-04 에스피텍 주식회사 밀착력이 향상된 릴투릴 제조방법
KR102491677B1 (ko) 2021-10-05 2023-01-27 (주)풍산디에이케이 2단 경사부를 갖는 이차전지용 리드 메탈 및 이를 포함하는 리드 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6073C (zh) 2009-09-30
EP1886365A4 (en) 2013-05-01
WO2006121281A1 (en) 2006-11-16
US20130065113A1 (en) 2013-03-14
JP5299621B2 (ja) 2013-09-25
US20080187828A1 (en) 2008-08-07
WO2006121281A9 (en) 2007-12-27
CN101176224A (zh) 2008-05-07
JP2008541373A (ja) 2008-11-20
KR20060117041A (ko) 2006-11-16
US8936866B2 (en) 2015-01-20
EP1886365A1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894B1 (ko)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US7749648B2 (en) Pouch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sealing pouch cases of secondary battery
KR101233554B1 (ko) 이차 전지
KR100717801B1 (ko) 이차 전지
KR100984133B1 (ko) 배터리 팩
JP5281836B2 (ja)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EP2899771B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sealing margin for improved durability
KR100973311B1 (ko) 배터리 팩
JP2006093147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複合材料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60099501A1 (en) Secondary battery
JP7045580B2 (ja) パウチ型二次電池
US11245147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unsealed portion
KR10198426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319B1 (ko)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414770B1 (ko) 파우치용 테이프 및 파우치용 테이프가 부착된 이차 전지
JP4694665B2 (ja) リチウム2次電池のケース
KR20150114277A (ko) 개선된 전극 리드 구조를 갖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25007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704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43626B1 (ko) 이차 전지
KR100838064B1 (ko) 리튬이차전지
WO2022113824A1 (ja) 双極型蓄電池
KR100625962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KR20230048927A (ko)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9102234A (ja) 蓄電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