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379B1 -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 Google Patents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379B1
KR101096379B1 KR1020090077462A KR20090077462A KR101096379B1 KR 101096379 B1 KR101096379 B1 KR 101096379B1 KR 1020090077462 A KR1020090077462 A KR 1020090077462A KR 20090077462 A KR20090077462 A KR 20090077462A KR 101096379 B1 KR101096379 B1 KR 10109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wired
pow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865A (ko
Inventor
정종진
김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맥스
Priority to KR102009007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3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수신기와 유선 연결된 단자를 통해 전원을 제공하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와, 무선 RF 송신부와 내장 배터리 전원을 제공하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화재 수신기로 송신하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급 전원의 DC 레벨을 조절하여 화재 감지기를 구성하는 회로에 DC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조절 장치와, 열 또는 연기를 포함한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화재 감지 센서와, 유선 감지기 베이스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전원의 DC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센서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송출하는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전원 센서가 감지한 전원의 DC 레벨로부터 감지기 베이스의 종류를 인식해서, 상기 유선 감지기 베이스의 유선 라인 도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의 RF 송신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처리 장치 (CPU)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기, 무선, 화재 경보기.

Description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FIRE DETECTOR FOR WIRE AND WIRELESS APPLICATIONS}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및 무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 감지기 또는 연기 감지기, 불꽃 감지기 등과 같은 화재 감지기를 유선 감지기 베이스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에 결합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재감지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발생시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혹시 있을 수 있는 화재 발생 시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건물 내에 화재 감지기를 의무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 감지기는 열 감지기, 연기 감지기, 불꽃 감지기 등이 사용되는데, 화재 감지기는 천장과 같은 건물 내벽에 설치되어 열 감지, 연기 감지, 불꽃 감지 등을 통해 화재를 검출하고, 이를 건물 내 인근의 화재 수신기에 전송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열 감지기(10) 또는 연기 감지기(20)를 유선 감지기 베이스(100)에 장착하고, 유선(110)을 통해 감지 신호를 화재 수신기(200)에 송신 하는 방식을 통용하고 있다. 화재 감지기와 감지기 베이스는 형틀 외곽 원주면을 따라 나사 선을 제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나사 선을 맞물려 돌려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서로 결합할 때에 화재 감지기의 단자와 감지기 베이스의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건물에 장착되어 있는 화재 수신기(200)는 화재 감지기가 전송하는 여러 가지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를 전송한 화재 감지기의 위치를 식별하여 화재검출이 된 장소를 파악하고 관제함에 상황을 보고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유선 화재 감지기는 유선을 통해 신호를 송출하므로, 유선 라인이 훼손되는 경우에 화재 감지기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화재 발생으로 인해 유선 라인이 훼손하거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라인이 훼손되는 경우에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무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가 도입되고 있다. 무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는 자체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감지기 베이스에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부를 장착하면 된다.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화재 감지기에 장착하고 있는 열 감지기(10´) 또는 연기 감지기(20´)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무선 신호 수신장치(190)를 구비하고 있는 화재 수신기(200)는 열 감지기(10´) 또는 연기 감지기(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신축 건물에 대해서 화재 감지기를 무선 베이스에 장착한다 하더라도, 기존 에 시공되어있던 건물에 장착되어 있는 유선 화재 감지기와 무선 화재 감지기를 함께 병존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겸용으로 화재 감지기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유선 화재감지기는 화재 수신기와 연결된 라인으로부터 DC 24V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로를 구동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무선 화재 감지기는 감지기 베이스에 장착된 DC 9V의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로를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유선 또는 무선 베이스에 기존의 화재감지기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DC 전압 레벨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유무선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열 감지기, 연기 감지기 등 화재 감지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선 및 무선으로 화재 수신기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기존의 건물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 시스템과 병존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DC 9V ~ 24V 범위의 넓은 영역의 전압 전원에 대해서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유선 베이스 또는 무선 베이스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화재 감지기 본체와 화재 감지기가 장착되는 화재 감지기 베이스로 구성되며, 화재 감지기 베이스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무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 베이스와 결합되면, 화재 감지기 베이스로부터 DC 9V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며, 유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 베이스와 결합되면 화재 수신기로부터 DC 24V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은 화재 수신기와 유선 연결된 단자를 통해 전원을 제공하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와, 무선 RF 송신부와 내장 배터리 전원을 제공하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화재 수신기로 송신하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급 전원의 DC 레벨을 조절하여 화재 감지기를 구성하는 회로에 DC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조절 장치와, 열 또는 연기를 포함한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화재 감지 센서와, 유선 감지기 베이스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전원의 DC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센서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송출하는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전원 센서가 감지한 전원의 DC 레벨로부터 감지기 베이스의 종류를 인식해서, 상기 유선 감지기 베이스의 유선 라인 도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의 RF 송신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처리 장치 (CPU)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는 화재 감지기 본체를 유선 또는 무선 베이스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유선 베이스와도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므로 기존의 화재 감지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및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결합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 감지기(301) 및 연기 감지기(302)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351) 또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352)와 결합하여 무선 또는 유선 화재 감지기(361, 362, 363, 364)를 구성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351)와 결합하면, 무선 감지기 베이스(351)가 제공하는 DC 9V의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 감지기가 작동을 하게 되며, 화재 감지기가 검출하여 생성하는 신호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의 RF 송신부를 통해 화재 수신기로 무선 송신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가 유선 감지기 베이스와 결합하면, 유선 감지기 베이스는 화재 수신기로부터 DC 24V의 전원을 유선으로 공급받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전원 센서 회로를 구비해서 인가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무선 감지기 베이스가 결합되었는지 또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가 결합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화재 감지 센서와 CPU를 작동하기 위한 전압 레벨로 전원을 조절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감지기 베이스는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보통 DC 9V의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유선 감지기 베이스는 화재 수신기로부터 라인으로 DC 24V 정도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와 무선 감지기 베이스에 통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된 화재 감지기를 제공한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화재 감지 센서(300)를 구비하고 있으며, 화재 감지 센서(300)는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또는 기타 불꽃 감지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전원 센서(600)를 구비해서 화재 감지기 본체가 감지기 베이스에 결합 될 때에 공급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감지기 베이스에 장착될 경우, 전원 센서(600)는 배터리 DC 9V의 전원을 감지하게 된다. 만일, 유선 감지기 베이스에 장착될 경우 전원 센서(600)는 유선 라인 DC 24V의 전원 레벨을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를 구성하는 전원 조절 장치(500)는 공급 전원(800) 라인(610)으로 공급받아 전원의 레벨을 조절(regulate)한다. 전원 조절 장치(500)가 조절한 전원 전압은 중앙 처리 장치(CPU; 400) 및 화재 감지 센서(300), 전원센서(600) 등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중앙 처리 장치(CPU; 400)를 구비하고 있으 며, 중앙 처리 장치는 화재 감지 센서(300)가 보내오는 검출 신호를 라인(310)으로 입력받고, 전원 센서(600)로부터 결합된 감지기 베이스가 유선인지 또는 무선인지를 라인(630)을 통해 전달받는다. 이때에, 도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를 구성하는 중앙 처리 장치는 배터리(900) 레벨을 체크하는 기능, 화재 감지 센서(300)의 자가진단 기능, LED 점등을 제어하는 기능 등을 수행 할 수 있다.
다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중앙 처리 장치(400)는 RF 송신부(7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전송하거나, 유선 라인(430)으로 신호를 송신하는데, 전원 센서(600)가 감지한 전원 전압의 레벨에 의해 감지기 베이스의 종류를 판단해서 RF 송신부로 접속된 라인(420) 또는 화재 수신기와 유선 연결된 유선 라인(430)으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도4에 도시한 전원 조절 장치로서 입력되는 전원(800)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전압 강하 회로 또는 전압 상승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는 DC 9V 내지 DC 24V의 광범위한 DC 전원을 사용할 수 있어 유선과 무선 감지기 베이스에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는 신축 건물은 물론 기존의 건축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방식의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및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301 : 열 감지기
20, 20´, 302 : 연기 감지기
100, 352 : 유선 감지기 베이스
110 : 유선
190 : 무선 신호 수신 장치
200 : 화재 수신기
300 : 화재 감지 센서
351 : 무선 감지기 베이스
361, 362, 363, 364 : 무선 또는 유선 화재 감지기
400 : 중앙 처리 장치(CPU)
430 : 유선 라인
500 : 전원 조절 장치
600 : 전원 센서
700 : RF 송신부
800 : 공급 전원
900 : 배터리

Claims (1)

  1. 화재 수신기와 유선 연결된 단자를 통해 전원을 제공하는 유선 감지기 베이스와, 무선 RF 송신부와 내장 배터리 전원을 제공하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화재 수신기로 송신하는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기는
    상기 유선 감지기 베이스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급 전원의 DC 레벨을 조절하여 화재 감지기를 구성하는 회로에 DC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조절 장치;
    열 또는 연기를 포함한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화재 감지 센서;
    상기 유선 감지기 베이스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전원의 DC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센서;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송출하는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전원 센서가 감지한 전원의 DC 레벨로부터 감지기 베이스의 종류를 인식해서, 상기 유선 감지기 베이스의 유선 라인 또는 무선 감지기 베이스의 RF 송신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처리 장치 (CPU)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기.
KR1020090077462A 2009-08-21 2009-08-21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KR10109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62A KR101096379B1 (ko) 2009-08-21 2009-08-21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62A KR101096379B1 (ko) 2009-08-21 2009-08-21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65A KR20110019865A (ko) 2011-03-02
KR101096379B1 true KR101096379B1 (ko) 2011-12-20

Family

ID=4392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62A KR101096379B1 (ko) 2009-08-21 2009-08-21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739B1 (ko) 2014-02-26 2014-05-27 삼삼기업주식회사 무선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546731B1 (ko) * 2014-12-31 2015-08-25 홍성현 무선중계기가 구성된 화재감지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739B1 (ko) 2014-02-26 2014-05-27 삼삼기업주식회사 무선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546731B1 (ko) * 2014-12-31 2015-08-25 홍성현 무선중계기가 구성된 화재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65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4499C (en) Gateway device to interconnect system including life safety devices
US9087444B2 (en) Alarm device
US8514091B2 (en) Multiple alarm system with low battery detection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alarm signal
JP5281636B2 (ja) 防災端末装置
KR101818066B1 (ko) 재난경보 및 재난훈련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시스템
KR101096379B1 (ko) 유무선 겸용 화재 감지기
JP2006270505A (ja) 伝送システムの信号伝送方式
JP4102940B2 (ja) 防犯システム
KR101096352B1 (ko) 발신기 위치표시등 겸용 무선 화재신호 수신장치
JPH0330096A (ja) 光ワイヤレス式火災報知設備
JPH0342800A (ja) 光ワイヤレス式火災報知設備
JP2006178723A (ja) 火災感知システム
JP2010108026A (ja) 警報システム
JP4273940B2 (ja) セキュリティーセンサ
KR20050070655A (ko) 비상구 유도시스템
JP4546205B2 (ja) 警報出力検知器
KR200390822Y1 (ko) 외부 통신선과 실내전력선을 이용한 생활안전 장치
JP2006339739A (ja) 通信装置
KR100322487B1 (ko) 홈 가드 시스템
KR101298208B1 (ko) 송풍기 운전 감지 시스템
KR200314997Y1 (ko) 무선경보시스템
JP2016218630A (ja) 警報システム
JP2021068116A (ja) 高所作業現場用警報システム
JP5761965B2 (ja) 無線装置
JP5973241B2 (ja) 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