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997Y1 - 무선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997Y1
KR200314997Y1 KR20-2003-0005512U KR20030005512U KR200314997Y1 KR 200314997 Y1 KR200314997 Y1 KR 200314997Y1 KR 20030005512 U KR20030005512 U KR 20030005512U KR 200314997 Y1 KR200314997 Y1 KR 200314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nsor terminal
sensor
alarm system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장
Original Assignee
아시아보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보안(주) filed Critical 아시아보안(주)
Priority to KR20-2003-0005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경보시스템(1)은, 감지센서(11)와 송신기(12)를 구비하는 센서단말부(10), 및 컨트롤박스(21)와 수신기(22)를 구비하는 컨트롤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단말부(10)의 감지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컨트롤부(20)로 전송하여 경보를 작동시키는 무선경보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단말부(10)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3A)을 최소화하도록 인접한 주변 시설물(2)의 AC 전원 배선(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AC 입력단자(13), 상기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환하는 AC/DC 변환부(14), 및 AC 전원 공급시 충전되고 AC 전원 정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용 충전배터리(15)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경보시스템(1)에 의하면, 상기 센서단말부(10)와 상기 AC 전원 배선(3) 사이에 배선(3A)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런 배선으로 인한 실내미관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AC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에는 상기 센서단말부(10)가 AC 전원에 의해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15)가 충전되고, AC 전원이 정전될 때에는 상기 센서단말부(10)가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15)에 의해 작동되므로, 전원공급차단으로 인한 경보기능상실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아니한다.

Description

무선경보시스템{Wireless Alarm System}
(기술분야)
본 고안은 무선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단말부와 컨트롤부 사이의 감지신호 송수신이 무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센서단말부에 필요한 전원이 인접한 시설물의 AC 전원으로부터 공급됨으로써, 신호 송수신에 유선을 사용함에 따른 실내미관 훼손의 문제점이 없고, 센서단말부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경보기능상실의 염려가 적은 무선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외부로부터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무인경보장치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침입자의 열, 출입문이나 창문 등의 개방, 유리창 파손, 벽충격 등, 각종 무단침입에 수반되는 물리적인 현상들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가 설치된 감지센서단말, 상기 감지센서들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유무선으로 송신 받아 해당 신호를 일반 사설보안회사나 경찰서 등에 전송하거나 전화를 걸어주고 감지센서의 상태를 체크하는 컨트롤박스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시설물에 무인경보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유선이든 무선이든 감지센서단말과 컨트롤박스 사이에 감지신호를 전송해야 하는바, 인테리어가 고급화 및 다양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인테리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경보장치가 실내 인테리어에 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컨트롤박스와 감지센서단말들 사이의 통신을 실내 미관을 해칠 수 있는 유선이 아닌 RF, 적외선, 블루투스 등 근거리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는 무선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방식의 경보장치는, 컨트롤박스와 감지센서단말들 사이에 배선이 필요 없고, 감지센서단말의 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고, 아울러 배선으로 인한 실내미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편리하지만, 감지센서단말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 공급하였기 때문에 배터리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교환하여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적기에 교환하여 주지 못함으로 인한 감지센서단말의 기능 상실 및 이로 인한 경보기능상실이 문제로 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감지센서단말과 컨트롤박스 사이의 신호 송수신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감지센서단말에 필요한 전원은 건물의 AC 전원을 통해 공급받도록 구성됨으로써, 신호송수신에 유선을 사용함에 따른 실내미관손상의 문제점과 감지센서단말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기능상실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경보시스템의 개념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경보시스템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무선경보시스템
2: 시설물
3: AC 전원 배선
10: 센서단말부
11: 감지센서
12: 송신기
13: AC 입력단자
14: AC/DC 변환부
15: 비상용 충전배터리
20: 컨트롤부
21: 컨트롤박스
22: 수신기
본 고안에 따라, 감지센서와 송신기를 구비하는 센서단말부, 및 컨트롤박스와 수신기를 구비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단말부의 감지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컨트롤부로 전송하여 경보를 작동시키는 무선경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센서단말부는, 그 인접한 주변 시설물의 AC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AC 입력단자,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환하는 AC/DC 변환부, 및 비상용 충전배터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무선경보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센서단말부와 상기 AC 전원 배선 사이에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런 배선으로 인한 실내미관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AC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에는 상기 센서단말부가 AC 전원에 의해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가 충전되고, AC 전원이 정전될 때에는 상기 센서단말부가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므로, 전원공급차단으로 인한 경보기능상실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아니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침입자의 열, 도어의 개방, 유리창 파손 및 벽충격 등을 포함하는 각종 침입유형에 관련된 현상 중에 적어도 하나의 현상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감지센서가 외부침입이 있음을 나타내는 현상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상기 센서단말부로부터 상기 컨트롤부로 무선 송수신하여 필요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하는 무선 모듈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선경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경보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경보시스템의 개념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경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선경보시스템(1)은 침입의 흔적을 감시할 수 있는 위치들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단말부들(10)과, 상기 센서단말부들(10)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단말부(10)는 감지센서(11)와 송신기(12)를 기본적으로 포함함과 아울러, 본 고안의 특징부인 AC 입력단자(13), AC/DC 변환부(14) 및 비상용 충전배터리(15)를 포함한다.
감지센서(11)는 일반적인 무인경보시스템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센서들로서, 예를 들어 침입자의 체온(열), 출입문이나 창문과 같은 도어의 개방, 유리창 파손 및 벽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포함하는 각종 침입유형에 관련된 물리적 현상들을 감지하는 센서들이 사용된다.
송신기(12: 예, RF 방식의 송신모듈)는 상기 컨트롤부(20)와의 사이에 각종 데이터 전송을 근거리 무선을 통해 실행하는 통신모듈이다. 즉, 송신기(12)는 상기 감지센서(11)가 침입이 있음을 나타내는 현상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부(20)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송신기(12)를 수신 기능도 구비한 송수신기로 적용하여 상기 컨트롤부(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예를 들어, 감지센서의 상태를 점검하는 신호 등)을 수신 받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센서단말부(10)는 그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센서단말부(10)가 설치되는 인접한 주변의 시설물(2: 예, 사무실 벽 등)에 배선된 AC 전원 배선(3)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과 같은 시설물(2)에는 해당 시설물에 적용된 각종 전기시설에 전기를 공급할 목적으로 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3)이 있으며, 상기 센서단말부(10)는 그 센서단말부(10)가 설치된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AC 전원 배선(3)으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센서단말부(10)는, AC 전원 배선(3)으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는 AC 입력단자(13), 공급받은 AC 전원을 DC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14) 및 비상시의 전원공급을 위한 비상용 충전배터리(15)를 각각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센서단말부(10)의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무선경보시스템(1)은 센서단말부(10)와 AC 전원 배선(3) 사이에 배선(3A)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런 배선(3A)으로 인한 실내미관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AC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에는 상기 센서단말부(10)가 AC 전원에 의해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15)가 충전되고, AC 전원이 정전될 때에는 센서단말부(10)가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15)에 의해 작동되므로, 본 고안의 무선경보시스템(1)은 그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따라서 전원공급차단으로 인한 경보기능상실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컨트롤부(20)에는 컨트롤박스(21)와 수신기(22) 등 일반적인 경보시스템의 컨트롤부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이 구비되어 있다. 컨트롤부(20)는 인접한 AC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AC는 필요에 따라 DC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21)는 다수의 센서단말부들(10)을 포함한 본 고안의 무선경보시스템(1)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수신기(22)는 센서단말부들(10)의 송신기(12)로부터 전송된 침입 신호를 수신하는 등 센서단말부들(10)의 송신기(12)와의 사이에 무선 송수신을 행한다. 물론 센서단말부들(10)의 송신기(12)를 수신 기능을가지는 모듈로 구성한 경우 상기 수신기(22)도 송신 기능을 가지는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무선경보시스템(1)에 의하면, 상기 센서단말부(10)에 필요한 전원을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AC 전원의 배선(3)을 이용하므로 상기 센서단말부(10)에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3A)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배선으로 인한 실내미관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단말부(10)에 비상용 충전배터리(15)가 포함됨에 따라, AC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에는 상기 센서단말부(10)가 AC 전원에 의해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15)가 충전되고, AC 전원이 정전될 때에는 상기 센서단말부(10)가 상기 비상용 충전배터리(15)에 의해 작동되므로, 정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도 전원공급차단으로 인하여 경보기능을 상실하게 될 염려가 거의 없다.

Claims (1)

  1. 감지센서(11)와 송신기(12)를 구비하는 센서단말부(10), 및 컨트롤박스(21)와 수신기(22)를 구비하는 컨트롤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단말부(10)의 감지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컨트롤부(20)로 전송하여 경보를 작동시키는 무선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단말부(10)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3A)을 최소화하도록 인접한 주변 시설물(2)의 AC 전원 배선(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AC 입력단자(13),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환하는 AC/DC 변환부(14), 및 AC 전원 공급시 충전되고 AC 전원 정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용 충전배터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경보시스템.
KR20-2003-0005512U 2003-02-25 2003-02-25 무선경보시스템 KR200314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12U KR200314997Y1 (ko) 2003-02-25 2003-02-25 무선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12U KR200314997Y1 (ko) 2003-02-25 2003-02-25 무선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997Y1 true KR200314997Y1 (ko) 2003-06-02

Family

ID=4933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512U KR200314997Y1 (ko) 2003-02-25 2003-02-25 무선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9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6305B2 (en) Redundant security system
US8193935B2 (en) RFID perimeter alarm monitoring system
EP1815311B1 (en) Ethernet-to-analog controller
US20080303661A1 (en) Compact and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KR100974632B1 (ko) 지그비 방식을 이용한 무선 방범 네트워크 시스템
EP2097607B1 (en) Building equipment control system
US11223496B2 (en) Self-identifying, multi-function sensor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same
US20140106687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a field device with a radio module
EP2899708B1 (en) Combination of buses for a danger management system
KR200314997Y1 (ko) 무선경보시스템
KR200301032Y1 (ko) 태양전지가 구비된 방범경보장치용 감지센서단말
JP2501926B2 (ja) 無線式警報システム
US20180124480A1 (en) Field Device
WO2009157617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truder
KR101856538B1 (ko) 친환경 대기전력 차단 무선 멀티탭 시스템
KR2000004371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JP2009128953A (ja) 侵入警報システム
JP5685418B2 (ja) 無線中継器
KR20110058984A (ko) 선박의 무선 화재 관리시스템 장치
KR100718980B1 (ko) 외부 통신선과 실내전력선을 이용한 생활안전 장치 및 그를이용한 외부 경비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0681755B1 (ko) 전기스탠드
JP2012109747A (ja) 無線装置
KR102083739B1 (ko) 90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가 설치형 보안 시스템
KR20020057642A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전력선을 이용한 이상감지신호 전송장치
RU55162U1 (ru) Регуля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по gsm канал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