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200B1 - 내연 기관용 액체 필터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용 액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200B1
KR101095200B1 KR1020067002679A KR20067002679A KR101095200B1 KR 101095200 B1 KR101095200 B1 KR 101095200B1 KR 1020067002679 A KR1020067002679 A KR 1020067002679A KR 20067002679 A KR20067002679 A KR 20067002679A KR 101095200 B1 KR101095200 B1 KR 10109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iquid
sealing plate
socke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939A (ko
Inventor
빌헬름 아르데스
Original Assignee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6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5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 B01D2201/316Stand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관련 장치(4)의 대응 플랜지에 밀봉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필터 소켓(10)을 포함하고, 여과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체 덕트(13) 및 여과된 액체를 장치(4)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하나의 액체 덕트(14)는 플랜지 연결부(2)를 통하여 연장되며, 필터 소켓(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덕트(14)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24)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34)가 대응 플랜지(41)에 대하여 밀봉되고 장치측 액체 덕트(44)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밀봉 판(3)에 의해 대응 플랜지(41)에 대하여 폐쇄될 수 있는 액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액체 필터에서, 플랜지 연결부(2)의 평면(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판(3)의 표면적은 연결 플랜지(21)의 표면적보다 작고, 밀봉 판(3)은 밀봉식으로 필터 소켓(10)에 삽입되어 필터 소켓(10)의 일부를 형성한다.
액체 필터, 연결 플랜지, 액체 덕트, 대응 플랜지, 관통 개구, 밀봉 판, 필터 소켓

Description

내연 기관용 액체 필터 {LIQUID FIL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연결 플랜지가 관련 장치, 특히 내연 기관의 대응 플랜지에 밀봉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필터 소켓을 포함하고, 여과되는 액체를 상기 장치로부터 액체 필터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체 덕트 및 여과된 액체를 필터로부터 상기 장치에 배출하기 위한 하나의 액체 덕트는 플랜지 연결부를 통하여 연장되고, 필터 소켓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덕트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가 대응 플랜지에 대하여 밀봉가능하며 장치측 액체 덕트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도록 구성된 밀봉 판에 의해 대응 플랜지에 대하여 폐쇄될 수 있는 액체 필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연 기관용 오일 또는 연료 필터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형식의 액체 필터는 독일 특허 제42 42 997 C1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다. 오일 필터로서 기능하는 이러한 액체 필터에서, 본래 연속적인 판의 형태인 밀봉 판은 내연 기관의 연결 플랜지와 액체 필터의 필터 소켓의 연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판에는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두 개의 관통부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밀봉 판의 외형은 내연 기관의 연결 플랜지 및 필터 소켓의 외형에 상응한다. 또한, 공지된 이러한 액체 필터에서, 내연 기관의 연결 플랜지에 대면하는 밀봉 판의 측부 상에는 내연 기관의 연결 플랜지의 밀봉 웨브에 대응하는 밀봉 웨브가 지지되고, 액체 필터 소켓에 대면하는 밀봉 판의 측부 상에는 액체 필터 소켓의 밀봉 웨브에 대응하는 밀봉 웨브가 지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밀봉 판은 내연 기관 측부 상의 연결 플랜지의 접속도(connection diagram)가 액체 필터의 연결에 적절하게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접속도는 내연 기관의 제조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액체 필터에 대한 바람직한 접속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러한 공지된 액체 필터에서, 액체 필터는 중간에 설치된 밀봉 판으로 인해 밀봉 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치수만큼 내연 기관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밀봉 판이 추가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불리하다고 여겨진다. 몇몇 적용예에서, 이는 특히 최신 자동차의 엔진실과 관련된 공간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판은 양 측부 상에서 상이하게 연장되는 밀봉 웨브를 필요로 하므로, 제조가 다소 어려워진다. 또한, 밀봉 판은 개별 구성요소로서 공급되어 장착되어야 하므로, 추가의 노력과 비용을 유발한다. 종래에 밀봉 판이 안정성의 이유 때문에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더욱이 밀봉 판은 밀봉 판을 포함하는 액체 필터의 큰 총중량에 현저하게 기여하고, 이는 가능한 한 많은 중량을 줄이는 목표와 상반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을 제거하고, 특히 더 밀집된 구조, 더 낮은 중량 및 더 단순하고 더 비용 절감적인 제조 가능성을 달성하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액체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플랜지 연결부의 평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판의 표면적은 연결 플랜지의 표면적보다 작고, 밀봉 판은 밀봉식으로 필터 소켓에 삽입되어 필터 소켓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는 밀봉 판 표면적의 감소만을 요구하며, 또한 밀봉 판이 필터 소켓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밀봉 판은 접속도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단지 밀봉 판의 표면적이 최소 크기에 제한되도록 크기결정되어야 한다. 동시에, 밀봉 판은 액체 필터의 크기나 밀봉 판 때문에 필요한 구성 공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밀봉 판은 밀봉 판을 포함하는 액체 필터의 총중량에 사소한 정도로만 기여한다. 이로써, 유리하게는 더 밀집된 구조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는 액체 필터의 필터 소켓이 인가된 유압에 의해 플랜지 연결부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되는 낮은 압력을 받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는 경량인 체결 수단을 실현하고 더 얇은 벽 두께 및/또는 더 적은 강도의 재료에 의한 전체적으로 경량인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추가의 비용 절감을 가능케한다.
본 발명의 최소 범주에 있어서, 플랜지 연결부는 두 개의 액체 덕트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제1 액체 덕트로서 관련 장치로부터 액체 필터에 액체를 이송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액체 덕트로서 액체 필터로부터 관련 장치에 액체를 이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요소의 교체시 액체 필터를 배수하기 위한 제3 덕트로서의 가압되지 않은 배수 필터가 플랜지 연결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필터의 이러한 구성은 양호하게는 필터 요소의 교체시 필터 하우징의 자동 배수 구조를 가능케한다. 동시에, 추가의 액체 덕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필터 소켓에 인가된 힘은 관련 장치의 작동 동안 유압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두 개 또는 세 개의 개별 밀봉 판이 제공되고, 하나의 밀봉 판이 플랜지 연결부를 통해 연장된 액체 덕트의 하나 또는 두 개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하나의 단일 대형 밀봉 판에 비해, 복수의 밀봉 판을 이용하는 것은 액체 필터에 개별 밀봉 판을 삽입하여 밀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액체 필터의 이러한 실시예는 소켓에 삽입된 밀봉 판의 밀봉상태에 관한 높은 신뢰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액체 필터의 특히 낮은 중량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소켓 및 밀봉 판(들)은 플라스틱 부품이고, 밀봉 판(들)은 여분의 필터 소켓에 연결되도록 용접되거나 접착된다. 필터 소켓 및 밀봉 판(들)용 재료로서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소정의 밀봉상태 및 견고한 기계적 유지 모두를 보장하면서 이들 부품들 사이의 용접 또는 접착 연결을 더 가능케한다.
최후 전술된 액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판(들)은 그의/그들의 관통 개구(들)에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링을 갖춘 파이프 소켓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 소켓은 대응 플랜지를 향해 돌출되어 장치측 액체 덕트에 삽입된다. 장치측 액체 덕트에 삽입될 수 있고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링이 구비되어 있는 파이프 소켓은, 필터 소켓에 의해 흡수되는 압력이 본래 낮고, 이로 인하여 필터 소켓이 고도의 누설 위험 없이 덜 안정한 재료 예를 들면 전술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액체 필터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소켓 및 밀봉 판(들)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부품이고, 밀봉 판(들)은 여분의 필터 소켓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고정되고,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주연부 밀봉링은 필터 소켓과 (각각의) 밀봉 판(들) 중간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판(들)은 밀봉링에 의해 필터 소켓에 삽입되어, 예를 들면 손상된 경우에 필요하면 밀봉 판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수한 패킹으로 인한 높은 비용을 방지하도록, 파이프 소켓 및/또는 밀봉 판에 제공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링은 양호하게는 표준 O링이다.
다르게는,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밀봉 수단이 또한 플랜지 연결부의 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판(들)은 그의/그들의 관통 개구에서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밀봉 링이 관련 장치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 개구(들)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액체 필터의 본 실시예에서, 밀봉 판(들)은 삽입가능한 돌출된 파이프 소켓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축방향 밀봉 시에 발생하며 플랜지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증가된 압력이 누설의 위험 없이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요소는 다소 증가된 강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주연부 패킹은 연결 플랜지의 외형에 대해 평행하게 제공되어 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패킹은 관통 개구(들)를 폐쇄한다. 관통 개구 또는 관통 개구들을 밀봉하는 패킹(들)의 영역에 누설이 있는 경우 상기 주연부 패킹은 주위 환경으로의 액체 유출에 대한 보호부로서 기능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주연부 패킹은 밀봉 판의 관통 개구(들)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 플랜지 연결부의 액체 덕트(들)를 동시에 밀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연부 패킹은 상기 플랜지 영역의 액체 필터의 단순한 구조를 제공하는 제2 기능을 갖는다.
전술된 액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판 또는 밀봉 판들 내의 관통 개구(들)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 액체 덕트(들)는 그/그들 자신의 밀봉 수단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밀봉되고, 주연부 패킹은 밀봉 판의 관통 개구(들)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 플랜지 연결부의 액체 덕트(들)를 폐쇄한다. 복수의 패킹을 요구하지만, 액체 필터의 본 실시예는 주위 환경으로의 액체 누설에 대한 증진된 보호를 제공한다.
축방향 패킹의 영역에서 우수하고 지속적인 밀봉을 달성하도록, 축방향 밀봉식 패킹은 형상 패킹(profile packing)인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필터 소켓 또는 소켓을 포함하는 필터 하우징뿐만 아니라 밀봉 판은 선택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구성을 위해,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이고, 필터 또는 소켓을 포함하는 필터 하우징 및 밀봉 판(들)은 사출 성형된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는 다양한 적용을 위해 충분히 높은 기계적,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이며, 낮은 중량 및 비교적 낮은 제조 비용이 동시에 얻어진다.
금속 구성요소 부품으로 이루어진 액체 필터를 위해, 다르게는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이고, 필터 소켓 또는 소켓을 포함하는 필터 하우징 및 밀봉 판(들)은 다이캐스트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을 이용하는 것은 고도의 기계적 및 열적 안정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 그 결과 액체 필터의 본 실시예는 특히 높은 유압 및/또는 액체 온도가 발생되는 적용에 적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1은 액체 필터가 오일 필터로서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액체 필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2는 연결 플랜지의 저면에서 바라본 도1의 오일 필터의 도면이다.
도3은 제2 실시예의 오일 필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오일 필터(1)의 실시예는 필터 하우징(11)을 포함하며, 필터 소켓(10)은 상기 필터 하우징(11)과 단일편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필터 소켓(10)을 갖춘 필터 하우징(11)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사출 성형된 부품이거나 경금속으로 제조된 다이캐스트 부품이다.
여기서, 도1에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는 내연 기관(4)의 윤활유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 요소(12)는 통상의 방식으로 필터 하우징(11) 내에 정렬되어 있다.
오일 필터(1)의 연결 플랜지(21) 및 내연 기관(4)의 대응 플랜지(41)로 구성 된 플랜지 연결부(2)는 오일 필터(1)를 내연 기관(4)에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연결 플랜지(21, 41)가 플랜지 연결부(2)의 평면(20)에서 밀봉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도1에 따른 단면도에서, 오일 덕트(14)의 오일 덕트 섹션(24)은 필터 소켓(10)의 영역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는 여과된 윤활유를 오일 필터(1)로부터 내연 기관(4)으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과되는 윤활유를 내연 기관(4)으로부터 오일 필터(1)로 공급하는 덕트가 도1에 보이는 오일 필터(1)의 부품들 전방의 절결면 위에 정렬되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덕트는 도1에서 보이지 않는다.
먼저, 필터 소켓(10)은 대응 플랜지(41)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사출 성형 제조 공정 중에 어려움 없이 탈형될 수 있다. 그 후에, 대응 플랜지(41)를 향하여 처음에 개방된 오일 덕트 섹션(24)의 영역의 필터 소켓(10)의 영역은 관통 개구(34)를 제외하고 밀봉 판(3)에 의해 밀봉식으로 폐쇄된다. 이로 인하여, 밀봉 판(3)은 대응 플랜지(41)를 향하여 위치된 필터 소켓(10)의 영역 및 그 내부에 연장된 오일 덕트 섹션(24)에 삽입되고, 이러한 경우 용접 시임(weld seam; 30)에 의해 연속적인 밀봉식으로 여분의 필터 소켓(10)에 연결된다.
여기서, 밀봉 판(3)의 관통 개구(34)는 내연 기관(4)을 향하여 돌출된 파이프 소켓(35)의 형태로 구성되고,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된 홈 및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 수단으로서의 O링(35')을 구비하고 있다. 오일 필터(1)와 내연 기관(4)이 조립된 상태에서, 파이프 소켓(35)은 내연 기관(4)의 대응 플랜지(41)의 오일 덕트(44) 내로 돌출되어 O링(35')에 의해 오일 덕트(44)의 벽에 대하여 방수식으로 밀봉된다.
플랜지 연결부(2)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일 덕트가 연결되며, 오일은 상기 추가 오일 덕트를 통하여 내연 기관(4)으로부터 오일 필터(1)에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도1의 절결면 위에 정렬되어 보이지 않는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랜지 연결부(2)는 플랜지 연결부(2)의 외부 영역에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어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밀봉 수단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형상 패킹(22)에 의해 추가로 밀봉된다. 상기 패킹(22)은 O링(35')의 영역에서 누설이 발생되는 경우에 보호부를 형성한다.
오일 덕트(44)의 좌측에, 공동(43)이 내연 기관(4)의 대응 플랜지(41)의 영역에 정렬되며, 상기 공동(43)은 예를 들면 내연 기관(4)의 오일 팬에 연결된 가압되지 않은 덕트일 수 있다. O링(35')이 누설되는 경우에, 공동 또는 덕트(43)가 유출된 오일을 수용하여, 상기 오일이 주위 환경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 소켓(10)의 나사 구멍(23)을 통하여 내연 기관(4)의 대응 플랜지(41)의 나사형 구멍(threaded hole; 42)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나사가 필터 소켓(10)을 내연 기관(4)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사용된다.
도2는 연결 플랜지(21)의 저면에서 바라본 도1의 오일 필터(1)를 도시한다.
필터 하우징(11)은 도2의 배경에 도시되어 있고, 필터 소켓(10)은 보는 사람을 향하는 전경에 도시되어 있다. 밀봉식으로 필터 소켓(10)에 삽입되어 용접 시임(30)을 따라 여분의 필터 소켓(10)에 밀봉 연결되는 밀봉 판(3)은 필터 소켓(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다. 보는 사람을 향하여 돌출된 파이프 소켓(35) 형상 내의 관통 개구(34)의 외주연부에는 밀봉 판(3)의 우측에 정렬된 반경방향으로 밀봉하는 O링(35')이 구비되어 있다.
밀봉 판(3)에 의해 가려진 오일 덕트(14)는 필터 소켓(10) 및 필터 하우징(11)의 중심에 정렬되며, 여기서 절결선으로 도시된 상기 오일 덕트(14)는 오일 필터(1)로부터 밀봉 판(3)에 의해 마찬가지로 가려진 오일 덕트 섹션(24)에 그리고 관통 개구(34)를 통하여 상기 섹션으로부터 도2에 보이지 않는 내연 기관(4)에 여과된 오일을 공급한다.
내연 기관에 마찬가지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연 기관으로부터 오일 필터(1)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연결 플랜지(21)의 제2 오일 덕트(13)는 밀봉 판(3) 위에 추가 덕트로서 제공된다.
또한, 도1 및 도2에 따른 실시예는 필터 요소의 교체시 필터 하우징(11)을 배수하기 위한 가압되지 않은 배수 덕트로서 기능을 하는 제3 오일 덕트(15)를 포함한다. 배수 덕트(15)는 또한 연결 플랜지(21) 내에 정렬되어, 그 내부에서 내연 기관(4)의 적절하게 위치된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는 양호하게는 내연 기관의 오일 팬에 대한 가압되지 않은 덕트로서 작동된다.
필터 소켓(10)의 좌측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우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로 오일 필터(1)를 내연 기관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총 세 개의 나사 구멍(2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단일편 패킹으로서 구성된 주연부 형상 패킹(22)은 오일 덕트(13, 15)를 포함하고 연결 플랜지(21) 주위에 연장된다. 패킹(22)은 연결 플랜지(21)에 형 성된 홈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밀봉 수단으로서 작동하며, 상기 홈의 깊이는 이완된 상태에서 패킹(22)의 높이보다 작다.
도2는 오일 필터(1)의 경우에, 내연 기관의 대응 플랜지에 대한 오일 덕트(14)와 관통 개구(34) 사이의 임의의 오프셋이 단순하고 저렴한 구성요소인 밀봉 판(3)에 의해 브릿지되어, 필터 소켓(10)의 연결 플랜지(21) 내부에서 오일 덕트를 내연 기관의 측부 상에 소정의 접속도에 따라 쉽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도시하고 있다.
또한, 밀봉 판(3)은 오일 덕트 섹션(24) 내에서 작용하는 오일 압력이 플랜지 연결부(2) 내부에서 플랜지 연결부(2)의 평면(20)에 수직인 방향으로 필터 소켓(10)에 작용하며 높은 기계 응력으로 플랜지 연결부(2)에 인가된 고압을 발생시킬 수 없도록 한다.
도1 및 도2에 따른 오일 필터(1)의 실시예에서, 파이프 소켓(35)을 제외한 밀봉 판(3)은 플랜지 연결부(2)의 평면(20)에 평행하게 필터 소켓(10)에 정렬된 편평한 구성요소이다.
도3에 도시된 오일 필터(1)의 제2 실시예는 기하학적으로 다른 구성을 갖는 필터 소켓(10) 및 상기 소켓에 적절하며 마찬가지로 기하학적으로 다른 구성을 갖는 밀봉 판(3)을 갖는다.
도3에 따른 실시예에서, 필터 요소(12)와 함께 필터 하우징(11)은 도1에 따른 실시예와 일치한다.
도3에 따른 실시예에서, 필터 하우징(11) 내의 필터 요소(12)에 의해 여과된 윤활유는 먼저 중심 오일 덕트(14)를 통하여 필터 요소(12)로부터 필터 소켓(10)에 공급된다. 또한, 필터 소켓(10)은 처음에 연결 플랜지(21)를 향하여 개방된 오일 덕트 섹션(24)을 수용한다. 상기 오일 덕트 섹션(24)은 또한 그 내부에 제공된 관통 개구(34)를 제외하고 밀봉 판(3)에 의해 밀봉식으로 폐쇄된다. 또한, 밀봉 판(3)은 필터 소켓(10) 및 상기 소켓의 내부에 연장된 오일 덕트 섹션(24)에 밀봉식으로 삽입된다.
도1 및 도2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도3에 따른 실시예에서 반경방향의 외주연부 패킹(32)이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밀봉 판(3)은 밀봉식으로 오일 덕트 섹션(24)에 삽입된다.
필터 소켓(10)의 상부 우측에 제공되어 상기 소켓의 상부에서 오일 덕트 섹션(24)의 경계를 설정하는 벽의 경사 경로에 대하여 조절된 밀봉 판(3)은 마찬가지로 경사져서 정렬되어 경로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1 및 도2에 따른 실시예보다 덜 예리한 유동 편향(flow deflection)을 갖는 유리한 유동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봉 판(3)의 관통 개구(34)는 오일 덕트(44)와 일치하도록 내연 기관(4)의 대응 플랜지(41)에 정렬된다. 오일 필터(1)에서 여과된 윤활유는 오일 덕트(44)를 통하여 내연 기관의 윤활 지점에 공급된다.
또한, 밀봉 판(3)에 의해 필터 소켓(10)의 오일 덕트 섹션(24)으로부터 분리된 공동 또는 가압되지 않은 덕트(43)가 오일 덕트(44)의 좌측으로 내연 기관(4)에 정렬된다.
윤활유가 플랜지 연결부(2)의 영역의 주변 환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밀봉링(36')은 관통 개구(34) 주위의 홈(36)에 정렬된다.
오일 필터(1)와 내연 기관(4)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형성하도록, 필터 소켓(10)에 제공된 복수의 나사 구멍(23) 및 복수의 나사형 구멍(42)이 또한 내연 기관(4)에 제공되지만, 도3에는 하나의 상기 나사 구멍 및 하나의 상기 나사형 구멍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3에 따른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밀봉 링(31)이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밀봉 판(3)은 오일 덕트 섹션(24)에 삽입된다. 복수의 리브(32)가 밀봉 판(3)의 정확한 위치결정 및 지지를 가능케하도록 오일 덕트 섹션(24)에 제공되고, 밀봉 판(3)은 그 상부에서 상기 리브(32)의 하부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도3에 따르면, 필터(1)가 부착 상태에 있는 동안 밀봉 판(3)은 내연 기관(4)의 대응 플랜지(41)에 의해 대향 방향으로, 즉 그 하부에서 지지되고, 그 결과, 조립 상태에서 밀봉 판(3)은 용접 연결과 같은 영구 연결 없이도 확실하고 정확하게 위치되어 유지된다.
도3에 따른 오일 필터(1)의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1)의 오일 덕트(14)의 위치와 내연 기관(4)의 오일 덕트(44)의 위치 사이의 임의의 오프셋도 또한 단순하고 저렴한 구성요소인 밀봉 판(3)에 의해 브릿지된다. 필요한 경우, 내연 기관(4)의 오일 덕트(13)와 관련 오일 덕트 사이의 오프셋 및/또는 내연 기관(4)의 배수 덕트(15)와 관련 배수 덕트 사이의 오프셋을 크기가 적절하게 증가된 단일 밀봉 판(3) 또는 구조적 이유로 인하여 요구되는 더 작은 복수의 개별 밀봉 판(3)으로 브릿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4)

  1. 내연 기관용 액체 필터(1)로서, 연결 플랜지(21)가 내연 기관(4)의 대응 플랜지에 밀봉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필터 소켓(10)을 포함하고, 여과되는 액체를 내연 기관(4)으로부터 액체 필터(1)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체 덕트(13) 및 여과된 액체를 필터(1)로부터 내연 기관(4)에 배출시키기 위한 하나의 액체 덕트(14)는 플랜지 연결부(2)를 통하여 연장되고, 필터 소켓(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덕트(13, 14)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24)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34)가 대응 플랜지(41)에 대하여 밀봉되며 내연 기관 측 액체 덕트(44)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도록 구성된 밀봉 판(3)에 의해 대응 플랜지(41)에 대하여 폐쇄될 수 있는 액체 필터(1)에 있어서,
    밀봉 판(3)의 관통 개구(34)는 액체 덕트(13, 14)의 일부를 형성하고,
    플랜지 연결부(2)의 평면(20)에서 보았을 때 액체 덕트(13, 14) 및 관통 개구(34)는 서로에 대해 측방향 변위를 갖고,
    플랜지 연결부(2)의 평면(20)에서 보았을 때 밀봉 판(3)의 표면적은 연결 플랜지(21)의 표면적보다 작고, 밀봉 판(3)은 밀봉식으로 필터 소켓(10)에 삽입되어 필터 소켓(1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의 교체시 액체 필터(1)를 배수하기 위한 제3 액체 덕트로서의 압축되지 않은 배수 덕트(15)는 플랜지 연결부(2)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개 또는 세 개의 개별 밀봉 판(3)이 제공되 며, 하나의 밀봉 판(3)은 플랜지 연결부(2)를 통해 연장된 액체 덕트(13, 14, 15)의 하나 또는 두 개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터 소켓(10) 및 밀봉 판(들)(3)은 플라스틱 부품이고, 밀봉 판(들)(3)은 여분의 필터 소켓(10)에 연결되도록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밀봉 판(들)(3)은 그의/그들의 관통 개구(들)(34)에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링(35')을 갖춘 파이프 소켓(35)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 소켓(35)은 대응 플랜지(41)를 향해 돌출되어 내연 기관 측 액체 덕트(44)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터 소켓(10) 및 밀봉 판(들)(3)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부품이고, 밀봉 판(들)(3)은 여분의 필터 소켓(10)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고정되고, 반경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주연부 밀봉링(31)은 필터 소켓(10)과 (각각의) 밀봉 판(들)(3)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7. 제5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 링(31, 35')은 표준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8. 제6항에 있어서, 밀봉 판(들)(3) (각각)은 그의 관통 개구(34) 또는 그들의 관통 개구(34)에서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밀봉 링(36')이 상기 관통 개구(들)(34)를 둘러싸고 대응 플랜지(41)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주연부 패킹(22)은 연결 플랜지(21)의 외형에 평행하게 제공되어 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패킹(22)은 관통 개구(들)(34)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패킹(22)은 밀봉 판(3)의 관통 개구(들)(34)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 플랜지 연결부(2)의 액체 덕트(들)(13, 15)를 동시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11. 제9항에 있어서, 밀봉 판(3) 또는 밀봉 판들(3) 내의 관통 개구(들)(34)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 액체 덕트(들)(13, 15)는 그/그들 자신의 밀봉 수단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밀봉되고, 패킹(22)은 밀봉 판(3)의 관통 개구(들)(34)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 플랜지 연결부(2)의 액체 덕트(들)(13, 15)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12. 제8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밀봉 작용하는 패킹(22, 36')은 형상 패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13. 제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이고, 필터 소켓(10) 또는 상기 소켓(10)을 포함하는 필터 하우징(11) 및 밀봉 판(들)(3)은 사출 성형된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14. 제6항에 있어서,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이고, 필터 소켓(10) 또는 상기 소켓(10)을 포함하는 필터 하우징(11) 및 밀봉 판(들)(3)은 다이캐스트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
KR1020067002679A 2003-08-09 2004-08-06 내연 기관용 액체 필터 KR101095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312318U DE20312318U1 (de) 2003-08-09 2003-08-09 Flüssigkeitsfil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20312318.2 2003-08-09
PCT/EP2004/008840 WO2005014140A1 (de) 2003-08-09 2004-08-06 Flüssigkeitsfil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939A KR20060063939A (ko) 2006-06-12
KR101095200B1 true KR101095200B1 (ko) 2011-12-16

Family

ID=3352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679A KR101095200B1 (ko) 2003-08-09 2004-08-06 내연 기관용 액체 필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12612B2 (ko)
EP (1) EP1651328B1 (ko)
JP (1) JP4675322B2 (ko)
KR (1) KR101095200B1 (ko)
CN (1) CN100398179C (ko)
AT (1) ATE357959T1 (ko)
BR (1) BRPI0407004B1 (ko)
DE (2) DE20312318U1 (ko)
WO (1) WO2005014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0525A1 (de) * 2007-10-19 2009-04-23 Mann + 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102008052259A1 (de) * 2008-10-18 2010-04-22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DE102011076465B4 (de) * 2011-05-25 2021-04-29 Hengst Se Zentrifugalabscheider zum Abscheiden von Ölnebel aus dem Kurbelgehäuseentlüftungsga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2210834A1 (de) * 2012-06-26 2014-01-02 Hengst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mit einem Filterumgehungsventil und einem zentralen Ablasskanal und Filtereinsatz für ein Flüssigkeitsfilter
DE102014001722B4 (de) * 2014-02-11 2017-02-02 Mann+Hummel Gmbh Filtergehäuse und Fluidfilter
DE102016008531A1 (de) * 2016-07-18 2018-01-18 Mann+Hummel Gmbh Filteranschlusseinrichtung und Filterein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4281A1 (en) * 2000-12-19 2002-06-20 Steger Thomas H. Spin-on fil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7767A (en) * 1969-07-10 1971-01-26 Int Harvester Co Oil anti-drainback device with bypass
US3982520A (en) * 1975-08-14 1976-09-28 Wheeler Bill L Oil filter mounting means
JPS5414842Y2 (ko) * 1975-10-15 1979-06-18
US4406784A (en) * 1982-04-12 1983-09-27 Frantz Filters, Inc. Bypass oil filter adapter
JPS62109720U (ko) * 1985-12-27 1987-07-13
DE3622153C1 (en) * 1986-07-02 1987-08-27 Daimler Benz Ag Filter arrangement with filter and filter base
JPH04225806A (ja) * 1990-12-27 1992-08-14 Kanebo Ltd 二重構造フィルタ容器
DE4242997C1 (de) * 1992-12-18 1994-04-14 Hengst Walter Gmbh & Co Kg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Ölfilter für deren Schmieröl
DE9411212U1 (de) * 1994-07-13 1994-09-01 Hengst Walter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DE19539918C1 (de) * 1995-10-27 1997-02-06 Hengst Walter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für Öl oder Kraftstoff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dazu passender maschinenseitiger Filteranschlußflansch
FI98990C (fi) * 1995-10-27 1997-09-25 Parker Hannifinn Oy Suodatin
DE19626867A1 (de) * 1996-07-04 1998-01-29 Daimler Benz Ag An ein Kurbelgehäuse eines Verbrennungsmotors anflanschbares Trägerteil für Aggregate der Schmier-Ölversorgung und -behandlung
DE19701066B4 (de) * 1997-01-15 2016-12-15 Mann + Hummel Gmbh Vorrichtung zum Filtrieren von Öl
DE19804329A1 (de) * 1998-02-04 1999-08-05 Knecht Filterwerke Gmbh Flüssigkeitsfilter
JP3243640B2 (ja) * 1998-02-20 2002-01-07 株式会社テネックス エレメント交換型オイルフィルタのドレイン構造
JP4117864B2 (ja) * 1999-04-06 2008-07-16 東洋▲ろ▼機製造株式会社 オイルフィルタの出口切換弁機構
DE29915384U1 (de) * 1999-09-02 2001-01-18 Hengst Walter Gmbh & Co Kg Kombination aus einer Haupteinheit und wenigstens einer Anbau-Funktionseinheit
DE10012461A1 (de) * 2000-03-15 2001-09-20 Mahle Filtersysteme Gmbh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Ölfilter
DE10026451A1 (de) * 2000-05-27 2001-11-29 Mann & Hummel Filter Flüssigkeitsfilter
DE20012736U1 (de) * 2000-07-22 2000-09-21 Mann & Hummel Filter Baugrupp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Öl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4281A1 (en) * 2000-12-19 2002-06-20 Steger Thomas H. Spin-on fil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4140A1 (de) 2005-02-17
BRPI0407004B1 (pt) 2012-10-30
EP1651328B1 (de) 2007-03-28
JP4675322B2 (ja) 2011-04-20
DE502004003354D1 (de) 2007-05-10
US7712612B2 (en) 2010-05-11
EP1651328A1 (de) 2006-05-03
CN100398179C (zh) 2008-07-02
JP2007501908A (ja) 2007-02-01
US20070125689A1 (en) 2007-06-07
CN1747772A (zh) 2006-03-15
BRPI0407004A (pt) 2006-01-10
DE20312318U1 (de) 2004-12-16
KR20060063939A (ko) 2006-06-12
ATE357959T1 (de) 2007-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1720B2 (ja) 複合部材の固定構造
US7316215B1 (en) Valve cover assembly for a vehicle eng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4237015A (en) Filter units
EP0994244B1 (en) Engine windage tray
US20070289569A1 (en) Oil pa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50285351A1 (en) Seal structure
KR101095200B1 (ko) 내연 기관용 액체 필터
US20100147253A1 (en) Oil Pan
US5476270A (en) Shaft seal and gasket assembly
EP1291549A1 (en) Liquid-sealed vibration-proof device
US8166949B2 (en) Cylinder head dry valley drain
JP2003510174A (ja) ドレン流出口を備えた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
US6591807B1 (en) Combination comprising a main unit and at least one add-on functional unit
JP2007100657A (ja) 合成樹脂製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に対するオイルコントロールバルブの取付構造並びに合成樹脂製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CN102384268B (zh) 密封结构
KR20010090810A (ko) 주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조합
JPH0113777Y2 (ko)
JPH1193766A (ja) 内燃機関
US6053142A (en) Crank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210254740A1 (en) Valve
JP4609635B2 (ja) 密封装置
KR950000329Y1 (ko) 엔진의 리어커버구조
JPH01262353A (ja) エンジンのクランク軸受キャップ
JPH08200267A (ja) 密閉形圧縮機の油ポンプ構造
KR200149803Y1 (ko) 자동차용 베인펌프의 하우징과 리어커버의 실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